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461B1 -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461B1
KR102279461B1 KR1020190087876A KR20190087876A KR102279461B1 KR 102279461 B1 KR102279461 B1 KR 102279461B1 KR 1020190087876 A KR1020190087876 A KR 1020190087876A KR 20190087876 A KR20190087876 A KR 20190087876A KR 102279461 B1 KR102279461 B1 KR 10227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s
button
protrusion
modul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784A (ko
Inventor
이창훈
황호훈
최욱현
김태용
이선용
이태훈
신광용
이민규
현규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는 비상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여 보험사에 비상상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일면에서 돌출된 버튼부, 베이스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돌출부, 베이스판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되 베이스판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 및 버튼부의 상부 후면에서 돌출된 후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SOS 버튼을 구비하여 하나의 푸쉬 버튼으로도 SOS 기능을 위한 SOS 버튼이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POSITION TRACKING DEVICE WITH SOS FUNCTION}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험은 자동차를 소유하거나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보상하는 보험이다. 이러한 자동차 보험은 기존에는 사고 여부나 가입 연수 등에 따라 일괄적으로 보험료가 책정되었다. 하지만, 자동차를 많이 운행하지 않는 보험가입자의 경우 이를 불합리하게 여겨 최근에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거리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하는 마일리지 특약 등의 상품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마일리지 특약의 경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측정해야 하므로 차량에 주행거리 전송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기존에는 마일리지 특약에 가입할 경우, 차량의 OBD에 차량의 주행거리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주행거리 전송 장치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차량 내부를 뜯어서 주행거리 전송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것을 꺼리며, 신의 차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에 거부감이 있는 운전자도 많아 마일리지 특약 가입이 수월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운전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구조에서도 서버 및 위성과 신호를 주고받는데 문제가 없고, 사고와 같은 비상상황 시 서버를 통해 보험사 고객센터로 쉽게 상황을 전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1065호(2016.07.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 시 보험사에 사고 신고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푸쉬 버튼으로도 SOS 기능을 위한 SOS 버튼이 작동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는, 차량의 시거잭 소켓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모듈과, 전원 모듈에 연결된 통신 모듈, 비상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SOS 모듈, 통신 모듈의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상하부를 덮는 하우징, 통신 모듈과 접속되는 안테나 패턴이 표면에 형성된 안테나 캐리어, 안테나 캐리어를 덮으며 하우징에 결합된 캐리어 커버, 및 하우징의 타측을 덮는 모듈 커버를 포함한다.
SOS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받는 SOS 버튼과, SOS 버튼의 푸쉬 입력에 따른 활성화 여부에 의해 서버로 eCall 메시지를 전송하는 SOS 수행 모듈을 포함하며, SOS 버튼은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일면에서 돌출된 버튼부, 베이스판의 상부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돌출부, 베이스판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되 베이스판의 양측 가장자리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 및 버튼부의 상부 후면에서 돌출된 후면 돌출부를 포함하고, 후면 돌출부는 SOS 수행 모듈이 SOS 버튼의 푸쉬 입력을 받는 푸쉬 버튼과 접한다.
후면 돌출부는, 버튼부의 후면 상부 일측에서 돌출되며, 제1 후면 돌출판과, 제1 후면 돌출판에서 상부 돌출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제1 후면 돌기, 및 제1 후면 돌출판에서 연장된 제1 후면 돌출면을 포함하는 제1 후면 돌출부와, 버튼부의 후면 상부 타측에서 돌출되어 제1 후면 돌출부와 이격되며, 제2 후면 돌출판과, 제2 후면 돌출판에서 상부 돌출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제2 후면 돌기, 및 제2 후면 돌출판에서 연장된 제2 후면 돌출면을 포함하는 제2 후면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부 돌출부는,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상부 돌출부와, 제1 상부 돌출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상부 돌출부를 포함한다.
하부 돌출부는, 베이스판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및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바(bar) 형태이다.
베이스판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며, 버튼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후면 돌출부에서 버튼부까지 두께와, 하부 돌출부에서 버튼부까지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SOS 수행 모듈은, SOS 버튼이 설정된 시간동안 푸쉬되어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하는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과,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하며, eCall 메시지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추적 장치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eCall 모듈은,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과, eCall 메시지가 서버로 전송이 완료된 후 서버에서 수신된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와, eCall 메시지에 따른 비상 상황 처리가 완료된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된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확인하는 eCall 처리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SOS 수행 모듈은 SOS 버튼 내부에 구비된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조명 제어 모듈은 SOS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은 대기 상황과, SOS 버튼이 활성화된 상황,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가 수신된 상황, 및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상황에 따라 조명을 상이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는 비상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여 보험사에 비상상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일면에서 돌출된 버튼부, 베이스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돌출부, 베이스판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되 베이스판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 및 버튼부의 상부 후면에서 돌출된 후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SOS 버튼을 구비하여 하나의 푸쉬 버튼으로도 SOS 기능을 위한 SOS 버튼이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의 캐리어 커버를 제거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위치 추적 장치와 서버간의 SOS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안테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전원 모듈과 치팅 방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치팅 방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모듈(110)과, 차량 비상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SOS 모듈(미도시), 전원 모듈(110)에 연결된 통신 모듈(120), 통신 모듈(120)의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상하부를 덮는 하우징(200), 통신 모듈(120)을 덮는 안테나 캐리어(300), 안테나 캐리어(300)를 덮으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캐리어 커버(400), 및 하우징(200)의 타측을 덮는 모듈 커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모듈(110)과 통신 모듈(120)은 커넥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통합 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SOS 모듈(미도시)은 통신 모듈(120) 내에 구비된 것을 예시한다.
전원 모듈(110)은 차량의 시거잭 라이터 소켓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를 위해서, 전원 모듈(110)은 시거잭 라이터 소켓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변환 모듈과, 전원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물론, 실질적으로 USB 포트는 후술될 통신 모듈(120)에 구비되고, 전원 모듈(110)은 통신 모듈(120)에 구비된 USB 포트에 변환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통신 모듈(120)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전원 모듈(110)의 USB 포트가 삽입 돌출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전원 모듈(110)에는 시거잭 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측면으로 일부가 돌출되며 'ㄷ'형상인 제1 단자와, 일자 형상이되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받으며 모듈 커버의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SOS 모듈(미도시)은 사고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사고에 따른 입력을 받는 SOS 버튼(1000)과, SOS 버튼(1000)의 활성화에 따라 SOS 기능을 수행하는 SOS 수행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SOS 버튼의 측면도이다.
SOS 버튼(1000)은 운전자와 동승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푸쉬 입력을 받아 SOS 수행 모듈에 SOS 버튼(1000) 활성화 여부를 입력한다. 이를 위해서, SOS 버튼(10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0)과, 베이스판(1100)에서 돌출된 버튼부(1200), 베이스판(1100)의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돌출부(1300), 베이스판(11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하부 돌출부(1400), 및 베이스판(1100)의 후면에 돌출된 후면 돌출부(1500)를 포함한다.
베이스판(1100)은 SOS 버튼(1000)의 베이스로서, 후술될 버튼부(1200)와 상부 돌출부(1300), 하부 돌출부(1400) 및 후면 돌출부(1500)를 지지한다. 즉, 후술될 버튼부(1200)와 상부 돌출부(1300), 하부 돌출부(1400) 및 후면 돌출부(1500)는 모두 베이스판(110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사각 판 형상이며, 가장자리가 후면으로 돌출된 베이스판(1100)을 예시한다. 또한, 후술될 하부 돌출부(1400) 방향에서 상부 돌출부(1300)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판 형상이거나 타원 판 형상 또는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베이스판(1100)을 적용할 수도 있다.
버튼부(1200)는 캐리어 커버(400)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직접 접촉에 의해 푸쉬 입력을 받는다. 이러한 버튼부(1200)는 베이스판(110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는 원형의 버튼부(1200)를 예시한다. 물론, 버튼부(1200) 역시 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된 베이스판(1100)의 형상 변화에 따라 버튼부(1200)의 형상 역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버튼부(1200)는 베이스판(1100)의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되, 베이스판(1100)과 버튼부(1200)의 전체적인 두께는 고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돌출부(1300)는 베이스판(110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상부 돌출부(1310)와, 제1 상부 돌출부(1310)와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상부 돌출부(132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돌출부(1310)와 제2 상부 돌출부(1320)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상부 돌출부(1300)는 연장된 베이스판(1100)의 일측 가장자리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연장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제1 상부 돌출부(1310)와 제2 상부 돌출부(1320)는 전술된 원형인 버튼부(1200)에서 베이스판(1100)의 측면 가장자리와 서로 평행하는 접선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상부 돌출부(1310)와 제2 상부 돌출부(1320)는 전술된 접선에 접하지 않고 버튼부(1200)의 지름을 기준으로 접선에서 접선 내 중심의 1/10 위치 내에 위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버튼부(1200) 지름이 1cm 일 때 상부 돌출부(1300)는 1cm>상부 돌출부(1300)≥0.9cm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돌출부(1400)는 베이스판(110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및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부 돌출부(1400)는 바(bar) 형태로서, 베이스판(1100)의 타면 방향은 라운드지며 일면 방향은 플랫한 형상이다. 이러한 하부 돌출부(1400)는 베이스판(110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양측면 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이 돌출된다.
후면 돌출부(1500)는 베이스판(1100)의 후면으로 돌출되되, 버튼부(1200)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후면 돌출부(1500)는 버튼부(1200)의 후면 상부에서 베이스판(1100)의 후면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된 제1 후면 돌출부(1510)와 제2 후면 돌출부(1520)를 포함한다.
제1 후면 돌출부(1510)는 버튼부(1200)의 후면 상부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후면 돌출판(1511)과, 제1 후면 돌출판(1511)에서 상부 돌출부(1300)와 평행하게 돌출된 제1 후면 돌기(1512), 및 제1 후면 돌출판(1511)에서 연장된 제1 후면 돌출면(15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후면 돌출판(1511)은 대략 사각판 형상이며, 제1 후면 돌기(1512)는 사각 기둥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제1 후면 돌출면(1513)은 제1 후면 돌출판(1511)과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나, 제1 후면 돌출판(1511)의 하부 일부 영역에서 돌출 연장된다.
제2 후면 돌출부(1520)는 버튼부(1200)의 후면 상부 타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 후면 돌출판(1521)과, 제2 후면 돌출판(1521)에서 상부 돌출부(1300)와 평행하게 돌출된 제2 후면 돌기(1522), 및 제2 후면 돌출판(1521)에서 연장된 제2 후면 돌출면(15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후면 돌출부(1520)는 전술된 제1 후면 돌출부(1510)와 동일한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후면 돌출부(1510) 및 제2 후면 돌출부(1520)에서 버튼부(1200)까지의 두께와, 하부 돌출부(1400)에서 버튼부(1200)까지의 두께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의 캐리어 커버를 제거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서, 본 발명의 SOS 버튼(1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푸쉬 버튼(121)만을 사용하더라도 SOS 버튼(1000) 푸쉬 시 작동이 가능하다.
SOS 수행 모듈은 SOS 버튼(1000) 활성화에 따라 eCall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며 SOS 버튼(1000)의 활성화 여부를 조명을 통해 표시한다. 이를 위해서, SOS 수행 모듈은 SOS 버튼(1000)의 활성화를 판단하는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 eCall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eCall 메시지 처리를 확인하는 eCall 모듈, SOS 버튼(10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은 SOS 버튼(1000)이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작동될 경우 SOS 버튼(1000)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SOS 버튼(1000)이 사용자로부터 1.5초 이상 푸쉬 입력을 받았을 경우 SOS 버튼(1000)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SOS 버튼(1000)이 사용자로부터 1.5초 미만 푸쉬 압력을 받았을 경우, 즉, SOS 버튼(1000)이 푸쉬되는 도중 푸쉬 입력이 되지 않고 원복되었다면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은 SOS 버튼(1000)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SOS 버튼(1000)이 활성화된 것으로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이 판단하면, eCall 모듈에 SOS 버튼(1000) 활성화 신호를 보낸다. 물론, SOS 버튼(1000)이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은 SOS 버튼(1000) 활성화 신호를 보내지 않고 SOS 버튼(1000)이 푸쉬되는 것을 인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예시된 1.5초는 예시일 뿐이며, 생산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eCall 모듈은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에서 SOS 버튼(1000)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생성된 SOS 버튼(1000)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eCall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eCall 모듈은 서버로 전송된 eCall 메시지의 처리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eCall 모듈은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과, eCall 처리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은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1000)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이 eCall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eCall 메시지는 차량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정보, 위치 추적 장치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eCall 메시지는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
eCall 처리 확인 모듈은 eCall 메시지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어 서버로 전송된 eCall 메시지의 처리를 확인한다. 이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나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all 메시지가 서버로 전송된 후 고객센터에서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eCall을 접수하면 서버에서 전송하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를 통신 모듈을 통해 eCall 처리 확인 모듈이 수신하는 것을 확인하여 eCall 접수가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센터에서 현장출동이나 긴급출동을 지시한 후 현장도착하여 eCall 상황이 종료되면 서버에서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통신 모듈로 전송한다. eCall 처리 확인 모듈은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여 eCall 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명 제어 모듈은 SOS 버튼(1000) 활성화에 따라 조명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조명 제어 모듈은 녹색 조명을 제어하는 녹색 조명 제어 모듈과, 적색 조명을 제어하는 적색 조명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녹색 조명 제어 모듈은 SOS 버튼(1000) 푸쉬 시 적색 조명을 점멸시킨다. 여기서, SOS 버튼(1000) 푸쉬 시 적색 조명은 예를 들어, 0.4초 주기로 점멸될 수 있다. 다만,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1000)이 일정시간 이상 푸쉬되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적색 조명이 점멸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또한, 녹색 조명 제어 모듈은 eCall 처리 확인 모듈에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적색 조명의 점멸을 중단시킨 후 점등되도록 한다.
적색 조명 제어 모듈은 대기 상태 시 적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SOS 버튼(1000)이 푸쉬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적색 조명 제어 모듈은 SOS 버튼(1000)이 푸쉬되어 적색 조명이 점멸되는 상태에서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1000)이 일정시간 이상 푸쉬되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적색 조명 점멸이 중단된 후 녹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SOS 버튼(1000)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1000)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적색 조명이 점멸되는 상태에서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가 eCall 처리 확인 모듈에 접수되고 이후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까지 접수되면 다시 적색 조명이 점등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위치 추적 장치와 서버간의 SOS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 추적 장치(Device)에서 eCall 메시지(eCall Event Message)가 서버(Device Management)로 전송되면 서버(Device Management)는 2단계에 걸쳐 위치 추적 장치에 응답 메시지(RPC Message)를 보내게 된다. 먼저 서버(Device Management)가 eCall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고객센터에 전달한다. 고객센터에서는 해당 사용자(운전자)에게 연락하여 접수 등록을 완료하면 서버(Device Management)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eCall Acceptance Request Message)를 SmartFleet을 통해 위치 추적 장치로 전송한다. 그 후 접수된 내용이 처리(현장출동/긴급출동 등)가 되면 이를 서버(Device Management)에서 확인하여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eCall Termination Message)를 위치 추적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충격 감지 시 충격 감지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 추적 장치는 G센서를 구비하며, G센서 출력값 기준 설정값 이상 감지 시 통신 모듈(120)을 통해 서버로 즉시 송신한다. 여기서, G센서 출력값 기준 설정값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No Parameter name Description Initial
Value
Resol
ution
Valid Range
Min Max
1 Set_sendGvalue gSensor 이벤트 발생의 기준이 되는 G센서 값 4 0.1 2 16
2 Set_SOSpushtime eCall 이벤트 발생의 기준이 되는 SOS 버튼(1000)의 입력 시간 1.5 0.1 0.1 10
3 Set_eCallflashtime eCall 이벤트 발생시 Red LED의 점멸 주기 0.4 0.1 0.1 5
물론, 이를 위해서, 위치 추적 장치는 충격 감지 모듈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충격 감지 모듈은 표 1과 같이 미리 저장된 G센서 기준 설정값을 기반으로 G센서에서 측정되는 출력값을 비교하여 G센서 기준 설정값 이상의 G센서 출력값이 감지될 경우 충격 감지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 모듈(120)을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통신 모듈(120)은 위치 추적 모듈에서 획득된 차량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모듈(120)은 서버에서 전송하는 eCall 접수 완료 메시지와 eCall 처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120)은 기지국을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LT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세대인 LTE 이전의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거나 5세대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모듈을 통신 모듈(12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술된 이동통신과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 다양한 원거리나 근거리 통신 모듈(120)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LTE 모듈은 LTE 통신을 수행하는 LTE 모뎀과, LTE 모듈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 모듈, 리눅스 등의 OS와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가 구비되는 OS/GPIO, MCP, RF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통신 모듈(120)은 전자심카드인 E-SIM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TE 모듈의 내부 구성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위치 추적 모듈은 LTE 모듈에 내장될 수도 있다.
하우징(200)은 전원 모듈(110)과 통신 모듈(1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모듈(110)과 통신 모듈(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를 덮는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를 덮으며 상부 하우징(210)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결합되면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중공의 형상이며, 내부에 전원 모듈(110)과 통신 모듈(120)이 내장된다. 또한, 개방된 일측으로는 안테나 캐리어(300) 및 이를 덮는 캐리어 커버(400)가 구비되고, 개방된 타측으로는 모듈 커버(500)가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안테나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안테나 캐리어(300)는 통신 모듈(120)을 덮되 통신 모듈(120)과 접속되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 캐리어(300)는 안테나 캐리어 본체(310)와, 안테나 캐리어 본체(310)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테나 캐리어(300)에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므로 비도전체로 제작되어야 하며, 이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캐리어는 USB 포트가 노출되는 USB 포트 노출부와 함께, SOS 버튼 수납부가 형성된다. 또한, SOS 버튼 수납부는 베이스판(1100)이 수납되는 베이스판 수납부(311)와, 버튼부(1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후면 돌출부가 푸쉬 버튼(121)과 접하도록 하는 버튼부 수납부(312), 상부 돌출부(1300)가 수납되는 상부 돌출부 수납부(313)와, 하부 돌출부(1400)가 수납되는 하부 돌출부 수납부(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돌출부 수납부(313)는 제1 상부 돌출부(1310)가 수납되는 제1 상부 돌출부 수납부(313a)와 제2 상부 돌출부(1320)가 수납되는 제2 상부 돌출부 수납부(313b)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전원 모듈과 치팅 방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에서 치팅 방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치팅 방지 모듈(900)은 위치 추적 장치의 장착 여부 및 횟수를 감지하여 위치 추적 장치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치팅 방지 모듈(9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치팅 방지 모듈(900)은 하우징(20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전원 모듈(110)에 설치되되 하우징(220)의 내외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9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910)는 일 방향(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이다. 노브(910)의 상면은 밀폐되고 밀폐된 상면에는 노브 돌기(912)가 형성된다. 노브 돌기(912)는 상부 하우징(2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 추적 장치의 장착 시 시거잭 라이터 소켓과의 접촉에 의해 노브(910)를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노브(910)의 하단 둘레에는 노브(910)의 인입 및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 돌기(914)가 형성되고, 노브(910)의 내주면에는 노브(910)의 인입 시 로터(920)를 회전시키는 제1 스플라인(916)이 형성된다.
제1 스플라인(916)은 노브(9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노브(91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제1 스플라인(916) 사이에는 후술할 캠(9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918)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스플라인(916)의 하단은 노브(910)의 인입 시 로터(9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노브(910)의 내부에는 노브(910)의 인입 시 회전하는 로터(920), 로터(9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캠(930), 캠(93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940)이 구비된다.
캠(930)은 노브(9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이다. 캠(930)의 상면은 밀폐되고 밀폐된 상면은 스프링(940)에 접촉된다. 캠(9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돌기(932)가 형성되고, 캠(930)의 하면에는 스토핑 기어(934)가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932)는 노브(910)의 가이드 홈(918)에 삽입되어 캠(930)의 이동을 안내하고, 스토핑 기어(934)는 로터(920)에 맞물려 로터(920)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조의 캠(930)은 노브(9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프링(94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로터(920)에 접촉된다. 이때, 캠(930)과 로터(920)는 스토핑 기어(934과 928)를 통해 맞물려 로터(9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로터(920)는 내부 몸체(922)와 외부 몸체(924)로 이루어진 다단의 원통 형상이다. 로터(920)의 내부 몸체(922)는 캠(930)의 내부로 삽입되고, 외부 몸체(924)는 캠(930)과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외부 몸체(924)의 외주면에는 제2 스플라인(926)이 형성된다. 제2 스플라인(926)은 외부 몸체(9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 몸체(924)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스플라인(926)의 상단은 제1 스플라인(916)의 하단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1 스플라인(916)과 제2 스플라인(926)은, 노브(910)의 인입 시 제1 스플라인(916)이 제2 스플라인(926)에 접촉할 경우 제2 스플라인(926)이 형성된 로터(920)를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외부 몸체(924)의 상면에는 캠(930)의 스토핑 기어(934)에 맞물려 로터(9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핑 기어(928)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 몸체(924)의 하면에는 로터(920)의 회전 시 후술할 제1 콘택트(952)와 제2 콘택트(954)를 연결하는 연결 콘택트(929)가 마련된다.
스프링(940)은 노브(910)와 캠(930) 사이에 개재되어 노브(910)와 캠(93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스프링(940)은 노브(910)를 상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노브 돌기(912)가 상부 하우징(210)의 홀(H)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940)은 캠(930)을 하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캠(930)과 로터(920)가 스토핑 기어(934,928)를 통해 맞물려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한편, 로터(920)의 하부, 좀 더 상세하게는 전원 모듈(110)에는 위치 추적 장치의 장착 여부 및 횟수를 감지하기 위한 콘택트(950)이가 마련된다.
콘택트(950)는,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환형의 제1 콘택트(952)와, 제1 콘택트(952)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 콘택트(9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콘택트(952)와 제2 콘택트(954)는 로터(920)에 마련된 연결 콘택트(929)를 통해 연결되되, 본 실시예는 제2 콘택트(954)는 일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저항이 증가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콘택트(954)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저항이 변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저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며, 저항이 불규칙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또한, 저항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것을 반복하거나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것을 반복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콘택트(952)가 제2 콘택트(954) 상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한바퀴를 회전하면 다시 회전하던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콘택트(952)는 한바퀴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 회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켓에 삽입될 때 노브의 압박에 의해 로터가 회전할 때마다 저항값이 상이하도록 하여 위치 추적 장치의 장착 여부 및 장착 횟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통합 모듈 110: 전원 모듈
120: 통신 모듈 200: 하우징
210: 상부 하우징 220: 하부 하우징
300: 안테나 캐리어 311: 베이스판 수납부
312: 버튼부 수납부 313: 상부 돌출부 수납부
314: 하부 돌출부 수납부 313a: 제1 상부 돌출부 수납부
313b: 제2 상부 돌출부 수납부
400: 캐리어 커버 500: 모듈 커버
600: 제1 단자 700: 스프링
800: 제2 단자 900: 치팅 방지 모듈
1000: SOS 버튼 1100: 베이스판
1200: 버튼부 1300: 상부 돌출부
1310: 제1 상부 돌출부 1320: 제2 상부 돌출부
1400: 하부 돌출부 1500: 후면 돌출부
1510: 제1 후면 돌출부 1511: 제1 후면 돌출판
1512: 제1 후면 돌기 1513: 제1 후면 돌출면
1520: 제2 후면 돌출부 1521: 제2 후면 돌출판
1522: 제2 후면 돌기 1523: 제2 후면 돌출면

Claims (6)

  1. 차량의 시거잭 소켓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에 연결된 통신 모듈,
    비상 상황 시 eCall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SOS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상하부를 덮는 하우징,
    상기 통신 모듈과 접속되는 안테나 패턴이 표면에 형성된 안테나 캐리어,
    상기 안테나 캐리어를 덮으며 하우징에 결합된 캐리어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을 덮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SOS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을 받되 상기 안테나 캐리어의 SOS 버튼 수납부에 수납되는 SOS 버튼과, 상기 SOS 버튼의 푸쉬 입력에 따른 활성화 여부에 의해 서버로 eCall 메시지를 전송하는 SOS 수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SOS 버튼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서 돌출된 버튼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돌출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 가장자리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 및 상기 버튼부의 상부 후면에서 돌출된 후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돌출부는 상기 SOS 수행 모듈이 상기 SOS 버튼의 푸쉬 입력을 받는 푸쉬 버튼과 접하고,
    상기 후면 돌출부는,
    상기 버튼부의 후면 상부 일측에서 돌출되며, 제1 후면 돌출판과, 제1 후면 돌출판에서 상부 돌출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제1 후면 돌기, 및 제1 후면 돌출판에서 연장된 제1 후면 돌출면을 포함하는 제1 후면 돌출부와,
    상기 버튼부의 후면 상부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후면 돌출부와 이격되며, 제2 후면 돌출판과, 제2 후면 돌출판에서 상부 돌출부와 평행하게 돌출된 제2 후면 돌기, 및 제2 후면 돌출판에서 연장된 제2 후면 돌출면을 포함하는 제2 후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상부 돌출부와, 제1 상부 돌출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및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바(bar) 형태인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OS 수행 모듈은,
    상기 SOS 버튼이 설정된 시간동안 푸쉬되어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하는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과,
    상기 SOS 버튼 활성화 판단 모듈이 SOS 버튼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면 eCall 메시지를 생성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eCall 메시지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eCall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추적 장치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KR1020190087876A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KR102279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76A KR102279461B1 (ko)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76A KR102279461B1 (ko)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84A KR20210010784A (ko) 2021-01-28
KR102279461B1 true KR102279461B1 (ko) 2021-07-20

Family

ID=7423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876A KR102279461B1 (ko) 2019-07-19 2019-07-19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782A (ko) * 2021-11-25 2023-06-02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194A (ja) * 2001-01-22 200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料道路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車載etc装置
KR200399740Y1 (ko) * 2005-08-10 2005-10-26 주식회사 헤드라인정보통신 시거잭 일체형 차량용 지피에스 단말기
JP2009054326A (ja) * 2007-08-23 2009-03-12 Aiphone Co Ltd スイッチボタ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20B1 (ko) 2014-12-30 2016-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KR102029456B1 (ko) * 2018-01-02 2019-11-29 주식회사 이노카 e-call 복합기능 디지털 운행기록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194A (ja) * 2001-01-22 200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料道路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車載etc装置
KR200399740Y1 (ko) * 2005-08-10 2005-10-26 주식회사 헤드라인정보통신 시거잭 일체형 차량용 지피에스 단말기
JP2009054326A (ja) * 2007-08-23 2009-03-12 Aiphone Co Ltd スイッチボタ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782A (ko) * 2021-11-25 2023-06-02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KR102657485B1 (ko) * 2021-11-25 2024-04-16 주식회사 유니크 위치 추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84A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2010A1 (en) Medium rang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9842444B2 (en) Phone sleeve vehicle fob
EP1757499A3 (en) In-vehicle antitheft device and central authentication device
CA3001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cro-locating and communicating with a portable vehicle control device
EP1407937A3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vehicles
EP1143400A4 (en) ON-BOARD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SUPPLY CENTER FOR THIS TERMINAL
CN102662388A (zh) 一种汽车远程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79461B1 (ko)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장치
CN202976279U (zh) 智能钥匙系统
US10312958B2 (en) Remote receive antenna for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2917337B (zh) 用于控制移动通信的方法
CN203406868U (zh) 基于nfc的手机与汽车互联系统
EP3078551A1 (en) Onboard unit for a vehicular identification system
CN111391781A (zh) 用于锁车提示的通信系统及汽车
RU15804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ьно-сигнальное
CN102642516B (zh) 车辆用起动系统
US10848968B2 (en) Adaptive type beacon cigar jack device
KR102114667B1 (ko) 위치 추적 장치
KR102029269B1 (ko) Ble 5.0 기반의 차량용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20210010783A (ko) Sos 기능을 구비한 위치 추적 시스템
CN201562364U (zh) 新型车载无线识别系统
CA2601442A1 (en) Aftermarket keyless starter
JP2006026148A (ja) 電動ミシン
CN205283616U (zh) 一种低成本用于远程控制汽车及一键启动的车载装置
CN106458158A (zh) 智能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