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77B1 -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77B1
KR101558277B1 KR1020140050881A KR20140050881A KR101558277B1 KR 101558277 B1 KR101558277 B1 KR 101558277B1 KR 1020140050881 A KR1020140050881 A KR 1020140050881A KR 20140050881 A KR20140050881 A KR 20140050881A KR 101558277 B1 KR101558277 B1 KR 10155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vertical
insertion groove
housing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섭
김남우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05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와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 사이에 이탈 방지 핀을 개재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CONNECTOR FOR FPC/FFC}
본 발명은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와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 사이에 이탈 방지 핀을 개재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FFC(Flexible Flat Cable)로 구분되는 얇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인데, 복잡한 회로를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한 연성 인쇄 회로 내지는 케이블로서 휨, 겹침, 접힘, 말림, 꼬임 등의 유연성 때문에 각종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는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가 장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10')에는 다수의 터미널(30')이 일렬로 배치되고, 케이블이 접속되는 방향으로는 가압 부재(20')가 회동되며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커넥터에 결합된 FPC(미도시) 등의 플렉시블 케이블은 터미널 사이의 밀착 압력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압부재(20')를 도입하여 회동에 따른 압착력으로 결합된 FPC 접속단이 커넥터에 구속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압부재(20')의 회동 체결 이전에 케이블에 외측 방향의 힘이 가해지거나, 또는 가압부재(20')의 압착력보다 큰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여전히 쉽게 빠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FPC 접속단과 커넥터가 일정한 압력에 의해 쉽게 빠지는 구성은 안전성을 요하는 정밀 기계나 장치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는 물론이고, 특히 FPC의 접속단이 조금만 빠지더라도 회로가 차단되는 정교하고 미세한 기계나 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 FPC의 접속단과 커넥터의 상호 결합에 대해 더욱 정확한 구속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가압부재의 회동 가압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5408호(공개일: 2010년 3월 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와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 사이에 이탈 방지 핀을 개재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이탈 방지 핀에 의한 견고한 보강 구조에 의해 다른 종류의 터미널들이 교차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형태 양열(兩列) 구조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터미널만 배열되는 단열(單列) 구조까지 적용이 가능하므로 커넥터의 적용범위를 더욱 확장할 수 있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상에 고정되고 FPC/FFC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입구부 후방의 양측에는 힌지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입구부를 통해 조립되어 하우징에 결합된 FPC/FFC가 접속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압하되, 양측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 돌기를 구비한 가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과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 핀은, 삽입된 봉 형상의 상기 힌지 돌기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바닥부;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의 단부와 당접되는 수직부; 및 상기 바닥부의 일측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직 걸림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 핀의 상기 수직부와 수직 걸림부는 상호 수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삽입홈은, 상기 이탈 방지 핀의 상기 수직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직부 삽입홈; 상기 수직부 삽입홈의 일측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핀의 수직 걸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직 걸림부 삽입홈; 및 상기 수직부 삽입홈 및 수직 걸림부 삽입홈에 의해 둘러싸는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힌지 돌기 삽입홈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돌기 삽입홈의 상측은 반원호 형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 핀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 핀의 바닥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시 솔더링(soldering)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단일 종류의 터미널 다수개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제 1 터미널과 다수개의 제 2 터미널이 폭방향으로 교차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 이탈 방지 핀에 의해 가압부재의 힌지부를 감싸서 일차적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이탈 방지 핀의 변형을 막기 위해 이차적으로 하우징에 의해 견고히 지지하도록 되어 가압부재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이탈 방지 핀에 의한 견고한 보강 구조에 의해 양열 구조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터미널만 배열되는 단열(單列) 구조까지 그 적용범위를 더욱 확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상술한 이탈 방지 핀은 그 바닥부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시 솔더링됨으로써 보강판 역할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FPC/FFC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도 1의 FPC/FFC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예에 따른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FPC/FFC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1의 FPC/FFC용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3d는 도 3a의 A-A 선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1)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상에 고정되며 FPC/FFC(6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입구부(11) 후방의 양측에는 힌지 삽입홈(12)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입구부(11)를 통해 조립되어 하우징(10)에 결합된 FPC/FFC가 접속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압하되, 양측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힌지 삽입홈(12)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 돌기(21)를 구비한 가압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힌지 삽입홈(12)과 상기 가압부재(20)의 힌지 돌기(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10)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20)의 힌지 돌기(21)가 상기 하우징(10)의 힌지 삽입홈(12)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하우징(10)은 입구부(11)를 통해 가압부재(20)가 조립되도록 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플렉시블 케이블(6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터미널(30)과 제 2 터미널(40)이 폭방향으로 교차로 배치되어 결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60)에 장형으로 형성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30) 및 제 2 터미널(40)은 대부분 "H" 자와 같은 형상을 기본 구조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일방향으로 개방된 입구부(11) 후방 양측에는 힌지 삽입홈(12)이 형성되어 가압부재(20)의 힌지 돌기(21)가 이탈 방지 핀(50)를 개재하여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힌지 삽입홈(12)에 상기 이탈 방지 핀(50)이 일차적으로 삽입 안착된 후, 이차적으로 봉(棒) 형상의 힌지 돌기(21)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10)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20)의 힌지 돌기(21)가 상기 하우징(10)의 힌지 삽입홈(1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 핀(50)은, 그 재질이 구리 합금(Copper Alloy)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이며, 삽입된 봉 형상의 힌지 돌기(21)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바닥부(51)와,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21)의 단부와 당접되는 수직부(52)와, 상기 바닥부(51)의 일측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삽입된 힌지 돌기(21)가 상기 입구부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직 걸림부(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52)와 수직 걸림부(53)는 상호 수직 배치되며 그 상단까지의 높이는 거의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탈 방지 핀(50)의 형상에 따라, 상기 힌지 삽입홈(12)은, 상기 이탈 방지 핀(50)의 수직부(52)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수직부 삽입홈(12-1)과, 상기 수직부 삽입홈(12-1)의 일측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핀(50)의 수직 걸림부(53)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직 걸림부 삽입홈(12-2)과, 상기 수직부 삽입홈(12-1) 및 수직 걸림부 삽입홈(12-2)에 의해 둘러싸는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21)가 삽입 결합되는 힌지 돌기 삽입홈(1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 돌기 삽입홈(12-3)의 상측은 대략 반원호 형으로 이루어저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를 이루어 이탈 방지핀(50)의 수직부(52) 상에서 상기 봉 형상(원통형)의 힌지 돌기(21)의 상측부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추가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 핀(50)이 힌지 삽입홈(12)의 수직부 삽입홈(12-1) 및 수직 걸림부 삽입홈(12-2)을 통해 일차적으로 삽입 안착되면, 이차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21)는 힌지 돌기 삽입홈(12-3)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로 삽입되어 봉형상의 힌지 돌기(21)의 단부는 이탈 방지 핀(50)의 수직부(52)에 당접됨과 아울러, 봉형상의 힌지 돌기(21)의 측부는 이탈 방지 핀(50)의 수직 걸림부(53)에 걸려 삽입된 힌지 돌기(21)가 상기 하우징(10)의 힌지 삽입홈(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 결함됨으로써, 가압 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가압부재(20)는 하우징(10)에 삽입 결합된 플렉시블 케이블(60)을 회동하여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의 양측 하단에는 봉 형상의 힌지 돌기(21)가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힌지 삽입홈(12)에 이탈 방지 핀(50)를 개재하여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탈 방지 핀(50)의 바닥부(51)는 인쇄회로기판(PCB; 미도시) 상에 실장시 솔더링되는 부분으로서 최종 조립시 보강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플렉시블 케이블(60)에는 제 1 및 제 2 터미널(30, 40)과 접촉하기 위한 도체 부분인 제 1 단자(63), 제 2 단자(64)가 장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61) 필름의 양 측방으로는 내입된 홈 형태의 걸림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즉, FFC, FPC 등의 플렉시블 케이블(60)은 필름형 본체(61)에 제 1 단자(63), 제 2 단자(64)가 교대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 제 1 및 제 2 터미널(30, 40)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예에 따른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로서, 하우징(10)에 폭방향으로 제 1 터미널(30)과 제 2 터미널(40)이 교차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형태(양열 구조)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와 달리, 하우징(110)의 일측에 한 종류의 터미널(130)만 배열되는 단열(單列) 구성을 갖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10)에 폭방향으로 두 종류의 제 1 터미널(30)과 제 2 터미널(40)이 교차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양열 구조에서는 두 종류의 터미널의 교차배열 구조와 이탈 방지 핀(50)의 구성에 의해 가압 부재(10) 및 플렉시블 케이블(60)의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할 있는 구조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이탈 방지 핀(150)만의 구조로도 가압 부재(120) 및 플렉시블 케이블(60)의 이탈 방지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터미널의 양열 구조 대신에 제 1 터미널(130)만을 갖는 단열 구조를 갖는 FPC/FFC용 커넥터(100)에 확장해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이탈 방지핀(15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첫 번째의 실시예의 이탈 방지핀(5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100: 본 발명에 따른 FPC/FFC용 커넥터
10, 110 : 하우징 11 : 입구부
12 : 힌지 삽입홈 12-1: 수직부 삽입홈
12-2 : 수직 걸림부 삽입홈 12-3 : 힌지 돌기 삽입홈
20, 120: 가압부재 21: 봉(棒)상의 힌지 돌기
30, 130 : 제 1 터미널 40 : 제 2 터미널
50, 150 : 이탈 방지 핀
51: 바닥부 52 : 수직부
53 : 수직 걸림부
60 : 플렉시블 케이블 61 : 필름 본체
62 : 걸림홈 63 : 제 1 단자
64 : 제 2 단자

Claims (9)

  1. 인쇄회로기판상에 고정되고 FPC/FFC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입구부 후방의 양측에는 힌지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입구부를 통해 조립되어 하우징에 결합된 FPC/FFC가 접속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압하되, 양측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 돌기를 구비한 가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과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 가압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힌지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힌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 핀은:
    삽입된 봉 형상의 상기 힌지 돌기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바닥부;
    내측면이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의 단부와 당접되는 수직부; 및
    상기 바닥부의 일측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직 걸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 방지 핀의 상기 수직부와 수직 걸림부는 상호 수직 배치되며,
    상기 힌지 삽입홈은:
    상기 이탈 방지 핀의 상기 수직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직부 삽입홈;
    상기 수직부 삽입홈의 일측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핀의 수직 걸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직 걸림부 삽입홈; 및
    상기 수직부 삽입홈 및 수직 걸림부 삽입홈에 의해 둘러싸는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봉 형상의 힌지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힌지 돌기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돌기 삽입홈의 상측은 반원호 형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를 이루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이탈 방지 핀의 바닥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시 솔더링(soldering)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단일 종류의 터미널 다수개가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다수개의 제 1 터미널과 다수개의 제 2 터미널이 폭방향으로 교차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KR1020140050881A 2014-04-28 2014-04-28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KR10155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81A KR101558277B1 (ko) 2014-04-28 2014-04-28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81A KR101558277B1 (ko) 2014-04-28 2014-04-28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277B1 true KR101558277B1 (ko) 2015-10-13

Family

ID=5434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881A KR101558277B1 (ko) 2014-04-28 2014-04-28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2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359A (ko) 2021-03-09 2022-09-16 (주) 한주반도체 Pcb cnt 자동 해체장치
KR20220126358A (ko) 2021-03-09 2022-09-16 (주) 한주반도체 Pcb cnt 자동 체결장치
KR20220126360A (ko) 2021-03-09 2022-09-16 (주) 한주반도체 Pcb cnt와 ffc의 자동 체결 및 해체 시스템
KR20230154714A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36B1 (ko) * 2005-10-07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프 콘넥터의 에프피시비 이탈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36B1 (ko) * 2005-10-07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프 콘넥터의 에프피시비 이탈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359A (ko) 2021-03-09 2022-09-16 (주) 한주반도체 Pcb cnt 자동 해체장치
KR20220126358A (ko) 2021-03-09 2022-09-16 (주) 한주반도체 Pcb cnt 자동 체결장치
KR20220126360A (ko) 2021-03-09 2022-09-16 (주) 한주반도체 Pcb cnt와 ffc의 자동 체결 및 해체 시스템
KR20230154714A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KR102620715B1 (ko) 2022-05-02 2024-01-04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303B2 (ja) コネクタ
JP2010015739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558277B1 (ko) 가압부재 이탈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EP273757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KR20070002678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US8764476B1 (en) Transmission connector
US7484994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2007194192A (ja) 電気コネクタ
US9112306B2 (en) Connector
JP2012199187A (ja) コネクタ装置
US9065200B2 (en) Connector, and assembly of cable and connector
JP572103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電源用コネクタ
JP2007194198A (ja) 電気コネクタ
JP5859938B2 (ja)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13063A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US695147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570387B2 (ja) コネクタ
JP5909586B1 (ja) 電気コネクタ
JP2010073674A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の接続端子
JP6293634B2 (ja) コネクタ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KR20160101322A (ko) 무접촉단자형 fpcb 커넥터
US20180145451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structure
KR101702430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US9379462B2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