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810B1 - 평판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판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810B1
KR101562810B1 KR1020140065017A KR20140065017A KR101562810B1 KR 101562810 B1 KR101562810 B1 KR 101562810B1 KR 1020140065017 A KR1020140065017 A KR 1020140065017A KR 20140065017 A KR20140065017 A KR 20140065017A KR 101562810 B1 KR101562810 B1 KR 10156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
holder
flat cab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김재형
전주성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케이블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단자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전단이 폐쇄되고 후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고 핀 단자 삽입공이 전면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외부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소켓 및 상기 소켓에서 연장된 단자편으로 이루어진 소켓 단자와, 상기 단자편을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사이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을 상기 외부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내부 하우징과, 배선의 선단에 접촉 단자가 마련되고 배선을 감싸는 커버에 걸림공이 천공되며 상기 걸림공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에 안착되는 평판 케이블과, 상기 내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단자를 상기 단자편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제1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 케이블 커넥터{FLAT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평판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평판 케이블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단자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 내부의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플러그나 소켓, 잭 등을 모두 가리켜 커넥터라 하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 끝에 설치된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라 하고, 기기의 패널에 설치된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라 한다.
각종 전자 기기 제품에서는 각각의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계 케이블로 연성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 사용되고 있다. 연성 평판 케이블은 가요성(可撓性)이 우수하고, 연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폭넓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093269호(2005.04.07.)에는 평판 케이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평판 케이블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평판 케이블(20)의 단부에 마련되고, 수지로 성형된 지지보강부재(11)를 포함한다. 지지보강부재(11)는, 단자(22)가 노출되도록 안착되는 지지부(12)와, 평판 케이블(20)의 단부를 감싸는 보강부(14)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강부(14)의 측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의 결합을 위한 잠금돌기(13)가 형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30)는 수지로 성형된 커넥터 하우징(51)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51)의 내측 상부에는 접속단자(40)가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지지부(12)의 제1테이퍼부(12a)를 지지하는 제2테이퍼부(53)가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51)의 측면에는 잠금돌기(13)에 대응되는 잠금구멍(52)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10)는 수지 재질의 보강부(14)가 평판 케이블(20)의 단부를 감싸는 일체형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평판 케이블(20)과 단자(22) 사이가 단선될 우려가 없다.
하지만, 플러그 커넥터(10)를 평판 케이블(20)의 단부에 사출성형을 하여 제작하므로 제작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출성형을 하는 과정에서 평판 케이블(20)이 단자(22)와 단선되거나 인접한 다른 도체와 단락될 경우 해당 부분의 보수가 불가능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093269호(2005.04.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 케이블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단자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평판 케이블 커넥터는, 외부 하우징, 소켓 단자, 내부 하우징, 평판 케이블 및 제1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하우징은, 전단이 폐쇄되고 후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고, 핀 단자 삽입공이 전면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소켓 단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소켓과, 상기 소켓에서 연장된 단자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 단자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단자편 설치용 안착홈이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사이에 걸림돌기가 마련된다. 상기 평판 케이블은, 배선의 선단에 접촉 단자가 마련되고, 배선을 감싸는 커버에 걸림공이 천공되며, 상기 걸림공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에 안착된다. 상기 제1홀더는, 상기 내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단자를 상기 단자편에 접촉되도록 가압한다.
상술한 구성 중 상기 제1홀더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평판 케이블이 상기 걸림돌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안착홈이 일면에 형성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면 둘레를 감싸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 내벽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홀더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의 양단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면에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소켓 단자의 체결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2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홀더는 그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부 하우징과 제1홀더 사이에 개재된 평판 케이블이 걸림돌기와 걸림공을 통해 커넥터에 고정되므로, 외력 등에 의해 평판 케이블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제1홀더에 형성되므로 상기 평판 케이블을 커넥터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홀더를 이용하여 소켓 단자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소켓 단자의 체결 상태가 완벽하지 못할 경우 제2홀더의 설치가 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단자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홀더를 설치할 경우 그 일부가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소켓 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케이블 커넥터의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A-A 단면도와 B-B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평판 케이블 커넥터(1,2)는, 평판 케이블(3)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커넥터(1)와, 기기의 패널 등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케이블 커넥터는, 평판 케이블(3)의 단부에 설치되어 리셉터클 커넥터(2)의 내부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1)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케이블 커넥터, 즉 플러그 커넥터(1)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 커넥터(1)는, 커넥터(1)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하우징(100)과, 리셉터클 커넥터(도 1의 2)와의 결합 시 전기적인 소통을 위한 소켓 단자(200)와, 소켓 단자(200)를 지지하는 내부 하우징(300)과, 내부 하우징(300)과 함께 평판 케이블(3)을 고정하는 제1홀더(400)와, 소켓 단자(2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홀더(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100)은 전단이 폐쇄되고 후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며, 그 내부에는 소켓 단자(200) 및 내부 하우징(300)의 설치를 위한 수용공간(110,120)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10,120)은 외부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된 장착공(130)을 기준으로 제1수용공간(110)과 제2수용공간(120)으로 구분된다.
제1수용공간(110)은 장착공(130)의 전단 측에 위치되고,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로 구성되며, 소켓 단자(200)의 소켓(210)이 설치된다. 제2수용공간(120)은 장착공(130)의 후단 측에 위치되고, 제1수용공간(110)과 연결된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하우징(300)과 제1홀더(400)가 설치된다.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도 1의 2)와의 결합 시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핀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40)은 제1수용공간(110)과 각각 연결되어 삽입공(140)을 관통한 핀 단자(미도시)가 소켓(2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와의 잠금 또는 해정을 위한 레버(150)가 마련되고, 양측 벽면에는 내부 하우징(3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60)이 형성된다.
한편, 외부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된 장착공(130)은 제2홀더(50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장착공(130)에 설치되는 제2홀더(500)는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소켓 단자(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장착공(130)의 내벽에는 제2홀더(5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32)이 형성되고, 제2홀더(500)에는 고정홈(132)과 대응되는 고정돌기(530)가 형성된다.
소켓 단자(200)는, 제1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소켓(210)과, 소켓(210)에서 후단 측으로 연장되어 제2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단자편(220)으로 이루어진다. 소켓(210)은 핀 단자(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박스 형태를 가지며, 단자편(220)은 내부 하우징(300)의 안착홈(도 7의 312)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박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자편(220)은 평판 케이블(3)의 접촉 단자(34)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안착홈(312)의 깊이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하우징(300)은 제2수용공간(120)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진 판재 형상이다. 도 2와 도 7을 참조하여 내부 하우징(300)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평판 케이블(3)의 단부가 안착되는 수평부재(310)와, 수평부재(310)의 전단을 감싸는 수직부재(320,3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부재(320,330)는, 내부 하우징(300)의 전면에 위치된 전면부재(320)와, 내부 하우징(3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한 쌍의 측면부재(330)로 이루어진다.
수평부재(310)의 상면(도 6의 경우 상면)에는 안착홈(312)이 형성된다. 안착홈(312)은 상술한 것처럼 소켓 단자(200)의 단자편(220)이 삽입되는 부분이며, 제1수용공간(110)과 동일선 상에 각각 위치된 다수로 형성된다. 다수의 안착홈(312) 사이에는 평판 케이블(3)을 고정하는 걸림돌기(314)가 돌출된다. 이때, 걸림돌기(314)는 평판 케이블(3)을 플러그 커넥터(1)의 후방으로 당겼을 때 빠지지 않도록 직각인 면이 전방을 향하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전면부재(320)에는 지지부재(도 5의 322)가 돌출되고, 지지부재(322)에는 관통공(324)이 형성된다. 지지부재(322)는 전면부재(3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소켓 단자(200)의 소켓(210)을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관통공(324)은 소켓 단자(200)의 단자편(220)이 관통되는 부분이며, 관통공(324)을 관통한 단자편(220)은 안착홈(312)에 수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300)의 지지부재(322) 하부에는 소정의 삽입공간(326)이 형성된다. 삽입공간(326)은 장착공(130)에 설치된 제2홀더(500)의 일부(즉, 잠금돌기(5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 삽입공간(326)을 이용하여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가 정상인 경우 장착공(130)을 통해 삽입공간(326)이 노출되므로 제2홀더(500)의 설치 시 잠금돌기(520)가 삽입공간(326)으로 삽입된다. 반면,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장착공(130)을 통해 소켓(210) 또는 전면부재(320)가 노출되므로 제2홀더(500)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부재(330)의 단부에는 외부 하우징(1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340)가 형성된다. 또한, 측면부재(330)의 내벽에는 제1홀더(4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35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40)는, 측면부재(330)의 단부에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탄성부재(342)와, 탄성부재(342)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결합홈(16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44)로 이루어진다.
한편, 내부 하우징(300)에 고정되는 평판 케이블(3)은 통상의 평판 케이블이다. 즉,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배선(32)을 커버(36)가 감싸고, 배선(32)의 선단에는 접촉 단자(34)가 마련되는 통상의 평판 케이블 형상이다. 이때, 다수의 배선(32) 사이에는 걸림공(38)이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300)에 안착된 평판 케이블(3)이 걸림돌기(31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홀더(400)는 내부 하우징(3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을 가진다. 내부 하우징(300)의 수평부재(310)와 대면하는 제1홀더(400)의 상면에는 걸림홈(410)이 형성된다. 또한, 제1홀더(400)의 양측 벽면에는 체결돌기(42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10)은 걸림돌기(314)의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걸림돌기(314)의 상부를 덮어 폐쇄함으로써 걸림돌기(314)에 걸려 고정된 평판 케이블(3)의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420)는 제1홀더(400)를 내부 하우징(300)에 고정하는 부분으로, 내부 하우징(300)의 체결홈(350)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홀더(500)는, 장착공(130)에 결합되는 몸체(510)와, 몸체(5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삽입공간(326)으로 돌출되는 잠금돌기(520)와, 몸체(152)의 양단에 형성되어 장착공(130)의 고정홈(13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홀더(500)는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가 정상인 경우 장착공(130)을 통해 삽입공간(326)으로 삽입되고,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장착공(130)을 통해 삽입공간(326)으로 삽입되지 못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소켓 단자(200)를 내부 하우징(300)에 조립한다. 소켓 단자(200)의 단자편(220)은 내부 하우징(300)의 관통공(324)을 관통하여 안착홈(312)에 삽입되도록 조립한다(도 7 참조).
소켓 단자(200)를 조립한 내부 하우징(300)에 평판 케이블(3)을 연결한다. 평판 케이블(3)의 접촉 단자(34)가 소켓 단자(200)의 단자편(220)에 접촉되도록, 그리고 내부 하우징(300)의 걸림돌기(314)가 평판 케이블(3)의 걸림공(38)을 관통하도록 평판 케이블(3)을 연결한다. 이때, 단자편(220)과 접촉 단자(34)를 저항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할 경우 평판 케이블(3)의 긴장 또는 수축에 의해 접촉부(단자편(220)과 접촉 단자(34)의 접촉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판 케이블(3)의 연결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홀더(400)를 내부 하우징(300)에 끼워 고정한다. 즉, 제1홀더(400)의 체결돌기(도 2의 420)가 내부 하우징(300)의 체결홈(도 7의 350)에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내부 하우징(300)에 조립된 제1홀더(400)는 단자편(220)과 접촉 단자(34)를 밀착시켜 쇼트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홈(도 2의 410)이 걸림돌기(314)의 상부를 덮어 폐쇄함으로써 걸림돌기(314)에 걸려 고정된 평판 케이블(3)의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홀더(400)가 조립된 내부 하우징(300)의 상하를 반전시킨 후, 외부 하우징(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넣어 조립한다(도 9 참조). 이때, 소켓 단자(200)의 소켓(210)은 제1수용공간(110)에 삽입되고, 내부 하우징(300)과 제1홀더(400)는 제2수용공간(120)에 삽입된다(도 5 참조).
마지막으로, 외부 하우징(100)의 장착공(130)에 제2홀더(500)를 설치한다(도 10 참조). 제2홀더(500)는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소켓 단자(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가 정상인 경우 장착공(130)을 통해 삽입공간(326)이 노출되므로 제2홀더(500)의 설치 시 잠금돌기(520)가 삽입공간(326)으로 삽입된다. 반면, 소켓 단자(200)의 체결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장착공(130)을 통해 소켓(210) 또는 전면부재(320)가 노출되므로 제2홀더(500)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된다(도 5 참조).
장착공(130)에 설치된 제2홀더(500)는 고정돌기(530)와 고정홈(132)에 의해 외부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러그 커넥터 2: 리셉터클 커넥터
3: 평판 케이블 100: 외부 하우징
200: 소켓 단자 300: 내부 하우징
400: 제1홀더 500: 제2홀더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전단이 폐쇄되고 후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고, 핀 단자 삽입공이 전면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외부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소켓과, 상기 소켓에서 연장된 단자편으로 이루어진 소켓 단자;
    상기 단자편을 설치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사이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 단자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내부 하우징;
    배선의 선단에 접촉 단자가 마련되고, 배선을 감싸는 커버에 걸림공이 천공되며, 상기 걸림공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에 안착되는 평판 케이블; 및
    상기 내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단자를 상기 단자편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제1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소켓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내부 하우징이 삽입되는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수용공간이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안착홈이 일면에 형성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면 둘레를 감싸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 내벽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더의 양측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양단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양단에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단자편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소켓 단자에 접촉되는 지지부재가 돌출되며, 상기 소켓과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면에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소켓 단자의 체결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2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홀더는 그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장착공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된 잠금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케이블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과 상기 제2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1020140065017A 2014-05-29 2014-05-29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101562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017A KR101562810B1 (ko) 2014-05-29 2014-05-29 평판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017A KR101562810B1 (ko) 2014-05-29 2014-05-29 평판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810B1 true KR101562810B1 (ko) 2015-11-09

Family

ID=5460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017A KR101562810B1 (ko) 2014-05-29 2014-05-29 평판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8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31A (ko) * 2017-03-22 2018-10-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20180116892A (ko) * 2017-04-18 2018-10-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20190036188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WO201924037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2열 터미널 구조의 pcb 다이렉트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32A (ja) 2000-12-27 2002-07-19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接続端子の収容方法
JP2011253619A (ja) 2010-03-31 2011-12-15 Fujikura Ltd 防水コネクタ
JP2013051080A (ja) 2011-08-30 2013-03-14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32A (ja) 2000-12-27 2002-07-19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接続端子の収容方法
JP2011253619A (ja) 2010-03-31 2011-12-15 Fujikura Ltd 防水コネクタ
JP2013051080A (ja) 2011-08-30 2013-03-14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31A (ko) * 2017-03-22 2018-10-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102008694B1 (ko) * 2017-03-22 2019-10-2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20180116892A (ko) * 2017-04-18 2018-10-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102028425B1 (ko) * 2017-04-18 2019-10-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20190036188A (ko) * 2017-09-27 2019-04-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2366146B1 (ko) 2017-09-27 2022-02-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WO201924037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2열 터미널 구조의 pcb 다이렉트 커넥터
US11114788B2 (en) 2018-06-12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having two-row termina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928160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JP2012059360A (ja) コネクタ
KR102233071B1 (ko)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는 일회용 전기 커넥터
US20060141867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engaging means
JP2012521631A (ja) 雌コネクタ組立体
CN107732482B (zh) 具有分线元件的线缆连接器组件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US9640886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for connectors
EP2304853B1 (en) High density rectangular interconnect
US11251560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WO2014198928A1 (en) Plug and connector arrangement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8696380B2 (en) Cable assembly with removable fastening module
US6659794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FC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N108429029B (zh) 连接器、插座以及连接系统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1725929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CN112652901A (zh) 连接器
KR101674450B1 (ko) 전기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TWM461162U (zh) 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