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255A - 리벳툴 - Google Patents

리벳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255A
KR20130134255A KR1020120057647A KR20120057647A KR20130134255A KR 20130134255 A KR20130134255 A KR 20130134255A KR 1020120057647 A KR1020120057647 A KR 1020120057647A KR 20120057647 A KR20120057647 A KR 20120057647A KR 20130134255 A KR20130134255 A KR 2013013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hook
tool
tool body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민
이성훈
김진오
박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빌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빌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빌더
Priority to KR102012005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255A/ko
Publication of KR2013013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21J15/32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벳툴에 관한 것으로, 로봇완구를 구성하는 프레임(46)들을 결합하는 리벳을 취급하는 것이다. 상기 리벳툴(10)은 툴몸체(12)의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 걸어빼기부(14,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어빼기부(14)는 제1돌출판(16) 한쌍이 상기 툴몸체(1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판(16)의 사이에는 상기 툴몸체(12)의 연장방향으로 제1개방관통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관통부(18)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제1돌출판(16)의 내면에는 제1걸이리브(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리브(20)는 리벳의 분리걸이턱(53)이나 제2걸이턱(56)에 걸어진다. 상기 제2걸어빼기부(24)는 상기 제1걸어빼기부(14)가 형성된 반대쪽에 상기 제1걸어빼기부(14)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어빼기부(24)도 제2돌출판(26)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제2돌출판(26)의 사이에는 제2개방관통부(28)가 상기 툴몸체(12)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개방관통부(28)의 중앙에는 스페이서판(32)이 상기 제2돌출판(26)과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판(26)의 내면에는 제2걸이리브(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벳툴(10)을 지렛대로 사용하여 리벳을 프레임(46)의 결합공(48)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벳툴{Rivet tool}
본 발명은 리벳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 완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결합하는 리벳을 프레임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리벳툴에 관한 것이다.
로봇 완구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크기가 작아져야 하고, 따라서,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크기도 작아지면서,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프레임 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리벳의 크기도 작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리벳의 크기가 작아지지만, 그 결합의 강도는 일정 이상의 값을 유지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손으로 리벳을 잡고 프레임의 결합공에 삽입하거나, 결합공에 삽입된 리벳을 손으로 잡고 빼는 것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일이다. 특히 결합공에 리벳을 삽입하는 작업에 비해 결합공에 장착되어 있는 리벳을 작업자가 손으로 분리하는 작업은 작은 리벳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힘을 가할 수 없어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조립식 완구에서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공구는 프레임을 결합하는 리벳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리벳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구를 구비하여야만 로봇 완구의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333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는 리벳을 원터치식으로 끼우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리벳을 장착하고 분리하는 리벳툴에 있어서, 툴몸체와, 상기 툴몸체의 일단부에 툴몸체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벳에 형성된 분리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에 걸어져 리벳을 상기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제1걸어빼기부와, 상기 툴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제1걸어빼기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내부 중앙에 스페이서판이 구비되어 리벳에 형성된 탄성슬릿에 상기 스페이서판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단부걸이턱에 걸어져 리벳을 상기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제2걸어빼기부와, 상기 제1걸어빼기부나 제2걸어빼기부중 어느 하나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툴몸체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베이스단에 상기 리벳의 내부에 압입되는 끼움봉이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걸어빼기부는 상기 툴몸체에서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그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툴몸체의 연장방향으로 제1개방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돌출판과, 상기 제1개방관통부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제1돌출판의 내면을 둘러 상기 리벳의 분리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이 걸어지는 제1걸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리브에서 상기 분리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의 두께보다 더 먼 거리에 떨어져 형성되는 스톱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걸어빼기부에는 상기 제1돌출판의 연장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지지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2걸어빼기부는 상기 툴몸체에서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그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툴몸체의 연장방향으로 제2개방관통부가 형성되는 제2돌출판과, 상기 제2개방관통부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제2돌출판의 내면을 둘러 상기 리벳의 제2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이 걸어지는 제2걸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판의 사이에 상기 리벳에 형성된 탄성슬릿에 위치되는 스페이서판이 구비된다.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 밀어빼기부나 제2 밀어빼기부중 가까운 쪽의 것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벳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벳툴에는 리벳을 프레임의 결합공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과 결합공에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있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리벳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로봇 완구의 조립과 분해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은 리벳을 리벳툴에 걸고 리벳툴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서 동작시키므로 리벳을 프레임의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벳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걸어빼기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걸어빼기부와 누름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리벳툴을 사용하여 이단리벳을 프레임의 결합공에 결합하는 과정과 더블리벳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단리벳이나 삼단리벳을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블리벳을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벳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의 설명에서 별도의 도면부호 병기없이 리벳이라 함은 이단리벳(50), 더블리벳(60) 및 3단리벳 등을 통칭해서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3단리벳은 이단리벳(50)보다 길이만 더 길기 때문에, 특별한 설명없이 이단리벳(50)을 사용하면 3단리벳까지도 포함된 것으로 보면 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리벳툴(10)은 툴몸체(12)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톨몸체(12)는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가 비고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바아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봉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툴몸체(12)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툴몸체(12)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툴몸체(12)의 일단부에는 제1걸어빼기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걸어빼기부(14)는 상기 툴몸체(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걸어빼기부(14)에는 제1돌출판(1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된다. 상기 제1돌출판(16)은 상기 툴몸체(12)의 연장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1돌출판(16)의 사이에는 제1개방관통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관통부(18)는 상기 제1돌출판(16)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돌출판(16)의 선단 쪽으로도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개방관통부(18)의 내면, 즉 상기 제1돌출판(16)의 내면을 둘러서는 제1걸이리브(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리브(20)는 상기 제1개방관통부(18)의 거의 끝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리브(20)는 그 전체 형상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개방관통부(18)에서 상기 양측 제1돌출판(16)의 내면에는 각각 스톱리브(2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리브(22)는 각각 상기 제1걸이리브(20)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리벳(50)의 분리걸이턱(53) 길이보다 상기 제1걸이리브(20)와 스톱리브(22) 사이의 폭이 조금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스톱리브(22)는 프레임(46)에서 분리된 리벳이 제1걸어빼기부(14)에서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걸이빼기부(14)의 제1돌출판(16) 반대쪽에는 지지단(2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23)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리벳, 즉 3단리벳을 분리할 때 지지점으로 된다.
상기 툴몸체(12)의 반대쪽, 즉 상기 제1걸어빼기부(14)가 형성된 반대쪽 툴몸체(12)의 단부에는 제2걸어빼기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제2걸어빼기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더블리벳(60)을 프레임(46)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2걸어빼기부(24)도 상기 툴몸체(12)의 길이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제2돌출판(26)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제2돌출판(26)의 연장방향은 상기 제1돌출판(16)의 연장방향의 반대쪽으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돌출판(26)의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툴몸체(12)의 연장방향으로 제2개방관통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개방관통부(28)의 끝부분 내면, 즉 상기 제2돌출판(26)의 내면에는 제2걸이리브(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리브(30)는 더블리벳(60)의 단부걸이턱(64)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개방관통부(28)의 내부에는 상기 제2돌출판(26)의 사이에 스페이서판(32)이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판(32)은 더블리벳(60)의 탄성슬릿(66)에 삽입되어 더블리벳(60)을 프레임(46)에서 분리할 때, 더블리벳(60)의 단부걸이턱(64)이 상기 제2걸이리브(24)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툴몸체(12)의 일측에는 끼움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끼움부(4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걸어빼기부(24)의 반대쪽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0)는 상기 툴몸체(12)에 일체로 돌출된 베이스단(42)에서 끼움봉(44)이 연장되어 돌출된다. 상기 끼움봉(44)은 봉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끼움봉(44)의 외경은 리벳의 내경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리벳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봉(44)에 상기 리벳을 끼운 상태에서 프레임(46)의 결합공(48)에 리벳을 끼우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프레임(46)과 이단리벳(50) 및 더블리벳(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46)은 대체로 판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체로 사각형의 판이나 다양한 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6)에는 다수개의 결합공(48)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48)은 상기 프레임(46)에 다수개가 가로 세로로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48)의 양측 입구 내측에는 걸림턱(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9)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단리벳(50)과 더블리벳(60)의 제1 및 제2 걸이턱(54,56) 또는 단부걸이턱(64)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46)은 2개 또는 3개가 겹쳐져서 리벳에 의해 결합된다.
다음으로, 이단리벳(50)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4에는 참고로 상기 이단리벳(50)의 단면구성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단리벳(50)은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3단리벳과 길이만 다르고 동일한 구성이다. 이단리벳(50)의 골격을 몸체부(5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2)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일단부에는 분리걸이턱(53)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걸이턱(53)은 상기 몸체부(52)의 일측 단부의 외면을 둘러 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분리걸이턱(53)은 상기 프레임(46)의 결합공(48)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상기 분리걸이턱(53)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부(52)의 외면을 둘러서는 제1걸이턱(5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턱(54)은 상기 프레임(46)의 걸림턱(49)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걸림턱(49)이 형성하는 내경보다 상기 제1걸이턱(54)이 형성하는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걸이턱(54)이 형성하는 외경은 상기 분리걸이턱(53)이 형성하는 외경보다는 작다.
상기 분리걸이턱(53)이 형성된 반대쪽의 몸체부(52) 끝부분에는 제2걸이턱(56)이 구비된다. 상기 제2걸이턱(56)은 상기 제1걸이턱(54)과 같은 치수와 형상을 가지나 탄성슬릿(48)에 의해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탄성슬릿(48)은 상기 몸체부(52)의 끝부분이 몸체부(5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잘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슬릿(48)은 상기 몸체부(52)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탄성슬릿(48)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슬릿(48)은 상기 몸체부(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52)의 일측 끝부분까지 형성된다. 참고로, 3단리벳은 상기 몸체부(52)의 길이가 이단리벳(50)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단리벳(50)의 몸체부(52)의 내부에는 격판(59)이 있다. 상기 격판(59)은 상기 몸체부(52)의 내부를 양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더블리벳(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더블리벳(60)의 골격을 몸체부(6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60)도 역시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부(62)의 양측 단부에 각각 단부걸이턱(64)이 형성된다. 그리고, 더블리벳(60)에서는 상기 몸체부(62)의 양단부까지 탄성슬릿(6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62)의 중간부분의 일정 구간을 제외하고는 상기 탄성슬릿(66)이 상기 몸체부(62)의 양단부까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성슬릿(66)도 상기 몸체부(62)의 양단에 형성된 것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벳툴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리벳을 상기 프레임(46)의 결합공(48)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끼움부(40)의 끼움봉(55)에 리벳을 끼운다. 상기 끼움봉(55)의 리벳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단리벳(50)의 경우, 상기 탄성슬릿(58)이 형성되지 않은 쪽에 끼움봉(55)을 끼우게 된다. 상기 더블리벳(60)의 경우에는 상기 탄성슬릿(66)이 양단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슬릿(66)이 형성된 부분에 끼울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리벳을 상기 프레임(46)의 결합공(48)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리벳의 탄성슬릿(58,66)에 의해 몸체부(52,62)의 단부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걸림턱(49)을 지나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이단리벳(50)의 경우 2장의 프레임(46)을 결합시키므로 반대쪽에 있는 프레임(46)의 결합공(48)의 걸림턱(49)에 걸어진다. 3단리벳의 경우는 3장의 프레임(46)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역시 제일 반대쪽 프레임(46)의 결합공(48)의 걸림턱(49)에 걸어진다. 이단리벳(50)이 2장의 프레임(46)을 결합하고 있는 상태는 도 5에서 볼 수 있다.
상기 더블리벳(60)은 해당 프레임(46)의 결합공(48)의 반대쪽 걸림턱(49)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더블리벳(60)이 하나의 프레임(46)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도 7에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이단리벳(50)을 프레임(46)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리벳툴(10)의 제1걸어빼기부(14)를 상기 이단리벳(50)의 분리걸이턱(53)에 걸게 된다. 즉 상기 제1걸어빼기부(14)가 형성된 툴몸체(12)의 단부를 상기 프레임(46)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상기 제1걸이리브(20)가 상기 분리걸이턱(53)과 프레임(4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툴몸체(12)를 도 6에 도시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상기 제1걸이리브(20)가 상기 분리걸이턱(53)을 밀어올리면서 이단리벳(50)이 결합공(48)에서 빠지게 한다. 즉, 상기 리벳툴(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이단리벳(50)의 탄성슬릿(58)이 형성된 단부가 탄성변형되면서 걸림단(49)에서 제2걸이턱(56)이 빠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단리벳(50)이 결합공(48)에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단리벳(50)이 상기 결합공(48)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급작스럽게 동작이 일어나면 상기 이단리벳(50)이 상기 제1개방관통부(18)를 통과하여 상부로 튀어나오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스톱리브(22)에 의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제1개방관통부(18)가 상기 제1돌출판(16)의 선단쪽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이 부분으로 이단리벳(50)이 빠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돌출판(16)의 선단에 작업자가 엄지손가락을 위치시키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3단리벳의 경우 몸체부의 길이가 더 길고 3개의 프레임(46)에 걸쳐 설치되므로 2개의 걸림턱(49)을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23)이 필요한다. 즉, 첫번째 걸림턱(49)을 통과할 때는 상기 툴몸체(12)의 단부 바닥이 지점이 되면 충분하나, 2번째 걸림턱(49)을 통과할 때는 상기 지지단(23)이 프레임(46) 상에 지지되는 지점이 되어야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더블리벳(60)을 프레임(46)의 결합공(48)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벳툴(10)의 제2걸어빼기부(24)의 선단인 상기 제1돌출판(26)의 선단이 상기 프레임(46)의 결합공(48)에 삽입되어 절반 정도가 돌출되어 있는 더블리벳(60)에 인접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슬릿(6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페이서판(32)의 선단이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걸어빼기부(24)를 전진시키면, 상기 제2걸이리브(30)가 상기 단부걸이턱(64)에 걸어지고, 상기 스페이서판(32)은 상기 탄성슬릿(66)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판(32)이 상기 탄성슬릿(66)에 들어감에 의해 상기 탄성슬릿(66)이 형성된 몸체부(62)의 단부가 탄성변형되지 않고 상기 제2걸어빼기부(24)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벳툴(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상기 더블리벳(60)에 잘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제2걸어빼기부(24)에 걸어진 반대쪽의 단부걸이턱(64)이 결합공(48)의 걸림턱(49)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힘을 더블리벳(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제2걸어빼기부(24)에 상기 더블리벳(60)이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걸어빼기부(24)가 상기 더블리벳(60)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리벳툴(10)을 기울이면 상기 더블리벳(60)이 프레임(46)의 결합공(48)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부(40)가 상기 제2걸어빼기부(24)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걸어빼기부(14) 쪽에 상기 끼움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제1걸어빼기부(14)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10: 리벳툴 12: 툴몸체
14: 제1걸어빼기부 16: 제1돌출판
18: 제1개방관통부 20: 제1걸이리브
22: 스톱리브 24: 제2걸어빼기부
26: 제2돌출판 28: 제2개방관통부
30: 제2걸이리브 32: 스페이서판
40: 끼움부 42: 베이스단
44: 끼움봉 46: 프레임
48: 결합공 49: 걸림턱
50: 이단리벳 52: 몸체부
53: 분리걸이턱 54: 제1걸이턱
56: 제2걸이턱 58: 탄성슬릿
60: 더블리벳 62: 몸체부
64: 단부걸이턱 66: 탄성슬릿

Claims (5)

  1.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리벳을 장착하고 분리하는 리벳툴에 있어서,
    툴몸체와,
    상기 툴몸체의 일단부에 툴몸체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벳에 형성된 분리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에 걸어져 리벳을 상기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제1걸어빼기부와,
    상기 툴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제1걸어빼기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내부 중앙에 스페이서판이 구비되어 리벳에 형성된 탄성슬릿에 상기 스페이서판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단부걸이턱에 걸어져 리벳을 상기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제2걸어빼기부와,
    상기 제1걸어빼기부나 제2걸어빼기부중 어느 하나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툴몸체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베이스단에 상기 리벳의 내부에 압입되는 끼움봉이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리벳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어빼기부는 상기 툴몸체에서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그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툴몸체의 연장방향으로 제1개방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돌출판과, 상기 제1개방관통부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제1돌출판의 내면을 둘러 상기 리벳의 분리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이 걸어지는 제1걸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리브에서 상기 분리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의 두께보다 더 먼 거리에 떨어져 형성되는 스톱리브를 포함하는 리벳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어빼기부에는 상기 제1돌출판의 연장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지지단이 구비되는 리벳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어빼기부는 상기 툴몸체에서 한쌍이 나란히 연장되고 그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툴몸체의 연장방향으로 제2개방관통부가 형성되는 제2돌출판과, 상기 제2개방관통부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제2돌출판의 내면을 둘러 상기 리벳의 제2걸이턱이나 단부걸이턱이 걸어지는 제2걸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판의 사이에 상기 리벳에 형성된 탄성슬릿에 위치되는 스페이서판이 구비되는 리벳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 밀어빼기부나 제2 밀어빼기부중 가까운 쪽의 것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벳툴.
KR1020120057647A 2012-05-30 2012-05-30 리벳툴 KR20130134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47A KR20130134255A (ko) 2012-05-30 2012-05-30 리벳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47A KR20130134255A (ko) 2012-05-30 2012-05-30 리벳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55A true KR20130134255A (ko) 2013-12-10

Family

ID=4998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47A KR20130134255A (ko) 2012-05-30 2012-05-30 리벳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6944A (zh) * 2020-12-02 2021-02-02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安装弹性件的工装组件及弹性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6944A (zh) * 2020-12-02 2021-02-02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安装弹性件的工装组件及弹性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367B2 (en) Fastener
US10194719B2 (en) Enhanced slider
JP5969032B2 (ja) 引出し
US20140082896A1 (en) Enhanced slider
US20140216862A1 (en) Wheel Brake Set For Luggage Case
EP3444564B1 (en) Level with removable end cap
US20120222829A1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JP2007005701A (ja) リモコンケース
JP2012076800A (ja) 収納箱の仕切構造及び収納箱
KR20130134253A (ko) 리벳툴
KR200472150Y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브
KR20130134255A (ko) 리벳툴
JP2010144830A (ja) 固定具
TWM512073U (zh) 固定裝置
KR101581410B1 (ko) 탄성리벳 탈착용 리벳툴
KR101350031B1 (ko) 자동차 매트 후크
JP5975701B2 (ja) 引戸の引手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JP3196242U (ja) クイックバックル
JP5664867B2 (ja) ラック
KR100922206B1 (ko) 커넥터의 록킹장치
US20140290316A1 (en) Anti-theft display hanger for a socket
KR200446696Y1 (ko) 정션박스
JP4031485B2 (ja) 留め具
JP6074638B2 (ja) ファス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