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694B1 -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694B1
KR102008694B1 KR1020170035942A KR20170035942A KR102008694B1 KR 102008694 B1 KR102008694 B1 KR 102008694B1 KR 1020170035942 A KR1020170035942 A KR 1020170035942A KR 20170035942 A KR20170035942 A KR 20170035942A KR 102008694 B1 KR102008694 B1 KR 10200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lat cable
housing
mail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531A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7003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6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플랫케이블에 걸림결합부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에 상기 걸림결합부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므로, 플랫케이블은 메일하우징에 걸림 위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플랫케이블과 컨덕터 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ELECTRICAL CONNECTING STRUCTURE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케이블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플랫케이블과 하우징 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고집적화됨에 따라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전자 조립시스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SMT 시스템은 표면실장부품을 인쇄회로 기판에 조립하는 전자조립시스템으로서,전자부품의 소형화,고밀도화 등 부품제작기술의 발전과 조립라인 자동화 추세에 의해 자동차 전장품, 가전제품, 통신제품 등 현재 대부분의 전자제품 제조라인에서 채택되고 있다.
표면실장기술이란 부품의 리드(부품의 밖으로 나와 있는 핀)를 PCB (기판)의 구멍에 삽입하지 않고 땜납재 등으로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에 적합하도록 성형시킨 부품을 표면실장부품(SMD, surface mount device)이라고 부른다. 레지스터,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코일 같은 칩(chip) 부품이나 플랫(flat) 케이블용 커넥터, 1C 등의 반도체 소자와 표면실장 대응스위치 등이 표면실장부품에 속한다. 이들 부품은 자동 장착에 적합한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지며 호환성이 있도록 표준화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는 하우징(10)을 포함하며, 하우징(10)은 인쇄회로기판(10a)에 납땜되어 있다. 그리고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플랫케이블(1)이 하우징(10)에 삽입된다. 하우징(10)은 플랫케이블(1)의 접점(2)과 접속되도록 다수개의 리드(11)를 가지며, 다수개의 리드(11)는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10a)에 납땜(Soldering) 접합된다. 그리고 하우징(10) 내부로 플랫케이블(1)이 삽입되면, 엑추에이터(미도시)가 하우징(10)에 끼워진다. 그러면 액추에이터가 플랫케이블(1)을 가압하여 하우징(10)의 리드(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는 단순히 플랫케이블(1)을 가압하는 역할만 할 뿐, 플랫케이블(1)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은 없어, 외부 충격이 플랫케이블(1) 또는 하우징(10)에 전달되는 경우, 플랫케이블(1)이 하우징(10)에서 쉽게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7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케이블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플랫케이블과 하우징 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부에 접점이 구비되는 플랫케이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되 상기 접점과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되 상기 접점과 접촉되도록 상기 개방부와 대항되는 위치에 컨덕터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개방부가 구비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제 1 측면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상기 플랫케이블이 삽입될 때, 상기 제 1 측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제 2 측면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이 상기 컨덕터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를 가지되,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수용되도록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은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삽입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측면부의 외면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캔틸레버에 상기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부의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플랫케이블의 상기 걸림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플랫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랫케이블이 삽입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삽입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제 1 개방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삽입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상기 삽입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본체걸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 사이에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과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가압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가압가이드부는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되어,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은 상기 컨덕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고,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가압가이드부는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을 상기 컨덕터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걸림돌기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삽입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측면부의 외면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캔틸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이격공간부를 일체로 커버하되, 상기 커버부의 상기 이격공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이격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록킹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록킹가이드부의 단부에 상기 캔틸레버 방향으로 록킹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록킹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부의 상기 록킹가이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록킹안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록킹가이드부는 상기 록킹돌기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록킹안내홈으로 안내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록킹가이드부는 상기 록킹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순간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로 수용되고, 상기 록킹가이드부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안내홈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수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와 상기 록킹수용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록킹수용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기 결합공으로 안내되되, 상기 록킹수용부의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내측은 제 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상기 제 1 경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 2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에서 상기 결합공으로 안내될 때, 상기 제 2 경사부가 상기 제 1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결합공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록킹수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로 수용될 때, 상기 메일하우징의 상기 록킹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탈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컨덕터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고정되되 탄성을 갖도록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하우징의 외면에는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안내되도록 레일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에 걸림결합부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에 상기 걸림결합부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므로, 플랫케이블은 메일하우징에 걸림 위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플랫케이블과 컨덕터 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돌기는 플랫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플랫케이블이 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걸림돌기의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탄성지지부는 플랫케이블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이어서 걸림돌기가 플랫케이블의 걸림결합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의 지지리브는 하우징본체의 본체걸림부에 걸림 위치되어 임의로 하우징본체에서 탈거되지 않으며, 지지리브는 걸림돌기와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지지리브가 플랫케이블과 걸림돌기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므로, 지지리브는 플랫케이블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의 가압가이드부가 개방부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결합되므로, 피메일하우징에 구비된 컨덕터의 압력이 메일하우징에 위치된 플랫케이블의 접점으로 가해질 때, 플랫케이블의 접점이 컨덕터의 압력에 의하여 공간부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어, 플랫케이블의 접점에는 컨덕터에 의한 스크래치가 적게 발생되고, 접점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의 가압가이드부는 개방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플랫케이블의 접점은 가압가이드부에 지지된 상태로 컨덕터와 접촉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의 록킹돌기가 록킹수용부에 수용되고, 별도의 리페어 도구를 이용하지 않는 이상 록킹부의 록킹돌기는 록킹수용부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어, 록킹부가 메일하우징에 견고하게 록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플랫케이블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메일하우징과 록킹부의 전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메일하우징과 록킹부의 후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피메일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피메일하우징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메일하우징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이 삽입된 메일하우징에 록킹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A-A' 단면 및 B-B' 단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록킹부가 결합된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록킹부가 결합된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1000)는 플랫케이블(100)과, 플랫케이블(100)이 삽입되는 메일하우징(200)과, 메일하우징(200)이 삽입되되 플랫케이블(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메일하우징(300)과, 메일하우징(200)에 삽입된 상태로 플랫케이블(100)과 피메일하우징(300)의 전기적인 결합을 견고하게 록킹시키는 록킹부(4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메일하우징과 록킹부의 전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메일하우징과 록킹부의 후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랫케이블(100)은 FFC(Flexible F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랫케이블(100)은 휴대폰,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모니터 및 자동차 전장품 등에서 각각의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플랫케이블(100)은 휨, 겹침, 접힘, 말림, 꼬임 등의 유연성은 물론, 경박 단소화가 가능하여 한정된 공간에 고밀도의 배선이 필요한 각종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랫케이블(100)은 그 단부 일측에 후술하는 컨덕터(310)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접점(110)이 구비된다. 그리고 플랫케이블(100)의 후술하는 걸림돌기(212d)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212d)가 삽입되도록 걸림결합부(120)가 형성된다. 걸림결합부(120)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일하우징(200)은 하우징본체(210) 및 캔틸레버(220)를 포함한다. 하우징본체(210)는 플랫케이블(100)과 록킹부(400)의 후술하는 가압가이드부(430)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공간부(210a)와, 플랫케이블(100)과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가 삽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도록 공간부(210a)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2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간부(210a)의 양측은 각각 제 1 측면부(212)와 제 2 측면부(214)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 1 측면부(212)와 제 2 측면부(214)의 양측 사이는 한 쌍의 측벽부(2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측벽부(216)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지지리브(420)의 록킹걸림부(422)에 걸리도록 공간부(210a) 방향으로 본체걸림부(216a: 도 9 도시)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면부(214)의 외면 길이방향 양측에 후술하는 레일가이드홈(306: 도 5 도시)에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레일(214b)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플랫케이블(100)과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가 하우징본체(210)의 공간부(210a)로 삽입될 때, 플랫케이블(100)은 제 1 측면부(212)의 내면에 가이드된 상태로 삽입되고,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는 제 2 측면부(214)의 내면에 가이드된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측면부(212)의 내면에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이 대향되도록 위치될 때, 제 1 측면부(212)의 상기 접점(110)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개방부(212a)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210a)에 위치된 접점(110)이 상기 공간부(210a)의 외부로 노출된다.
캔틸레버(220)는 삽입부(210b)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측면부(214)의 외면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삽입부(210b)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캔틸레버(220)는 제 2 측면부(214)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14b)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캔틸레버(220)와 제 2 측면부(214) 사이에는 빈 공간의 이격공간부(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캔틸레버(220)는 일측은 제 2 측면부(214)에 지지되고 타측은 받쳐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캔틸레버(220)는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캔틸레버(22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록킹수용부(224)와 결합공(222)이 형성된다. 록킹수용부(224)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캔틸레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부(210b)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결합공(222)은 삽입부(210b)와 가까이 위치되는 캔틸레버(220)의 단부와 록킹수용부(224) 사이에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록킹수용부(224)의 길이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록킹수용부(224)의 결합공(222)과 대향되는 내측은 후술하는 제 2 경사부(302a)가 슬라이딩되도록 제 1 경사부(224a)가 형성된다.
록킹부(400)는 하우징본체(210)의 삽입부(210b)와 이격공간부(230)를 일체로 커버하는 커버부(410)와, 상기 커버부(410)의 일측에서 하우징본체(210)의 삽입부(210b)를 통하여 공간부(210a)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가압가이드부(430)와, 상기 커버부(410)의 타측에서 이격공간부(230)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록킹가이드부(440)와, 사기 커버부(410)에 상기 가압가이드부(430)의 양측과 수평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리브(420)의 단부에는 본체걸림부(216a)에 걸림 결합되도록 록킹걸림부(422)가 돌출 형성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피메일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피메일하우징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피메일하우징(300)은 메일하우징(200)이 삽입되도록 공간을 구비하며, 그 저부에는 컨덕터(310)가 위치된다. 컨덕터(310)는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피메일하우징(300)의 저부에 고정되되 탄성을 갖도록 "U" 형상으로 라운드진 상태로 형성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고정부(312)의 단부에서 개방부(212a)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접점(110)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300)에 메일하우징(200)이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300)의 결합공(222)과 대향되는 내면에 결합공(222)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0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피메일하우징(300)의 내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302)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14b)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레일가이드홈(306)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메일하우징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일하우징(200)의 공간부(210a)로 플랫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이때, 메일하우징(200)에는 제 1 측면부(212)의 삽입부(210b)와 개방부(212a) 사이에 걸림돌기(212d)가 돌출 형성되어, 플랫케이블(100)의 걸림결합부(120)에 걸림돌기(212d)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이처럼 플랫케이블(100)에 걸림결합부(120)가 형성되고 메일하우징(200)에 상기 걸림결합부(120)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212d)가 형성되므로, 플랫케이블(100)은 메일하우징(200)에 걸림 위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플랫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상기 메일하우징(200)의 삽입부(210b)와 가까이 위치되는 제 1 개방부(212a)의 내주연에는 상기 삽입부(210b)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부(212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12b)의 저부에 상기 삽입부(210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지지부(212c)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212d)는 탄성지지부(212c)에 플랫케이블(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212d)는 플랫케이블(10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플랫케이블(100)이 메일하우징(200)에 삽입될 때, 플랫케이블(100)의 단부가 걸림돌기(212d)의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탄성지지부(212c)는 플랫케이블(10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이어서 걸림돌기(212d)가 플랫케이블(100)의 걸림결합부(120)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이 삽입된 메일하우징에 록킹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A-A' 단면 및 B-B' 단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일하우징(200)에 구비되는 하우징본체(210)의 공간부(210a)에 제 1 측면부(212)의 내면을 따라 플랫케이블(100)이 삽입되어 플랫케이블(100)의 걸림결합부(120)에 하우징본체(210)의 걸림돌기(212d)가 삽입된다. 그 후,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와 지지리브(420)가 메일하우징(200)의 공간부(210a)로 삽입되는데, 이때, 록킹부(400)의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리브(420)의 록킹걸림부(422)가 하우징본체(210)의 본체걸림부(216a)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를 커버하도록 전진되면, 지지리브(420)는 측벽부(216)의 내면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라 함은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가 하우징본체(210)의 개방부(212a)를 아직 덮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지지리브(420)는 걸림돌기(212d)와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이처럼 지지리브(420)는 하우징본체(210)의 본체걸림부(216a)에 걸림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돌기(212d)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므로, 지지리브(420)는 임의로 하우징본체(210)에서 탈거되지 않게 되며, 또한, 지지리브(420)가 플랫케이블(100)과 걸림돌기(212d)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므로, 지지리브(420)는 플랫케이블(100)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가 메일하우징(200)의 공간부(210a)로 삽입될 때, 록킹부(400)의 록킹가이드부(440)는 하우징본체(210)와 캔틸레버(220) 사이의 이격공간부(230)로 삽입된다. 이때,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록킹가이드부(440)의 록킹돌기(442)가 캔틸레버(220)의 결합공(222)에 위치된다.
그 후,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메일하우징(200)이 피메일하우징(300)에 삽입되고, 이어서,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를 커버하도록 전진하여 록킹부(400)가 메일하우징(200) 및 피메일하우징(300)을 견고하게 록킹시킨다. 이하, 록킹부(400)의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메일하우징(200)이 피메일하우징(300)(200)에 삽입된 상태를 제 1 단계라 하고, 제 1 단계 이후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를 커버하도록 전진하여 록킹부(400)가 메일하우징(200) 및 피메일하우징(300)을 록킹시킨 상태를 제 2 단계라 한다. 상기 제 1 단계는 도 10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도 1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록킹부가 결합된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랫케이블(100)과 록킹부(400)가 메일하우징(200)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록킹부(400)의 커버부(410)는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이고, 록킹부(400)의 록킹가이드부(440)는 록킹돌기(442)의 돌출된 길이만큼 록킹안내홈(214a)으로 안내된 상태이다. 그리고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는 상기 개방부(212a)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메일하우징(200)이 피메일하우징(300)에 삽입된다. 그러면, 피메일하우징(300)의 결합돌기(302)가 메일하우징(200)의 록킹수용부(224)를 따라 제 1 경사부(224a)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결합돌기(302)의 제 2 경사부(302a)가 제 1 경사부(224a)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후, 결합돌기(302)가 록킹수용부(224)에서 결합공(222)으로 안내되어, 결합돌기(302)가 결합공(222)에 삽입된다. 그 결과 메일하우징(200)은 피메일하우징(3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은 컨덕터(310)의 고정부(312)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공간부(210a) 방향으로 탄성 이동된다. 즉,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가 개방부(212a)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메일하우징(200)이 피메일하우징(300)에 결합되므로, 피메일하우징(300)에 구비된 컨덕터(310)의 압력이 메일하우징(200)에 위치된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으로 가해질 때,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이 컨덕터(310)의 압력에 의하여 공간부(210a) 방향으로 탄성 이동된다. 이에 따라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에 컨덕터(310)에 의한 압력이 덜 가해지게 되어,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에는 컨덕터(310)에 의한 스크래치가 적게 발생되어 접점(110)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의 플랫케이블과 록킹부가 결합된 메일하우징이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랫케이블(100)과 록킹부(400)가 메일하우징(200)에 삽입되고, 록킹부(400)의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메일하우징(200)이 피메일하우징(300)에 삽입되면, 록킹부(400)의 커버부(410)가 삽입부(210b)를 커버하도록 전진된다. 그러면 록킹부(400)의 록킹가이드부(440)는 상기 록킹안내홈(214a)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상기 록킹돌기(442)가 상기 록킹수용부(224)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순간 상기 록킹돌기(442)가 상기 록킹수용부(224)로 수용되고, 상기 록킹가이드부(440)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안내홈(214a)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록킹부(400)의 록킹돌기(442)가 록킹수용부(224)에 수용되고, 별도의 리페어 도구(미도시)를 이용하지 않는 이상 록킹부(400)의 록킹돌기(442)는 록킹수용부(224)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어, 록킹부(400)가 메일하우징(200)에 견고하게 록킹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리페어 도구는 록킹돌기(442)를 록킹안내홈(214a) 방향으로 강제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피메일하우징(300)의 록킹돌기(442)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탈거홀(304)이 형성되어 상기 리페어 도구가 상기 탈거홀(304)을 통하여 록킹돌기(442)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록킹부(400)의 가압가이드부(430)는 개방부(212a)와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플랫케이블(100)의 접점(110)은 가압가이드부(430)에 지지된 상태로 컨덕터(310)와 접촉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00: 플랫케이블 110: 접점
120: 걸림결합부 200: 메일하우징
210: 하우징본체 210a: 공간부
210b: 삽입부 212: 제 1 측면부
212a: 개방부 212b: 오목부
212c: 탄성지지부 212d: 걸림돌기
214: 제 2 측면부 214a: 록킹안내홈
214b: 가이드레일 216: 측벽부
216a: 본체걸림부 220: 캔틸레버
222: 결합공 224: 록킹수용부
224a: 제 1 경사부 230: 이격공간부
300: 피메일하우징 302: 결합돌기
302a: 제 2 경사부 304: 탈거홀
306: 레일가이드홈 310: 컨덕터
312: 고정부 314: 연장접점부
400: 록킹부 410: 커버부
420: 지지리브 422: 록킹걸림부
430: 가압가이드부 440: 록킹가이드부
442: 록킹돌기

Claims (17)

  1. 단부에 접점이 구비되는 플랫케이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되 상기 접점과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되 상기 접점과 접촉되도록 상기 개방부와 대항되는 위치에 컨덕터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개방부가 구비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제 1 측면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상기 플랫케이블이 삽입될 때, 상기 제 1 측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제 2 측면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이 상기 컨덕터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부의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플랫케이블의 상기 걸림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본체걸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 사이에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과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가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걸림돌기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플랫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가압가이드부는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되어,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은 상기 컨덕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고,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가압가이드부는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을 상기 컨덕터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0. 삭제
  11. 단부에 접점이 구비되는 플랫케이블;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되 상기 접점과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되 상기 접점과 접촉되도록 상기 개방부와 대항되는 위치에 컨덕터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개방부가 구비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제 1 측면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상기 플랫케이블이 삽입될 때, 상기 제 1 측면부와 대향되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제 2 측면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이 상기 컨덕터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부의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이 상기 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플랫케이블의 상기 걸림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상기 플랫케이블과 상기 록킹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삽입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본체걸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 사이에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접점과 대향되도록 돌출되는 가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삽입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측면부의 외면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캔틸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제 2 측면부 사이에는 이격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이격공간부를 일체로 커버하되, 상기 커버부의 상기 이격공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이격공간부에 삽입되도록 록킹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록킹가이드부의 단부에 상기 캔틸레버 방향으로 록킹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록킹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부의 상기 록킹가이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록킹안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걸림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록킹가이드부는 상기 록킹돌기의 돌출된 길이만큼 상기 록킹안내홈으로 안내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커버하도록 이동되면, 상기 록킹가이드부는 상기 록킹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순간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로 수용되고, 상기 록킹가이드부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안내홈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캔틸레버의 단부와 상기 록킹수용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록킹수용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에 가이드된 상태로 상기 결합공으로 안내되되, 상기 록킹수용부의 상기 결합공과 대향되는 내측은 제 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상기 제 1 경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제 2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에서 상기 결합공으로 안내될 때, 상기 제 2 경사부가 상기 제 1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결합공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용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메일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수용부로 수용될 때, 상기 메일하우징의 상기 록킹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탈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6.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고정되되 탄성을 갖도록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17.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이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일하우징의 외면에는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안내되도록 레일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1020170035942A 2017-03-22 2017-03-22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KR10200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42A KR102008694B1 (ko) 2017-03-22 2017-03-22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42A KR102008694B1 (ko) 2017-03-22 2017-03-22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31A KR20180107531A (ko) 2018-10-02
KR102008694B1 true KR102008694B1 (ko) 2019-10-21

Family

ID=6386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942A KR102008694B1 (ko) 2017-03-22 2017-03-22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6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810B1 (ko) * 2014-05-29 2015-11-09 케이유엠 주식회사 평판 케이블 커넥터
JP2016046005A (ja) * 2014-08-20 2016-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033697A (ja) * 2015-07-30 2017-02-09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JP2017037720A (ja) * 2015-08-06 2017-02-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305B2 (ja) * 1994-01-31 1998-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KR200289778Y1 (ko) 2002-07-03 2002-09-16 주식회사 연호전자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1133954B1 (ko) * 2010-07-20 2012-04-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650649B1 (ko) * 2015-02-04 2016-08-24 주식회사 연호전자 필름 결합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810B1 (ko) * 2014-05-29 2015-11-09 케이유엠 주식회사 평판 케이블 커넥터
JP2016046005A (ja) * 2014-08-20 2016-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033697A (ja) * 2015-07-30 2017-02-09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JP2017037720A (ja) * 2015-08-06 2017-02-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31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466B2 (en) Connector
KR100935778B1 (ko) 소형화에 용이하게 적응된 커넥터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KR20190061351A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EP2472678A2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746797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23203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449375B1 (ko) 전기 커넥터
US7497713B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onnector to accommodate circuit board of varying thickness
US6689957B2 (en) Liquid-blocking connector
US673331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ostatic discharge system
US6500018B1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er
KR20210004828A (ko) 커넥터 조립체
KR102008694B1 (ko)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1769966B2 (en) Anti-attenuation apparatus and plug
US6988913B2 (en) Electrical contact
US6146172A (en) Electrical connector
US615277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y secured shield
KR102028425B1 (ko)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US7371127B2 (en) Modular jack
JP2004138708A (ja) 光コネクタ
CN219203571U (zh) 电连接器及其连接器公头连接器公座
KR100482532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