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22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222A
KR20180053222A KR1020170135192A KR20170135192A KR20180053222A KR 20180053222 A KR20180053222 A KR 20180053222A KR 1020170135192 A KR1020170135192 A KR 1020170135192A KR 20170135192 A KR20170135192 A KR 20170135192A KR 20180053222 A KR20180053222 A KR 2018005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base
fixed
ar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278B1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히로아키 오비카네
다카유키 니시무라
아키히로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와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커넥터 (10) 의 부가 부재 (40) 는, 회로 기판 (80) 에 고정되는 피고정부 (52) 와, 피고정부 (52)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부 (50) 와, 기부 (50) 로부터 횡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아머부 (54) 와, 기부 (50) 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부 (56) 와, 스프링부 (56) 에 지지되는 돌출부 (58) 를 갖고 있다. 기부 (50) 는, 상대측 커넥터 (70) 를 수용하는 수용부 (22) 의 횡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부가 부재 (40) 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스프링부 (56) 는, 아머부 (54)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돌출부 (58) 의 일부는, 수용부 (22) 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부 (56) 가 기부 (50) 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 (562) 는, 아머부 (54) 중 횡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최내측부 (542) 에 비해, 피고정부 (52) 에 가깝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스프링부에 의해 지지된 돌출부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이 타입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6 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넥터 (도시 생략) 는, 하우징(도시 생략) 에 부착된 전원 단자 (부가 부재) (90) 를 구비하고 있다. 부가 부재 (90) 는 규제부 (아머부) (910) 와, 탄성 아암부 (스프링부) (920) 와, 접촉부 (돌출부) (930) 를 갖고 있다. 스프링부 (920) 는 아머부 (910)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돌출부 (930) 는 스프링부 (920) 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는, 전원 단자 (98) 를 구비한 상대측 커넥터 (도시 생략) 와 상하 방향 (Z 방향) 을 따라 끼워 맞춤 가능하다. 전원 단자 (98) 는, 피부착부 (982) 를 갖고 있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면, 전원 단자 (98) 는 부가 부재 (90) 의 내측에 수용되고, 피부착부 (982) 는 돌출부 (930) 와 접촉한다. 즉, 커넥터는, 스프링부 (920) 에 의해 지지된 돌출부 (930) 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22189호
특허문헌 1 의 발명에 있어서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질 때, 상대측 커넥터가 아머부 (910) 와 충돌하여, 아머부 (910) 가 가압되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프링부 (920) 및 돌출부 (930) 가 이동하여, 전원 단자 (98) 와 돌출부 (930) 가 설계한 대로 접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와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로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상물 상에 탑재 가능하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끼워 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단자와, 부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및 상기 부가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부위이고,
상기 부가 부재는 피고정부와, 기부 (基部) 와, 아머부와, 스프링부와,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커넥터의 사용시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기부는,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아머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횡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횡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부가 부재를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아머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는, 상기 아머부 중 상기 횡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해, 상기 피고정부에 가까운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2 커넥터로서, 제 1 커넥터이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U 자 형상 또는 J 자 형상을 갖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3 커넥터로서, 제 1 또는 제 2 커넥터이고,
상기 기부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4 커넥터로서, 제 1 에서 제 3 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5 커넥터로서, 제 1 에서 제 4 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이고,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횡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아머부의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고정부의 위치와 중첩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6 커넥터로서, 제 1 에서 제 5 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이고,
상기 부가 부재는, 상기 피고정부, 상기 기부, 상기 아머부, 상기 스프링부 및 상기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주부를 2 개 갖고 있고,
2 개의 상기 주부는, 상기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 7 커넥터로서, 제 6 커넥터이고,
상기 부가 부재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2 개의 상기 주부의 상기 기부 또는 상기 아머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부가 부재를 상하 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대측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는, 예를 들어,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나, 상대측 커넥터와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는, 스프링부에 지지된 돌출부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부가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는, 스프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아머부 중 횡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 (최내측부) 에 비해, 대상물에 고정되는 피고정부에 가깝다. 이 배치에 의해, 아머부가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어 변형된 경우에도, 피고정부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점부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점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부 및 스프링부에 지지된 돌출부도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와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대측 커넥터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커넥터를 탑재하는 회로 기판의 윤곽을 이점 쇄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대측 커넥터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회로 기판의 윤곽을 이점 쇄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상대측 커넥터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를 Ⅴ-Ⅴ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커넥터의 부가 부재의 주부 근방 (파선 A 로 둘러싼 부분) 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커넥터의 부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8 은 도 6 의 부가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 는 도 6 의 부가 부재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0 은 도 6 의 부가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1 은 도 6 의 부가 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접촉부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회로 기판의 윤곽을 이점 쇄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2 는 도 11 의 부가 부재를 XII-XI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부가 부재의 주부에 있어서의 각 부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기부 및 아머부가 연장되는 경로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윤곽을 일점 쇄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4 는 도 13 의 주부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주부의 각 부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부위의 윤곽은, 다른 부위 아래에 숨겨진 윤곽도 포함하여 실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 15 는 도 13 의 위치 관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 은 특허문헌 1 의 전원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상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대상물 (회로 기판) (80) 상에 탑재 가능하다. 즉, 커넥터 (10) 는, 사용시에 회로 기판 (80) 에 탑재되는 기판 커넥터이다. 또, 커넥터 (10) 는, 상대측 커넥터 (70) 와 Z 방향 (끼워 맞춤 방향) 을 따라 끼워 맞춤 가능하다. 커넥터 (10) 는, 상대측 커넥터 (70) 와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써 상대측 커넥터 (70) 는, 회로 기판 (80) 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 는 리셉터클이고,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인 상대측 커넥터 (70) 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10) 는 플러그여도 된다.
도 1 에서 도 4 까지를 참조하면, 커넥터 (10) 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20) 과,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 (30) 와, 금속 등의 굽힘 가공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2 개의 부가 부재 (4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에서 도 5 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0) 은 외벽 (24) 과, 바닥벽 (26) 과, 돌출부 (28) 를 갖고 있다. 외벽 (24) 은, XY 평면에 있어서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외벽 (24) 은 2 개의 측벽 (242) 과, 2 개의 연결벽 (244) 을 갖고 있다. 측벽 (242) 의 각각은 전후 방향 (X 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연결벽 (244) 의 각각은 횡 방향 (Y 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2 개의 측벽 (242) 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를 Y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바닥벽 (26) 은, 하우징 (20) 의 하단 (-Z 측의 가장자리) 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 (28) 는, XY 평면에 있어서의 하우징 (20) 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고, 바닥벽 (26) 으로부터 상방 (+Z 방향) 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측벽 (242) 의 각각은, 단자 (30) 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 (248) 를 갖고 있다. 유지부 (248) 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 (242) 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20) 은 수용부 (22) 를 갖고 있다. 수용부 (22) 는, 외벽 (24) 과 돌출부 (28)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부 (22) 는,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 (20) 은, 상면 (20U) 과 하면 (20L) 을 갖고 있다. 상면 (20U) 은 커넥터 (10) 의 상단 (+Z 측의 가장자리) 에 위치하고 있고, 하면 (20L) 은 커넥터 (10) 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면 (20U) 은 외벽 (24) 의 상면이고, 하면 (20L) 은 외벽 (24) 의 하면이다.
도 3 에서 도 5 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자 (30) 의 수는 6 이다. 단자 (30) 의 각각은 신호 단자로, 접촉부 (32) 와, 피유지부 (34) 와, 피고정부 (38) 를 갖고 있다. 단자 (30) 의 각각은 하우징 (20) 에 유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5 를 참조하면, 3 개의 단자 (30) 의 피유지부 (34) 는, +Y 측의 측벽 (242) 의 유지부 (248) 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다른 3 개의 단자 (30) 의 피유지부 (34) 는, -Y 측의 측벽 (242) 의 유지부 (248)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단자 (30) 의 각각에 있어서, 접촉부 (32) 는, 피유지부 (34) 로부터 돌출부 (28) 의 내부까지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수용부 (22) 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 (32) 의 각각은,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의 대응하는 상대측 신호 단자 (도시 생략) 와 접촉되고, 이로써,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단자 (30) 의 각각에 있어서, 피고정부 (38) 는, 피유지부 (34) (도 5 참조) 로부터 Y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피고정부 (38) 의 각각은, 커넥터 (10) 의 사용시에,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80) 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단자 (30) 의 구조나 배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 (30) 의 수는 6 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자 (30) 를 유지하는 부위는, 외벽 (24) 의 유지부 (248) 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자 (30) 의 각각은 신호 단자가 아니어도 된다. 또, 하우징 (20) 은 수용부 (22) 를 갖고 있는 한, 어떠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가 부재 (40) 의 각각은, 절곡된 1 장의 금속판이다. 도 1 에서 도 5 까지를 참조하면, 2 개의 부가 부재 (40) 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다. 2 개의 부가 부재 (40) 는 하우징 (20) 에 유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2 개의 부가 부재 (40) 는,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YZ 평면에 대해 서로 거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가 부재 (40) 의 수는 1 이어도 된다. 또, 부가 부재 (40) 는 서로 다소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부가 부재 (40) 의 각각은, 복수의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복수의 부가 부재 (40) 를 구비하는 경우, 제조 비용을 삭감한다는 관점에서, 부가 부재 (40) 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 장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2 개의 부가 부재 (40) 중 전측 (前側) (+X 측) 의 부가 부재 (40) 를 중심으로, 구조, 커넥터 (10) 에 있어서의 배치 및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개의 부가 부재 (40) 는 동일 부품이다. 따라서, 이하의 전측의 부가 부재 (40) 에 대한 설명은, X 방향에 있어서의 방향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고, 후측 (-X 측) 의 부가 부재 (40) 에 대해서도 그대로 들어맞는다.
도 7 에서 도 12 까지를 참조하면, 부가 부재 (40) 는, XZ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부가 부재 (40) 는 2 개의 주부 (42) 와, 연결부 (44) 와, 2 개의 협지부 (46, 48) 를 갖고 있다. 2 개의 주부 (42) 는, Y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XZ 평면에 대해 서로 거울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연결부 (44) 는, 전체적으로 Y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Y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 (44) 의 양단부는, 후방 (-X 방향) 으로 연장되어 있고, 2 개의 주부 (42) 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협지부 (46, 48) 의 각각은, Y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 (44) 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다. 협지부 (46) 는, 연결부 (44) 로부터 만곡하면서 후방 및 하방(-Z 방향) 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협지부 (48) 는, 연결부 (44) 로부터 만곡하면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부가 부재 (40) 는, 하우징 (20) 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이 결과, 부가 부재 (40) 의 연결부 (44) 는, 외벽 (24) 의 연결벽 (244) 의 상단부에 매립되어 있고, 부가 부재 (40) 의 2 개의 협지부 (46, 48) 는, 연결벽 (244) 을 X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하여 연결벽 (244) 에 매립되어 있다. 2 개의 주부 (42) 는, 부분적으로 2 개의 측벽 (242) 에 각각 매립되어 있다. 이로써, 2 개의 주부 (42) 는, Y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 (22) 를 협지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부가 부재 (40) 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 (20) 에 부착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가 부재 (40) 는, 하우징 (20) 에 압입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부가 부재 (40) 는, 상방으로부터 측벽 (242) 및 연결벽 (244) 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부가 부재 (40) 는, 주부 (42) 를 하나만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10) 는, 주부 (42) 만으로 이루어지는 부가 부재 (40) 를 필요한 수만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도 7 에서 도 12 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부 (42) 의 각각은 기부 (50) 와, 피고정부 (52) 와, 아머부 (54) 와, 스프링부 (56) 와, 돌출부 (58) 를 갖고 있다. 즉, 부가 부재 (40) 는 2 개의 기부 (50) 와, 2 개의 피고정부 (52) 와, 2 개의 아머부 (54) 와, 2 개의 스프링부 (56) 와, 2 개의 돌출부 (58) 를 갖고 있다.
도 7 에서 도 9 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주부 (42) 는 연결부 (44)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 (44) 는, 2 개의 주부 (42) 의 기부 (50) 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 (44) 는, 2 개의 주부 (42) 의 아머부 (54) 를 서로 연결하고 있어도 된다.
도 7,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피고정부 (52) 는 주부 (42) 의 하면으로, 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피고정부 (52) 는, Z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20) 의 하면 (20L) (즉, 커넥터 (10) 의 하단) 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피고정부 (52) 는, 커넥터 (10) 의 사용시에,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80) 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7,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기부 (50) 는, 피고정부 (52) 로부터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부 (50) 와 피고정부 (52) 사이의 경계부 (502) 는, 피고정부 (52) 그 자체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부 (50) 는, 평판부 (504) 와, 만곡부 (506) 와, 상판부 (508) 를 갖고 있다. 평판부 (504) 는 XZ 평면과 평행한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피고정부 (52) 로부터 상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평판부 (504) 의 상부 (+Z 측의 부위) 는, 후방으로 장출되어 있다. 만곡부 (506) 는, 평판부 (504) 의 상단으로부터, 만곡하면서 상방 및 Y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판부 (508) 는, XY 평면과 평행한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만곡부 (506) 로부터 Y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 도 8 및 도 11 을 참조하면, 아머부 (54) 는, 기부 (50) 의 상판부 (508) 의 Y 방향 내측의 가장자리로부터, Y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머부 (54) 는, 만곡하면서 하방 및 Y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아머부 (54) 는, 수용부 (22) 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장되는 아머부 (54) 는, 최내측부 (542) 를 갖고 있다. 최내측부 (542) 는, 아머부 (54) 중 Y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머부 (54) 의 최내측부 (542) 는 아머부 (54) 의 선단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머부 (54) 의 선단 부분은, 기부 (50) 의 평판부 (504) 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아머부 (54) 의 최내측부 (542) 는, 아머부 (54) 의 선단보다 Y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 7 에서 도 10 까지를 참조하면, 스프링부 (56) 는, 기부 (50)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기부 (50) 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부 (56) 는, 스프링부 (56) 와 기부 (50) 사이의 경계부 (기점부) (562) 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프링부 (56) 는, 기점부 (562) 에 더하여, 제 1 스프링부 (564) 와, 제 2 스프링부 (566) 와, 제 3 스프링부 (568) 를 갖고 있다. 제 1 스프링부 (564) 는, 기점부 (562) 로부터 X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스프링부 (566) 는, 제 1 스프링부 (564) 의 후단 (-X 측의 가장자리) 으로부터, 만곡하면서 후방 및 Y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다음으로 Y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후, 만곡하면서 전방 및 Y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스프링부 (568) 는, 제 2 스프링부 (566) 중 Y 방향 내측의 부위의 전단 (+X 측의 가장자리) 으로부터, 아머부 (54) 의 하방을 지나 X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프링부 (56) 는, 상기 서술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XY 평면 내에 있어서 J 자 형상을 갖고 있고, 높은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특히, 제 3 스프링부 (568) 는, X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고, 제 3 스프링부 (568) 의 스프링성은 높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부 (56) 의 구조는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X 방향에 있어서의 기점부 (562) 의 위치를 전방으로 어긋나게 하여, 제 1 스프링부 (564) 의 길이를 제 3 스프링부 (568) 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프링부 (56) 는, XY 평면 내에 있어서 U 자 형상을 갖는다.
도 7, 도 9 및 도 11 을 참조하면, 돌출부 (58) 는, 스프링부 (56) 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 (58) 는, 스프링부 (56) 의 제 3 스프링부 (568) 의 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Y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부가 부재 (40) 를 Z 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스프링부 (56) 의 제 3 스프링부 (568) 는, 아머부 (54) 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 3 스프링부 (568) 중 X 방향에 있어서 아머부 (54) 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부위는, 아머부 (54) 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부 (56) 는, 아머부 (54)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아머부 (54) 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스프링부 (56) 중 제 3 스프링부 (568) 전체를 덮어도 된다. 또, 스프링부 (56) 를, 기부 (50) 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Y 방향 내측으로 연장시켜, 스프링부 (56) 전체를 아머부 (54) 에 의해 덮어도 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기부 (50) 는, 상판부 (508) 의 일부 및 하단 근방의 부위를 제외하고 하우징 (20) 의 측벽 (242) 에 매립되어 있고, 이로써 하우징 (20) 에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스프링부 (56) 의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는 측벽 (242) 에 매립되어 있고, 이로써 하우징 (20)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부 (56) 의 제 3 스프링부 (568) 는, 측벽 (242) 에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하우징 (20)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제 3 스프링부 (568) 에 지지된 돌출부 (58) 는,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는 하우징 (20) 에 매립되어 있고, 하우징 (20)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의 일방 또는 양방은 하우징 (20) 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 (20)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기부 (50) 는, Y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 (22) 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부가 부재 (40) 를 Z 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커넥터 (10) 가 상대측 커넥터 (70) 와 끼워 맞춰져 있지 않은 미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 (58) 는, 수용부 (22) 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돌출부 (58) 는,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에 대해 가압되어 상대측 커넥터 (70) 와 접촉한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 (58) 는,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의 상대측 접촉부 (72) 와 접촉한다. 상대측 접촉부 (72) 는, 예를 들어, 상대측 전원 단자이다. 이 경우, 돌출부 (58) 는, 커넥터 (10) 의 전원 단자의 접촉부이고,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접촉부 (72)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대측 커넥터 (70) 는, 상대측 접촉부 (72) 대신에, 상대측 걸어 맞춤부 (도시 생략)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출부 (58) 는, 커넥터 (10) 의 걸어 맞춤부이고,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져 끼워 맞춤 상태를 로크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스프링부 (56) 에 의해 지지된 돌출부 (58) 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와 접속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 (58) 전체가 수용부 (22) 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 (58) 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 (22) 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가 부재 (40) 의 주부 (42) 의 각각에 대해, 하방으로 만곡한 아머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머부 (54) 는, 하우징 (20)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 3 스프링부 (568) (도 7 참조) 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의 끼워 맞춤 과정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는, 돌출부 (58) 와의 접촉 전에 제 3 스프링부 (568) 를 변형시키지 않고, 아머부 (54) 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순조롭게 가이드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부가 부재 (40) 의 주부 (42) 의 각각에 있어서, 아머부 (54) 및 제 3 스프링부 (568) 를 제외한 부위는, 하우징 (20) 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아머부 (54) 및 제 3 스프링부 (568) 만이, 하우징 (20)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게다가, 아머부 (54) 와 제 3 스프링부 (568) 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의 끼워 맞춤 과정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 (70) 가 아머부 (54) 와 충돌하여, 아머부 (54) 를 탄성 변형시킬 정도의 비교적 작은 가압력을 아머부 (54) 에 가했다고 해도, 제 3 스프링부 (568) 는, 이 가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제 3 스프링부 (568) 에 지지된 돌출부 (58) 는 가압력에 의해서는 이동하지 않고, 상대측 접촉부 (72) (도 11 참조) 와 설계대로 접촉한다.
도 3 을 도 11 과 함께 참조하면, 부가 부재 (40) 의 아머부 (54) 에 가해진 상대측 커넥터 (70) 의 가압력은, 기부 (50) 및 피고정부 (52) 를 경유하여 회로 기판 (80) 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가압력이 아머부 (54) 를 소성 변형시킬만큼 큰 경우에도, 부가 부재 (40) 중 피고정부 (52) 에 가까운 부위는, 가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도 13 을 참조하면, 스프링부 (56) 는, 상기 서술한 가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 (56) 가 기부 (50) 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 (562) 는, 아머부 (54) 의 최내측부 (542) 에 비해, 피고정부 (52) 에 가깝다. 이 배치에 의해, 아머부 (54) 가 상대측 커넥터 (70) 에 가압되어 변형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 된 경우에도, 피고정부 (52) 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점부 (562) 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점부 (562) 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부 (56) 및 스프링부 (56) 에 지지된 돌출부 (58) 도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도 3 참조) 에 의하면, 돌출부 (58) 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 (70) (도 3 참조) 와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부가 부재 (40) 에 있어서, 스프링부 (56) 의 기점부 (562)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피고정부 (52) 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동일하다. 즉, 기점부 (562) 와 피고정부 (52) 사이의 Y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D0 (도 15 참조) 은 제로이다. 한편, Y 방향에 있어서, 아머부 (54) 의 최내측부 (542) 는, 기점부 (562) 로부터 거리 D1 만큼 떨어져 있다. 즉, Y 방향에 있어서, 기점부 (562) 와 피고정부 (52) 사이의 거리 D0 (도 15 참조) 은, 기점부 (562) 와 최내측부 (542) 사이의 거리 D1 에 비해 작다. 바꾸어 말하면, Y 방향에 있어서, 기점부 (562) 는, 최내측부 (542) 에 비해 피고정부 (52) 에 가깝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배치에 의해, 스프링부 (56) 에 대한 상기 서술한 가압력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점부 (562), 최내측부 (542) 및 피고정부 (52) 를 X 방향을 따라 본 경우, 피고정부 (52) 와 최내측부 (542) 사이를 기점부 (562) 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가상적인 경로 P1 을 정의할 수 있다. 경로 P1 상에 있어서, 기점부 (562) 와 피고정부 (52) 사이의 경로 길이 (연면 (沿面) 거리) 는, 기점부 (562) 와 최내측부 (542) 사이의 경로 길이 (연면 거리) 에 비해 짧다. 바꾸어 말하면, 기점부 (562), 최내측부 (542) 및 피고정부 (52) 를 X 방향을 따라 본 경우, 기부 (50) 및 아머부 (54) 가 연장되는 방향 (즉, 경로 P1 을 따른 방향) 에 있어서, 기점부 (562) 는, 최내측부 (542) 에 비해 피고정부 (52) 에 가깝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배치에 의해서도, 스프링부 (56) 에 대한 상기 서술한 가압력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부가 부재 (40) 에 있어서, 기부 (50) 의 평판부 (504) 는, 피고정부 (52) 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방을 향하는 상기 서술한 가압력에 확실하게 대항할 수 있다. 스프링부 (56) 는, 평판부 (504) 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가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 (58) 에 있어서의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의 접속 신뢰성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스프링부 (56) 는, 기부 (50) 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한, 평판부 (504) 이외의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부 (56) 는, 만곡부 (506) 로부터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부가 부재 (40) 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아머부 (54) 의 위치는, X 방향에 있어서의 피고정부 (52) 의 위치와 중첩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상기 서술한 가압력을 보다 확실하게 피고정부 (52) 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돌출부 (58) (도 13 참조) 에 있어서의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의 접속 신뢰성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가압력을, 확실하게 피고정부 (52) 로 분산시킨다는 관점에서, X 방향에 있어서의 아머부 (54) 의 위치는, X 방향에 있어서의 피고정부 (52) 의 위치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는, 이미 설명한 변형예에 더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더욱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부가 부재 (40) 에 있어서, 스프링부 (56) 의 제 3 스프링부 (568) 와, 기부 (50) 의 평판부 (504) 및 제 1 스프링부 (564) 로 이루어지는 Y 방향 외측의 부위 (외측 부위) 는, 하우징 (20) 의 측벽 (242) 의 일부 (소정 부위) 를 사이에 두고, Y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 이 소정 부위 (측벽 (242) 의 일부) 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제 3 스프링부 (568) 는, Y 방향에 있어서 외측 부위와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주부 (42) 는, 하우징 (20) 에 매립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부가 부재 (40) 에 있어서, 스프링부 (56) 의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를 하방으로 연장시켜,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의 하단을, 피고정부 (52) 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켜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연장시킨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의 하단을, 회로 기판 (80) (도 1 참조) 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 (10) 의 사용시에 있어서 제 1 스프링부 (564) 및 제 2 스프링부 (566) 는 스프링성을 잃는 한편, 스프링부 (56) (제 3 스프링부 (568))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돌출부 (58) 에 있어서의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의 접속 신뢰성을 더욱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 를 도 13 과 함께 참조하면, 변형예에 의한 부가 부재 (40A) 는, 부가 부재 (40) 의 주부 (42) 와 상이한 주부 (42A) 를 갖고 있다. 주부 (42A) 는, 기부 (50) 및 피고정부 (52) 와 각각 상이한 기부 (50A) 및 피고정부 (52A) 를 갖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주부 (42) 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기부 (50A) 는, 하단 근방에서 Y 방향 외측으로 굽혀져 있다. 피고정부 (52A) 는, 기부 (50A) 의 Y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부인 경계부 (502) 로부터 Y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스프링부 (56) 가 기부 (50A) 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 (562) 는, 아머부 (54) 의 최내측부 (542) 에 비해 피고정부 (52A) 에 가깝다. 상세하게는, Y 방향에 있어서, 기점부 (562) 와 피고정부 (52A) (경계부 (502)) 사이의 거리 D0 은, 기점부 (562) 와 최내측부 (542) 사이의 거리 D1 에 비해 작다. 또, 기점부 (562), 최내측부 (542) 및 피고정부 (52A) 를 X 방향을 따라 본 경우, 기점부 (562) 와 피고정부 (52A) 사이의 연면 거리 (경로 P1 을 따른 거리) 는, 기점부 (562) 와 최내측부 (542) 사이의 연면 거리에 비해 작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변형에 의해서도, 돌출부 (58) 에 있어서의 커넥터 (10) 와 상대측 커넥터 (70) 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커넥터
20 : 하우징
20U : 상면
20L : 하면
22 : 수용부
24 : 외벽
242 : 측벽
244 : 연결벽
248 : 유지부
26 : 바닥벽
28 : 돌출부
30 : 단자
32 : 접촉부
34 : 피유지부
38 : 피고정부
40, 40A : 부가 부재
42, 42A : 주부
44 : 연결부
46, 48 : 협지부
50, 50A : 기부
502 : 경계부
504 : 평판부
506 : 만곡부
508 : 상판부
52, 52A : 피고정부
54 : 아머부
542 : 최내측부
56 : 스프링부
562 : 경계부 (기점부)
564 : 제 1 스프링부
566 : 제 2 스프링부
568 : 제 3 스프링부
58 : 돌출부
70 : 상대측 커넥터
72 : 상대측 접촉부
80 : 대상물 (회로 기판)

Claims (7)

  1.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상물 상에 탑재 가능하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끼워 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단자와, 부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및 상기 부가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부위이고,
    상기 부가 부재는 피고정부와, 기부와, 아머부와, 스프링부와,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커넥터의 사용시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기부는,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아머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횡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횡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부가 부재를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아머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시인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는, 상기 아머부 중 상기 횡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해, 상기 피고정부에 가까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U 자 형상 또는 J 자 형상을 갖고 있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횡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아머부의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고정부의 위치와 중첩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부재는, 상기 피고정부, 상기 기부, 상기 아머부, 상기 스프링부 및 상기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주부를 2 개 갖고 있고,
    2 개의 상기 주부는, 상기 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개재하여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부재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2 개의 상기 주부의 상기 기부 또는 상기 아머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
KR1020170135192A 2016-11-11 2017-10-18 커넥터 KR101973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0535A JP6761736B2 (ja) 2016-11-11 2016-11-11 コネクタ
JPJP-P-2016-220535 201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22A true KR20180053222A (ko) 2018-05-21
KR101973278B1 KR101973278B1 (ko) 2019-04-26

Family

ID=6210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192A KR101973278B1 (ko) 2016-11-11 2017-10-1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03148B2 (ko)
JP (1) JP6761736B2 (ko)
KR (1) KR101973278B1 (ko)
CN (1) CN108075305B (ko)
TW (1) TWI6444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024B1 (ko) * 2018-02-23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7075912B2 (ja) * 2019-06-11 2022-05-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206169B2 (ja) * 2019-08-27 2023-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D941245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USD941246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JP7430273B2 (ja) * 2020-03-13 2024-02-09 深▲せん▼市長盈精密技術股▲ふん▼有限公司 基板対基板ソケット及び基板対基板コネクタ組立体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740252A (zh) * 2020-06-08 2020-10-0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449401B2 (ja) * 2020-06-16 2024-03-13 シェンチェン エバーウィン プレシジョン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基板対基板ソケ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2189A (ja) 2013-12-24 2015-07-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7952B2 (ja) * 2005-12-15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12347B2 (ja) * 2007-04-24 2010-02-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接続体
CN201060978Y (zh) * 2007-05-11 2008-05-14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TWM330605U (en) * 2007-08-24 2008-04-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I394327B (zh) * 2008-09-16 2013-04-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JP5049361B2 (ja) * 2010-02-10 2012-10-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07181B2 (ja) * 2011-02-07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JP5834243B2 (ja) * 2011-09-09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3118141A (ja) * 2011-12-05 2013-06-13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4170726A (ja) *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6293431B2 (ja) * 2013-03-05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148952B2 (ja) * 2013-03-14 2017-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9705223B2 (en) * 2013-10-31 2017-07-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cket, connector using such socket, and header used in such connector
JP2015118918A (ja) * 2013-11-15 2015-06-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05288B2 (ja) 2014-10-08 2015-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JP6591251B2 (ja) *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5680874U (zh) * 2016-06-23 2016-11-09 王花瑞 一种连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2189A (ja) 2013-12-24 2015-07-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03148B2 (en) 2018-06-19
JP6761736B2 (ja) 2020-09-30
TW201818614A (zh) 2018-05-16
US20180138624A1 (en) 2018-05-17
JP2018078072A (ja) 2018-05-17
CN108075305A (zh) 2018-05-25
CN108075305B (zh) 2019-05-17
KR101973278B1 (ko) 2019-04-26
TWI644483B (zh)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278B1 (ko) 커넥터
KR101962123B1 (ko) 커넥터
KR101784193B1 (ko) 커넥터
KR101797951B1 (ko) 커넥터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KR101162521B1 (ko) 컨택트 및 커넥터
KR101478584B1 (ko) 커넥터
US9583869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N108475869B (zh) 连接器
KR20080110570A (ko)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 커넥터
KR101738396B1 (ko) 커넥터 단자
JP2023160980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US10136539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JP2021118077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680180B1 (ko) 커넥터
JP2019135726A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2016009619A (ja) コネクタ
US20120015549A1 (en) Clip-type elastic contact piece and shielded connector housing assembly having the same
JP5201253B2 (ja) コネクタ端子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KR101479056B1 (ko) 쉴드커넥터
CN109841993B (zh) 连接器组件
KR20100089756A (ko) 전기 커넥터
JP5407612B2 (ja) 電気接続箱の組み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