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77U - 레버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77U
KR20130003377U KR2020110010620U KR20110010620U KR20130003377U KR 20130003377 U KR20130003377 U KR 20130003377U KR 2020110010620 U KR2020110010620 U KR 2020110010620U KR 20110010620 U KR20110010620 U KR 20110010620U KR 20130003377 U KR20130003377 U KR 201300033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mounting plate
rotation cent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77U/ko
Publication of KR20130003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6Single camming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2Pair of camm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레버타입 커넥터(60)는 하우징(6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62)의 내부에는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62)의 양측 외면에는 회전중심공(66)이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2)에는 레버(7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레버(70)는 상기 하우징(62)의 양측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판(72)과 상기 양측의 장착판(72)을 서로 연결하는 손잡이(74)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판(7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하우징(62)의 회전중심공(66)에 삽입되는 회전중심축(7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축(72')의 선단이나 상기 하우징(62)의 단부 가장자리 일측에는 경사면(7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축(72')이 하우징(62)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레버(70)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해지거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레버(70)를 하우징(62)에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레버타입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고안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를 지렛대 형태로 사용하여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쉽게 하도록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의 갯수가 많아지게 되면 커넥터 사이의 결합에 많은 결합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는 그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이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일단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3)의 양측 내면에는 연동돌기(5)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5)는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 내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커넥터(7)는 상기 제1커넥터(1)와 결합되는 것으로, 이 역시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7')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7')은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으로 삽입되어 터미널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하우징(7')의 외면에는 회전중심(9')을 중심으로 레버(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9)에는 회전중심(9')에서 길게 연장된 위치에 손잡이(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중심(9')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10)의 반대쪽에는 상기 연동돌기(5)를 안내하는 가이드채널(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1)에 상기 연동돌기(5)가 안내되어 이동되면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로 제2하우징(7')이 들어가면서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13은 와이어커버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제2커넥터(7)를 상기 제1커넥터(1)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2하우징(7')을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 입구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레버(9)의 가이드채널(11)입구가 상기 제1하우징(1')의 연동돌기(5)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상기 연동돌기(5)가 상기 가이드채널(11)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레버(9)를 상기 회전중심(9')을 중심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손잡이(10)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9)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채널(11)을 따라 상기 연동돌기(5)가 이동되는데, 상기 연동돌기(5)는 상기 제1하우징(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하우징(7')이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돌기(5)가 상기 가이드채널(11)의 끝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7) 사이의 결합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레버(9)에는 상기 제2하우징(7')의 외면에 돌출된 회전중심(9')이 관통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9)에는 상기 가이드채널(11)이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9)의 크기를 일정 이상으로 크게 해야 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회전중심(9')이 제2하우징(7')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레버(9)를 상기 제2하우징(7')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처음으로 상기 레버(9)를 상기 제2하우징(7')의 양면에 돌출된 회전중심(9')보다 넓게 벌려야 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를 구성하는 장착판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레버를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어 터미널이 안착되며 외면에 회전중심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판이 손잡이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공에 삽입되어 장착판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축이 상기 장착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에는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판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핑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핑거가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축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축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레버의 장착판에 회전중심축이 구비되므로 장착판에서 관통부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장착판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장착판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전체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장착판에 회전중심축이 구비되므로 하우징에 레버를 장착할 때, 상기 회전중심축이 있는 위치까지는 레버의 장착판 사이를 거의 벌리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레버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장착판에 형성된 회전중심축에 면취를 둠에 의해 레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에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6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62)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지 않은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6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터미널안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62)의 양측면에는 각각 회전중심공(6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공(66)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의 회전을 위한 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중심공(66)은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62)의 외면 일측에는 고정돌기(6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8)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가 하우징(62)의 외면에 걸어져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60)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시에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레버(70)도 역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레버(70)에는 각각 상기 하우징(62)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장착판(72)이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장착판(72)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7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반원판형상이나,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장착판(72)에는 각각 상기 하우징(62)의 회전중심공(66)에 삽입되는 회전중심축(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72')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판(7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72')의 선단 일측에는 경사면(7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72")은 레버(70)가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에 장착될 때, 상기 하우징(62)의 가장자리를 회전중심축(72')이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판(72)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74)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74)는 상기 양측의 장착판(72)을 연결하게 구성되고,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된 부분이다.
상기 장착판(72)에는 가이드채널(7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은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 내면에 구비되는 연동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연동돌기가 이동하면서 상기 커넥터(60)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상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판(72)의 외면에 요입된 형태의 채널로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채널(76)이 상기 장착판(7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채널(76)이 완전히 상기 장착판(72)을 관통하면 장착판(72)의 강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라도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장착판(72)의 일측에는 고정핑거(7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핑거(78)는 상기 손잡이(74)의 연장방향과 대략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핑거(78)는 상기 장착판(7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70)를 상기 하우징(6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6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레버(70)는 상기 회전중심축(72')이 상기 하우징(62)의 회전중심공(66)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62)의 외면에 상기 장착판(72)이 장착되어 하우징(6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70)가 상기 회전중심축(72')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이 상기 고정돌기(68)의 일측에 걸어져 회전하지 않도록 된다. 이때, 상기 레버(70)가 상기 고정돌기(68)에 상기 고정핑거(78)가 걸어짐에 의해 그 방향으로의 회전은 되지 않지만,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회전중심축(72')과 회전중심공(66)에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구조를 둠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버(70)가 상기 하우징(62)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 즉, 상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60)의 결합을 위해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레버(70)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하우징(62)을 삽입한다.
상기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하우징(62)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에 있는 해제리브(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레버(70)의 고정핑거(78)를 상기 하우징(62)의 고정돌기(68)에서 해제시킨다.
상기 레버(70)가 회전되면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상기 레버(70)의 장착판(72)에 형성된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상기 커넥터(60)의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을 분리할 때는 상기 레버(70)의 손잡이(74)에 결합시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 레버(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70)의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상기 연동돌기가 안내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레버(70)를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레버(70)는 상기 장착판(72)이 상기 하우징(62)의 양측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하우징(62)의 회전중심공(66)에 상기 장착판(72)의 회전중심축(72')이 삽입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레버(70)의 장착판(72)이 각각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에 밀착된다. 최초에는 상기 장착판(72)의 각각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이고, 상기 장착판(72)이 상기 하우징(62)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상기 회전중심축(72')이 상기 하우징(62)의 단부 가장자리에 닿게 된다. 이때 까지는 상기 양측의 장착판(7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중심축(72')이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기 회전중심축(72')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72")이 하우징(62)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되면서 이다. 상기 경사면(72")이 안내되면서 상기 장착판(72) 사이가 벌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축(72')이 상기 하우징(62)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만 상기 장착판(72)이 탄성변형되어 양측의 장착판(7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62)의 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회전중심공(6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착판(72) 사이가 벌어진 상태는 그리 오래 유지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중심축(72')의 선단에 경사면(72")을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경사면(72")이 없더라도 상기 회전중심축(72')이 하우징(62)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기 시작하는 것이 큰 문제가 없다면 상기 경사면(72")을 두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72")을 상기 회전중심축(72') 대신에 상기 하우징(62)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도 있다.
60: 커넥터 62: 하우징
64: 터미널안착부 66: 회전중심공
68: 고정돌기 70: 레버
72: 장착판 72': 회전중심축
74: 손잡이 76: 가이드채널
78: 고정핑거

Claims (5)

  1.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어 터미널이 안착되며 외면에 회전중심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판이 손잡이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회전중심공에 삽입되어 장착판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축이 상기 장착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는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핑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핑거가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축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KR2020110010620U 2011-11-29 2011-11-29 레버타입 커넥터 KR201300033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20U KR20130003377U (ko) 2011-11-29 2011-11-29 레버타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20U KR20130003377U (ko) 2011-11-29 2011-11-29 레버타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77U true KR20130003377U (ko) 2013-06-07

Family

ID=5242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20U KR20130003377U (ko) 2011-11-29 2011-11-29 레버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7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3074A (zh) * 2019-05-27 2020-11-27 矢崎总业株式会社 杠杆式连接器和杠杆式连接器的组装方法
KR20200137888A (ko) 2019-05-31 2020-12-09 장현웅 휴대성을 높힐 수 있는 접이식 마우스
KR20230079609A (ko) 2021-11-29 2023-06-07 박채영 발 마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3074A (zh) * 2019-05-27 2020-11-27 矢崎总业株式会社 杠杆式连接器和杠杆式连接器的组装方法
KR20200137888A (ko) 2019-05-31 2020-12-09 장현웅 휴대성을 높힐 수 있는 접이식 마우스
KR20230079609A (ko) 2021-11-29 2023-06-07 박채영 발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US9203186B2 (en) Lever-type connector, wire cover
KR101824305B1 (ko) 레버식 커넥터
JP534793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467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130003377U (ko) 레버타입 커넥터
US9917395B2 (en) Lever-type connector
KR20130077047A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KR20130046127A (ko) 레버타입 커넥터
JP6179452B2 (ja) コネクタ
WO2019124027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200481120Y1 (ko) 커넥터
KR10081493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KR200472716Y1 (ko) 레버 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120014709A (ko) 커넥터조립체
KR20120018414A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090004122U (ko) 레버타입커넥터
CN204809551U (zh) 连接器壳体、连接器及连接器组件
KR20200000032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090000071U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04736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0485295Y1 (ko) 커넥터
KR20230013402A (ko) 레버 및 이를 가진 레버타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