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20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20Y1
KR200481120Y1 KR2020120004405U KR20120004405U KR200481120Y1 KR 200481120 Y1 KR200481120 Y1 KR 200481120Y1 KR 2020120004405 U KR2020120004405 U KR 2020120004405U KR 20120004405 U KR20120004405 U KR 20120004405U KR 200481120 Y1 KR200481120 Y1 KR 200481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terminal
coupling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56U (ko
Inventor
서준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2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넥터에는 하우징(10)의 스페이서삽입부(18)에 스페이서(20)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터미널안착부(16)에서 터미널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20)는 다수개의 프레임부(22)의 단부가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22)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6)에 위치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돌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26)중 상기 연결부(24)에 가장 가까운 것에 결합날개(30)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날개(30)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날개(30)는 상기 연결부(24)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스페이서(20)의 이동방향에 따라 다른 힘이 필요하도록 하면서 스페이서(20)가 임의로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탄성변형가능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스페이서(20)의 위치를 보다 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하우징 내에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랜스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터미널에 가해지는 힘이 큰 경우에는 상기 랜스만으로는 터미널의 위치보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더 설치하여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과 별개로 만들어지므로, 와이어하네스 작업을 위한 공정에 투입시 상기 스페이서가 하우징에 가조립된 상태이다. 즉,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터미널을 삽입하는 것을 스페이서가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페이서는 하우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조립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스페이서를 하우징의 내부로 더 집어 넣어 터미널을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페이서가 하우징에 완전결합상태로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걸림턱은 스페이서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의 모양이다. 하지만,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우징에 완전결합되는 단계 또는 완전결합되었다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하우징에서 해제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이동을 어렵게 하고 공구에 의해 파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래의 선헌기술문헌의 종래 기술에서도 스페이서와 하우징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의 파손문제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76582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페이서가 하우징에 임시결합상태와 완전결합상태에 보다 신뢰성 있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스페이서삽입부가 일측면으로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각각의 터미널안착부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입구측에 위치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돌부중 하나에는 상기 연결부를 향해 경사지게 탄성변형가능한 결합날개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날개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지지돌부중 상기 연결부에 가장 가까운 것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게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날개는 판형상으로 상기 지지돌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게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그 중에 상기 결합날개가 형성되는 프레임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중간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중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 것에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스페이서가 임시결합상태와 완전결합상태로 장착되어 있게 하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는 공구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구홈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 입구를 향하는 부분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날개의 선단을 안내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커넥터에서는 스페이서가 하우징에 임시결합상태와 완전결합상태로 있을 수 있는데, 결합날개를 두어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완전결합상태에서 임시결합상태로 이동하는 것보다는 용이하게 하면서도 임의로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페이서의 설치상태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결합날개가 탄성변형되면서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그리고 완전결합상태에서 임시결합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결합날개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스페이서가 임시결합상태에 있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스페이서가 완전결합상태에 있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12) 내에는 터미널설치부(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를 향해 선단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6)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으로 개방되게 스페이서삽입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2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터미널설치부(14)와 상기 내부공간(12)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형성방향, 즉,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19는 록킹레버로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0)는 상기 하우징(10)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6)에 안착된 터미널을 지지하여 터미널안착부(16)의 후방으로 터미널이 밀리지 않고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0)의 형상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배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0)가 3개의 프레임부(22)와 이들 프레임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4)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22)는 각각의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프레임부(22)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6)가 3개의 열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22)는 대략 바아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프레임부(22)에는 각각의 터미널안착부(16)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부(2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26)는 각각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부(22)들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프레임부(22)들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이나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외면과 연속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그 형상이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외면 형상과 연속되는 형상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즉,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터미널을 지지할 수 있는 완전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외면과 연속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부(24)의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부(24)의 내면 일측 단부에는 공구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홈(25)은 상기 스페이서(20)가 하우징(10)에 완전결합된 상태를 분리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구홈(25)의 바닥면은 상기 연결부(24)의 내면에서 시작해서 연결부(24)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이는 상기 공구홈(25)으로 공구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공구홈(25)에 의해 상기 연결부(24)의 해당되는 부분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스페이서삽입부(18)의 입구를 통해 공구가 공구홈(25)으로 잘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22)중 상기 연결부(24)의 양단쪽에 연결된 것에는 걸이턱(2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스페이서(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하우징(10)에 임시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임시결합위치는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하우징(10)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지지돌부(26)가 상기 터미널안착부(16)에서 일부 또는 완전히 벗어난 위치에 있어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안착부(16)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상태이다. 그리고 완전결합위치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6)에 삽입된 터미널을 상기 지지돌부(26)가 지지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0)의 지지돌부(26)에 의해 터미널이 터미널안착부(16)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임시결합위치나 완전결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불의의 외력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20)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턱(28)이 걸어지는 걸이홈(18')은 상기 하우징(10)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 내에 형성되는 상기 걸이홈(18')은 돌출된 턱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홈(18')은 임시결합용과 완전결합용으로 두 개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프레임부(22)에서 상기 연결부(24)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걸이턱(28)이 상기 스페이서(20)의 삽입과정에서 처음부터 하우징(10)측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걸이턱(28)은 임시결합상태의 유지를 위한 삽입과정 완료 직전에 하우징(10)측에 걸어지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2) 중에서 상기 연결부(24)의 양단부에 연결된 것은 선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부(22)의 선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0)의 연결부(24)에서 길이방향 중간에 연결된 프레임부(22)에는 결합날개(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날개(3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22)에서 상기 연결부(24)에 가장 가까운 지지돌부(26)에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결합날개(30)는 반드시 지지돌부(26)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프레임부(22)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날개(30)는 연결부(24)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프레임부(22)에 한쌍이 형성된다. 물론, 반드시 상기 결합날개(30)가 한 쌍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결합날개(3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날개(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결합날개(30)는 상기 프레임부(22)의 양측 표면(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돌부(26)중 하나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부(24)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은 결합날개(30)의 형상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내부로 삽입될 때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측 터미널안착부(16) 내부로 상기 결합날개(30)가 들어가면, 상기 결합날개(30)의 선단이 터미널안착부(16)의 내면에 걸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완전결합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20)가 임시결합상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날개(30)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하거나, 삽입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을 가해야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커넥터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페이서(20)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6)에 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20)는 상기 하우징(10)에 임시결합상태로 장착되어 터미널의 삽입을 위한 공정에 투입된다. 즉, 위에서 설명된 임시결합상태(도 4 참고)에서 터미널의 삽입을 위한 공정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입구에 있어, 스페이서(20)가 스페이서삽입부(18)의 내부로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결합날개(30)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지지돌부(26)와 함께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입구를 지나 상기 터미널안착부(16)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탄성변형되어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힘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불의의 외력이 스페이서(20)에 작용하더라도 그 외력의 크기가 일정 이상되지 않으면 스페이서(20)가 완전결합상태로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터미널의 삽입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6)에 각각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이 끝나고 나면, 상기 스페이서(20)에 작업자가 힘을 가한다. 즉, 상기 연결부(24)를 눌러주어 상기 스페이서(20)가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턱(28)이 상기 하우징(10)의 대응되는 걸이홈(18')을 지나서 완전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우징(10)의 대응되는 걸이홈(18')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결합날개(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안착부(16)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입구를 통과해서 터미널안착부(16)의 내부로 들어갈 때는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8)의 입구 내면에 의해 눌러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돌부(26)의 양측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된 상태로 터미널안착부(16)로 이동된다.
일단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결합날개(30)는 탄성변형되었던 상태가 복원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경사지게 펼쳐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날개(30)는 그 선단이 상기 터미널안착부(16)의 내면에 걸어지면서, 상기 스페이서(20)가 임의로 도 4의 상태, 즉 임시결합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스페이서(20)가 스페이서삽입부(18)에서 이동되어 임시결합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지지돌부(26)에 밀착되도록 되어야 한다. 또는 상기 결합날개(30)가 도 5의 상태에서 뒤집어져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입구 내면에 상기 지지돌부(26)를 향하던 면이 마주보도록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구홈(25)을 통해 일정 이상의 힘을 상기 스페이서(20)에 공구를 사용하여 가해야 한다. 앞에서 상기 스페이서(20)가 임시결합상태에서 완전결합상태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지지돌부(26)의 외면에 밀착되어야 했다. 하지만, 상기 스페이서(20)가 완전결합상태에서 임시결합상태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날개(30)가 뒤집어져서 지지돌부(26)의 외면에 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공구홈(25)에 공구를 사용하여 힘을 가해 상기 스페이서(20)를 분리하는 작업은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서 상기 내부공간(12)을 통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16)로 공구를 넣어서 상기 결합날개(30)의 선단이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의 입구 내면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결합날개(30)가 뒤집어지지 않고 지지돌부(26)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서 상기 탄성날개(30)의 선단이 향하는 스페이서삽입부(18)의 내면이 경사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게 되면 스페이서(20)의 리워크시 상기 탄성날개(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날개(30)가 상기 프레임부(22) 중에서 상기 연결부(24)의 중간부분에 연결된 곳에 있는 지지돌부(26)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하우징(10)에 보다 견고하고 균형있게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부(24)의 양측 단부에 대응되는 프레임부(22)의 걸이턱(28)과 상기 결합날개(30)가 함께 스페이서(20)의 장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내에 터미널안착부(16)가 형성된 터미널설치부(14)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터미널설치부(14)가 별도로 있지 않고 터미널안착부(16)가 하우징(10)의 전후로 연장되어 개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터미널설치부 16: 터미널안착부
18: 스페이서삽입부 19: 록킹레버
20: 스페이서 22: 프레임부
24: 연결부 25: 공구홈
26: 지지돌부 28: 걸이턱
30: 결합날개

Claims (7)

  1.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스페이서삽입부가 일측면으로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안착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각각의 터미널안착부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페이서삽입부의 입구측에 위치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돌부중 하나에는 상기 연결부를 향해 경사지게 탄성변형가능한 결합날개가 형성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날개는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된 지지돌부중 상기 연결부에 가장 가까운 것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연결부를 향해 연장되게 한 쌍이 형성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날개는 판형상으로 상기 지지돌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게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그 중에 상기 결합날개가 형성되는 프레임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중간에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중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 것에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스페이서가 임시결합상태와 완전결합상태로 장착되어 있게 하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는 공구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구홈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서 상기 스페이서삽입부 입구를 향하는 부분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날개의 선단을 안내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KR2020120004405U 2012-05-24 2012-05-24 커넥터 KR200481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05U KR200481120Y1 (ko) 2012-05-24 2012-05-24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05U KR200481120Y1 (ko) 2012-05-24 2012-05-24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56U KR20130006956U (ko) 2013-12-04
KR200481120Y1 true KR200481120Y1 (ko) 2016-08-17

Family

ID=5243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05U KR200481120Y1 (ko) 2012-05-24 2012-05-24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705B1 (ko) * 2016-12-08 2024-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EP3487010B1 (en) * 2017-11-17 2022-02-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5349A (ja) 2001-10-02 200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JP2010073375A (ja) 2008-09-16 2010-04-02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0123488A (ja) 2008-11-21 2010-06-03 Tyco Electronics Japan Kk 二重係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33Y1 (ko) * 2007-02-28 2009-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스페이서
KR20110076582A (ko)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5349A (ja) 2001-10-02 200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JP2010073375A (ja) 2008-09-16 2010-04-02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0123488A (ja) 2008-11-21 2010-06-03 Tyco Electronics Japan Kk 二重係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56U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210B2 (ja) コネクタ嵌合保証
KR102330136B1 (ko) 다이렉트 플러그-인 커넥터 및 다이렉트 플러그-인 커넥션 어셈블리
JP6559885B2 (ja) 電気コネクタ
MX2010010526A (es) Conjunto conector con un miembro de aseguramiento de posicion del terminal de bajo perfil.
EP3005485A1 (en) Cable connector
KR200481120Y1 (ko) 커넥터
JP4248001B2 (ja) レバーコネクタ
KR20090104173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9799990B2 (en)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system
US20160134053A1 (en) Structure of socket contact
JP5354573B2 (ja) 電気クロスコネクタ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0470914Y1 (ko) 커넥터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30003377U (ko) 레버타입 커넥터
JP6172760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1810131B1 (ko) 커넥터
KR102429531B1 (ko) 메일 커넥터
JP6025747B2 (ja) 締付表面及び固定手段を有するコネクタ、カウンター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9512991A (ja) 接触ハウジング並びに電気的な接触装置
KR101342163B1 (ko) 기판블록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JP201306953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