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783A -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783A
KR20210010783A KR1020190087875A KR20190087875A KR20210010783A KR 20210010783 A KR20210010783 A KR 20210010783A KR 1020190087875 A KR1020190087875 A KR 1020190087875A KR 20190087875 A KR20190087875 A KR 20190087875A KR 20210010783 A KR20210010783 A KR 2021001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call
sos
location track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황호훈
최욱현
김태용
이선용
이태훈
신광용
이민규
현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9008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783A/ko
Publication of KR2021001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차량의 시거잭 소켓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는 위치 추적 장치와, 위치 추적 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위치 추적 장치는 GNSS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추적 모듈과, 비상 상황 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SOS 모듈, 및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비상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여 보험사에 비상상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POSITION TRACKING SYSTEM WITH SOS FUNCTION}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험은 자동차를 소유하거나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보상하는 보험이다. 이러한 자동차 보험은 기존에는 사고 여부나 가입 연수 등에 따라 일괄적으로 보험료가 책정되었다. 하지만, 자동차를 많이 운행하지 않는 보험가입자의 경우 이를 불합리하게 여겨 최근에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거리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하는 마일리지 특약 등의 상품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마일리지 특약의 경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측정해야 하므로 차량에 주행거리 전송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기존에는 마일리지 특약에 가입할 경우, 차량의 OBD에 차량의 주행거리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주행거리 전송 장치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차량 내부를 뜯어서 주행거리 전송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것을 꺼리며, 신의 차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거부감이 있는 운전자도 많아 마일리지 특약 가입이 수월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운전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구조에서도 서버 및 위성과 신호를 주고받는데 문제가 없는 위치 추적 장치가 필요하며, 사고와 같은 비상상황 시 서버를 통해 보험사 고객센터로 쉽게 상황을 전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1065호(2016.07.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 시 보험사에 사고 신고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차량의 시거잭 소켓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는 위치 추적 장치와, 위치 추적 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위치 추적 장치는 GNSS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추적 모듈과, 비상 상황 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SOS 모듈, 및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SOS 모듈은, 비상 상황 시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받는 SOS 버튼과, SOS 버튼이 소정시간 동안 푸쉬 입력을 받았을 경우 SOS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eCall 메시지를 생성한 후 서버로 전송하는 SOS 수행 모듈을 포함한다.
SOS 수행 모듈은, SOS 버튼이 설정된 시간동안 푸쉬되어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하는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과,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하며, eCall 메시지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추적 장치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eCall 모듈은,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과, eCall 메시지가 서버로 전송이 완료된 후 서버에서 수신된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와, eCall 메시지에 따른 비상 상황 처리가 완료된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된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확인하는 eCall 처리 확인 모듈을 포함한ㄷ.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비상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여 보험사에 비상상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SOS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위치 추적 장치와 서버간의 SOS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정보를 수집하며 차량 비상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 장치(100)와, 위치 추적 장치(100)로부터 차량 정보 및 eCall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버(2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블록도이다.
위치 추적 장치(100)는 차량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며, 차량 비상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위치 추적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모듈(110)과, 차량 비상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SOS 모듈(120), 통신 모듈(130), 충전 모듈(140) 및 전원 모듈(150)을 포함한다.
위치 추적 모듈(110)은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위치 추적 모듈(110)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을 통해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위치 추적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차량 위치 정보는 후술될 통신 모듈(130)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GNSS 모듈은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본 실시예는 GNSS 모듈이 GPS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위치 추적 모듈(110)은 위치 추적 장치(100) 내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듈(13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SOS 모듈의 블록도이다.
SOS 모듈(120)은 사고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사고에 따른 입력을 받는 SOS 버튼(121)과, SOS 버튼(121)의 활성화에 따라 SOS 기능을 수행하는 SOS 수행 모듈(122)을 포함한다.
SOS 버튼(121)은 운전자와 동승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아 SOS 수행 모듈(122)에 SOS 버튼 활성화 여부를 입력한다. 또한, SOS 버튼(121)에는 적색 조명과 녹색 조명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60)가 구비되어 SOS 버튼 활성화 여부 및 eCall 메시지 처리 상황에 따라 해당 조명을 통해 표시한다.
SOS 수행 모듈(122)은 SOS 버튼(121) 푸쉬에 따라 SOS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SOS 기능의 수행은 비상 시 eCall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 SOS 수행 모듈(122)은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과, eCall 모듈(122b), 및 조명 제어 모듈(122c)을 포함한다.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은 SOS 버튼(121)이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작동될 경우 SOS 버튼(121)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SOS 버튼(121)이 사용자로부터 1.5초 이상 푸쉬 입력을 받았을 경우 SOS 버튼(121)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SOS 버튼(121)이 사용자로부터 1.5초 미만 푸쉬 압력을 받았을 경우, 즉, SOS 버튼(121)이 푸쉬되는 도중 푸쉬 입력이 되지 않고 원복되었다면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은 SOS 버튼(121)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SOS 버튼(121)이 활성화된 것으로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이 판단하면, eCall 모듈(122b)에 SOS 버튼(121) 활성화 신호를 보낸다. 물론, SOS 버튼(121)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은 SOS 버튼(121) 활성화 신호를 보내지 않고 SOS 버튼(121)이 푸쉬되는 것을 인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예시된 1.5초는 예시일 뿐이며, 생산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eCall 모듈(122b)은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에서 SOS 버튼(121)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생성된 SOS 버튼(121)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eCall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130)(130)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eCall 모듈(122b)은 서버(200)로 전송된 eCall 메시지의 처리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eCall 모듈(122b)은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122ba)과, eCall 처리 확인 모듈(122bb)을 포함한다.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122ba)은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이 SOS 버튼(121)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122ba)이 eCall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eCall 메시지는 차량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정보, 위치 추적 장치(100)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122ba)에서 생성된 eCall 메시지는 통신 모듈(130)(130)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된다.
eCall 처리 확인 모듈(122bb)은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122ba)에서 생성되어 서버(200)로 전송된 eCall 메시지의 처리를 확인한다. 이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나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all 메시지가 서버(200)로 전송된 후 고객센터에서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eCall을 접수하면 서버(200)에서 전송하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를 통신 모듈(130)(130)을 통해 eCall 처리 확인 모듈(122bb)이 수신하는 것을 확인하여 eCall 접수가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센터에서 현장출동이나 긴급출동을 지시한 후 현장도착하여 eCall 상황이 종료되면 서버(200)에서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통신 모듈(130)(130)로 전송한다. eCall 처리 확인 모듈(122bb)은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여 eCall 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 제어 모듈(122c)은 SOS 버튼(121) 활성화에 따라 조명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조명 제어 모듈(122c)은 녹색 조명을 제어하는 녹색 조명 제어 모듈(122c)과, 적색 조명을 제어하는 적색 조명 제어 모듈(122c)을 포함한다.
녹색 조명 제어 모듈(122c)은 SOS 버튼(121) 푸쉬 시 적색 조명을 점멸시킨다. 여기서, SOS 버튼(121) 푸쉬 시 적색 조명은 예를 들어, 0.4초 주기로 점멸될 수 있다. 다만,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이 SOS 버튼(121)이 일정시간 이상 푸쉬되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적색 조명이 점멸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또한, 녹색 조명 제어 모듈(122c)은 eCall 처리 확인 모듈(122bb)에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적색 조명의 점멸을 중단시킨 후 점등되도록 한다.
적색 조명 제어 모듈(122c)은 대기 상태 시 적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SOS 버튼(121)이 푸쉬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적색 조명 제어 모듈(122c)은 SOS 버튼(121)이 푸쉬되어 적색 조명이 점멸되는 상태에서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이 SOS 버튼(121)이 일정시간 이상 푸쉬되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적색 조명 점멸이 중단된 후 녹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122a)이 SOS 버튼(121)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적색 조명이 점멸되는 상태에서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가 eCall 처리 확인 모듈(122bb)에 접수되고 이후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까지 접수되면 다시 적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위치 추적 장치와 서버간의 SOS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추적 장치(Device, 100)에서 eCall 메시지(eCall Event Message)가 서버(Device Management, 200)로 전송되면 서버(Device Management, 200)는 2단계에 걸쳐 위치 추적 장치(100)에 응답 메시지(RPC Message)를 보내게 된다. 먼저 서버(Device Management, 200)가 eCall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고객센터에 전달한다. 고객센터에서는 해당 사용자(운전자)에게 연락하여 접수 등록을 완료하면 서버(Device Management, 200)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eCall Acceptance Request Message)를 SmartFleet을 통해 위치 추적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 후 접수된 내용이 처리(현장출동/긴급출동 등)가 되면 이를 서버(Device Management, 200)에서 확인하여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eCall Termination Message)를 위치 추적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통신 모듈(130)은 위치 추적 모듈(110)에서 획득된 차량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모듈(130)은 기지국을 통해 서버(200)와 통신하는 LTE 모듈(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세대인 LTE 이전의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거나 5세대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모듈을 통신 모듈(13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된 이동통신과 와이파이 모듈(132)을 이용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 다양한 원거리나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LTE 모듈(131)은 LTE 통신을 수행하는 LTE 모뎀과, LTE 모듈(131)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 모듈, 리눅스 등의 OS와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가 구비되는 OS/GPIO, MCP, RF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통신 모듈(130)은 전자심카드인 E-SIM(133)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TE 모듈(131)의 내부 구성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위치 추적 모듈(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모듈(131)에 내장될 수도 있다.
충전 모듈(140)은 전원 모듈(150)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출력하여 휴대폰 등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충전 모듈(140)로 전원 모듈(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USB C 타입의 충전 모듈(140)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SB 타입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충전 모듈(140)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모듈(150)은 차량의 시거잭 라이터 소켓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를 위해서, 전원 모듈(150)은 시거잭 라이터 소켓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변환 모듈과, 전원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물론, 실질적으로 USB 포트는 후술될 통신 모듈(130)에 구비되고, 전원 모듈(150)은 통신 모듈(130)에 구비된 USB 포트에 변환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통신 모듈(130)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전원 모듈(150)의 USB 포트가 삽입 돌출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전원 모듈(150)에는 시거잭 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일부가 돌출되며 'ㄷ'형상인 제1 단자와, 일자 형상이되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받으며 모듈 커버의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여 보험사에 비상상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위치 추적 장치 110: 위치 추적 모듈
120: SOS 모듈 121: SOS 버튼
122: SOS 수행 모듈 122a: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
122b: eCall 모듈 122ba: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
122bb: eCall 처리 확인 모듈 122c: 조명 제어 모듈
130: 통신 모듈 131: LTE 모듈
132: 와이파이 모듈 133: E-SIM
140: 충전 모듈 150: 전원 모듈
160: 인디케이터 200: 서버

Claims (4)

  1. 차량의 시거잭 소켓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는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추적 장치는 GNSS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추적 모듈과,
    비상 상황 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SOS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OS 모듈은,
    비상 상황 시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받는 SOS 버튼과,
    상기 SOS 버튼이 소정시간 동안 푸쉬 입력을 받았을 경우 SOS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eCall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SOS 수행 모듈을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OS 수행 모듈은,
    상기 SOS 버튼이 설정된 시간동안 푸쉬되어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하는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과,
    상기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eCall 메시지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추적 장치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Call 모듈은,
    상기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과,
    상기 eCall 메시지가 서버로 전송이 완료된 후 서버에서 수신된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와, 상기 eCall 메시지에 따른 비상 상황 처리가 완료된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된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확인하는 eCall 처리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190087875A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10010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75A KR20210010783A (ko)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75A KR20210010783A (ko)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83A true KR20210010783A (ko) 2021-01-28

Family

ID=7423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875A KR20210010783A (ko)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7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065A (ko) 2014-12-30 2016-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065A (ko) 2014-12-30 2016-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20B2 (en) Flexibl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to a vehicle
USRE47567E1 (en) On-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ly controllable on-vehicle device
US20130226369A1 (en) Portable vehicle telematics systems and methods
EP2472478A2 (en) Medium rang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11812354B2 (en) Emergency call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N102906798A (zh) 用于向移动车辆提供应急服务的方法
CN103149915A (zh) 一种汽车用扩展功能套件
CN102917337B (zh) 用于控制移动通信的方法
CN103824184A (zh) 一种自动发送和获取支付信息的系统和方法
RU15804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ьно-сигнальное
KR20210010783A (ko)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US20200220962A1 (en) System and method to transmit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their location in relation to a vehicle
CN110677920A (zh) 手机-车机互联系统及具有其的车辆和连接方法
KR102279461B1 (ko)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ES2642849T3 (es) Procedimiento para la monitorización de una posición de estacionamiento de un vehículo
CN210225761U (zh) 一种基于车载充电模块装置功能系统
RU156991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трекер
EP4167201A1 (en) Device for accessing data sent by a dongle connected to a vehicl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such device
CN218647515U (zh) 一种具有obu功能的汽车钥匙
KR20230158196A (ko) 차량용 범죄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3771A (ko) 차량 원격 시동 시스템
CN110418280A (zh) 一种基于车载充电模块装置功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