KR20080001928U -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928U
KR20080001928U KR2020060031735U KR20060031735U KR20080001928U KR 20080001928 U KR20080001928 U KR 20080001928U KR 2020060031735 U KR2020060031735 U KR 2020060031735U KR 20060031735 U KR20060031735 U KR 20060031735U KR 20080001928 U KR20080001928 U KR 200800019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ip
connector
hoo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9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1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53)이 형성되는 하우징(52)의 외면 일측에 장착리브(54)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54)를 벗어난 하우징(52)의 외면에 걸이턱(56)이 형성된 커넥터(50)와; 상기 장착리브(54)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하우징결합부(62)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결합부(62)와 일체로 패널결합부(64)가 패널의 관통공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걸이핑거(63)가 상기 하우징결합부(62)에서 돌출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56)이 안착되는 걸이홈(63')이 상기 걸이핑거(63)의 상기 하우징(52)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클립(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클립과 커넥터의 분해시에 작업자가 클립과 커넥터의 결합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공구에 의한 클립과 커넥터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클립과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클립, 결합

Description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Connector and clip assembl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클립과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클립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커넥터 52: 하우징
53: 삽입공간 54: 장착리브
56: 걸이턱 60: 클립
62: 하우징장착부 64: 패널결합부
66: 앵커부 67: 걸이날개
68: 탄성지지판 79: 스토퍼
본 고안은 커넥터와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커넥터를 클립을 사용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커넥터와 클립을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단자(terminal)를 내장하여 구성되는 커넥터를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클립을 커넥터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커넥터(10)는 하우징(12)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간(13)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외면 일측에는 장착리브(14)가 서로 마주보게 한쌍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14)는 서로 마주보게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리브(14)의 사이에 해당하는 하우징(12)의 표면에는 걸이턱(16)이 형성된다.
한편, 클립(20)은,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22)와,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기 위한 패널결합부(2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2)는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형성된 장착리브(14)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2)의 양단에는 리브걸이단(22')이 길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진 리브걸이단(22')이 실질적으로 상기 장착리브(14)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2)의 하면, 즉 상기 하우징(12)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에는 간섭회피채널(23)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채널(23)의 일측에는 체결턱(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3')은 상기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형성된 걸이 턱(16)에 걸어져 클립(20)이 하우징(12)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패널결합부(24)는 자동차 내부의 소정의 패널 또는 기타 다른 기구물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패널결합부(24)에는 패널의 슬릿 또는 장착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부(26)는 그 양측 선단에 걸이편(1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7)은 패널의 장착공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앵커부(26)와 일체로 상기 패널결합부(24)에는 탄성지지부(2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지지부(28)는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패널의 일측 표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10)와 클립(20)은 상기 하우징결합부(22)의 리브걸이단(22')이 상기 하우징(12)의 장착리브(14)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걸이턱(16)에 상기 체결턱(23')이 걸어져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와 클립의 결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커넥터(10)와 클립(2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턱(16)과 체결턱(23')은 커넥터(10)와 클립(2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와 클립(20)을 분해할 때에는, 반드시 별도의 공구를 상기 하우징결합부(22)와 하우징(12)의 표면 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체결턱(23')이 상기 걸이턱(16)에서 분리되도록 하여야 했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2)의 걸이턱(16)에 상기 체결턱(23')이 걸어져 결합되 는 구조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상기 걸이턱(16)과 체결턱(23')을 직접 볼 수 없으므로, 공구를 사용한 분리작업중에 커넥터(10)의 하우징(12)이나 클립(1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하우징(12)이나 클립(20)이 보다 더 단단한 상태가 되어 분해과정에서 어느 일측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와 클립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와 클립의 결합상태를 별도의 공구없이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장착리브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를 벗어난 하우징의 외면에 걸이턱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장착리브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결합부와 일체로 패널결합부가 패널의 관통공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걸이핑거가 상기 하우징결합부에서 돌출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이 안착되는 걸이홈이 상기 걸이핑거의 상기 하우징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하우징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하우징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이날개가 양측에 구비되어 패널의 장착공에 삽입되 는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탄성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핑거의 폭은 상기 장착리브 사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핑거에 형성되는 걸이홈은 상기 걸이핑거의 일측면으로도 더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중 상기 걸이핑거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장착리브의 일단부에 걸어져 하우징결합부가 장착리브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클립과 커넥터의 분해시에 작업자가 클립과 커넥터의 결합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공구에 의한 클립과 커넥터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클립과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5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2)은 일반적으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 로, 그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삽입공간(5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3)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선의 선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간(53)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52)의 외면 일측에는 장착리브(54)가 서로 마주보게 한쌍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54)는 서로 마주보게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되고, 일방향,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60)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장착리브(54)의 사이를 벗어난 하우징(52)의 표면에는 걸이턱(5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6)은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60)의 걸이핑거(63)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56)중 상기 장착리브(54)와 마주보는 방향에는 경사면(5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6')의 반대쪽 면은 하우징(52)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수직면으로 된다. 상기 경사면(56')은 걸이핑거(63)를 안내하여 걸이핑거(63)가 조립과정에서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클립(70)은 상기 커넥터(50)에 장착된 상태로 자동차의 패널 등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클립(7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클립(7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52)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62)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62)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62)는 상기 장착리브(54)의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결합부(62)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리브(54)와 대응되게 리브걸이단(62')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걸이단(62')은 실질적으로 상기 장착리브(54)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결합부(6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걸이핑거(63)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핑거(63)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핑거(63)의 폭은 상기 장착리브(54)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는 조립이나 분해시 걸이핑거(63)가 상기 장착리브(54)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핑거(63)는 상기 하우징(52)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 걸이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홈(63')은 상기 걸이턱(56)이 안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홈(63')은 그 내 측면이 상기 걸이홈(63')이 개구되는 면과 직교하는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63')의 횡단면은 상기 걸이턱(56)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이홈(63')은 상기 하우징(52)의 표면을 향하는 방향과 상기 걸이핑거(63)의 일측면에 해당되는 방향이 개구된다. 즉, 육면체 형상의 공간에서 2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핑거(63)의 일측면에 해당되는 방향이 개구됨에 의해 작업자가 걸이홈(63')과 걸이턱(56)을 보다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걸이홈(63')중 상기 걸이핑거(63)의 일측면에 해당되는 방향이 반드시 개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패널결합부(64)는 상기 하우징결합부(6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64)에는 앵커부(66)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부(66)는 패널의 장착공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앵커부(66)에는 양단에 걸이날개(67)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날개(67)는 상기 앵커부(66)의 선단에서 후단, 즉 상기 하우징결합부(62)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걸이날개(67)는 앵커부(66)의 선단에서 시작해서 후단을 향해 갈수록 양단의 것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된다. 상기 앵커부(66)의 걸이날개(67)는 패널의 장착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양단의 것이 서로 인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된다.
상기 걸이날개(67)의 선단에는 걸이편(6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67')은 패널의 장착공의 내면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편(67')은 상기 걸이날개(67)보다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상기 앵커부(66)와 상기 하우징결합부(62)의 사이에는 탄성지지판(68)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지지판(68)은 상기 앵커부(66)의 양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탄성지지판(68)이 상기 앵커부(66)의 주변을 두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지지판(68)는 대략 그 형상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된다. 상기 탄성지지판(68)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지지판(68)은 클립(60)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 패널의 표면에 양측 선단이 밀착되면서 약간 탄성변형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62)의 일단, 즉 상기 걸이핑거(63)가 구비된 반대쪽에는 스토퍼(7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클립(60)이 상기 하우징(5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장착리브(54) 일단부에 걸어져 하우징결합부(62)가 더 이상 장착리브(54)에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착리브(54)에 상기 하우징결합부(62)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클립(60)을 상기 커넥터(5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클립(60)의 걸이핑거(63)를 상기 장착리브(54)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60)의 하우징결합부(62)의 양단부에 형성된 리브걸이단(62')이 상기 장착리브(54)에 각각 삽입되도록 클립(60)을 이동시킨다.
상기 장착리브(54)에 상기 리브걸이단(62')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장착리브(54)에 걸어질 때까지 클립(60)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걸이핑거(63)는 선단이 상기 걸이턱(56)의 경사면(56')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걸이턱(56)의 경사면(56')을 따라 걸이핑거(63)가 안내되면 걸이핑거(63)가 탄성변형된다. 계속되는 클립(60)의 이동은 상기 걸이핑거(63)의 선단이 상기 걸이턱(56)을 타고 넘게 하고, 상기 걸이턱(56)이 상기 걸이핑거(63)의 걸이홈(63')에 안착되면 상기 걸이핑거(63)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립(60)을 상기 커넥터(50)의 하우징(52)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핑거(63)의 선단을 상기 하우징(52)의 표면에서 분리되도록 들어올린다. 이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한다. 물론,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걸이핑거(63)의 선단을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걸이핑거(63)의 걸이홈(63')에서 상기 걸이턱(56)이 빠지게 되면, 상기 하우징결합부(62)가 상기 장착리브(54)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결합부(62)가 상기 장착리브(5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클립(60)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걸이턱을 장착리브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걸이턱에 클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이핑거가 걸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클립과 커넥터의 분해시에 작업자가 클립과 커넥터의 결합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공구에 의한 클립과 커넥터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걸이핑거의 걸이홈이 걸이핑거의 측면으로 개구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보다 쉽게 걸이홈과 걸이턱이 결합된 위치로 접근할 수 있어,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와 클립의 결합상태를 별도의 공구없이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된 걸이핑거가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장착리브 사이가 아닌 장착리브의 외측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클립과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장착리브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를 벗어난 하우징의 외면에 걸이턱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장착리브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결합부와 일체로 패널결합부가 패널의 관통공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걸이핑거가 상기 하우징결합부에서 돌출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이 안착되는 걸이홈이 상기 걸이핑거의 상기 하우징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하우징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하우징결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이날개가 양측에 구비되어 패널의 장착공에 삽입되는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탄성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핑거의 폭은 상기 장착리브 사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핑거에 형성되는 걸이홈은 상기 걸이핑거의 일측면으로도 더 개구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합부중 상기 걸이핑거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장착리브의 일단부에 걸어져 하우징결합부가 장착리브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KR2020060031735U 2006-12-14 2006-12-14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KR200800019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35U KR20080001928U (ko) 2006-12-14 2006-12-14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35U KR20080001928U (ko) 2006-12-14 2006-12-14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28U true KR20080001928U (ko) 2008-06-19

Family

ID=4132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735U KR20080001928U (ko) 2006-12-14 2006-12-14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9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44A (ko) 2019-12-27 202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144A (ko) 2019-12-27 202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KR200430291Y1 (ko) 전기컨넥터용 클립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80001928U (ko)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100002454U (ko)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0428003Y1 (ko) 커넥터어셈블리
JP4790687B2 (ja) 樹脂製クリップ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2644963B1 (ko) 커넥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42163B1 (ko) 기판블록
KR20130006956U (ko) 커넥터
CN218062791U (zh) 扇叶安全结构及风扇
JP3891242B2 (ja) サポート及び配線装置
KR200442920Y1 (ko) 커넥터 하우징
CN110048259B (zh) 电连接器
KR101127007B1 (ko)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KR20090072743A (ko) 커넥터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090004247U (ko) 커넥터클립
KR1008941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