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603B1 -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603B1
KR101685603B1 KR1020150016952A KR20150016952A KR101685603B1 KR 101685603 B1 KR101685603 B1 KR 101685603B1 KR 1020150016952 A KR1020150016952 A KR 1020150016952A KR 20150016952 A KR20150016952 A KR 20150016952A KR 101685603 B1 KR101685603 B1 KR 10168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erminal
fixed terminal
terminal
mov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546A (ko
Inventor
고광배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5001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03B1/ko
Priority to PCT/KR2016/001195 priority patent/WO2016126107A1/ko
Publication of KR2016009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동축 커넥터에서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를 동시에 압입할 수 있도록 조립 공정을 개선한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절연 하우징과,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절연 하우징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 단자와, 절연 하우징에 압입 고정되고 상향 및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고정 단자와 접촉되고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된 경우 중심 도체에 의해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가동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실장되어 고주파 신호 회로를 전환하는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에서 내장되는 고주파 회로의 검사용으로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절연 하우징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가동 단자로 이루어진다. 가동 단자는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와 맞닿게 되고 또한 고정단자의 접촉부와 접촉가능한 탄성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에서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가동 단자는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단자의 접촉부에 눌려져 접촉됨으로써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의 하단부가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 통과된다. 이 상태에서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는 가동 단자의 탄성부에 맞닿게 되고, 탄성부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 탄성 변형되면서 고정 단자의 접촉부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는 전기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와 가동 단자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가동 단자로부터 고정 단자로 흐르던 신호를 가동 단자로부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로 보내어 가동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고주파 회로를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동축 커넥터는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복원력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스위치의 기능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동축 커넥터의 조립시 절연 하우징에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를 시간차를 두고 별개적으로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014166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동축 커넥터에서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를 동시에 압입할 수 있도록 조립 공정을 개선한 동축 커넥터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절연 하우징;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 상기 절연 하우징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 단자; 및 상기 절연 하우징에 압입 고정되고,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중심 도체에 의해 상기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가동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 단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고정 단자 리드부; 및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동 단자의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에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상기 가동 단자의 선단부와 접촉되는 하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가동 단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압입 고정되는 가동 단자 고정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가동 단자 리드부; 및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고, 상향 및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선단부가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탄성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벤딩되어 상향 경사면을 갖는 제 1 판스프링; 상기 제 1 판스프링의 상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제 2 판스프링; 상기 제 2 판스프링의 하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벤딩되어 상향 경사면을 갖는 제 3 판스프링; 및 상기 제 3 판스프링의 상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제 4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가동부는,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판스프링과 상기 제 2 판스프링 사이의 제 1 벤딩부는 상기 절연 하우징과 비접촉되고, 상기 제 2 판스프링과 상기 제 3 판스프링 사이의 제 2 벤딩부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저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 3 판스프링과 상기 제 4 판스프링 사이의 제 3 벤딩부는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어 굴곡진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될 때 상기 가동 단자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은 상기 가동 단자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의 저면에 단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하우징은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상기 외부 도체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노치부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기 절연 하우징과 상기 외부 도체가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 조립방법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절연 하우징에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를 동시에 압입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하우징에 외부 도체를 상방으로부터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입 고정 단계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 단자 삽입구에 상기 고정 단자의 일부를 삽입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가동 단자 삽입구에 상기 가동 단자의 일부를 삽입하는 가조립 단계; 및 상기 가동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하도록 상기 고정 단자와 상기 가동 단자를 동시에 압입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압입 고정하는 정조립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가동 단자를 상향 및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굴절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가동 단자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하여 스위치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외부 도체에 노치부를 형성하여 외부 도체를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가이드 돌기가 노치부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절연 하우징과 외부 도체 간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서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를 동시에 압입할 수 있도록 조립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고정 단자의 (a)사시도 및 (b)정면도.
도 5는 가동 단자의 (a)사시도 및 (b)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를 동시에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고정 단자의 (a)사시도 및 (b)정면도이고, 도 5는 가동 단자의 (a)사시도 및 (b)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00), 외부 도체(200), 고정 단자(300) 및 가동 단자(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축 커넥터는 기판(미도시) 상에 실장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고정 단자(300)의 리드부(320)와 가동 단자(400)의 리드부(420)를 통해 기판에 접속되어 기판 회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절연 하우징(100)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하우징 몸체(110)를 가지며,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된다. 절연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10)의 상부에 원통 형상의 외주부(120)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부(120)의 하단에는 고리형의 단차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100)의 외주부(120) 내주면에는 오목부(12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22)의 저면 중앙에는 동축 플러그(미도시)의 중심 도체(20)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의 홀(123)이 형성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100)은 홀(123)과 연통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111)이 형성되고, 동축 플러그가 장착되면, 중심 도체(20)의 하단부는 홀(123)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111)에 이르게 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100)은 고정 단자(300)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 단자 삽입구(112)가 하우징 몸체(110)의 일측면에 내부 공간(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가동 단자(400)를 삽입하기 위한 가동 단자 삽입구(113)가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내부 공간(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100)은 가동 단자(40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111)의 저면에 단차(111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가 절연 하우징(100)의 홀(123)에 삽입되어 굴곡진 가동 단자(400)와 접촉될 때 가동 단자(400)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연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10)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외부 도체(200)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돌기(1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몸체(110)의 상면의 두 개의 모서리에 가이드 돌기(114)를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또는 세 개의 모서리에 가이드 돌기(114)를 형성하거나 네 개의 모서리 모두에 가이드 돌기(1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외부 도체(200)는 절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외부 도체(200)는 상부에 원통 형상의 외주부(210)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부(210)의 외주면에는 반원 단면의 고리형 홈(211)이 형성되어 이 고리형 홈(211)에 동축 플러그측 외부 도체의 하단부가 끼워 맞춰지게 된다. 또한, 외부 도체(200)는 절연 하우징(100)의 가이드 돌기(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치부(212)가 형성되어 외부 도체(200)를 절연 하우징(100)에 조립시 가이드 돌기(114)가 노치부(212)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절연 하우징(100)과 외부 도체(200) 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고정 단자(300)는 적어도 일부가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고정 단자(300)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 고정 단자 리드부(320) 및 접촉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단자 고정부(3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고정 단자 리드부(320)의 폭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 단자 고정부(310)는 절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직사각형으로 개구된 고정 단자 삽입구(112)를 통해 삽입되어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1)에 압입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단자 고정부(310)의 측부에는 쐐기 형상의 돌기(311)가 형성되고, 이 돌기(311)를 통해 고정 단자 고정부(310)는 절연 하우징(100)의 측방으로부터 고정 단자 삽입구(112)를 통해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1)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단자 리드부(320)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로부터 하방으로 ?? 자 형상으로 벤딩되고, 절연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기판에 접속된다.
접촉부(330)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가동 단자(400)의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에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가동 단자(400)의 선단부와 접촉되는 하면에 고정 단자 고정부(310)의 두께보다 얇게 단차(311)가 형성된다.
가동 단자(400)는 적어도 일부가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가동 단자(40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 가동 단자 리드부(420) 및 탄성 가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동 단자 고정부(4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가동 단자 리드부(420)의 폭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된다. 또한, 가동 단자 고정부(410)는 절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직사각형으로 개구된 가동 단자 삽입구(113)를 통해 삽입되어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1)에 압입 고정된다. 이를 위해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측부에는 쐐기 형상의 돌기(411)가 형성되고, 이 돌기(411)를 통해 가동 단자 고정부(410)는 절연 하우징(100)의 측방으로부터 가동 단자 삽입구(113)를 통해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1)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가동 단자 리드부(42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로부터 하방으로 ?? 자 형상으로 벤딩되고, 절연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기판에 접속된다.
탄성 가동부(43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고, 상향 및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선단부가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와 접촉된다. 이러한 탄성 가동부(430)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가 절연 하우징(100)의 홀(123)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고정 단자(300)와 접촉되고,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가 절연 하우징(100)의 홀(123)에 삽입된 경우 중심 도체(20)에 의해 고정 단자(300)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 가동부(430)는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기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비스듬히 벤딩되어 상향 경사면을 갖는 제 1 판스프링(431)과, 제 1 판스프링(431)의 상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비스듬히 벤딩되어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제 2 판스프링(432)과, 제 2 판스프링(432)의 하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비스듬히 벤딩되어 상향 경사면을 갖는 제 3 판스프링(433)과, 제 3 판스프링(433)의 상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비스듬히 벤딩되어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제 4 판스프링(4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동부(430)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가 절연 하우징(100)의 홀(123)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판스프링(431)과 제 2 판스프링(432) 사이의 제 1 벤딩부(430a)는 절연 하우징(100)과 비접촉되고, 제 2 판스프링(432)과 제 3 판스프링(433) 사이의 제 2 벤딩부(430b)는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1) 저면의 단차면(111a)과 접촉되며, 제 3 판스프링(433)과 제 4 판스프링(434) 사이의 제 3 벤딩부(430c)는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 하부의 단차면(331)에 접촉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가동 단자(400)는 탄성 가동부(43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단자(400)의 선단부가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와 접촉됨으로써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동축 플러그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의 하단부가 절연 하우징(100)의 홀(123)에 삽입 통과되어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는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에 맞닿는다. 이때,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의 탄성력은 탄성 가동부(430)의 탄성력 보다 강하기 때문에, 탄성 가동부(430)는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 가동부(430)의 선단부가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된다. 이때, 가동 단자(400)를 상향 및 하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굴절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가동 단자(400)가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에 의해 변위 되었을 때 가동 단자(40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고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 간 접촉 불량을 제거하여 스위치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가 전기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와 가동 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가동 단자(400)로부터 고정 단자(300)로 흐르던 신호를 가동 단자(400)로부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20)로 보내어 휴대 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에 내장된 고주파 회로를 검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의 조립방법은,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300)를 제 1 캐리어(510)를 통해 이송하여 절연 하우징(100)의 고정 단자 삽입구(112)에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가 향하도록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가동 단자(400)를 제 2 캐리어(520)를 통해 이송하여 절연 하우징(100)의 가동 단자 삽입구(113)에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가 향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100)에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를 동시에 압입 고정한다.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를 동시에 압입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200)를 제 3 캐리어(530)를 통해 이송하여 절연 하우징(100)의 외측에 상방으로부터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200)의 양측부(220)를 눌러 구부려 코킹한다. 이로써 외부 도체(200)가 절연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도 8은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를 동시에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절연 하우징(100)에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를 동시에 압입하는 공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100)의 고정 단자 삽입구(112)에 고정 단자(300)의 일부를 삽입하고, 동시에 절연 하우징(100)의 가동 단자 삽입구(113)에 가동 단자(400)의 일부를 삽입하는 가조립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조립 상태에서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의 후단 일부가 고정 단자 삽입구(112)의 외부로 돌출되고,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후단 일부가 가동 단자 삽입구(113)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의 선단부는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와 접촉되기 바로 전까지 근접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를 동시에 완전히 압입하여 절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압입 고정하는 정조립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정조립 상태에서는 고정 단자 고정부(310)의 후단부는 고정 단자 삽입구(112)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가동 단자 고정부(410)의 후단부는 가동 단자 삽입구(113)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가동 단자(400)의 탄성 가동부(4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향 굴곡진 제 3 벤딩부(430c)의 상면은 고정 단자(300)의 접촉부(330) 하부에 형성된 단차면(331)과 접촉됨으로써,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에서 고정 단자(300)와 가동 단자(400)를 동시에 압입할 수 있도록 조립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동축 커넥터 100 : 절연 하우징
110 : 하우징 몸체 111 : 내부 공간
112 : 고정 단자 삽입구 113 : 가동 단자 삽입구
114 : 가이드 돌기 120 : 외주부
200 : 외부 도체 212 : 노치부
300 : 고정 단자 310 : 고정 단자 고정부
320 : 고정 단자 리드부 330 : 접촉부
400 : 가동 단자 410 : 가동 단자 고정부
420 : 가동 단자 리드부 430 : 탄성 가동부
431 : 제 1 판스프링 432 : 제 2 판스프링
433 : 제 3 판스프링 434 : 제 4 판스프링

Claims (8)

  1.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압입 고정되고,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고정 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중심 도체에 의해 상기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가동 단자;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 단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 단자 고정부;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고정 단자 리드부; 및
    상기 고정 단자 고정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된 가동 단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압입 고정되는 가동 단자 고정부;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가동 단자 리드부; 및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가동 단자 고정부의 기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벤딩되어 상향 경사면을 갖는 제 1 판스프링, 상기 제 1 판스프링의 상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제 2 판스프링, 상기 제 2 판스프링의 하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벤딩되어 상향 경사면을 갖는 제 3 판스프링 및 상기 제 3 판스프링의 상향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면을 갖는 제 4 판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판스프링과 상기 제 2 판스프링 사이의 제 1 벤딩부는 상기 절연 하우징과 비접촉되고, 상기 제 2 판스프링과 상기 제 3 판스프링 사이의 제 2 벤딩부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저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 3 판스프링과 상기 제 4 판스프링 사이의 제 3 벤딩부는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 하면에 접촉되는 탄성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의 접촉부는,
    상기 가동 단자의 굴곡진 판스프링 형상에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상기 가동 단자의 선단부와 접촉되는 하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플러그의 중심 도체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어 굴곡진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될 때 상기 가동 단자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은 상기 가동 단자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의 저면에 단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은 상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상기 외부 도체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도체를 상기 절연 하우징에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노치부에 대응되게 끼워 맞춰져서 상기 절연 하우징과 상기 외부 도체가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8. 삭제
KR1020150016952A 2015-02-03 2015-02-03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168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952A KR101685603B1 (ko) 2015-02-03 2015-02-03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CT/KR2016/001195 WO2016126107A1 (ko) 2015-02-03 2016-02-03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952A KR101685603B1 (ko) 2015-02-03 2015-02-03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546A KR20160095546A (ko) 2016-08-11
KR101685603B1 true KR101685603B1 (ko) 2016-12-12

Family

ID=5656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952A KR101685603B1 (ko) 2015-02-03 2015-02-03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5603B1 (ko)
WO (1) WO2016126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208A1 (ja) * 2020-01-15 2021-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22Y1 (ko) 2004-04-12 2004-07-15 동은정공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커넥터 소켓
JP2011134475A (ja) 2009-12-22 2011-07-07 Smk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7322B2 (ja) 2005-11-18 2010-0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0984899B1 (ko) * 2008-06-25 2010-10-0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JP5929232B2 (ja) * 2012-01-25 2016-06-01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979407B2 (ja) * 2012-02-23 2016-08-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22Y1 (ko) 2004-04-12 2004-07-15 동은정공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커넥터 소켓
JP2011134475A (ja) 2009-12-22 2011-07-07 Smk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546A (ko) 2016-08-11
WO2016126107A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193B1 (ko) 커넥터
JP4945596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9608388B2 (en) Connector
US7217137B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US962090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KR101397761B1 (ko) 전자 부품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0383374B1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17945A (ko) 스위치부착 동축 커넥터
US20040175978A1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US20060234562A1 (en) Socket connector for coaxial plug
TW201322568A (zh) 連接器及包括該連接器的性能板、母板、半導體測試裝置
KR101685604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9236670B2 (en) Coaxial connector
US9178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9792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with high contact normal force and sufficient resiliency
US2006027027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2005251746A (ja) 超小型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KR101961110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US7104824B2 (en) Connectors for connecting mating connectors to connection objects
KR101508345B1 (ko) 스프링단자를 구비한 정션박스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CN109818206B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