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649B1 - 필름 결합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필름 결합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649B1
KR101650649B1 KR1020150017643A KR20150017643A KR101650649B1 KR 101650649 B1 KR101650649 B1 KR 101650649B1 KR 1020150017643 A KR1020150017643 A KR 1020150017643A KR 20150017643 A KR20150017643 A KR 20150017643A KR 101650649 B1 KR101650649 B1 KR 10165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tact
film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290A (ko
Inventor
최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to KR102015001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결합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FC(Flexible F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포함하는 필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름과 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미널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름 결합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름 결합형 커넥터{FILM COUPLING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필름 결합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FC(Flexible F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포함하는 필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름과 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미널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름 결합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은 외부의 전원이나 전자기기와 연결된 전선과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563호에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는 필름의 안정적인 결속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563호(2010.12.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FFC(Flexible F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포함하는 필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름과 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미널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으로 필름이 결합되며, 전방으로 복수의 핀이 구비되는 상대 커넥터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로서, 전,후면부를 가지며, 그 전면부에 상기 복수의 핀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복수의 인입공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전단부가 상기 복수의 인입공의 각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간부로 복수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핀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로 인입되는 상기 필름과 접촉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름을 상기 복수의 터미널로 가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각각 상기 핀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필름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촉부는, 전,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핀이 인입되는 접촉유닛; 상기 접촉유닛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그 접촉유닛으로 결합되는 상기 핀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1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촉유닛은, 양측면에 각각 내부와 연통되며 사각 형태를 이루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접촉수단은, 상기 중공을 이루는 전,후면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1텐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접촉유닛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이 병렬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접촉유닛의 양측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단부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각각 상기 접촉유닛 및 상기 연결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필름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2텐션바로 이루어지는 제2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하부면이 상기 접촉유닛의 하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면서 그 접촉유닛의 후면부와의 사이로 상기 필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름이 접하면서 전방으로의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유닛은, 후단부가 단턱을 이루면서 돌출턱의 전면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전,후단부 사이 상부를 연결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는,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갖는 플레이트; 전,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전단부로부터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결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가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에는, 각각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에 따라 상기 결속편을 결속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은, 전단부 양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한 쌍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상부 양측으로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은, 상기 리테이너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로 인입된 가조립 상태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리테이너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과 접촉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가조립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속편이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에 결속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필름을 상기 복수의 터미널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FFC(Flexible F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포함하는 필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필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름과 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미널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에서 터미널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에서 필름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1)는 후방으로 필름(100)이 결합되며, 전방으로 복수의 핀(210)이 구비되는 상대 커넥터(200)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로서, 전,후면부를 가지며, 그 전면부에 상기 복수의 핀(210)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공(11)이 형성되고, 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복수의 인입공(11)과 연통되는 공간부(12)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전단부가 상기 복수의 인입공(11)의 각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간부(12)로 복수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핀(210)과 결합되며, 개방된 상기 하우징(10)의 후면부로 인입되는 상기 필름(100)이 접하는 복수의 터미널(20) 및 상기 필름(100)을 상기 복수의 터미널(20)로 가압하는 리테이너(30)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100)은 FFC(Flexible F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필름 결합형 커넥터(1)가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복수의 터미널(20)과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핀(210)이 전면부로부터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기 상대 커넥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결합형 커넥터(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에 상기 상대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상부면에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안착홈(13)은 상기 하우징(10)으로의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한편, 상기 각 터미널(20)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핀(210)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21) 및 상기 제1접촉부(2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필름(100)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은 각각 금속판재에 상기 제1접촉부(21) 및 상기 제2접촉부(22)가 동일면 상태로 제작된 후, 굽힘가공 등에 의해 벤딩 또는 절곡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21)는 전,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핀(210)이 인입되는 접촉유닛(23), 상기 접촉유닛(2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그 접촉유닛(23)으로 결합되는 상기 핀(210)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1접촉수단(24)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유닛(23)은 양측면에 각각 내부와 연통되며 사각 형태를 이루는 중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접촉수단(24)은 상기 중공(23a)을 이루는 전,후면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210)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1텐션바(24a)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텐션바(24a)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중공(23a)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그 접촉유닛(23)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텐션바(24a)는 각각 타단부가 상기 접촉유닛(23)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접촉유닛(23)으로 인입되는 상기 핀(21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촉부(21)는 상기 접촉유닛(23)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25)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14)이 병렬로 복수 형성되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2접촉부(22)는 상기 접촉유닛(23)의 양측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26), 상기 한 쌍의 측판(26)의 후단부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판(27) 및 상기 한 쌍의 측판(26) 사이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각각 상기 접촉유닛(23) 및 상기 연결판(27)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필름(100)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2텐션바(28a)로 이루어지는 제2접촉수단(28)을 포함한다.
상기 제2접촉부(22)는 상기 한 쌍의 측판(26)의 하부면이 상기 접촉유닛(23)의 하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면서 그 접촉유닛(23)의 후면부와의 사이로 상기 필름(10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2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유닛(23)은 후단부가 단턱(23a)을 이루면서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인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5)의 전방에 접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25)가 상기 한 쌍의 결합공(14)에 결합되고, 상기 단턱(23a)이 상기 돌출턱(15)에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텐션바(28a)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한편, 그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2접촉부(22)의 하부로 인입되는 상기 필름(10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촉부(22)는 상기 한 쌍의 측판(26)의 전,후단부 사이 상부를 연결하여 그 한 쌍의 측판(26)을 강성보강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접촉수단(28)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판(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30)는 개방된 상기 하우징(10)의 후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면서 그 하우징(10)의 상부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필름(100)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터미널(20)과 상기 필름(100)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테이너(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갖는 플레이트(31), 전,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3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32) 및 상기 플레이트(31)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2)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3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2)는 상기 연결바(33)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1)와 이격되면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전단부가 탄성변형에 의해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축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2)가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6)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16)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단부에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편(34)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16)을 이루는 내측면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결속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돌기(17)는 상기 하우징(10)으로의 상기 리테이너(30) 결합에 따라 상기 결속편(34)을 결속하여 그 리테이너(30)가 다시 하우징(10)으로부터 쉽게 인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32)로의 인입에 따라 상기 결속편(34)이 상기 결속돌기(17)를 통과하면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편(34)이 상기 결속돌기(17)를 통과함에 따라 이완되는 한편, 상기 결속편(34)이 상기 결속돌기(17)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한 쌍의 결속편(34)이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17)의 전방에 위치되어 결속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상기 리테이너(30)와의 사이로 인입되는 상기 필름(100)을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터미널(20)과 상기 필름(100)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름(100)은 도 3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단부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10)의 후면부로 인입된다.
상기 필름(100)은 전단부 양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한 쌍의 고정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를 이루는 상부 양측으로 상기 고정홈(10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 필름(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10)의 후면부로 인입된 상태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상기 리테이너(30)와의 사이로 인입된다.
이때의,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결속편(34)이 상기 결속돌기(17)에 결속되지 않은 가조립 상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필름(100)은 상기 리테이너(30)가 상기 하우징(10)에 완전 결합되지 않은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상기 리테이너(30)와의 사이로 인입된다.
상기 필름(10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상기 리테이너(30)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의 각 제2접촉수단(28)과 접촉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고정홈(101)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18)가 인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100)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조립된 상기 리테이너(30)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결속편(34)이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17)에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결속편(34)이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17)에 결속됨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하우징(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필름(100)은 상기 리테이너(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의 터미널(20)의 각 제2접촉수단(28)을 압착하면서 그 복수의 터미널(20)과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필름 결합형 커넥터(1)는 상기 필름(10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필름(100)과 상기 복수의 터미널(20)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결합형 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필름 결합형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인입공 12 : 공간부
13 : 안착홈 14 : 결합공
15 : 돌출턱 16 : 가이드홈
17 : 결속돌기 18 : 고정돌기
20 : 터미널 21 : 제1접촉부
22 : 제2접촉부 22a : 수용공간
23 : 제1접촉유닛 23a : 중공
24 : 제1접촉수단 24a : 제1텐션바
25 : 체결돌기 26 : 측판
27 : 연결판 28 : 제2접촉수단
28a : 제2텐션바 29 : 보호판
30 : 리테이너 31 : 플레이트
32 : 가이드바 33 : 연결바
34 : 결속편 100 : 필름
101 : 고정홈 200 : 상대 커넥터
210 : 핀

Claims (11)

  1. 후방으로 필름이 결합되며, 전방으로 복수의 핀이 구비되는 상대 커넥터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로서,
    전,후면부를 가지며, 그 전면부에 상기 복수의 핀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복수의 인입공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전단부가 상기 복수의 인입공의 각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간부로 복수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핀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로 인입되는 상기 필름과 접촉되는 복수의 터미널; 및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름을 상기 복수의 터미널로 가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각각 상기 핀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필름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는,
    전,후면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핀이 인입되는 접촉유닛;
    상기 접촉유닛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그 접촉유닛으로 결합되는 상기 핀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1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유닛은,
    양측면에 각각 내부와 연통되며 사각 형태를 이루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접촉수단은,
    상기 중공을 이루는 전,후면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1텐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접촉유닛의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이 병렬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접촉유닛의 양측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단부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각각 상기 접촉유닛 및 상기 연결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필름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2텐션바로 이루어지는 제2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하부면이 상기 접촉유닛의 하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면서 그 접촉유닛의 후면부와의 사이로 상기 필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름이 접하면서 전방으로의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유닛은,
    후단부가 단턱을 이루면서 돌출턱의 전면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전,후단부 사이 상부를 연결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전,후단부 및 양측단부를 갖는 플레이트;
    전,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전단부로부터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결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가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에는,
    각각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에 따라 상기 결속편을 결속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전단부 양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한 쌍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상부 양측으로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리테이너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로 인입된 가조립 상태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리테이너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과 접촉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가조립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속편이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에 결속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필름을 상기 복수의 터미널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결합형 커넥터.
KR1020150017643A 2015-02-04 2015-02-04 필름 결합형 커넥터 KR10165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643A KR101650649B1 (ko) 2015-02-04 2015-02-04 필름 결합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643A KR101650649B1 (ko) 2015-02-04 2015-02-04 필름 결합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290A KR20160096290A (ko) 2016-08-16
KR101650649B1 true KR101650649B1 (ko) 2016-08-24

Family

ID=5685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643A KR101650649B1 (ko) 2015-02-04 2015-02-04 필름 결합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94B1 (ko) * 2017-03-22 2019-10-2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랫케이블용 전기 접속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351A (ja) 2002-06-17 2004-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リテーナ
US20080200062A1 (en) 2007-02-20 2008-08-21 Alex Huang Connector for a flexible flat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563B1 (ko) 2008-07-25 2010-12-17 주식회사 연호전자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351A (ja) 2002-06-17 2004-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リテーナ
US20080200062A1 (en) 2007-02-20 2008-08-21 Alex Huang Connector for a flexible flat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290A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8430B (zh) 正反双向电连接器
CN101651262B (zh) 太阳能电池板连接盒
US973548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4958645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12532422A (ja) 基板対基板タイプのコネクタ
US20090291596A1 (en) Stacking connector
JP5522459B2 (ja) 雌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03223952A (ja) 合体式コネクタにおける電線保持構造
KR101337546B1 (ko) 커넥터 터미널
KR20070068246A (ko) 유연한 접합부를 갖춘 전기커넥터
JP2011233337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1235303A2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50649B1 (ko) 필름 결합형 커넥터
KR101558277B1 (ko)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JP7088109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2009023346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FFC module
JP5769552B2 (ja) コネクタ
JP2008091115A (ja) 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接続構造の製造方法
US798086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1315018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JP2010238372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TWI559622B (zh) 電連接器
KR101533913B1 (ko)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JP2003331965A (ja) 接続端子
JP5016367B2 (ja) 冷陰極管用コネクタ及び冷陰極管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