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024A -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024A
KR20070057024A KR1020060119039A KR20060119039A KR20070057024A KR 20070057024 A KR20070057024 A KR 20070057024A KR 1020060119039 A KR1020060119039 A KR 1020060119039A KR 20060119039 A KR20060119039 A KR 20060119039A KR 20070057024 A KR20070057024 A KR 20070057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ell
female connector
inlet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토다
홍판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차입 접속을 할 수 있고, 금속 쉘(shell)끼리의 결합으로서 결합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 및 어스 접속을 도모한 암형(female) 및 수형(male)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암형 커넥터는 제 1 컨택트 핀이 장착된 제 1 커넥터 본체와 이것을 덮는 제 1 금속제 쉘(shell)을 갖고, 제 1 금속제 쉘은 제 1 커넥터 본체를 덮는 통형상 몸체로 이루어지고, 통형상 몸체의 앞쪽은 제 1 커넥터 본체의 전(前)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뻗어 나가서 각각 대향하는 제 1, 제 2 쉘조각(片) 및, 제 3, 제 14 쉘조각을 형성하고, 한 쪽의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제 2 쉘조각의 선단(先端)부는 도중으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두어서 절곡(折曲)하여 제 1, 제 2 가이드 계지(係止)부를 형성하고, 다른 대향하는 한 쌍의 제 3, 제 4 쉘조각은 어느 한 쪽의 쉘조각에 차입구를 형성하고, 수형 커넥터가 차입구로부터 틈새를 통과하여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에 가이드되어서 차입 접속된다.

Description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암형 및 수형 커넥터의 결합전의 사시도.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암형 및 수형 커넥터를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암형 및 수형 커넥터의 결합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암형 및 수형 커넥터를 별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사시도.
<부호의 설명>
l, 1A 커넥터
2, 2A 암형 커넥터
3, 3A 커넥터 본체(제 1 커넥터 본체)
4 관통 구멍
5, 5A 컨택트 핀(제 1 컨택트 핀)
7, 7A 금속제 쉘(제 1 금속제 쉘)
7₁, 7₂, 7A₁, 7A₂ 가이드 계지부
8a, 8A 차입구
15A 수형 커넥터
16 커넥터 본체(제 2 커넥터 본체)
18, 18A 컨택트 핀(제 2 컨택트 핀)
2o 금속제 쉘(제 2 금속제 쉘)
22a, 22b 슬릿
본 발명은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와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차입 접속이 생기도록 한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 구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는 통상 한 쌍의 커넥터를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차입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한 쌍의 제 1,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의 한 쪽의 횡방향으로부터 차입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도 이미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1 참조).
도 7은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이 커넥터는 제 1, 제 2 커넥터(31, 33)로 이루어지고, 제 1 커넥터(31)는 그 선단면 바깥둘레(periphery)에 コ자 형상으로 돌출된 감합(嵌合) 계지부(32)를 설치하고, 또 제 2 커넥터(33)는 그 선단면 바깥둘레에 브림(brim)부(34)를 설치하고, 제 1 커넥터(31)의 コ자 형상의 감합 계지부(32)에 제 2 커넥터(33)의 브림부(34)가 차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커넥터에 의하면, 제 1, 개 2 커넥터(31, 33)는 횡방향으로부터 차입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대향하는 방향(직렬 접속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스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 이 커넥터의 사용이 적합하게 된다. 또, 제 1 커넥터(31)의 감합 계지부(32)에 제 2 커넥터(33)의 브림부(34)가 이 감합하므로, 차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빼내기를 할 수 없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개평 5-6722호 공보(도 1, 단락 [0007] ~ [0009])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상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한 쪽으로 제 1, 제 2 커넥터의 하우징이 각각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양(兩) 하우징이 결합되어도 제 1, 제 2 커넥터가 어스 접속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어스 접속하는 한 방법으로서 하우징에 장착되는 신호ㆍ전원 공급용 컨택트 핀을 어스용 컨택트 핀에 전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채용하면, 신호ㆍ전원 공급용의 컨택트 핀의 갯수가 적게 되거나, 또는 여분의 컨택트 핀이 필요한 동시에, 이 컨택트 핀을 수용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서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 한 쪽으로 커넥터를 예를 들면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사용하려면, 전자파 등의 차폐(차폐(遮蔽)가 필수가 되지만, 상기 커넥터에서는 이와 같은 전자 차폐가 가능하지 않다. 또, 제 1, 제 2 커넥터의 결합은 제 1 커넥터의 감합 계지부에 제 2 커넥터의 브림부가 감합 결합되는 것으 로부터, 수지성 하우징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용 컨택트 핀이 불필요하므로, 한 쌍의 커넥터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차입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금속 쉘끼리의 결합으로서 그 결합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는 제 1 컨택트 핀이 장착된 합성수지성의 제 1 커넥터 본체와, 이 제 1 커넥터 본체를 덮는 제 1 금속제 쉘을 구비한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제 쉘은 상기 제 1 커넥터 본체의 외주위를 덮는 통형상 몸체로 이루어지고, 이 통형상 몸체의 앞쪽은 상기 제 1 커넥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뻗어 나가서 제 1 ~ 제 4 쉘조각을 형성하고, 이것들 제 1 ~ 제 4 쉘조각 중에서 제 1 및 제 2 쉘조각은 서로 대향시키고, 그 도중으로부터 선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두어서 절곡시켜서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를 형성하고, 제 3 및 제 4 쉘조각은 서로 대향시키고, 어느 한 쪽의 쉘조각에 차입구를 형성하고, 수형 커넥터는 상기 차입구로부터 상기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에 가이드되어서 차입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드 청구항 1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차입구가 형성된 쉘조각은 이 쉘조각의 말단 가장자리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함몰(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제 쉘은 상기 차입구의 오(奧)부가 상기 쉘조각으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J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가 설치된 쉘조각의 적어도 한 쪽의 쉘조각에 상기 차입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의 발명은 청구항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와 조합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상기 암형 커넥터의 차입구로부터 차입되어서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에 감입되는 한 쌍의 제 1, 제 2 세구를 외주위에 갖는 통 형상의 제 2 금속제 쉘과, 이 제 2 금속제 쉘로 덮여서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접촉하는 제 2 컨택트 핀이 장착된 제 2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가 설치된 쉘조각의 적어도 한 쪽의 쉘조각에, 상기 차입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 돌기와 맞물림(係合)하는 계지부가 상기 가는 그루브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이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의 결합전의 사시도,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한 쌍의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와, 이 암형 커넥터(2)의 좌우의 한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시켜서 차입 접속이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암형 커넥터(2)는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컨택트 핀(5)과, 이러한 컨택트 핀(5)이 장착되는 관통 구멍(4)을 갖는 합성수지성의 커넥터 본체(3)와, 이 커넥터 본체(3)의 측주면(側周面)을 덮는 금속제 쉘(7)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 본체(3)는 상하 벽면(3a, 3b), 양측 벽면(3c, 3d) 및 전후 벽면(3e, 3f)을 갖는 편평(扁平) 형상의 직방체로 이루어지고, 후벽면(3f)으로부터 전벽 면(3e)을 향하여 컨택트 핀(5)이 삽입되는 복수 라인의 관통 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4)은 후술하는 컨택트 핀(5)의 외형에 맞추어서 장방형 형상의 개구를 갖는 관통 구멍(4)가 상하 2 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벽면(3e)은 긴 쪽 방향으로 평행하게 2 개의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4₁, 4₂)가 형성되고, 이러한 그루브내에 컨택트 핀(5)의 접촉도(5a)가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 상벽면(3a)의 후단부의 거의 중앙부에는 비교적 폭이 넓은 오목(凹) 형상의 계지 그루브(3o)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로 각 관통 구멍(4) 안에는 컨택트 핀(5)의 계지 돌기(5o)가 계지되는 계지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핀(5)은 コ자 형상으로 절곡된 접촉부(5a)와, 이 접촉부(5a)로부터 뒤쪽으로 뻗어서 아래쪽으로 수하(垂下)하여 기판에 땜납 등으로 접속되는 단자부(5b)를 갖고, 그 사이에 계지 돌기(5o)가 설치된 양도전(良導電)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컨택트 핀(5)은 커넥터 본체(3)의 관통 구멍(4)에 장착된 상태로는 コ자 형상으로 절곡된 접촉부(5a)가 전벽면(3e)의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4₁, 4₂)내에 돌출되어 있다
금속제 쉘(7)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8)을 가진 가는 길이의 편평 형상의 금속성의 통형상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본체(3)의 형상으로 합치한 상하벽(7a, 7b) 및 양측벽(7c, 7d)을 갖고, 소정 크기의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벽(7a)의 거의 중앙부에는 계지 텅(tongue)조각(7o)이 형성되고, 상기 계지 텅조각(7o)은 커넥터 본체(3) 의 계지 그루브(3o)에 계지된다. 또 양 측벽(7c, 7d)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단자 조각(7c', 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한 쪽의 단자 조각(7c')이 커넥터 본체(3)에서 숨어 있다. 이 단자 조각(7c', 7d')은 예를 들면 기판의 장착 구멍(도시 생략)에 차입되어서 땜납 등으로 기판 도체에 접속된다.
금속제 쉘(7)은 또 상하벽(7a, 7b) 및 좌측벽(7c)의 단부가 더욱 앞쪽으로 뻗어 나가서 쉘조각(7a', 7b' 및 7e)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쉘조각(7a' ~ 7e)중에서, 상하 쉘조각(7a', 7b')은 그 도중으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서 한 쌍의 가이드 계지부(7₁, 7₂)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계지부(7₁, 7₂)는 단부가 폐쇄하는 일 없이 소정의 틈새를 두고 배치하고 있다. 이 틈새에는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15)가 삽입된다. 또, 상하 쉘조각(7a', 7b')에는 2 개의 계지 돌기(7₃, 7₃)가 안쪽에 향 일찌기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뺨, 도 2 에서는 하부의 쉘조각(7b')의 각 돌기(7₃, 7₃)는 숨어 있다. 이러한 돌기는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15)의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와 맞물림된다.
또, 금속제 쉘(7)의 우측벽(7d)에는 차입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입구(8a)는 우측벽(7d)의 단부와 한 쌍의 가이드 계지부(7₁, 7₂)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이 차입구(8a)으로부터 오(奧)는 수형 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차입구(8a)에 근접하는 우측벽(7d)는 그 단 가장자리에 절결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8b)는 커넥터 본체(3)가 삽입되었을 때에 본체의 전벽면의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4₁, 4₂)를 노출시키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4₁, 4₂)를 설치하는 것으로, 차입구(8a)에 수형 커넥 터(15)가 차입되었을 때에, 수형 커넥터(15)의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a)가 금속성의 우측벽(7d)의 단부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져서 손상, 마모가 방지된다. 또, 좌측벽(7c)로부터 뻗어 나간 쉘조각(7e)은 이 공동의 오부를 폐쇄하도록 뻗고, 수형 커넥터(15)가 차입구(8a)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기 위한 빠짐 멈춤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암형 커넥터(2)에 결합되는 수형 커넥터(15)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1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컨택트 핀(18)과, 이러한 컨택트 핀(18)이 장착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합성수지성의 커넥터 본체(16)와, 이 커넥터 본체(16)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21)을 갖는 금속제 쉘(20)과, 이 금속제 쉘(20)을 덮는 커버 몸체(24)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 본체(16)는 상하 벽면(16a, 16b), 양측 벽면(16c, 16d) 및 전후 벽면(16e, 16f)을 갖는 편평 형상의 빅방체로 이루어지고, 전벽면(16e)으로부터 후벽면(16f)을 향하여 컨택트 핀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7)은 후술하는 컨택트 핀(18)의 외형에 맞추어서 소정의 폭 길이장 및 높이를 갖고, 이 관통 구멍(17)에 컨택트 핀(18)이 장착되었을 때에,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a)가 전벽면(16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상하 벽면(16a, 16b)에는 앞쪽으로 폭 방향, 즉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쪽의 측벽면(16c)으로부터 다른 측벽(16d)에 향하여 직선 형상의 오목(凹) 형상의 가는 그루브(18a, 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는 그루브(18a, 18b)에는 암형 커넥터(2)의 가이드 계지부(7₁, 7₂)가 삽입된다.
컨택트 핀(18)은 선단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灣曲)한 접촉부(19a)와, 이 접촉부로부터 뒤쪽으로 뻗은 단자부(19b)를 갖고, 그 사이는 스프링 형상으로 만곡한 연결부(19o)에서 일체로 결합되어서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19o)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접촉부(19a)에 소정의 접촉압이 부여된다.
금속제 쉘(20)은 긴 쪽 방향으로 커넥터 본체(16)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21)을 갖는 가는 길이의 편평 형상의 양도전성의 금속재로부터 통형상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 본체(16)의 형상으로 맞추어서 상하벽(20a, 20b) 및 양 측벽(20c, 20d)를 갖고, 소정 크기의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하벽(20a, 20b)에는 복수 개의 계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하 벽면(20a, 20b)에는 커넥터 본체(16)의 가는 그루브(18a, 18b)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 그루브 폭과 거의 동일할 폭 길이를 갖는 슬릿(22a, 22b)이 한 쪽의 측벽면(20c)로부터 다른 측벽(20d)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슬릿(22a, 22b)에는 각각 2 개의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23a, 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23a, 23b) 에는 암형 커넥터(2)의 계지 돌기(7₃, 7₃)가 맞물림된다.
커버 몸체(24)는 금속제 쉘(20)의 상하 벽면(20a, 20b) 및 양측 벽면(20c, 20d)를 덮는 한 쌍의 편평 형상의 하우징(25a, 25b)으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25a, 25b)의 양 측벽 부근에는 결합 손톱(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커버 몸체(24)는 후부에 컨택트 핀에 접속된 케이블이 도출되는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수형 커넥터(15)의 조립으로는 커넥터 본체(16)의 관통 구멍(17)에 각각 컨택트 핀(18)을 삽입하여 위치 결정이 고정한다. 그 다음에, 금속제 쉘(20)의 관통 구멍(21)에 컨택트 핀(18)이 장착된 커넥터 본체(16)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 다음에, 이 금속제 쉘(20)의 외주위를 쉘의 선단부, 자세하게는 슬릿(22a, 22b)이 커버 몸체(24)의 전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하여 덮는다(도 1 참조).
이것들 양 커넥터(2, 15)의 접속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조립한 수형 커넥터(15)를 차입구(8a)로부터 차입한다. 이 차입은 암형 커넥터(2)의 가이드 계지부(7₁, 7₂)를 수형 커넥터(15)의 각각의 슬릿(22a, 22b)에 삽입함과 동시에,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a)를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4₁, 4₂)에 삽입하 수형 커넥터(15)를 암형 커넥터(2)의 공동내에 슬라이드시킨다. 이 슬라이드에 의해, 수형 커넥터(15)의 컨택트 핀(18)은 암형 커넥터(2)의 각 컨택트 핀(5)에 맞닿음된다.
이 맞닿음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5)의 좌측으로 위치하는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₁)가 암형 커넥터(2)의 우측에 위치하는 컨택트 핀(5)의 접촉부(53)에 맞닿음하고, 그 다음에 암형 커넥터(2)의 중앙에 위치하는 컨택트 핀(5)의 접촉부(5₂)에 맞닿음한 후에 암형 커넥터(2)의 좌측으로 위치하는 컨택트 핀(5)의 접촉부(5₁)에 접촉한다. 이 과정에서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₁)가 접촉부(5₃, 5₂)에 맞닿음 하면, 이 접촉부(19₁)가 컨택트(19)의 연결일(19o)의 스프링력에 의해 단자부 방향으로 들어가면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접촉부(5₁, 19₁) 끼리가 탄성 접촉한다. 이 때, 수형 커넥터(15) 외의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₂, 19₃)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각각 대응하는 컨택트 핀(5)의 접촉부(5₂, 5₃)에 탄성 접촉한다. 또, 수형 커넥터(15)와 암형 커넥터(2)의 결합에 의해, 수형 커넥터(15)의 오목(凹) 형상의 그루브(23a, 23b)에는 암형 커넥터(2)의 계지 돌기(7₃, 7₃)가 맞물림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암형 커넥터(2)의 복수의 컨택트 핀(5)의 접촉부(5a) 및 수형 커넥터(15)의 복수의 컨택트 핀(18)의 접촉부(19a)를, 알기 쉽게 각각 부호 5₁~ 5₃ 및 19₁~ 19₃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상술한 커넥터(1)는 금속제 쉘(7)의 우측벽(7d)측에 차입구(8a)를 형성하였으나, 이 측벽과 대향하는 좌측벽(7c)측에 형성해도 된다. 차입구(8a)를 좌측벽(7c)측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측벽(7d)측에 공간을 폐쇄하는 쉘조각(7e)이 형성된다.
[실시예 2]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암형 및 수형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5는 암형 및 수컷형태 커넥터의 결합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암형 및 수형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 1의 한 쌍의 로네크터(1)은 암형 커넥터의 좌우 측벽의 어느 한 쪽에 차입구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2의 커넥터(1A)는 상하 벽면의 어느 한 쪽에 차입구를 설치하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차입 접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커넥터(1A)는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A)와, 이 암형 커넥터(2A)의 상하 방향의 어느 한 쪽, 예를 들면 위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시키고 차입 접속이 없는 수형 커넥터(15A)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암형 커넥터(2A)는 금속제 쉘(7A)과, 컨택트 핀(5A)을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3A)를 갖고, 금속제 쉘(7A)는 양 측벽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계지부(7A₁, 7A₂) 및 차입구(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형 커넥터(15A)는 커버 몸체(24A)와, 금속제 쉘(20A)과, 컨택트 핀(18A)을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16A)를 갖고, 금속제 쉘(20A)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계지부(7A₁, 7A₂)가 삽입되는 한 쌍의 슬릿(22A₁, 22A₂)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7C는 금속 쉘조각으로서 수형 커넥터(15A)가 위쪽의 차입구(8a)로부터 삽입되었을 때에 아래쪽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멈춤이다.
이 커넥터(1A)의 결합은 실시예 1의 커넥터(1)와 접속 방향이 다를 뿐 접속 방법이 동일한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커넥터(1A)에서는 차입구(8a)를 위쪽에 설치하였으나, 아래쪽에 설치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명의 수형 및 암형 커넥터를 이용하면, 커넥터의 설치 위치의 형상으로 맞추어서 그 접속 방향이 다른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치 스페이스가 작은 경우에도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와의 결합은 금속제 쉘끼리, 즉 금속 쉘의 쉘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와 수형 커넥 터의 금속제 쉘과의 결합으로 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강고하게 된다. 또, 이 금속제 쉘끼리의 결합에 의해 양 커넥터가 금속성 쉘끼리로 어스 접속되어서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차입구가 상하 또는 좌우에 형성되므로, 직렬 접속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없는 사용 환경에 있어서 적합한 커넥터가 된다.
또, 암형 커넥터에, 그 쉘조각의 말단 가장자리에 커넥터 본체의 측벽이 노출되는 함몰을 형성하면, 수형 커넥터의 차입시에 수형 커넥터의 컨택트 핀이 암형 커넥터의 금속제 쉘조각의 말단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컨택트 핀의 손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암형 커넥터의 차입구의 오부를 쉘조각으로 폐쇄하면, 수형 커넥터가 차입되었을 때에, 상기 폐쇄된 쉘조각에 충돌하여 차입구의 반대측으로부터 수형 커넥터가 튀어 나오는 일 없이 위치 결정이 고정되므로, 양 커넥터의 컨택트 핀끼리의 접속이 정확하게 된다
또, 암형 커넥터에 수형 커넥터의 차입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 돌기를 형성하고, 수형 커넥터의 가는 그루브내에 계지부를 형성하면, 양 커넥터의 결합시에 이 암형 커넥터의 계지 돌기와 수형 커넥터의 계지부가 맞물림하고, 양 커넥터의 위치 결정이 고정되기 때문에 결합이 안정된다.

Claims (6)

  1. 제 1 컨택트 핀이 장착된 합성수지성의 제 1 커넥터 본체와, 상기 제 1 커넥터 본체를 덮는 제 1 금속제 쉘을 구비한 암형(female)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제 쉘(shell)은 상기 제 1 커넥터 본체의 외주위를 덮는 통형상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상 몸체의 앞쪽은 상기 제 1 커넥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뻗어 나가서 제 1 ~ 제 4 쉘조각을 형성하고, 이들 제 1 ~ 제 4 쉘조각 중에서 제 1 및 제 2 쉘조각은 서로 대향시키고, 그 도중으로부터 선(先)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두어서 절곡(折曲)시키고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를 형성하고, 제 3 및 제 4 쉘조각은 서로 대향시키고, 어느 한 쪽의 쉘조각에 차입구를 형성하고,
    수형(male) 커넥터는 상기 차입구로부터 상기 틈새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에 가이드되어서 차입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입구가 형성된 쉘조각은 이 쉘조각의 말단 가장자리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함몰(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제 쉘은 상기 차입구의 오(奧)부가 상기 쉘조각으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가 설치된 쉘조각의 적어도 한 쪽의 쉘조각에, 상기 차입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와 조합되는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의 차입구로부터 차입되어서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에 감입(嵌入)되는 한 쌍의 제 1, 제 2 가는 그루브를 외주위에 갖는 통 형상의 제 2 금속제 쉘과,
    상기 제 2 금속제 쉘로 덮여서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접촉하는 제 2 컨택트 핀이 장착된 제 2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계지부가 설치된 쉘조각의 적어도 한 쪽의 쉘조각에, 상기 차입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지 돌기와 맞물림(係合)하는 계지부가 상기 가는 그루브내에 설 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형 커넥터.
KR1020060119039A 2005-11-29 2006-11-29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KR20070057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507716-9A SG132555A1 (en) 2005-11-29 2005-11-29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SG200507716-9 2005-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024A true KR20070057024A (ko) 2007-06-04

Family

ID=3771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39A KR20070057024A (ko) 2005-11-29 2006-11-29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0614B2 (ko)
EP (1) EP1791217A2 (ko)
JP (1) JP2007149650A (ko)
KR (1) KR20070057024A (ko)
CN (1) CN100541939C (ko)
SG (1) SG132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5831B2 (en) 2009-09-17 2016-03-15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s
US8512079B2 (en) * 2009-09-17 2013-08-20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interface
US8083548B1 (en) * 2011-01-13 2011-12-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robe connector
DE102013102823A1 (de) * 2013-03-19 2014-09-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adestecker mit Verstärkungselement
US8974252B1 (en) * 2013-09-04 2015-03-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9650814B2 (en) 2013-12-31 2017-05-16 Henge Docks Llc Alignment and drive system for motorized horizontal docking station
US9927838B2 (en) 2013-12-31 2018-03-27 Henge Docks Llc Sensor system for docking station
JP2016139545A (ja) * 2015-01-28 2016-08-04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9999127B2 (en) * 2015-05-22 2018-06-12 Uber Technologies, Inc. Device connector assembly
US10541482B2 (en) 2015-07-07 2020-01-21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avity between terminals
US9575510B1 (en) 2015-10-23 2017-02-21 Matthew Leigh Vroom Precision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retention mechanism
US9811118B2 (en) 2015-10-23 2017-11-07 Henge Docks Llc Secure assembly for a docking station
US9727084B2 (en) 2015-10-23 2017-08-08 Henge Docks Llc Drivetrain for a motorized docking station
US9979112B2 (en) * 2016-03-29 2018-05-22 Aces Electronics Co., Ltd. Press-type connector
JP6956480B2 (ja) * 2016-03-29 2021-11-02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
US10090616B1 (en) * 2017-06-27 2018-10-02 Ethicon Llc Surgical instrument handle assembly with feature to clean electrical contacts at modular shaft interface
US11710917B2 (en) 2017-10-30 2023-07-25 Amphenol Fci Asia Pte. Ltd. Low crosstalk card edge connector
US10601181B2 (en) 2017-12-01 2020-03-24 Amphenol East Asia Ltd.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US10365688B1 (en) 2018-04-19 2019-07-30 Henge Docks Llc Alignment sleeve for docking station
CN108565644A (zh) * 2018-07-01 2018-09-21 安徽统凌科技新能源有限公司 多功能锂电池放电口
WO2020073460A1 (en) 2018-10-09 2020-04-16 Amphenol Commercial Products (Chengdu) Co. Ltd. High-density edge connector
TWM576774U (zh) 2018-11-15 2019-04-1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防位移結構之金屬殼體及其連接器
TWM582251U (zh) 2019-04-22 2019-08-11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Connector set with built-in locking mechanism and socket connector thereof
TW202127754A (zh) 2019-11-06 2021-07-16 香港商安費諾(東亞)有限公司 具有互鎖段之高頻率電連接器
US11588277B2 (en) 2019-11-06 2023-02-21 Amphenol East Asia Ltd.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with lossy member
JP7387407B2 (ja) * 2019-11-27 2023-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11652307B2 (en) 2020-08-20 2023-05-16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zhen) Co., Ltd. High speed connector
CN212874843U (zh) 2020-08-31 2021-04-0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22A (ja) 1991-06-25 1993-01-14 Hitachi Ltd 電源スイツチの安全装置
FR2742561B1 (fr) * 1995-12-13 1998-01-09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a contact
US5762520A (en) * 1996-04-30 1998-06-09 The Whitaker Corporation Hermaphroditic wire cover
US6095868A (en) * 1997-03-21 2000-08-01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reader connector having a separable cover
JP3783591B2 (ja) * 2001-09-07 2006-06-07 オムロ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3737A (zh) 2007-06-20
EP1791217A2 (en) 2007-05-30
JP2007149650A (ja) 2007-06-14
US20070141888A1 (en) 2007-06-21
US7320614B2 (en) 2008-01-22
CN100541939C (zh) 2009-09-16
SG132555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024A (ko)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JP4308259B2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1478096B (zh) 电组件闩锁
US634395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997749B1 (en) Shield connector
EP2876743B1 (en) Connector between cable and substrate
EP180193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42515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79475B2 (en) Electric connector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EP2472678A2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US6272021B1 (en) Circuit device
KR100532003B1 (ko) 로크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US20100055940A1 (en) Fpc connector having moveable slider facilitating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fpc connector
JP5044476B2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基板アッセンブリ
JP4175655B2 (ja) シェル付きコネクタ
EP053096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bus bars
KR100449375B1 (ko) 전기 커넥터
TW202103395A (zh) 全遮蔽式的排線連接器及其排線插頭
JP7407687B2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US6767227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19380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ale connector used in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