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719A - 플로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719A
KR20230066719A KR1020210151997A KR20210151997A KR20230066719A KR 20230066719 A KR20230066719 A KR 20230066719A KR 1020210151997 A KR1020210151997 A KR 1020210151997A KR 20210151997 A KR20210151997 A KR 20210151997A KR 20230066719 A KR20230066719 A KR 2023006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xtending
floating connector
extens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838B1 (ko
Inventor
정용수
박신웅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8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소성 변형 가능성이 낮고 원가가 절감된 플로팅 커넥터가 제공된다. 플로팅 커넥터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실장부와,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접속부와, 실장부와 접속부를 연결하며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해 가동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벤딩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되, 벤딩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FLO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예컨대, 회로 기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는 서로 연결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차재용 전자 기기나 민생용 전자 기기 등의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에 수반하여,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로서 플로팅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플로팅 커넥터는 외력에 의한 유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동형으로 설계되어 단자끼리의 접촉 불량의 발생이나 납땜의 크랙 또는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9946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936333호는 종래의 플로팅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성 변형 가능성이 낮고 원가가 절감된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실장부와,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접속부와, 실장부와 접속부를 연결하며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해 가동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벤딩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되, 벤딩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의 측면은 관통홈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은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관통홈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통홈은 제1 방향 및 제3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돌출부가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은, 벤딩부의 후방부를 둘러싸며 실장부가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은, 날개부들 사이에 개재되며 벤딩부의 전방부를 둘러싸는 제2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접속부가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장부는 제1 베이스부의 하면에 의해 노출되고, 접속부는 가이드부의 전면에 의해 노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홈을 포함하고, 제1 베이스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하고, 접속 단자는, 접속부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고정홈 내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와, 실장부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고정홈 내에 삽입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이 배치되는 기판 상에 제1 하우징을 고정하는 피팅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1 하우징은 제1 베이스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피팅 부재와 체결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평부들을 포함하고, 제2 연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교차부들을 포함하고, 제3 연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부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교차부들이 연장되는 길이는, 각각의 수평부들이 연장되는 길이 및 각각의 수직부들이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부는, 접속부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제1 수직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와, 제1 수평부로부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와, 제2 수직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교차부와, 제1 교차부로부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와, 제2 수평부로부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부와, 제3 수직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부와, 제3 수평부로부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실장부와 연결되는 제2 교차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접속 단자는 3차원적인 형상을 갖는 벤딩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로팅 커넥터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전방위적으로 접속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의 접속 단자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범용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으므로, 플로팅 커넥터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접속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접속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20)와 체결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플로팅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X)은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이어서, 상대 커넥터(2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되어 플로팅 커넥터(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 커넥터(20)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예컨대, 회로 기판)는 플로팅 커넥터(10)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예컨대, 회로 기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로팅 커넥터(10)의 전면(또는 전단)이란 상대 커넥터(20)와 대향되는 플로팅 커넥터(10)의 일면(또는 일단)을 의미하고, 플로팅 커넥터(10)의 후면(또는 후단)이란 플로팅 커넥터(10)의 전면(또는 전단)과 반대되는 플로팅 커넥터(10)의 타면(또는 타단)을 의미한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접속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접속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00), 제2 하우징(200), 접속 단자(300) 및 피팅 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0)은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후술되는 제2 하우징(200) 및 접속 단자(3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내부 공간(110S)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00)은 제1 베이스부(110) 및 날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제1 내부 공간(110S)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베이스부(110)는 전방(예컨대, -X 방향)을 향해 열린 'ㄷ'자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날개부(13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양 측벽으로부터 전방(예컨대,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날개부(130)는 제1 내부 공간(110S)의 다른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 및 날개부(130)에 의해, 전방(예컨대, -X 방향)을 향해 열린 제1 내부 공간(110S)이 정의될 수 있다. 날개부(130)는 관통홈(130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홈(130A)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날개부(130)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며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날개부(130)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부 공간(110S)의 크기는 제1 베이스부(110)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부 공간(110S)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날개부(130)들이 제2 방향(Y)에서 이격되는 거리는 제1 베이스부(110)의 양 측벽들이 제2 방향(Y)에서 이격되는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과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공간(11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접속 단자(300)에 의해 제1 하우징(100)에 대해 가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200)은 제2 베이스부(210), 돌출부(215) 및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0)는 제1 베이스부(110)의 양 날개부(13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0)는 하방(예컨대, -Z 방향)을 향해 열린 제2 내부 공간(210S)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210S)은 후술되는 접속 단자(3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돌출부(215)는 제2 베이스부(210)의 양 측벽(예컨대, 양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예컨대,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돌출되어 날개부(130)의 관통홈(130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215)가 관통홈(130A) 내에 삽입됨에 따라, 제1 하우징(100)에 대해 가동되는 제2 하우징(200)의 한계가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홈(130A)은 제1 방향(X) 및 제3 방향(Z)을 포함하는 평면(예컨대, XZ 평면)에서 돌출부(215)가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제2 베이스부(2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예컨대,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로팅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20)와 연결될 때, 가이드부(230)는 상대 커넥터(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커넥터(20)는 상대 하우징(500) 및 상대 하우징(500)에 고정되는 상대 접속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20)와 연결될 때, 상대 하우징(500)은 가이드부(2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2 하우징(200)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절연 물질, 예컨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단자(300)는 각각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300)의 일단은 제1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고, 접속 단자(300)의 타단은 제2 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300)들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는 접속 단자(300)들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로팅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연결될 때, 접속 단자(300)는 상대 커넥터(20)의 상대 접속 단자(600)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 하우징(500)이 제2 하우징(200)과 체결됨에 따라, 접속 단자(300)는 상대 접속 단자(6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로팅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 단자(300)는 접속부(310), 제1 고정부(320), 벤딩부(330), 제2 고정부(340) 및 실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310)는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베이스부(210) 및 가이드부(23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단자 수용홈(210H)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310)는 제1 단자 수용홈(21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접속부(3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 보호할 수 있다. 접속부(310)는 플로팅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연결될 때 상대 접속 단자(600)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300)의 일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310)는 가이드부(230)의 전면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속부(31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서브 접속부(312) 및 제2 서브 접속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서브 접속부(312) 및 제2 서브 접속부(314)는 제3 방향(Z)에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플로팅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가 연결될 때, 상대 접속 단자(600)는 제1 서브 접속부(312)와 제2 서브 접속부(314)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 접속 단자(600)는 제1 서브 접속부(312) 및 제2 서브 접속부(314)와 모두 접촉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20)는 접속부(310)의 상부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20)는 제2 하우징(200) 내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200)에 배치된 접속부(31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부(210)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홈(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20)는 제1 고정홈(210A) 내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200)에 고정될 수 있다.
실장부(350)는 제1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베이스부(1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단자 수용홈(110H)을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350)는 제2 단자 수용홈(11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실장부(35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 보호할 수 있다. 실장부(350)는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접속 단자(300)를 실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장부(350)는 제1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장부(350)는 납땜 등에 의해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40)는 실장부(350)의 상부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40)는 제1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에 배치된 실장부(35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부(110)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홈(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40)는 제2 고정홈(110A) 내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벤딩부(330)는 접속부(310)와 실장부(35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벤딩부(3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에 대해 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00)은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1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0)의 일단(예컨대, 실장부(350)) 또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00)은 접속 단자(300)의 타단(예컨대, 접속부(310))에 고정되고 벤딩부(3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에 대해 가동될 수 있다.
벤딩부(33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330x),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330y) 및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330z)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30x), 제2 연장부(330y) 및 제3 연장부(330z)는 상호 연결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벤딩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330x)는 복수의 수평부들(331x, 332x, 333x)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장부(330y)는 복수의 교차부들(331y, 332y)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연장부(330z)는 복수의 수직부들(331z, 332z, 333z)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들(331x, 332x, 333x)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교차부들(331y, 332y)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들(331z, 332z, 333z)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들(331x, 332x, 333x), 교차부들(331y, 332y) 및 수직부들(331z, 332z, 333z)은 상호 연결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벤딩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수직부(331z)는 접속부(310)의 후방부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평부(331x)는 제1 수직부(331z)의 상부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직부(332z)는 제1 수평부(331x)의 후방부로부터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교차부(331y)는 제2 수직부(332z)의 하부로부터 제2 방향(Y)과 반대되는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평부(332x)는 제1 교차부(331y)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수직부(333z)는 제2 수평부(332x)의 전방부로부터 제3 방향(Z)과 반대되는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수평부(333x)는 제3 수직부(333z)의 하부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교차부(332y)는 제3 수평부(333x)의 후방부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실장부(350)의 전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교차부들(331y, 332y)이 연장되는 길이는, 각각의 수평부들(331x, 332x, 333x) 및 각각의 수직부들(331z, 332z, 333z)이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300)들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부(330)는 3차원적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플로팅 커넥터(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전방위적으로 접속 단자(300)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벤딩부(330)는 제1 연장부(330x) 및 제3 연장부(330z)뿐만 아니라 제2 연장부(330y)도 구비함으로써, 제1 방향(X) 및 제3 방향(Z)뿐만 아니라 제2 방향(Y)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해서도 접속 단자(300)의 소성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접속 단자(3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장부(330x), 제2 연장부(330y) 및 제3 연장부(330z)가 상호 연결되어 3차원적인 형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벤딩부(330)를 형성하기만 한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접속 단자(300)가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접속 단자(300)는 도전 물질, 예컨대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속 단자(300)는 동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피팅 부재(400)는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제1 하우징(100)을 실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하우징(100)은 피팅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부(115)는 제1 베이스부(110)의 양 측벽(예컨대, 양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예컨대,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피팅 부재(400)는 피팅부(115)에 체결될 수 있고, 납땜 등에 의해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00)은 플로팅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피팅 부재(400)는 견고한 재질, 예컨대 금속재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로팅 커넥터에서 접속 단자의 소성 변형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소재(예컨대, 콜슨 합금(Corson alloy))로 형성되는 접속 단자가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 소재는 상대적으로 고가여서 플로팅 커넥터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달리, 상술한 것처럼,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10)의 접속 단자(300)는 구조적으로 소성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저가인 범용 소재(예컨대, 동 합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가가 절감된 플로팅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로팅 커넥터 20: 상대 커넥터
100: 제1 하우징 110: 제1 베이스부
110A: 제2 고정홈 110H: 제2 단자 수용홈
110S: 제1 내부 공간 115: 피팅부
130: 날개부 130A: 관통홈
200: 제2 하우징 210: 제2 베이스부
210A: 제1 고정홈 210H: 제1 단자 수용홈
210S: 제2 내부 공간 215: 돌출부
230: 가이드부 300: 접속 단자
310: 접속부 320: 제1 고정부
330: 벤딩부 330x: 제1 연장부
330y: 제2 연장부 330z: 제3 연장부
331x, 332x, 333x: 수평부들 331y, 332y: 교차부들
331z, 332z, 333z: 수직부들 340: 제2 고정부
350: 실장부 400: 피팅 부재
500: 상대 하우징 600: 상대 접속 단자

Claims (10)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실장부와,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접속부와,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가동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벤딩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은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홈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상기 돌출부가 가동되는 한계를 정의하는, 플로팅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벤딩부의 후방부를 둘러싸며 상기 실장부가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날개부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벤딩부의 전방부를 둘러싸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면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전면에 의해 노출되는, 플로팅 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실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고정홈 내에 삽입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이 배치되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하우징을 고정하는 피팅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피팅 부재와 체결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평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교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부들을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교차부들이 연장되는 길이는, 각각의 상기 수평부들이 연장되는 길이 및 각각의 상기 수직부들이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은, 플로팅 커넥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와, 상기 제2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교차부와, 상기 제1 교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부와, 상기 제3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부와, 상기 제3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장부와 연결되는 제2 교차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
KR1020210151997A 2021-11-08 2021-11-08 플로팅 커넥터 KR102633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997A KR102633838B1 (ko) 2021-11-08 2021-11-08 플로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997A KR102633838B1 (ko) 2021-11-08 2021-11-08 플로팅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719A true KR20230066719A (ko) 2023-05-16
KR102633838B1 KR102633838B1 (ko) 2024-02-06

Family

ID=8654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997A KR102633838B1 (ko) 2021-11-08 2021-11-08 플로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8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486B1 (en) * 2002-09-25 2004-0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profi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JP2012110222A (ja) * 2012-01-11 2012-06-07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
KR101151485B1 (ko) * 2010-11-19 2012-06-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KR20200133420A (ko) * 2019-05-20 2020-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486B1 (en) * 2002-09-25 2004-0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profi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KR101151485B1 (ko) * 2010-11-19 2012-06-2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JP2012110222A (ja) * 2012-01-11 2012-06-07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
KR20200133420A (ko) * 2019-05-20 2020-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838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193B1 (ko) 커넥터
CN113300140B (zh)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CN109565135B (zh) 连接器
CN109565134B (zh) 连接器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20080296133A1 (en) Connector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KR19990044570A (ko) 적층가능한 전자식 모듈용 장착 및 전기 연결 시스템
KR950034923A (ko) 낮은 형상의 기판연결용 컨넥터
CN109496377B (zh) 触头
WO2018221095A1 (ja) 電気コネクタ
US7281954B1 (en) Socket connector improved in adaptability to a terminal position of a connection object
US10283907B2 (en)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module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US20230075216A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21045091A1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JP2014191882A (ja) 電気コネクタ
EP1538707B1 (en) Connector
US7753736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tured by upper and lower units
JP735312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633838B1 (ko) 플로팅 커넥터
JP3989696B2 (ja) コネクタ
US11715898B2 (en) Highly reliable terminal and connector with a compact low profile
US20090053913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