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03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034B1
KR101919034B1 KR1020120116410A KR20120116410A KR101919034B1 KR 101919034 B1 KR101919034 B1 KR 101919034B1 KR 1020120116410 A KR1020120116410 A KR 1020120116410A KR 20120116410 A KR20120116410 A KR 20120116410A KR 101919034 B1 KR101919034 B1 KR 10191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cover
coupling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261A (ko
Inventor
장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0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하우징(12)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하우징(12)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4)의 내면에는 체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결합커버(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커버(30)는 상대 커넥터(60)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상대 커넥터(60)와 커넥터(10) 사이의 결합상태를 이중으로 체결한다. 상기 상대 커넥터(60)에는 상기 체결부(18)와 체결되는 록킹레버(6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커버(30)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6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결합커버(30)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12)의 선단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22,4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 사이가 이중으로 체결되어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결합커버가 구비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관성록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외팔보 형상의 록킹레버가 결합되는 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져서 결합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록킹레버만을 가지고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없는 경우들도 있다. 그리고,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어야 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외력에 의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통전되고 있는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스파크가 일어나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760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이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선단이 위치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체결된 상대 커넥터의 일측을 걸어서 이중으로 체결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걸이부에 걸어지는 제2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걸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걸이부는 상기 결합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는 서로 대응되는 홈형상과 돌기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커버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상기 탄성부재로 부터 받는다.
삭제
삭제
상기 결합커버는 커버몸체가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커버몸체는 전면벽의 양측에 연결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측면벽과 상기 전면벽 및 측면벽에 각각 연결되는 상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벽의 내면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게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몸체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결합커버를 사용하여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와 이중으로 체결하므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사용중에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분리되는 것이 완전히 방지되어 커넥터의 사용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커버가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1차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을 차폐하므로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 동시에 분리되지 않게 되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커버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되고 결합커버가 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결합커버의 동작이 용이하고 결합커버의 분실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커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고 결합커버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고 결합커버가 상대 커넥터에 걸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10)가 정션박스(1)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가 서로 결합되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정션박스(1)에 커넥터(1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정션박스(1)와 같은 것에 일체로 만들어진 것 외에도 단독으로 만들어진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1)에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10)는 외관과 골격을 절연성 재질로 된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제1케이스(3)나 제2케이스(5)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에 나눠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커넥터(60)와의 결합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본 실시예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원통 형상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하우징(12)의 선단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상대 커넥터(60)가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 내에는 터미널(16)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16)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16)은 본 실시예에서 탭터미널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터미널(16)은 상기 정션박스(1)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스바(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장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정션박스(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별도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면 상기 터미널(16)도 별도의 구성이 되어야 한다.
상기 내부공간(14)의 일측 내면에는 체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8)는 상대 커넥터(60)측과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18)는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 형태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홈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의 내면에는 또한 안내리브(2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20)는 상기 내부공간(14)으로 상대 커넥터(6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20)는 그 전체 또는 일부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상대 커넥터(60)가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선단면, 즉 상기 내부공간(14)의 입구에 인접한 하우징(12)의 가장자리에는 제1걸이부(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부(22)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커버(30)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걸이부(22)는 상기 하우징(12)의 선단면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부(22)는 본 실시예에서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걸이부(22)를 돌기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제1걸이부(22)에 인접하여서는 안내경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제1걸이부(22)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걸이부(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걸이부(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2)의 양측 외면에는 회전중심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홈(26)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커버(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결합커버(30)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커버(30)는 도 3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커버(30)는 내부가 빈 육면체형상으로서 서로 직교하게 만나는 두 개의 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결합커버(30)의 골격을 커버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32)는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벽(33),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있고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벽(34) 그리고 상면을 구성하는 상벽(36)이 구비된다. 이들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커버몸체(32)가 만들어진다.
상기 측면벽(34)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각각 회전중심축(38)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축(38)은 상기 하우징(12)의 회전중심홈(26)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커버(30)가 회전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상기 회전중심축(38)과 회전중심홈(26)은 도시된 실시예의 위치와 반대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회전중심축이 상기 하우징(12)에 있고, 상기 회전중심홈이 상기 결합커버(30)에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벽(24)에는 단차부(40)가 있다. 즉, 상기 결합커버(30)를 외부에서 보면 측면벽(24)의 선단과 후단에 돌출된 정도의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측면벽(24)의 내면에는 단차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40)에는 제2걸이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제2걸이부(42)는 상기 제1걸이부(22)에 걸어져 상기 결합커버(30)가 상대 커넥터(60)를 체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2걸이부(42)는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된 형태이지만, 상기 제1걸이부(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면 된다. 즉, 상기 제1걸이부(22)가 홈형상인 경우에는 제2걸이부(42)가 돌기형상이지만,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걸이부(42)에는 상기 상벽(36)의 내면과 마주보게 걸이면(44)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면(44)의 반대쪽에는 간섭회피경사면(46)이 상기 제2걸이부(4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몸체(32)이 내부에는 고정판(48)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48)은 상기 측면벽(34)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상벽(36)의 내면과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48)에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고정판(48)의 양면에 각각 대응되게 접어진 판형상이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상벽(36)의 내면에 타측이 지지되어 상기 결합커버(30)가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토션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중심축(38)에 탄성부재(50)를 설치하면 된다.
한편,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상대 커넥터(60)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대 커넥터(60)는 상기 커넥터(10)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커넥터(10)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만이 상세하게 나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생략되었다.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상대 하우징(62)이 형성한다. 상기 상대 하우징(62)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12)의 체결부(18)와 결합되는 록킹레버(64)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레버(64)는 일반적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록킹레버(64)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체결부(18)에 걸어지는 걸이부(66)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66)는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 형태이다. 하지만, 상기 걸이부(66)는 상기 체결부(18)와 걸어 체결될 수 있는 상기 체결부(1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면 된다. 도면부호 68은 상기 록킹레버(64)에 임의로 외력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후드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에서 상기 결합커버(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중심축(38)이 상기 하우징(12)의 회전중심홈(26)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결합커버(20)는 상기 커버몸체(32)의 내면이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60)가 결합된다. 상기 상대 커넥터(60)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에 선단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0)의 내부공간(14)에 상대 커넥터(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커버(3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결합커버(30)를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결합커버(30)가 회전되면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보호후드(68)가 상기 결합커버(30)의 전면벽(33) 내면에 걸어진다. 즉, 상기 보호후드(68)의 후방에 상기 결합커버(30)의 전면벽(33)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대 커넥터(60)가 상기 커넥터(60)에서 빠지려고 하여도 상기 결합커버(30)의 전면벽(33) 내면에 상기 보호후드(68)가 걸어져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커버(30)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걸이부(42)가 상기 제1걸이부(22)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결합커버(30)가 상기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걸이부(22)에 상기 제2걸이부(42)가 걸어지게 되면 상기 결합커버(30)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커버(30)는 상기 상대 커넥터(60)를 체결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22,42)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커버(30)가 상기 상대 커넥터(60)를 체결하기 전이나 그와 동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록킹레버(64)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 내면에 형성된 체결부(18)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는 이중으로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상기 제1걸이부(22)에 상기 제2걸이부(42)가 걸어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안내경사면(24)이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걸이부(42)가 이동할 때,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에 상기 제2걸이부(42)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걸이부(42)가 상기 제1걸이부(22)에서 빠질 때에도 상기 안내경사면(24)이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결합커버(30)의 제2걸이부(42)가 상기 하우징(12)의 상면 선단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제2걸이부(42)의 간섭회피경사면(46)이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대 커넥터(60)를 상기 커넥터(10)에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결합커버(30)를 상기 상대 커넥터(60)에서 해제하면 된다. 즉, 상기 결합커버(30)에 작업자가 힘을 가해서 상기 제2걸이부(42)가 상기 제1걸이부(22)에서 빠지게 한다.
상기 제2걸이부(42)가 상기 제1걸이부(22)에서 빠지면, 상기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커버(30)는 자동적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커버(30)가 회전되어 상기 전면벽(33)이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보호후드(68)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는 도 6의 상태와 같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는 상기 록킹레버(64)에 의해서만 체결되어 있다. 상기 록킹레버(64)의 자유단부를 눌러주면 상기 록킹레버(64)의 걸이부(66)가 상기 하우징(12)의 체결부(18)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상대 커넥터(60)가 상기 커넥터(10)에서 분리가능하게 된다.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60)를 상기 커넥터(10)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을 이동시키면 상대 커넥터(60)와 커넥터(10)가 분리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커버(30)가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보호후드(68)에 걸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결합커버(30)가 반드시 상기 보호후드(68)에 걸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상대 하우징(62)의 일측에 걸어지면 된다.
1: 정션박스 3: 제1케이스
5: 제2케이스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내부공간
16: 터미널 18: 체결부
20: 안내리브 22: 제1걸이부
24: 안내경사면 26: 회전중심홈
30: 결합커버 32: 커버몸체
33: 전면벽 34: 측면벽
36: 상벽 38: 회전중심축
40: 단차부 42: 제2걸이부
44: 걸이면 46: 간섭회피경사면
48: 고정판 50: 탄성부재
60: 상대 커넥터 62: 상대 하우징
64: 록킹레버 66: 걸이부
68: 보호후드

Claims (6)

  1.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체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선단이 위치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체결된 상대 커넥터의 일측을 걸어서 이중으로 체결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걸이부에 걸어지는 제2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걸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걸이부는 상기 결합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는 서로 대응되는 홈형상과 돌기형상으로 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상기 탄성부재로 부터 받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커버몸체가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커버몸체는 전면벽의 양측에 연결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측면벽과 상기 전면벽 및 측면벽에 각각 연결되는 상벽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의 내면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게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몸체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커넥터.
KR1020120116410A 2012-10-19 2012-10-19 커넥터 KR10191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410A KR101919034B1 (ko) 2012-10-19 2012-10-19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410A KR101919034B1 (ko) 2012-10-19 2012-10-19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61A KR20140050261A (ko) 2014-04-29
KR101919034B1 true KR101919034B1 (ko) 2018-11-15

Family

ID=5065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410A KR101919034B1 (ko) 2012-10-19 2012-10-19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981B1 (ko) * 2014-09-25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정션박스의 암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59B1 (ko) 2010-03-02 2010-10-05 성지파워 주식회사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101066903B1 (ko) * 2011-07-01 2011-09-27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기능을 갖춘 배전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59B1 (ko) 2010-03-02 2010-10-05 성지파워 주식회사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101066903B1 (ko) * 2011-07-01 2011-09-27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기능을 갖춘 배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61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1247B (zh) 连接器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JP5534350B2 (ja) コネクタ装置
WO2018003567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03718388A (zh) 连接器
US9356398B2 (en) Lock mechanism of shield connector
WO2018163787A1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8171748A (ja) コネクタ
US9917395B2 (en) Lever-type connector
CA2985018A1 (en) Protective cap for an attachment housing
JP2009181851A (ja) コネクタ用カバー
US9799990B2 (en)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system
KR101919034B1 (ko) 커넥터
WO2018105362A1 (ja) ゴムカバー付きコネクタ
US10008803B2 (en) Connector for a camera with reduced dimensions in a fitting direction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190002295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07026764A (ja) 防水コネクタ
TWI535122B (zh) 電連接器
US20140148031A1 (en) Lever-type connector
JP713998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TW201724668A (zh) 連接器
JP2008041309A (ja) 電気コネクタ
JP5071717B2 (ja) コネクタ
JP6433388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