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9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93B1
KR101784193B1 KR1020160107502A KR20160107502A KR101784193B1 KR 101784193 B1 KR101784193 B1 KR 101784193B1 KR 1020160107502 A KR1020160107502 A KR 1020160107502A KR 20160107502 A KR20160107502 A KR 20160107502A KR 101784193 B1 KR101784193 B1 KR 10178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se
terminal
housing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558A (ko
Inventor
도시로 고부치
다카유키 니시무라
히로아키 오비카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단자에 대한 씰링재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커넥터(10)는, 하우징(20)과, 단자(3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단자수용부(290)와, 바닥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수용부(290)는, 상하방향(Z방향)에 있어서 상방(+Z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바닥부(240)는 단자수용부(290)의 아래(―Z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자(30)는, 기부(340)와, 스프링부(350)와, 접촉부(360)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340)는 바닥부(240)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부(350)는, 기부(34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단자수용부(290)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접촉부(360)는 스프링부(350)에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10)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부(340)는 부분적으로 보이는 한편, 단자수용부(290)는 보이지 않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housing)과, 하우징에 삽입된 단자(端子)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900)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하우징(910)과,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920)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920)는,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하여 하우징(910)에 삽입되어 있다. 단자(920)의 각각은,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암부(彈性arm部)(스프링부)(922)와,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납땜되는 접속부(接續部)(피고정부(被固定部))(92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910)에는, 하방(―Z방향)으로 개구된 구멍부(912)가 형성되어 있다.
: 일본국 특허 제5369125호 공보
커넥터(900)를 회로기판에 탑재할 때에, 단자(920)의 피고정부(924)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樹脂)로 이루어지는 씰링재(sealing材)를 회로기판에 도포(塗布)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씰링재가 구멍부(912)를 통과하여 커넥터(900)의 내부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커넥터(900)의 내부에 침입한 씰링재는, 단자(920)에 부착되어 스프링부(922)의 탄성변형을 저해하거나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을 저해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된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단자에 대한 씰링재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하우징과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수용부와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수용부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단자수용부의 밑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기부와, 스프링부와,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바닥부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자수용부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소정평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소정평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부는 부분적으로 보이는 한편, 상기 단자수용부는 보이지 않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대향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향벽은,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바닥부는, 박육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박육부는,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대향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박육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상기 기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 이하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로서, 제1 또는 제2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주부와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 및 상기 기부의 하면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이고,
상기 단자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와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피지지부와 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피지지부로부터 상기 소정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부와 외측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소정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피고정부의 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는,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협지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부, 상기 스프링부 및 상기 접촉부의 각각은 부분적으로 보이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의 기부는, 하우징의 단자수용부의 밑에 위치하는 바닥부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특히 기부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소정평면에 있어서 바닥부에 둘러싸여 있고, 소정평면에 있어서 바닥부와 간극 없이 접촉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부는 부분적으로 보이는 한편, 단자수용부는 보이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하여, 단자수용부는 바닥부와 기부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완전하게 덮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자수용부에 수용된 단자에 대한 씰링재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가 탑재되는 회로기판의 일부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커넥터의 하우징의 바닥벽에 있어서 바닥부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상대측 커넥터의 일부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6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자수용부의 근방(1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하여 묘화하고 있다. 확대도에 있어서 단자수용부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9는, 도7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하우징의 바닥벽에 있어서 바닥부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10은, 도7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하우징을 XI―X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도7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의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특허문헌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connector)(10)는 회로기판(回路基板)(70) 등의 대상물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80)와 결합방향(Z방향 :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1 및 도5를 참조하면, 커넥터(10)에는 2개의 수용부(受容部)(1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2)의 각각은, 하방(―Z방향)으로 움푹하게 파인 오목부로서 피치방향(pitch方向)(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80)는, 수용부(12)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상대측 결합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80)와 결합할 때에, 상대측 결합부(82)는 수용부(12)에 각각 수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12)는,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80)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결합부(82)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 구조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리셉터클(receptacle)이고, 상대측 커넥터(80)는 플러그(plug)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20)과,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30)와, 금속제(金屬製)의 2개의 홀드다운(hold-down)(40)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넥터(10)는 홀드다운(40)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좋다. 한편 커넥터(10)는 상기의 부재에 추가하여 다양한 부재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5 및 도6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30)는 하우징(20)에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되어 삽입되어 있다. 이하, 하우징(20)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 후에 단자(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후에 하우징(20)에 있어서 단자(30)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 내지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Y방향으로 길고 폭방향(X방향 : 소정방향)으로 짧은 상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은, 2개의 측벽(側壁)(210)과, 2개의 연결벽(連結壁)(220)과, 바닥벽(底壁)(230)과, 중간벽(대향벽(對向壁))(280)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210)은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벽(220)은, 하우징(2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연결벽(220)의 각각은, 2개의 측벽(210)을 X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바닥벽(230)은, 하우징(20)의 하단(下端)(―Z측의 끝)에 위치하고 있다. 대향벽(280)은, 하우징(2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연결벽(220)에는 홀드다운(4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대향벽(280)은, X방향에 있어서 수용부(12)를 사이에 두고 측벽(210)과 대향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12)는, X방향에 있어서 대향벽(280)과 측벽(2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대향벽(280)은 복수의 구획벽(區劃壁)(28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향벽(280)의 +X측의 면과 ―X측의 면의 각각에 복수의 구획벽(284)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벽(280)의 +X측의 면 및 ―X측의 면의 각각에 있어서, 구획벽(284) 중에서 2개는 대향벽(28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구획벽(284)은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X측의 구획벽(284)은 +X측의 측벽(210)을 향하여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X측의 구획벽(284)은 ―X측의 측벽(210)을 향하여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20)은 복수의 단자수용부(端子收容部)(29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단자수용부(290)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구획벽(284)의 사이에 위치하고, X방향에 있어서 대향벽(280)과 측벽(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이다. 단자수용부(290)의 각각은 수용부(12)의 일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12)는, Y방향에 있어서 Y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단자수용부(290)의 사이(이 2개의 단자수용부(290)를 포함한다)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자수용부(290)가 2열(2列)로 형성되어 있다. 2열은, X방향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다. 각 열에 있어서, 단자수용부(290)는 Y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자수용부(290)는, 각 열에 있어서 1개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단자수용부(290)의 열은 1열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하우징(20)은, +X측(―X측)의 측벽(210)을 구비하지 않으며, 대향벽(280)이 +X측(―X측)의 측벽이더라도 좋다.
도7, 도8 및 도10을 참조하면, 단자수용부(290)의 각각은 Z방향에 있어서 상방(+Z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8과 함께 도9를 참조하면, 단자수용부(290)의 밑에는, 단자수용부(290)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바닥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20)은 단자수용부(290)의 밑에 위치하는 바닥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240)의 각각은 하면(下面)(240L)을 구비하고 있다. 도9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부(240)의 각각은 하우징(20)의 바닥벽(230)의 일부이다. 따라서 바닥부(240)의 하면(240L)은 바닥벽(230)의 하면(―Z측의 면)의 일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부(240)의 각각과, 바닥벽(230) 중 다른 부위와의 사이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명료한 경계는 없다. 다만 바닥부(240)의 하면(240L)의 각각에는 홈(groove) 등의 경계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단자(30)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떨어진 2열로 나누어져서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단자(30)는 2열로 나누어진 단자수용부(290)에 각각 수용되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열에 있어서 단자(30)는 Y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단자(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든 단자(30)가 동일부품이다. 또한 +X측의 열에 배열된 단자(30)는, ―X측의 열에 배열된 단자(30)와 YZ평면에 대하여 거울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측의 단자(30)와 ―X측의 단자(30)는, 다소 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단자(30)의 각각은 절곡(折曲)된 1매의 금속판(金屬板)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자(30)의 각각은,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punching)만을 한 1매의 금속판이더라도 좋고,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30)의 각각은, 피고정부(被固定部)(310)와, 피지지부(被支持部)(320)와, 기부(基部)(340)와, 스프링부(spring部)(350)와, 접촉부(接觸部)(360)를 구비하고 있다. 피고정부(310), 피지지부(320), 기부(340) 및 스프링부(350)는 이 순서대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기부(340)는, Z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돌출된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부(340)는, Z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모양의 상면(+Z측의 면) 및 하면(340L)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부(340)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두께)는, 기부(340)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제조오차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다만 기부(340)의 두께는 기부(340)의 부위에 따라 다소 다르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스프링부(350)는, 기부(340)의 X방향 내측의 끝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부(350)는, 기부(340)에 지지되어 있어 XZ평면에 있어서 탄성변형 가능하다. 스프링부(350)의 상부(+Z측의 부위)는 X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접촉부(360)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촉부(360)는 스프링부(350)에 지지되어 있다. 접촉부(360)는 스프링부(350)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피지지부(320)는, 기부(340)의 X방향 외측의 끝으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지지부(320)는, I자 모양의 대향부(對向部)(330)와, 역L자 모양의 연장부(延長部)(322)를 구비하고 있다. 대향부(330)는, 기부(340)의 X방향 외측의 끝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향부(330)는, X방향에 있어서 스프링부(350)와 대향하고 있다. 대향부(330)에는, 접촉부(360)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突出部)(332)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22)는, 대향부(330)의 상단(+Z측의 끝)으로부터 X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고정부(310)는, 피지지부(320)의 X방향 외측의 끝(즉 연장부(322)의 하단)으로부터 X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단자(30)의 스프링부(350)는 단자수용부(290)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수용부(290)는, 대응하는 단자(30)의 스프링부(350)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이다. 특히 단자수용부(290)는, Y방향에 있어서도 스프링부(350)의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을 허용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단자수용부(290)는, Y방향에 있어서 스프링부(350)가 탄성변형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커넥터(10)가 회로기판(70)에 탑재되었을 때에 피고정부(310)는, 납땜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70)의 도체패턴(導體pattern)(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각각 접속되어 고정된다. 도5를 참조하면, 결합상태에 있어서 접촉부(360)는, 상대측 커넥터(80)의 상대측 결합부(82)의 상대측 단자(84)와 접촉한다. 돌출부(332)와 접촉부(360) 사이의 X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대측 결합부(82)의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대측 단자(84)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돌출부(332)와 접촉부(360)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8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하우징(20)의 단자수용부(290)에 있어서의 단자(30)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하우징(20)의 측벽(210)은, 단자수용부(29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홈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212)의 각각은, 내측홈(212I)과, 상측홈(212U)과, 외측홈(212O)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홈(212I)은, 측벽(210) 중 단자수용부(290)에 면(面)하는 부위에 형성된 홈이다. 내측홈(212I)은, X방향 외측으로 움푹하게 파여 있고, 바닥부(24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측홈(212U)은, 측벽(210)의 상부에 형성된 홈이다. 상측홈(212U)은, 하방으로 움푹하게 파여 있고, 내측홈(212I)의 상단으로부터 X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홈(212O)은, 측벽(210)을 Z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이다. 외측홈(212O)은, 상측홈(212U)의 X방향 외측의 끝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20)은, 복수의 내측부(內側部)(216)와, 내측부(216)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외측부(外側部)(218)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부(216)는 단자수용부(290)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부(218)는 단자수용부(290)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부(216) 및 외측부(218)의 각각은, 측벽(210)의 일부이고 홈부(212)에 대응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내측부(216)는, 측벽(210) 중에서 X방향 및 Z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평면(XZ평면)에 있어서 홈부(212)에 의하여 3방향으로 둘러싸인 부위이다. 외측부(218)는, 측벽(210) 중에서 외측홈(212O)의 X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바꾸어 말하면, 외측홈(212O)은, X방향에 있어서 내측부(216) 및 외측부(218)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단자(30)의 피지지부(320)는, 하우징(20)의 측벽(210)에 인서트 성형되어 측벽(210)의 홈부(212)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지지부(320)는 홈부(212)를 통과하면서 기부(340)와 피고정부(31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측벽(210)의 내측부(216)는, XZ평면에 있어서 피지지부(3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내측부(216)는 피지지부(320)의 밑에 위치하고 있고, 외측부(218)는 피고정부(310)의 위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부(216)와 외측부(218)는, 피지지부(320)를 X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협지(挾持)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단자(30)는 측벽(210)을 파손시키지 않는 한 어느 쪽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하우징(20)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한 피지지부(320)가 외부에 거의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자(30)의 내식성(耐蝕性)이 높다.
도9,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바닥부(240)의 각각은 대략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바닥부(240)의 각각은, 주부(主部)(242)와, 돌출부(246)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242)는 Z방향과 직교하는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주부(242)는 Z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모양의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부(242)의 하면은, 바닥부(240)의 하면(240L)이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바닥부(240)의 각각은 박육부(薄肉部)(24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박육부(244)는 주부(242)의 일부이다. 상세하게는 박육부(244)는 주부(242)의 X방향 내측의 단부(端部)이다. 돌출부(246)는 박육부(24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단자(30)의 기부(34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바닥부(240)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특히 기부(340)는, Z방향과 직교하는 소정평면(PL)에 있어서 바닥부(240)에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고, 소정평면(PL)에 있어서 바닥부(240)와 간극 없이 접촉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부(340)는, 바닥부(240)와 밀착되어 있고, 바닥부(240)를 파손하지 않는 한 바닥부(240)로부터 빠질 수 없다. 또한 기부(340)는 부분적으로 Y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부(340)는 하우징(20)에 더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커넥터(10)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부(340), 스프링부(350) 및 접촉부(360)의 각각은 부분적으로 보인다. 상세하게는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단자(30)의 스프링부(350) 및 접촉부(360)는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지 않다. 또한 기부(340)의 상면도, 대향부(330)의 밑에 위치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가령 바닥부(240)가 기부(3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불충분한 경우에 커넥터(10)와 결합된 상대측 커넥터(80)를 커넥터(10)로부터 상방으로 뽑아낼 때에, 단자(30)의 접촉부(360)가 상대측 단자(84)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힘을 받아서, 기부(340)가 바닥부(24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부(3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바닥부(24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80)를 커넥터(10)로부터 뽑아낼 때에도, 스프링부(350) 및 접촉부(360)는 상방으로 거의 이동되지 않는다.
도3,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커넥터(10)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에, 바닥부(240)에 의하여 둘러싸인 기부(340)는 부분적으로 보이는 한편, 단자수용부(290)는 보이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수용부(290)는 바닥부(240)와 기부(340)에 의하여 완전하게 덮여서 숨겨져 있다. 도6과 함께 도12를 참조하면, 가령 바닥부(240)에서 기부(340)를 제거하면, 바닥부(240)에는, 커넥터(10)의 하방으로부터 단자수용부(290)의 내부로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기부(340)는 이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다. 단자수용부(290)는, 하우징(20)에 인서트 성형된 단자(30)의 기부(340)에 의하여 완전하게 덮여서 숨겨져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0)를 회로기판(70)에 탑재할 때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씰링재(sealing材)를 회로기판(70)(도1을 참조)에 도포한다고 하더라도 씰링재는 단자수용부(290)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는다.
도9와 함께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20)의 바닥벽(230)에는 구멍이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씰링재의 침입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부(12)(도1을 참조)의 밑에 바닥벽(230)을 Z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한, 바닥벽(230) 중 바닥부(24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바닥벽(230)의 Y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근방에, 홀드다운(40)을 회로기판(70)(도1을 참조)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3 및 도6을 참조하면, 기부(340)는 바닥벽(230)(바닥부(240))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부(340)를 바닥부(240)의 상부에 삽입하여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기부(340)의 상단과 바닥부(240)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10)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바닥부(240)의 주부(242)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두께)는, 기부(340)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두께)와 동일하다. 또한 기부(340)의 하면(340L)은, 바닥부(240)의 하면(240L)과 하나의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하면(340L)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하면(240L)의 Z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동일하고, 하면(240L) 및 하면(340L)은 Z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면(340L)은 하면(240L)보다 다소 상방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11 및 도12와 함께 도5를 참조하면, 바닥부(240)의 돌출부(246)는, 주부(242)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주부(242)의 박육부(244)를 스프링부(350)의 하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박육부(244)는, X방향에 있어서 스프링부(350)와 대향벽(28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박육부(244)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두께)는 작다. 이 때문에 스프링부(350)는 돌출부(246) 및 박육부(244)와 함께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육부(244)의 두께는 기부(340)의 두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육부(244)의 강도가 손상되지 않는 한 박육부(244)의 두께는 기부(340)의 두께보다 작아도 좋다. 또한 스프링부(350)가 단독이고 필요한 스프링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돌출부(246) 및 박육부(244)는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는, 이미 설명한 변형예에 추가하여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5를 참조하면, 하우징(20)의 구조나 단자(3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자(30)의 피지지부(320)는 연장부(322)를 구비하지 않고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피고정부(310)는 피지지부(320)의 대향부(33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단자(30)는 피지지부(320)를 구비하지 않고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피고정부(310)는, 기부(340)로부터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으며, 기부(340)의 일부가 피고정부(310)로서 기능을 하더라도 좋다.
10 : 커넥터
12 : 수용부
20 : 하우징
210 : 측벽
212 : 홈부
212I : 내측홈
212U : 상측홈
212O : 외측홈
216 : 내측부
218 : 외측부
220 : 연결벽
230 : 바닥벽
240 : 바닥부
240L : 하면
242 : 주부
244 : 박육부
246 : 돌출부
280 : 중간벽(대향벽)
284 : 구획벽
290 : 단자수용부
30 : 단자
310 : 피고정부
320 : 피지지부
322 : 연장부
330 : 대향부
332 : 돌출부
340 : 기부
340L : 하면
350 : 스프링부
360 : 접촉부
40 : 홀드다운
PL : 소정평면
70 : 회로기판
80 : 상대측 커넥터
82 : 상대측 결합부
84 : 상대측 단자

Claims (7)

  1. 하우징(housing)과 단자(端子)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수용부(端子收容部)와 바닥부(低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수용부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구(開口)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단자수용부의 밑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기부(基部)와 스프링부(spring部)와 접촉부(接觸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바닥부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자수용부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소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소정평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소정평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부는 부분적으로 보이는 한편, 상기 단자수용부는 보이지 않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대향벽(對向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향벽은,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바닥부는, 박육부(薄肉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박육부는,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대향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박육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size)는, 상기 기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 이하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주부(主部)와 돌출부(突出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주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 및 상기 기부의 하면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이고,
    상기 단자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와 대향하고 있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피지지부(被支持部)와 피고정부(被固定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역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피지지부로부터 상기 소정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부(內側部)와 외측부(外側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소정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피고정부의 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는,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소정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협지(挾持)하고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기부, 상기 스프링부 및 상기 접촉부의 각각은 부분적으로 보이는 커넥터.
KR1020160107502A 2015-10-01 2016-08-24 커넥터 KR101784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5943 2015-10-01
JP2015195943A JP6591251B2 (ja) 2015-10-01 2015-10-0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58A KR20170039558A (ko) 2017-04-11
KR101784193B1 true KR101784193B1 (ko) 2017-10-11

Family

ID=5668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502A KR101784193B1 (ko) 2015-10-01 2016-08-24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47361B2 (ko)
EP (1) EP3151341B1 (ko)
JP (1) JP6591251B2 (ko)
KR (1) KR101784193B1 (ko)
CN (1) CN106560955B (ko)
TW (1) TWI581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1736B2 (ja) * 2016-11-11 2020-09-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850623B2 (en) 2017-10-30 2020-12-01 Sf Motors, Inc. Stacked electric vehicle inverter cells
JP7086620B2 (ja) * 2018-01-31 2022-06-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10790758B2 (en) 2018-03-08 2020-09-29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Power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drive systems
US10779445B2 (en) 2018-03-23 2020-09-15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Inverter module having multiple half-bridge modules for a power converter of an electric vehicle
US10236791B1 (en) 2018-03-23 2019-03-19 Sf Motors, Inc. Inverter module having multiple half-bridge modules for a power converter of an electric vehicle
US10756649B2 (en) 2018-03-23 2020-08-25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Inverter module having multiple half-bridge modules for a power converter of an electric vehicle
JP2019186062A (ja) *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778117B2 (en) 2018-04-17 2020-09-15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Inverter module of an electric vehicle
US10772242B2 (en) 2018-04-17 2020-09-08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Inverter module of an electric vehicle
US10608423B2 (en) 2018-04-26 2020-03-31 Sf Motors, Inc. Electric vehicle inverter module laminated bus bar
US10600577B2 (en) * 2018-04-26 2020-03-24 Sf Motors, Inc. Electric vehicle inverter module capacitors
US10660242B2 (en) 2018-04-26 2020-05-19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Electric vehicle inverter module heat sink
US10600578B2 (en) * 2018-04-26 2020-03-24 Sf Motors, Inc. Electric vehicle inverter module capacitors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6974556B2 (ja) * 2018-12-03 2021-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7202866B2 (ja)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FR3090212B1 (fr) * 2018-12-17 2022-01-07 Valeo Systemes Thermiques Unité d’absorption d’énergie de choc pour dispositif de stockage d'énergie électrique
CN209822934U (zh) * 2019-03-28 2019-12-2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弹片
US11095059B2 (en)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3412559B (zh) * 2019-09-24 2023-12-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
TWI750832B (zh) * 2019-10-11 2021-12-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
US11424565B2 (en) * 2019-11-05 2022-08-23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air
US11411333B2 (en) * 2019-11-05 2022-08-09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534164B2 (ja) 2020-09-11 2024-08-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コネクタ
JP2024011422A (ja) 2022-07-14 2024-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WO2024054861A1 (en) * 2022-09-06 2024-03-14 Harbinger Motors Inc. Battery modules with casted module enclosures and battery packs with safety features
JP2024053293A (ja) 2022-10-03 2024-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9125A (en) 1976-11-24 1978-06-20 Kubota Ltd Crawler type working machine
JPH065137U (ja) * 1992-06-19 1994-01-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に於ける端子
JP3321660B2 (ja) 1996-04-09 2002-09-03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端子片付き基板構造
JP2005063885A (ja) * 2003-08-19 2005-03-10 Taiko Denki Co Ltd コネクタ
JP4545062B2 (ja) * 2005-08-03 2010-09-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201440507U (zh) * 2009-06-09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11735B2 (ja) * 2009-08-18 2012-04-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369125B2 (ja) * 2011-02-01 2013-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444285B2 (ja) * 2011-05-20 2014-03-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44283B2 (ja) * 2011-05-20 2014-03-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2683934A (zh) * 2012-04-25 2012-09-1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JP5638026B2 (ja)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405647B1 (ja) * 2012-12-03 2014-0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88506B2 (en)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4368A (zh) 2017-04-16
KR20170039558A (ko) 2017-04-11
CN106560955B (zh) 2019-04-30
JP2017069133A (ja) 2017-04-06
US20170098900A1 (en) 2017-04-06
TWI581519B (zh) 2017-05-01
EP3151341A1 (en) 2017-04-05
CN106560955A (zh) 2017-04-12
US9647361B2 (en) 2017-05-09
EP3151341B1 (en) 2019-02-06
JP6591251B2 (ja)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193B1 (ko) 커넥터
KR101687475B1 (ko) 커넥터 조립체
US933141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EP1986275B1 (en) Connector
KR101364231B1 (ko) 커넥터
KR101397761B1 (ko) 전자 부품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14373B1 (ko) 커넥터
US864143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rd edge connector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KR102157636B1 (ko) 커넥터
CN109962356B (zh) 电路基板用l型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7379025B2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US2023007521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KR100710447B1 (ko)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커넥터의조립방법
CN112018535B (zh) 电连接器组装体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US98997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CN109980447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20230066719A (ko) 플로팅 커넥터
CN118017299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以及带电路基板的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