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375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375B1
KR100449375B1 KR10-1999-7000392A KR19997000392A KR100449375B1 KR 100449375 B1 KR100449375 B1 KR 100449375B1 KR 19997000392 A KR19997000392 A KR 19997000392A KR 100449375 B1 KR100449375 B1 KR 10044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arm
contact
moun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442A (ko
Inventor
수지가지누마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2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20)로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러그측 마운트(26)로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러그측 마운트(26)가 컨택트 태브(26c)를 가지며, 그리고 리셉터클측 마운트(16)는 양측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플러그측 마운트(26)의 컨택트 태브(26c)와 접촉상태를 형성하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를 가진다. 이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는 리셉터클측 커넥터에 만들어진 수직형 관통공동부(12b)의 내부에 끼워져서 휘어질수 있게 되어 있다. 양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었을때,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관통공동부(12b)에 위치한 이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는 컨택트 태브(26c)와 접촉상태를 형성하는 플러그측 커넥터의 관통공동부(22b)에 끼워진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거의 평행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서로 접속되는 2절반부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구조는 잘 알려져 있다. 전기 장치의 축소를 위한 시대적 경향에 따라, 인쇄회로상의 설치를 위한 그와 같은 커넥터 역시 점차 소형화되어서 결국 커넥터와 기판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강도를 증대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기판장착형 커넥터는 하우징의 측벽,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평7(1995)-240246호에 따른 커넥터에서와 같은 기판면에 설치된 표면에 고정된 납땜 마운트에 의해 기판에 고정된다. 납땜 마운트를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은 일본특허공개 평7(1995)-94241호에 따른 커넥터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측벽에 접지용 단자의 매입으로 이루어진다. 기판면 장착을 위해 의도된 소형 커넥터의 설계자의 선택을 고양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와 접지목적용 리셉터클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 사이에 전기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즉,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중 어느 한 것의 납땜 마운틀 통해 커넥터들을 접지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소형화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양측 납땜 마운트 사이에 전기 접속부를 제공하여 플러그 커넥터측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부터 접지의 실행을 가능하게 기판표면장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2개의 취합절반부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커넥터의 제 1 절반부의 마운트는 컨택트 태브를 가지며 제 2 절반부의 마운트는 커넥터 절반부들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 1 절반부의 컨택트태브와 접촉을 이루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를 가지며, 그리고 1태양에 있어서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가 커넥터의 취합절반부들의 하우징 내부에 수직방향을 만들어진 공동부를 통해 내부에 휘어질수 있다.
전기 커넥터에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를 위해 제공된 개방면에 지지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기 커넥터에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에 상보적인 커넥터의 취합시 초기 위치로 우선적으로 휘어질수 있는 안내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평면도,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4-4선을 통한 상기 리셉터클 어셈블리의 단면되이다.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어셈블리의 평면도,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8-8선에 따른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은 리셉터클 및 플러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리셉터클 어셈블리를 위한 스프링 아암 접촉부를 가지는 납땜 마운트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플러그 어셈블리를 위한 컨택트 태브를 가지는 납땜 마운트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 는 리셉터클 어셈블리와 플러그 어셈블리가 서로 취합하였을 때 서로 결합하기 전후의 스프링 아암 접촉부와 컨택트 태브의 확대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의 특정구조는 가교부로서 충족될 수 있는데, 이것은 하우징안에 만들어진 홈에 맞추어져서 전체의 마운트 몸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가교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납땜용 장착날개, 가교부의 중앙에 형성된 U형 단면의 스프링 아암 접촉부, 및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와 장착 날개들 사이에 형성된 1쌍의 누름 혀부를 가진다. 플러그 커넥터의 마운트의 특정구조는 가교부로서 충족될 수 있는데, 이것은 하우징안에 만들어진 홈에 맞추어져서 전체의 마운트 몸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가교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납땜용 장착날개, 가교부의 중앙에 형성된 U형 단면의 컨택트태브, 및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와 장착 날개들 사이에 형성된 1쌍의 누름 혀부를 가진다.
이 전기 커넥터에 있어, 커넥터의 제 1 절반부의 납땜 마운트는 컨택트 태브를 가지는 한편 커넥터의 제 2 절반부의 납땜 마운트는 절반부들이 서로 결합되었을때 컨택트 태브에 결합하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들이 커넥터의 제 2 절반부의 하우징에 만들어진 수직 관통 공동부안에 맞추어져 휘어질 수 있는 사실로 인해, 커넥터의 전체 치수를 축소되고, 그리고 접지접속이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용어느 한것의 납땜 마운트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넥터들은 좀더 줄어든 제한 사항으로 설계될 수 있다.
수직 관통 공통부에 형성된 경사면은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를 지지한다. 컨택트 태브가 커넥터를 접촉위치에 결합시키는 시기에 스프링 아암 접촉부의 휨을 일으키는 모서리를 깎아낸 안내면을 가진다는 사실로 인해, 컨택트 태브와 스프링 아암 접촉부의 상호 접속 상태로의 변환이 매우 원활하게 일어난다.
도 1 내지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컨택트(14)가 리셉터클 커넥터 어셈블리(10)(이하, 단순히 "리셉터클 어셈블리"라 함)의 하우징안에 배열되고, 2개의 납땜 마운트(16, 16)은 하우징(12)의 양단에 형성된 유지 홈(12a, 12a)에 고정된다.
도 9 는 이 납땜 마운드 유지홈(12a)과 속에 납땜 마운트(10)가 고정되고 리셉터클 어셈블리(10)의 하우징(12)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 공동부(12b)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납땜 마운트(16)는 차후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납땜 마운트 유지홈(12a) 및 관통공동부(12b)에 삽입입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8 에 걸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어셈블리(20)(이하, 단순히 "플러그 어셈블리"라 함)의 하우징(22)에 다수의 컨택트(24)가 배열되고, 그리고 하우징(22)의 양단에 형성된 유지 홈(22a, 22a)에는 2개의 납땜 마운트(26, 26)가 고정된다.
도 10 은 납땜 마운트 유지홈(22a) 및 납땜 마운트(16)가 고정되어 플러그어셈블리(20)의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 공동부(22b)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납땜 마운트(26)는 차후 상세하게 설명되는 납땜 마운트 유지홈(22a) 및 관통 공통부(22b)에 삽입·고정된다.
도 11 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16)의 확대도이고 도 12 는 플러그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26)의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16) 및 리셉터클 어셈블리(10)와 플러그 어셈블리(2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플러그 커넥터의 납땜 마운트(26)의 상호 위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측 납땜 마운트(16)는 하우징(12)의 홈(12a)에 맞추어지는 브리지(16a), 브리지의 양단부에 있는 기판에납땜시키기 위해 제공된 장착 날개(16b, 16b), 브리지(16a)의 중앙에 형성된 U형단면의 납땜시키기 위해 제공된 장착날개(16b, 16b), 브리지(16a)의 중앙에 형성된 U형단면의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 및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와 장착 날개(16b, 16b) 사이에 형성된 1쌍의 누름 혀부(16d, 16d)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즉 납땜 마운트(26)는 하우징(22)의 홈(22a)에 맞추어지는 브리지(26a), 브리지의 양단부에 있는 기판에납땜시키기 위해 제공된 장착 날개(26b, 26b), 브리지(26a)의 중앙에 형성된 U형단면의 납땜시키기 위해 제공된 장착날개(26b, 26b), 브리지(26a)의 중앙에 형성된 U형단면의 컨택트태브(26c), 및 상기 컨택트태브(26c)와 장착 날개(26b, 26b) 사이에 형성된 1쌍의 누름 혀부(26d, 26d)로 이루어진다.
도 11 에 도시한 리셉터클측 납땜 마운트(16)의 누름 혀부(16)는 도 9 에 도시한 하우징(12)의 홈(12a)에 삽입 압착되고; 그때,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는 하우징(12)의 관통공통부(16b)에 맞추어져서 휘어질 수도 있다. 도 12 에 도시한 플러그 측 납땜 마운트(26)의 누름 혀부(26)는 도 10 에 도시한 하우징(22)의 홈(22a)에 삽입 압착되고; 그때, 컨택트는 하우징(22)의 관통공통부(26b)에 맞추어져서 휘어질 수도 있다.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 및 22)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리셉터클측 납땜 마운트(16)의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는 플러그측 납땜 마운트(26) 컨택트 태브(26c)와 접촉상태로 되고 그리고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휘어지며; 플러그 측 납땜 마운트(26)의 컨택트 태브(26c)와 완전한 접촉상태가 이루어졌을때, 플러그측 어셈블리의 하우징(22)의 관통공동부(22b)에 삽입된다. 리셉터클측 납땜 마운트(16)의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가 리셉터클 측 하우징(12)의 관통공동부(12b) 안쪽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커넥터 취합이 완료된후, 컨택트 태브(26c) 역시 플러그측 어셈블리의 하우징(22)의 관통공동부(22b) 안쪽에 위치한다), 커넥터의 전체 높이는 더 작게 될 수 있다. 양측 납땜 마운트(16 및 26)가 서로 접촉상태로 있다는 사실로 인해, 회로기판에의 접지접속은 플러그측 또는 리셉터클측 커넥터중 어느 한것이 납땜 마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서, 결국에는 설계공정에서 보다 큰 자유도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관통 공동부(12)에 형성되어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를 지지하는 경사면(12c)의 형성 목적은 스프링 접촉부(16c)를 지지하기 위한 것과 그리고 커넥터의 반복적인 접속/탈리에 따른 소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가 커넥터 절반부를 접촉위치로 결합시키는 시기에 컨택트 태브(26c)를 통제하는 안내면(26c')을 가진다는 사실로 인해,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와 컨택트 태브(26c)의 상호접속된 상태로의 변형은 아주 원활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현예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설계 토대를 이루는 일예일 뿐이다. 따라서, 리셉터클 측 납땜 마운트(16c)와 플러그측 납땜 마운트(26c)는 서로 변경가능하다. 커넥터 하우징, 납땜 마운트 등의 구조 역시 본 발명의 본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변경가능하다.

Claims (4)

  1. 대략 평행한 인쇄회로기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2, 22)의 공동부(12b, 22b) 안에 고정된 마운트(16, 26)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들의 표면을 서로 대면하도록 고정된 2개의 취합 절반부(10, 20)로 이루어진고, 커넥터의 일측 절반부(20)의 마운트(26)는 컨택트 태브(26c)를 가지며 그리고 타측 절반부(10)의 마운트(16)는 커넥터 절반부들(10, 20)이 서로 취합되었을 때 타측 절반부의 컨택트 태브(26c)와 결합하는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12b, 22b)는 하우징(12, 22)을 통해 연장하는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태브(26c)와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는 공동부의 연장부분들을 통해 각기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는 커넥터의 취합절반부(10, 20)의 하우징(12, 22)안에 있는 관통 공동부(12b, 22b) 안에 휘어질수 있도록 된 방도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를 내포하고 있는 상기 공동부부분이 커넥터의 취합중에 그 부분들과 결합하여 스프링 아암 접촉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면(1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가 그의 선단 위치에 상기 컨택트 태브(26c)와 결합하여 휨을 일으키도록 하는 각진 안내면(2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아암 접촉부(16c)의 선단이 취합용 커넥터 하우징(22)의 상기 공동부 부분(22b)에 들어가서 안에 있는 상기 컨택트 태브(26c)와 결합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공동부 부분(22b)에서 휘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99-7000392A 1996-07-31 1997-07-30 전기 커넥터 KR100449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896A JP3705866B2 (ja) 1996-07-31 1996-07-31 電気コネクタ
JP8/202028 1996-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42A KR20000029442A (ko) 2000-05-25
KR100449375B1 true KR100449375B1 (ko) 2004-09-21

Family

ID=1645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392A KR100449375B1 (ko) 1996-07-31 1997-07-3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2258A (ko)
JP (1) JP3705866B2 (ko)
KR (1) KR100449375B1 (ko)
CN (1) CN1113428C (ko)
AU (1) AU3820897A (ko)
WO (1) WO1998005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06A (ja)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4273270A (ja) * 2003-03-07 2004-09-30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940387B2 (ja) *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2665960Y (zh) * 2003-09-06 2004-12-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100421310C (zh) * 2004-05-31 2008-09-24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能够减小翘曲的连接器
US7144277B2 (en) * 2004-09-09 2006-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ance face
JP2006164594A (ja) * 2004-12-03 2006-06-22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TWM317694U (en) * 2006-12-11 2007-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445466B1 (en) * 2007-07-30 2008-11-0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7494347B1 (en) * 2007-12-19 2009-02-24 P-Two Industries Inc. Board-to-board connector
JP5586395B2 (ja) * 2010-09-21 2014-09-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102854340B (zh) * 2012-03-22 2015-05-06 深圳市兴禾自动化有限公司 电子产品老化载具及老化测试方法
JP2014170726A (ja)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405A (en) * 1991-12-20 1993-02-02 Amp Incorporate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356300A (en) * 1993-09-16 1994-10-18 The Whitaker Corporation Blind mating guides with ground contacts
JPH07240246A (ja) * 1994-02-28 1995-09-12 Amp Japan Ltd 基板実装型電気コネクタ
US5842874A (en) * 1994-05-25 1998-12-01 Molex Incorporated Dual housing board-to-board connector
US5626482A (en) * 1994-12-15 1997-05-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688130A (en) * 1996-04-10 1997-11-1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pc cards
US5746622A (en) * 1996-07-31 1998-05-05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US5915975A (en) * 1996-09-12 1999-06-29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with integrated power leads
JP3640759B2 (ja) * 1997-04-09 2005-04-20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6048221A (en) * 1998-08-13 2000-04-1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ontact footprint
US6024582A (en) * 1999-08-12 2000-02-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820897A (en) 1998-02-20
CN1227006A (zh) 1999-08-25
WO1998005103A1 (en) 1998-02-05
US6132258A (en) 2000-10-17
CN1113428C (zh) 2003-07-02
JPH1050371A (ja) 1998-02-20
KR20000029442A (ko) 2000-05-25
JP3705866B2 (ja)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375B1 (ko) 전기 커넥터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JP3194228B2 (ja) 電気コネクタ用アダプタフレーム組立体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6012948A (en) Board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4308259B2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0717463A2 (en)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598053A1 (en) Board to board interconnect
KR20070057024A (ko)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6296518B1 (e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9517802A (ja) 電気コネクタ
JP3396183B2 (ja) 基板用グランドピン付きコネクタ
US5883787A (en)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JP3898643B2 (ja) 小型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20010021200A (ko)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JP3099108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6186833B1 (en) Hybrid connector with audio jack
CN210985007U (zh) 一种电连接器
JPS61179080A (ja) プリント回路板に用いる厚みの薄い積層コネクタ
KR20030048199A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핀 결합구조
JP3278573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S5851391B2 (ja) コネクタ
JP3502868B2 (ja) 電気コネクタ
CN218548995U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