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95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951B1
KR101797951B1 KR1020167030260A KR20167030260A KR101797951B1 KR 101797951 B1 KR101797951 B1 KR 101797951B1 KR 1020167030260 A KR1020167030260 A KR 1020167030260A KR 20167030260 A KR20167030260 A KR 20167030260A KR 101797951 B1 KR101797951 B1 KR 10179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round
spring portion
connecto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549A (ko
Inventor
요헤이 요코야마
마사아키 다카쿠
고헤이 우에다
다쓰야 시오다
요시오 미네기시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14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788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75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594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10)는, 접속공간(35)을 규정하는 지지부재(20)와, 셸(70)과, 셸(7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그라운드 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부재(100)는, 지지부재(20)와 셸(70)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부(110)와, 기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와, 상대측 그라운드부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점부(180)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스프링부(130)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부(140)와, 제1스프링부(140)의 후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스프링부(150)와, 제2스프링부(15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스프링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제3스프링부(16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스프링부(15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라운드 접점부(180)는 제3스프링부(160)에 지지되고 접속공간(35)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의 위치는 콘택트(60)의 위치와 중복하지 않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의 상대측 그라운드부(相對側 ground部)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점부(ground 接點部)를 구비한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는, 이러한 종류의 그라운드 접점부를 갖는 셸(shell)을 구비하고 있다.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의 셸은, 주부(主部)(900)의 전단(前端)(905)으로부터 되돌려진 되돌림부(910)와, 되돌림부(910)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부(spring部)(920)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부(920)에는, 상대측 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촉되는 그라운드 접점부(9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되돌림부(910)를 형성하면, 주부(900)에 스프링부(920)를 형성하기 위한 홈(개구(開口))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셸의 실드특성(shield 特性)이 손상되지 않는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54954호 공보
특허문헌1의 셸에 있어서는, 그라운드 접점부(930)의 위치가 커넥터의 전단으로부터 지나치게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셸의 그라운드 접점부(930)가, 상대측 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과 접속하기 전에 콘택트(contact)(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상대측 콘택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서로 접속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그라운드 접점부의 위치를 커넥터의 전단에 가깝게 한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상대측 그라운드부를 구비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지지부재(支持部材)와, 콘택트(contact)와, 셸과,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접속공간(接續空間)을 규정하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택트는, 접점(接點)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접속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셸은,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면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셸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셸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에서 연장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와, 상기 상대측 그라운드부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점부(ground 接點部)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부(ground spring部)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1스프링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스프링부는,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접점부는 상기 제3스프링부에 지지되고 상기 접속공간 안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부의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중복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운드 접점부는 셸과 별체(別體)의 그라운드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그라운드 부재는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접점부나, 그라운드 접점부를 탄성지지(彈性支持)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의 구조적 자유도(自由度)를 높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그라운드 접점부를 커넥터의 전단에 가깝게 하면서, 그라운드 접점부가 셸에 형성되어 있었을 경우와 전기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그라운드 스프링부가, 제1스프링부와, 제2스프링부와, 제3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스페이스가 한정된 범위 내에 있어서 비교적 긴 총 스프링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접점부의 이동량을 늘려서, 상대측 그라운드부에 대한 충분한 접촉압(接觸壓)을 확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커넥터를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지지부재의 주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3의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8은, 도6의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는, 도3의 지지부재의 주부재와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2의 커넥터의 일부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도2의 커넥터의 일부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도2의 커넥터의 일부를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은, 도2의 커넥터의 일부를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4는, 도2의 커넥터의 일부를 E--E선을 따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7은, 특허문헌1의 셸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connector)(10)는, 상대측 그라운드부(相對側 ground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는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전후방향(X방향)을 따라 결합이 가능하다. 도1 및 도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0)는, 가로방향(Y방향)에 있어서 대칭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상하방향(Z방향)에 있어서도 대칭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지지부재(20)와,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6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플레이트(ground plate)(65)와, 금속제의 셸(shell)(70)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그라운드 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3 및 도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단(前端)(22)을 갖고 있고,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주부재(主部材)(25)와, 주부재(25)에 수용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부부재(副部材)(3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부재(30)의 개수는 2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지지부재(20)는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2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의 주부재(25)는 접속공간(35)을 규정하고 있다. 도1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공간(35)은 커넥터(10)의 전단(12)에서 개구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주부재(25)에는 2개의 분리벽(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부재(25)에는, 분리벽(40)의 각각에 대하여 상하방향에 있어서 분리벽(40)을 관통하는 3개의 개구(開口)(42)가 형성되어 있다. 도11 및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벽(40)(지지부재(20))의 각각과 셸(70)의 사이에 그라운드 수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분리벽(40)의 각각은, 대응하는 그라운드 수용부(75)와 접속공간(35)을 분리시키고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벽(40)의 각각은, 2개의 기준면부(基準面部)(41)와, 2개의 제1제한부(44)와, 2개의 제2제한부(46)와, 1개의 부가적 제한부(付加的 制限部)(48)를 구비하고 있다.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부(41)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제한부(46)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구성하고 있고,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가적 제한부(48)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2제한부(46)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부가적 제한부(48)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준면부(41)와 부가적 제한부(48)는 동일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제한부(44)의 각각은, 가로방향에 있어서 2개의 개구(4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한부(44)는 제2제한부(46)와 부가적 제한부(48)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제한부(44)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함과 아울러 후방(-X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제한부(44)는, 전후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60)의 각각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상대측 접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속되는 접점(62)과, 접속부(64)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속부(64)는 중계기판(中繼基板)(200)의 패드(pad)(202)에 각각 접속된다. 중계기판(200)에는 예를 들면 케이블이 접속된다.
도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60)는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2개의 그룹은 부부재(3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각 그룹의 콘택트(60)는 가로방향(피치방향(pitch 方向))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65)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2개의 부부재(30)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플레이트(65)에는,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피로크부(被lock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로크(lock) 하는 로크부를 구비하는 로크 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60)를 지지한 부부재(30)와 그라운드 플레이트(65)는 주부재(25)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4, 도12 및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62)은 접속공간(35)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1 및 도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70)은,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면(YZ평면) 내에 있어서 지지부재(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도4, 도10 및 도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70)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부(前部)(71)를 구비하고 있다. 전부(71)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지지부재(20)의 전단(2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어 지지부재(20)의 전단(22)을 보호하고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부(71)는 2개의 직부(直部)(72)와, 2개의 곡부(曲部)(73)를 구비하고 있다. 직부(72)의 각각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직부(72)는 상하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곡부(73)의 각각은 직교면 내에 있어서 구부러져 있다. 곡부(73)는 전부(71)의 가로방향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곡부(73)의 각각은 2개의 직부(72)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5, 도6 및 도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부재(100)는 분리벽(40)에 각각 탑재되어 있다. 도1 및 도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70)은, 그라운드 부재(100)가 분리벽(40)에 탑재된 상태에서 지지부재(20)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4, 도11 및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부재(100)의 각각이 대응하는 그라운드 수용부(75)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부재(100)의 각각은, 2개의 기부(基部)(110)와, 2개의 기부(110)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스프링편(spring片)(120)과, 기부(110)로부터 스프링편(120)과는 별도로 연장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와, 상대측 커넥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의 상대측 그라운드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속되는 3개의 그라운드 접점부(180)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스프링부(130)는, 2개의 기부(110)를 서로 연결하는 부가적 스프링부(170)와, 2개의 제1스프링부(140)와, 1개의 제2스프링부(150)와, 3개의 제3스프링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접점부(180)는 제3스프링부(16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기부(110)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기부(110)의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기부(110)에는, 피제한부(被制限部)(112)와, 주부재(25)(도5 참조)에 압입되는 압입부(壓入部)(114)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114)는 기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제한부(112)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10)는, 분리벽(40)의 기준면부(41)에 탑재되어 있고, 지지부재(20)와 셸(7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피제한부(112)는, 셸(70)과 지지부재(20)에 끼워져 있어 이동이 제한되어 있고, 이에 따라 기부(110)는 기준면부(41)에 가압되어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120)의 각각은, 단부(短部)(122)와, 장부(長部)(124)로 이루어지는 L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대응하는 기부(1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단부(122)는 기부(1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장부(124)는 단부(122)로부터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120)의 장부(124)는 셸(70)에 가압되어 있어, 셸(7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가적 스프링부(170)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2개의 기부(11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부가적 스프링부(170)는 기부(110)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5, 도9 및 도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부가적 스프링부(170)는 부가적 제한부(48) 위에 위치하고 있다. 부가적 스프링부(170)가 부가적 제한부(48) 위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부가적 스프링부(170)와 셸(70)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부가적 제한부(48)와 셸(70)의 사이의 거리는 부가적 스프링부(170)의 사이즈(두께)보다 크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부가적 스프링부(170)는 셸(70)과 부가적 제한부(48)의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어, 스프링성(spring性)을 발휘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스프링부(140)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2개의 기부(1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제1스프링부(140)의 각각은, 부가적 스프링부(170)의 제2전단부(174)로부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전단부(174)는 제1스프링부(140)의 전단(+X쪽의 끝)이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프링부(140)는 제1제한부(44)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1제한부(44)는 제1스프링부(140)의 상하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스프링부(150)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2개의 제1스프링부(140)의 후단(後端)(142)(-X측의 끝)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스프링부(150)는 제1스프링부(140)의 후단(142)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스프링부(150)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제한부(46)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제한부(46)는, 제2스프링부(150)의 상하방향 내측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도6 내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제3스프링부(160) 중 1개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제1스프링부(14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나머지 2개는, 가로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제1스프링부(14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스프링부(160)의 각각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스프링부(150)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제2스프링부(150)의 후단(152)으로부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방(+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스프링부(160)가 제2스프링부(150)의 전단이 아니라 후단(15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3스프링부(160)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스프링부(160)는 개구(42)를 통하여 접속공간(35) 내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접점부(180)는 제3스프링부(160)에 지지되어 접속공간(35) 내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제1스프링부(140)와 제2스프링부(150)와 기부(110)는 그라운드 수용부(75)에 수용되어 있고(도10 및 도14 참조), 제3스프링부(160) 및 그라운드 접점부(180)는 개구(4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도9 및 도12 참조).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제한부(44) 및 제2제한부(46)에 상당하는 부위를 분리벽(40)에 형성하지 않고, 개구(42)를 크게 넓혀도 좋다. 제1스프링부(140) 및 제2스프링부(150)는, 이 구조에 의하여 접속공간(35)에 면(面)하더라도 좋다(도14 참조).
도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1스프링부(140)의 사이즈(두께)는, 분리벽(40)과 셸(70) 사이의 간극보다 작기 때문에, 제1스프링부(140)는 분리벽(40)과 셸(70)의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스프링부(150)의 사이즈(두께)는, 분리벽(40)과 셸(70) 사이의 간극보다 작기 때문에, 제2스프링부(150)는 분리벽(40)과 셸(70)의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도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3스프링부(160)는 개구(42) 내로 연장되기 때문에 휘어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스프링부(140), 제2스프링부(150) 및 제3스프링부(160)를 구비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130)는 스프링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그라운드 접점부(180)의 각각에 대하여 그라운드 스프링부(130)는, 제1스프링부(140), 제2스프링부(150) 및 제3스프링부(160)에 의하여 결정되는 스프링 길이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후방향에 있어서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 긴 스프링 길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스프링부(130)는, 스프링성을 구비하는 부가적 스프링부(170)를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라운드 스프링부(130)가 제1스프링부(140), 제2스프링부(150) 및 제3스프링부(160)뿐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긴 스프링 길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접점부(180)의 이동량이 더 커지게 되어, 더 큰 접촉력(接觸力)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스프링부(150)(즉, 제1스프링부(140)의 후단(142))는, 제1스프링부(140)의 전단(제2전단부(174))과 그라운드 접점부(18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스프링부(150)는 제1스프링부(140)의 전단보다 상하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하방향에 있어서 제2스프링부(150)의 외측에는 비교적 큰 스페이스(space)가 위치하고 있다. 제2스프링부(150) 자체도 상기의 스페이스에 있어서 휘어질 수 있는 동시에, 제1스프링부(140)도 크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프링부(140)의 전단(제2전단부(174))과 후단(142)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라운드 접점부(180)의 이동량이 더 커지게 되어, 더 큰 접촉력을 얻을 수 있다.
도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부재(10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콘택트(6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중복하지 않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방향에 있어서 그라운드 부재(100)와 콘택트(60)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다.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부재(100)와 콘택트(60)를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Y방향이나 Z방향)을 따라 그라운드 부재(100)와 콘택트(60) 이외의 부재를 투과하여 보았을 경우에, 그라운드 부재(100)와 콘택트(60)는 서로 겹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 스프링부(130)는 어느 정도 크게 변형되더라도 콘택트(60)에 접촉되지 않는다.
단 콘택트(60)가 그라운드 콘택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그라운드 콘택트는 그라운드 부재(100)와 전후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기부(110)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그라운드 콘택트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같은 경우에, 기부(11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그라운드 콘택트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부분적으로 중복하고 있더라도 좋다. 단,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와 콘택트(60)의 접촉을 확실하게 피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그 경우이더라도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콘택트(6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중복하지 않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방향에 있어서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와 콘택트(60)는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와 콘택트(60)를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Y방향이나 Z방향)을 따라 그라운드 부재(100)와 콘택트(60) 이외의 부재를 투과하여 보았을 경우에, 그라운드 스프링부(130)와 콘택트(60)는 서로 겹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체적인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그라운드 부재(100)는 부가적 스프링부(170)를 포함하고 있지만, 그라운드 부재(100)는 부가적 스프링부(170)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부가적 스프링부(170)를 셸(70)과 지지부재(20)의 사이에 고정하여 부가적 스프링부(170)의 스프링성을 없게 하더라도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피제한부(112)를 제2전단부(174)에 형성함으로써 부가적 스프링부(170)를 기부(110)의 일부로서 사용하더라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부가적 스프링부(170)는 미앤더형상(meander 形狀)을 구비하고 있다. 단, 전후방향에 있어서 사이즈(size)에서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부가적 스프링부(170)를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벽(前壁)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의 커넥터(10)의 셸(70)은,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좋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의한 커넥터(10A)의 셸(70A)은 전부(71A)를 구비하고 있다. 전부(71A)는 복수의 슬릿(slit)(77, 78)을 구비하고 있다.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77, 78)의 각각은 직교면 내에 있어서 셸(70A)의 내외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도1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슬릿(77, 78)의 각각은,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부(71A)는, 2개의 직부(72A)와, 2개의 곡부(73A)를 구비하고 있다. 곡부(73A)의 각각에는, 2개의 슬릿(77)이 형성되어 있고, 곡부(73A)와 2개의 직부(72A) 사이의 경계에는 슬릿(7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곡부(73A)의 각각에 대하여 4개의 슬릿(77, 7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슬릿(77, 78)을 형성함으로써, 비용상승을 피하면서 곡부(73A)를 형성하기 쉽다. 슬릿(77, 78)의 수에는 제한은 없다. 단 직부(72A)와 곡부(73A)를 명확하게 나눈다는 관점에서는, 직부(72A)와 곡부(73A)의 경계부분에는 슬릿(7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부(73A)를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곡부(73A) 자체도 적어도 하나의 슬릿(77)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014년 6월 2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2014-114208호와, 2014년 8월 29일에 일본국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2014-175531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10A 커넥터
12 전단
20 지지부재
22 전단
25 주부재
30 부부재
35 접속공간
40 분리벽
41 기준면부
42 개구
44 제1제한부
46 제2제한부
48 부가적 제한부
60 콘택트
62 접점
64 접속부
65 그라운드 플레이트
70, 70A 셸
71, 71A 전부
72, 72A 직부
73, 73A 곡부
75 그라운드 수용부
77, 78 슬릿
100 그라운드 부재
110 기부
112 피제한부
114 압입부
120 스프링편
122 단부
124 장부
130 그라운드 스프링부
140 제1스프링부
142 후단
150 제2스프링부
152 후단
160 제3스프링부
170 부가적 스프링부
172 제1전단부
174 제2전단부
176 연결부
180 그라운드 접점부
200 중계기판
202 패드
900 주부
905 전단
910 되돌림부
920 스프링부
930 그라운드 접점부

Claims (13)

  1. 상대측 그라운드부를 구비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지지부재(支持部材)와, 콘택트(contact)와, 셸(shell)과,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접속공간을 규정(規定)하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트는, 접점(接點)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접점이 상기 접속공간(接續空間)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면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셸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셸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에서 연장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ground spring部)와, 상기 상대측 그라운드부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점부(ground 接點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부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부(第一spring部)와, 상기 제1스프링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스프링부(第二spring部)와, 상기 제2스프링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스프링부(第三spring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스프링부는,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접점부는, 상기 제3스프링부에 지지되고, 상기 접속공간 내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부의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중복하지 않고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단(前端)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전부(前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부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전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상기 전부는, 상기 직교면 내에 있어서 구부러져 있는 곡부(曲部)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는 복수의 슬릿(slit)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곡부는 상기 슬릿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슬릿의 각각은, 상기 직교면 내에 있어서 상기 셸의 내외를 연결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의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중복하지 않고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셸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그라운드 수용부(ground 收容部)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와 상기 기부는, 상기 그라운드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그라운드 수용부와 상기 접속공간을 분리시키는 분리벽(分離壁)과, 상기 분리벽을 관통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스프링부 및 상기 그라운드 접점부는 상기 개구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스프링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제한부(第一制限部)와, 상기 제2스프링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제한부(第二制限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에는, 상기 셸에 가압된 스프링편이 더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편은, L자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부가적 스프링부(附加的 spring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스프링부는, 상기 부가적 스프링부로부터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2개의 상기 기부와, 2개의 상기 제1스프링부와, 3개의 상기 제3스프링부와, 3개의 상기 그라운드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2개의 기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상기 부가적 스프링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2개의 제1스프링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3개의 제3스프링부 중 1개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스프링부의 내측(內側)에 위치하고 있고, 나머지 2개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스프링부의 외측(外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3개의 그라운드 접점부는, 상기 3개의 제3스프링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부는, 상기 제1스프링부의 전단과 상기 그라운드 접점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는, 상기 셸과 상기 지지부재에 끼워져서 이동이 제한된 피제한부(被制限部)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67030260A 2014-06-02 2015-05-18 커넥터 KR101797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4208A JP6278841B2 (ja) 2014-06-02 2014-06-02 コネクタ
JPJP-P-2014-114208 2014-06-02
JPJP-P-2014-175531 2014-08-29
JP2014175531A JP5905941B2 (ja) 2014-08-29 2014-08-29 コネクタ
PCT/JP2015/064171 WO2015186498A1 (ja) 2014-06-02 2015-05-1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549A KR20160138549A (ko) 2016-12-05
KR101797951B1 true KR101797951B1 (ko) 2017-11-15

Family

ID=5476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260A KR101797951B1 (ko) 2014-06-02 2015-05-1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98537B2 (ko)
KR (1) KR101797951B1 (ko)
CN (1) CN106463890B (ko)
TW (1) TWI605640B (ko)
WO (1) WO2015186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3580B2 (ja) * 2014-06-03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220006247A1 (en) * 2014-06-24 2022-01-06 Chou Hsien Tsai Reversible dual-position electric connector
JP6325505B2 (ja) * 2015-10-28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565266S (ko) * 2016-03-14 2016-12-12
CN205944586U (zh) 2016-07-26 2017-02-0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107978901A (zh) * 2016-10-21 2018-05-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676437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334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0636B2 (ja) * 2017-07-19 2021-03-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110970763B (zh) * 2018-09-28 2021-08-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9390715B (zh) * 2018-10-09 2020-11-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9561731U (zh) * 2018-11-30 2019-10-29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连接器插头
JP1663226S (ko) * 2020-01-16 2020-07-06
JP2022143642A (ja) * 2021-03-18 2022-10-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1015A (ja) 1996-02-14 2001-01-23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ドされた電気コネクタ
US20050227537A1 (en) 2004-04-09 2005-10-13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JP2011154954A (ja) 2010-01-28 2011-08-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8021188B1 (en) 2010-08-04 2011-09-2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2U (ja) 1991-06-20 1993-01-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28525B2 (ja) * 2004-06-25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0530856C (zh) * 2006-05-10 2009-08-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CN201000968Y (zh) * 2006-12-11 2008-0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FR2941819B1 (fr) * 2009-01-30 2012-10-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our liaison de masse"
CN201515056U (zh) * 2009-09-25 2010-06-23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板端连接器
JP5779078B2 (ja) *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077096B2 (en) * 2012-04-26 2015-07-07 Apple Inc. Connector receptacle shell that forms a ground contact
CN202856004U (zh) * 2012-09-11 2013-04-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9106036B2 (en) * 2014-01-15 2015-08-1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9385499B2 (en) * 2014-01-15 2016-07-05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preventing shorting between contacts and reinforcing plate thereof
JP6247572B2 (ja) 2014-03-18 2017-12-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78841B2 (ja) 2014-06-02 2018-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478916B2 (en) * 2014-06-30 2016-10-25 Advanced-Connectek Inc. Electrical plug connector
US9425560B1 (en) * 2015-10-15 2016-08-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1015A (ja) 1996-02-14 2001-01-23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ドされた電気コネクタ
US20050227537A1 (en) 2004-04-09 2005-10-13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JP2011154954A (ja) 2010-01-28 2011-08-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8021188B1 (en) 2010-08-04 2011-09-2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8537B2 (en) 2017-07-04
TWI605640B (zh) 2017-11-11
CN106463890B (zh) 2018-11-23
KR20160138549A (ko) 2016-12-05
US20170054256A1 (en) 2017-02-23
WO2015186498A1 (ja) 2015-12-10
TW201607158A (zh) 2016-02-16
CN106463890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951B1 (ko) 커넥터
KR101800301B1 (ko) 커넥터
US9281626B2 (en) Mating connector
TWI434466B (zh) 連接器組合體
KR101973278B1 (ko) 커넥터
JP4522440B2 (ja)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CN107425368B (zh) 基板用连接器
JP4275150B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を有する装置
US10651603B2 (en)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CN104916995A (zh) 连接器
JP2009026667A (ja) 電気コネクタ
JP6859998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08016212A (ja) 電気コネクタ
KR101680180B1 (ko) 커넥터
JP6045953B2 (ja) コネクタ
JP2019075362A (ja) コネクタ
US11177601B2 (en) Terminal having a conductor and a spring
JP6401705B2 (ja) コネクタ
JP5240034B2 (ja) シールドシェル
US98997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JP2016106343A (ja) Usb規格準拠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2053698B1 (ko) 유동형 보드 커넥터
JP5905941B2 (ja) コネクタ
JP7070720B2 (ja) コネクタ装置
JP202210512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