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236Y1 - 박스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박스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236Y1
KR200453236Y1 KR2020090003454U KR20090003454U KR200453236Y1 KR 200453236 Y1 KR200453236 Y1 KR 200453236Y1 KR 2020090003454 U KR2020090003454 U KR 2020090003454U KR 20090003454 U KR20090003454 U KR 20090003454U KR 200453236 Y1 KR200453236 Y1 KR 200453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ounting body
fastening
lev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733U (ko
Inventor
김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3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23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2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장착바디(1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바디(10)의 양측에는 박스지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지지부(14)의 양측에는 안착채널(17)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지지부(14)에는 박스(20)가 설치된다. 상기 박스(20)의 내부에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삽입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박스(20)의 양측 모서리 중 상기 체결리브(16)와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박스(2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체결레버(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0)의 일측은 상기 안착채널(17)에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장착바디(10)의 외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박스(20)의 체결레버(30)의 일측이 체결리브(16)의 안착채널(17)에 걸어지고 체결레버(30)의 타측이 장착바디의 외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쪽이 상대물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눌리면 다른 쪽은 상대물과 더 밀착되므로, 상기 박스(20)는 상기 장착바디(1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장착바디, 박스, 체결레버, 체결리브, 안착채널, 탄성변형

Description

박스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a box}
본 고안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각종 전장품들이 구비되는 박스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조인트박스, 퓨즈박스, 또는 정션박스 등의 다양한 박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장착된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의 구성에도 상기 박스가 사용된다.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는 자동차의 각종 전기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모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비네이션 스위치는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레버 형태의 스위치로서 턴시그널 스위치, 라이트 컨트롤 스위치, 프런트 파워 스위치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외관은 박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는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부품들을 차폐하여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에는 조작레버가 상기 박스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는 일정한 방향으로 동작됨에 의해, 상기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레버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조작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조작레버의 동작은 상기 박스의 내부에 위치 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암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암의 선단에는 상기 연동암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암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자홀더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의 내부에는 작동가이드가 장착된다. 상기 작동가이드는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단자홀더의 작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차량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의 양측면에는 체결레버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박스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바디의 체결홈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
상기 박스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장착바디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바디는 자동차의 각종 전기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바디의 일측에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레버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체결홈에 걸어져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박스는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체결홈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장착바디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의 선단 일부는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체결홈에 걸어진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노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의 선단이 상기 박스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박스가 상기 체결레버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부에 박스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박스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지지부의 양측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착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리브가 형성되는 장착바디와; 상기 박스지지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그리고 상기 박스의 양측 모서리 중 상기 체결리브와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 또는 모서리에 인접한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양측으로 연장되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안착채널에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장착바디의 외면에 밀착되는 체결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외팔보형상으로 돌출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는 상기 장착바디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바디와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박스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안착채널의 내면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크부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는 자유단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는 자유단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박스의 외면에는 위치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와 마주보는 상기 장착바디에는 고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와 상기 장착바디의 결합을 안내한다.
본 고안에서 장착바디의 박스지지부에 장착되는 박스의 양측 모서리 중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박스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양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체결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레버의 일측은 상기 박스지지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리브의 안착채널에 걸어지고 상기 체결레버의 타측은 상기 장착바디의 외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이 상대물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눌리면 다른 쪽은 상대물과 더 밀착되므로, 상기 박스는 상기 장착바디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어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박스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에는 장착바디(10)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바디(10)는 자동차의 각종 전기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장착바디(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컴비네이션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바디(10)의 중앙부에는 장착공(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12)에는 차량용 핸들 어셈블리(미도시)가 통과하여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바디(10)의 양측에는 박스지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지지부(14)는 상기 장착바디(10)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지지부(14)는 상기 장착바디(10)의 하단으로부터 박스(2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박스지지부(14)는 대략 판 형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박스(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지지부(14)의 양측에는 한 쌍의 체결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16)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16)는 박스(20)가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선단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16)는 아래에서 설명될 박스(20)의 체결레버(30)의 체결레버(3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체결리브(16)에는 안착채널(17)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17)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채널(17)은 박스(20)가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17)에는 체결레버(30)의 체결레버(30)가 삽입된다.
상기 장착바디(10)에는 고정홈(1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8)은 박스(20)의 위치고정돌기(40)와 마주보는 위치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8)은 박스(20)의 위치고정돌기(4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박스(2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바디(10)에는 컴비네이션 스위치가 장착된다.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는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레버 형태의 스위치로서 턴시그널 스위치, 라이트 컨트롤 스위치, 프런트 파워 스위치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관은 박스(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20)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21)는 상부가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21)는 상기 박스지지부(14)에 안착된다.
상기 박스몸체(21)에는 조작레버(미도시)가 상기 박스몸체(21)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는 일정한 방향으로 동작됨에 의해, 상기 박스몸체(21)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레버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조작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조작레버의 동작은 상기 박스몸체(21)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이루 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몸체(21)의 내부에는 삽입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22)에는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암(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암의 선단에는 상기 연동암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암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자홀더(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2)의 내부에는 작동가이드(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작동가이드는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하여 단자홀더의 작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차량의 각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몸체(21)의 양측 모서리 중 상기 체결리브(16)와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에는 각각 체결레버(3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양단이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박스몸체(21)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양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 모서리에 인접하는 양면 일부를 감싸도록 대략 'ㄴ'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상기 박스몸체(21)를 상기 장착바디(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레버(30)는 크게 상기 장착바디(10)와 마주보는 상기 박스몸체(21)의 모서리 또는 모서리에 인접한 외면에 외팔보형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로부터 각각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조작부(32) 및 후크부(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작부(32)와 상기 후크부(35)는 상기 연결부(31)의 선단을 중심으로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2)는 상기 연결부(31)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32)는 상기 박스몸체(21)가 결합되는 힘을 상기 후크부(35)로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조작부(32)의 선단에는 밀착돌기(33)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기(33)는 상기 조작부(3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박스몸체(21)가 결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기(33)는 상기 장착바디(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밀착돌기(33)는 상기 장착바디(10)의 외면에 밀착되므로써, 상기 조작부(32)에 힘을 가해 상기 조작부(32)가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후크부(35)는 상기 연결부(31)의 선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박스몸체(21)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35)는 상기 체결리브(16)의 안착채널(17)에 탄성변형을 통해 걸어진다. 상기 후크부(35)는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자유단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몸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후크부(35)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후크부(35)가 상기 체결리브(16)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부(35)의 자유단부에는 걸림턱(3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리브(16)의 안착채널(17)의 내면 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장착바디(10)에 상기 박스몸체(21)를 체결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36)에는 상기 체결레버(30)의 일단부, 즉 기저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36')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6')은 상기 체결리브(16)의 외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후크부(35)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36)이 상기 안착채널(17)의 내면 가장자리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후크부(35)와 상기 박스몸체(21)의 사이에는 변형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S)은 상기 후크부(35)가 박스몸체(21)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유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박스몸체(21)에는 위치고정돌기(40)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40)는 상기 체결레버(30)의 조작부(32)와 인접한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바디(10)의 고정홈(1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위치고정돌기(40)는 상기 장착바디(10)의 고정홈(18)에 삽입되면서 상기 박스몸체(21)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박스의 고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박스몸체(21)의 위치고정돌기(40)가 상기 장착바디(10)의 고정홈(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박스몸체(21)를 상기 장착바디(10)의 박스지지부(14)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30)의 조작부(32)는 상기 장착바디(10)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태이고, 상기 체결레버(30)의 후크부(35)는 상기 장착바디(10)의 체결리브(16)와 마주보는 상태이다.
상기 박스몸체(21)를 상기 체결레버(30)의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30)의 후크부(35)는 상기 걸림턱(36)의 안내경사면(36')을 따라 상기 체결레버(30)에 접하면서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박스몸체(21)를 계속 상기 장착바디(10)를 향해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박스몸체(21)의 위치고정돌기(40)가 상기 장착바디(10)의 고정홈(18)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레버(30)의 후크부(35)의 걸림턱(36)이 상기 체결리브(16)의 안착채널(17)의 내면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레버(30)의 조작부(32)에 형성된 밀착돌기(33)가 상기 장착바디(1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조작부(32)는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과 가까운 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조작부(32)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체결레버(30)의 연결부(31)를 기점으로 상기 후크부(35)가 시소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부(32)가 상기 박스몸체(21)가 결합되는 힘에 의해 상기 박스몸체(2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상기 후크부(35)는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힘을 받게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후크부(35)의 걸림턱(36)이 상기 체결리브(16)의 안착채널(17)의 내면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35)가 상기 체결리브(16)를 향해 힘을 받게되므로, 상기 체결레버(30)가 상기 체결리브(16)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30)의 조작부(32)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체결레버(30)의 후크부(35)는 상기 체결리브(16)의 안착채널(17)과 체결되는 방향으로 더 탄성변형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부(35)의 걸림턱(36)이 상기 안착채널(17)에 걸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박스몸체(21)를 상기 장착바디(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레버(30)의 후크부(35)의 선단을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으로 누른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30)의 후크부(35)의 양측을 동시에 누르게되면, 상기 후크부(35)가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후크부(35)의 걸림턱(36)이 상기 안착채널(17)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박스몸체(21)를 상기 장착바디(10)로부터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박스몸체(21)는 상기 장착바디(10)로부터 분리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장착바디(10)에 장착되는 박스(2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릴레이나 컨덴서와 같은 전장품이 구비되는 정션박스 혹은 퓨즈박스와 같은 박 스(20)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박스(20)의 외면에는 위치고정돌기(4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장착바디(10)에는 위치고정돌기(40)가 삽입되는 고정홈(18)이 요입되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치고정돌기(40) 및 고정홈(18) 없이도 박스(20)에 형성된 체결레버(30)의 형성 위치 만으로도 박스(20)를 장착바디(10)에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레버(30)의 조작부(32)는 박스몸체(21)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결레버(30)의 조작부(32)는 자유단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박스몸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박스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장착바디 12: 장착공
14: 박스지지부 16: 체결리브
17: 안착채널 18: 고정홈
20: 박스 21: 박스몸체
22: 삽입공간 30: 체결레버
31: 연결부 32: 조작부
33: 밀착돌기 35: 후크부
36: 걸림턱 36': 안내경사면
40: 위치고정돌기

Claims (5)

  1. 박스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박스지지부의 양측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착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리브가 형성되는 장착바디와;
    상기 박스지지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그리고
    상기 박스의 양측 모서리 중 상기 체결리브와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 또는 모서리에 인접한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양측으로 연장되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안착채널에 걸어지고 타측은 상기 장착바디의 외면에 밀착되는 체결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에는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외팔보형상으로 돌출되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는 상기 장착바디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바디와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박스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안착채널의 내면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자유단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자유단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박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박스의 외면에는 위치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와 마주보는 상기 장착바디에는 고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와 상기 장착바디의 결합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고정장치.
KR2020090003454U 2009-03-25 2009-03-25 박스의 고정장치 KR200453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454U KR200453236Y1 (ko) 2009-03-25 2009-03-25 박스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454U KR200453236Y1 (ko) 2009-03-25 2009-03-25 박스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33U KR20100009733U (ko) 2010-10-05
KR200453236Y1 true KR200453236Y1 (ko) 2011-04-15

Family

ID=4420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454U KR200453236Y1 (ko) 2009-03-25 2009-03-25 박스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2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002B1 (ko) 2014-11-25 2016-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4988A (ja) 2004-07-31 2006-03-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6180686A (ja) 2004-11-29 2006-07-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JP2007336730A (ja) 2006-06-16 2007-12-27 Yazaki Corp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4988A (ja) 2004-07-31 2006-03-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6180686A (ja) 2004-11-29 2006-07-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JP2007336730A (ja) 2006-06-16 2007-12-27 Yazaki Corp 電気接続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002B1 (ko) 2014-11-25 2016-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33U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125B2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6602214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708355B2 (ja) コネクタカバー
JP2006342511A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WO2018221312A1 (ja) 接続機器
US9263823B2 (en) Lever connector
KR20110117937A (ko) 차량용 박스
JP5229574B2 (ja) ヒンジ式閉止体を備えた電装用部品
KR20120006307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53236Y1 (ko) 박스의 고정장치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WO2015008551A1 (ja) 樹脂クリップ用補強板ばね
JP4238205B2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KR100995277B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JP3851133B2 (ja) クランプ
JP4597856B2 (ja) 接続箱の防水構造
JP5783120B2 (ja) グロメット
KR200442528Y1 (ko)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101044038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KR20110017261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80086582A (ko) 램프홀더조립체
WO2013168334A1 (ja) 端子装置
KR100912950B1 (ko) 커넥터하우징
JP6434453B2 (ja) 本体ケース、端子装置、スイッチ装置およ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