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420A - 기판실장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실장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420A
KR20200133420A KR1020190058539A KR20190058539A KR20200133420A KR 20200133420 A KR20200133420 A KR 20200133420A KR 1020190058539 A KR1020190058539 A KR 1020190058539A KR 20190058539 A KR20190058539 A KR 20190058539A KR 20200133420 A KR20200133420 A KR 20200133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ard
coupling
substrate
coupling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3420A/ko
Publication of KR2020013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커넥터이다.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결합아암(14,14')의 쌍이 적어도 2군데 이상 있고, 상기 결합아암(14,14')에 사이드브라켓(30)의 장착편(32)이 장착된다. 사이드브라켓(30)에 있는 솔더편(34)은 상기 장착편(32)이 하우징(10)의 측면에 장착됨에 의해 기판(40)의 표면에 평행하게 된다. 결합아암(14,14')의 아암몸체(16)가 장착편(32)의 장착공(33)을 관통하여 있으므로 사이드브라켓(30)과 하우징(10)사이의 결합이 쉽게 훼손되지 않고 솔더편(34)이 기판(40)의 표면에 평행하게 됨에 의해 솔더링이 정확하게 되므로 기판(40)과 사이드브라켓(30) 사이의 결합 또한 견고하게 된다.

Description

기판실장형 커넥터{Connector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설치되어 기판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의 하우징에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만들어진다. 커넥터의 터미널에는 상대커넥터의 상대터미널이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터미널의 후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거나 기판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의 회로패턴에 터미널의 후단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일반적으로 기판실장형 커넥터라고 하는데, 기판과 결합되는 부분이 터미널밖에 없기 때문에 별도의 사이드브라켓을 하우징의 외면에 장착하여 기판에 솔더링하거나 하우징의 일측을 나사가 관통한 상태에서 기판에 나사가 체결되도록 하여 기판과의 체결력을 높이게 된다.
하우징의 외면에 사이드브라켓을 장착하고 상기 사이드브라켓을 기판에 솔더링하여 체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사이드브라켓을 하우징의 측면에 하우징의 상방에서부터 삽입하여 끼우거나, 하우징의 하방에서부터 삽입하여 끼운 상태로 사이드브라켓의 저면을 기판에 솔더링한다.
하지만, 사이드브라켓에서 기판에 솔더링된 부분은 체결력이 강해서 기판에서 분리되지 않지만, 상기 하우징이 기판의 상방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 사이드브라켓이 기판에 붙어있는 상태로 하우징과 사이드브라켓 사이의 결합이 훼손되어 하우징이 기판에서 분리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브라켓이 하우징에 장착될 때, 하우징에 이물질이 있거나 제조공차에 의해 사이드브라켓이 하우징에 대해서 설계된 대로 장착되지 않게 되면 사이드브라켓과 기판의 표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서 솔더링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41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3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브라켓이 기판에 솔더링된 상태에서 하우징이 기판의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된 기판실장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드브라켓의 솔더링편 저면의 평행도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관통부가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관통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후단에 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구비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2군데 이상 구비되는 결합아암 쌍과, 상기 결합아암 쌍이 관통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결합아암이 상기 장착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고 기판에 솔더링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아암 쌍은 2개의 결합아암이 탄성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아암은 하우징의 측면에 직교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아암몸체와, 상기 아암몸체의 선단을 둘러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걸이턱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턱은 상기 아암몸체에서 결합아암 쌍의 마주보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하우징의 측면에 안착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되는 솔더편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공은 상기 결합아암의 쌍이 있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솔더편에는 솔더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관통부가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관통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후단에 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구비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는 결합아암과, 상기 결합아암이 관통하는 장착공이 상기 결합아암의 갯수만큼 열을 지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결합아암이 상기 장착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고 기판에 솔더링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하우징의 측면에 안착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되는 솔더편을 포함한다.
상기 솔더편에는 솔더공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의 내경은 상기 결합아암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아암이 상기 장착공에 압입된다.
상기 결합아암의 선단을 둘러서는 쳄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외면에 기판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아암 쌍이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있어서 하나의 사이드브라켓과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아암이 사이드브라켓에 의해 전단되지 않은 이상 사이드브라켓과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훼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이 사이드브라켓과는 별도로 기판의 상방으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커넥터가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브라켓을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된 결합아암 쌍을 사용한다. 상기 결합아암 쌍은 하우징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사이드브라켓과의 결합 상태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장착상태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결합아암 쌍이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일직선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결합아암 쌍에 의해 체결된 사이드브라켓의 솔더편이 기판의 표면에 평행하게 되어 솔더편의 저면이 전체적으로 기판에 밀착되어 기판과 솔더편 사이의 솔더링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아암 쌍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이 설치되는 터미널관통부(12)가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은 일반적으로 기판(40)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에는 결합아암(14,14') 쌍이 적어도 2군데 이상씩 있다. 상기 결합아암(14,14')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기판(30)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몸체(16)가 있다. 상기 아암몸체(16)는 본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반원형이다. 물론, 상기 아암몸체(16)의 횡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아암몸체(16)의 선단에는 걸이턱(1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아암몸체(16) 선단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턱(18)은 서로 마주보는 결합아암(14,14')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고, 나머지 둘레에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공간(19)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턱(18)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안내경사면(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18')은 상기 걸이턱(18)이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공(33)을 관통할 때 장착공(33)의 내면 가장자리에 안내되면서 아암몸체(16)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한쌍의 결합아암(14,14') 사이에는 탄성변형공간(19)이 있다. 상기 탄성변형공간(19)은 서로 마주보는 결합아암(14,14')이 서로 인접하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결합아암(14,14') 사이에 탄성변형공간(19)이 만들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결합아암(14,14')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분은 평면이 되도록 하였다. 이들 평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도록 하여 탄성변형공간(19)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은 본 실시례에서는 일측 외면에 2군데에 있다.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은 일측 외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있는 것이 좋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이드브라켓(30)이 하우징(10)에 대해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사이드브라켓(30)의 솔더편(34) 저면이 기판(40)의 표면과 평행하면서 기판의 표면과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이 하우징(10)의 외면에 기판(40)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지어 있다. 하지만,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이 기판(40)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열을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결합아암(14,14') 쌍에서 형성되는 탄성변형공간(19)의 개방 방향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기판(40)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탄성변형공간(19)의 개방방향이 기판(40)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하우징(10)을 제조할 때 금형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관통부(12)에는 터미널(20)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0)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터미널관통부(12)내에 결합되는 결합부(22)가 중간쪽에 있고, 선단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접촉되는 접촉부(24)가 있다. 상기 터미널(20)의 후단에는 기판(40)에의 솔더링을 위한 솔더링부(26)가 있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20)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1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의 외면, 보다 정확하게는 양쪽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아암(14,14')의 쌍에는 사이드브라켓(30)이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은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에 의해 하우징(10)의 양측 외면에 장착되고, 기판(40) 상에 솔더링되어 하우징(10)을 기판(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은 장착편(32)과 솔더편(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편(32)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편(32)에는 이를 위해 장착공(33)이 천공된다. 상기 장착공(33)을 상기 결합아암(14,14')이 관통한다. 특히 상기 결합아암(14.14')의 아암몸체(16)가 상기 장착공(33)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공(33)은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이 형성하는 열과 같은 방향으로 적어도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2)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대해서 기판(40)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의 측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편(32)이 장착됨에 의해 상기 아암몸체(16)가 전단되지 않는 한 상기 사이드브라켓(30)과 하우징(10) 사이의 결합이 분리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장착편(32)이 장착되는 하우징(10)의 측면은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상기 장착편(32)이 하우징(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됨에 있어서 방해가 되는 요소를 쉽게 발견하여 작업자가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브라켓(30)이 하우징(10)의 측면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편(32)의 하단에 직교하게 솔더편(34)이 있다. 상기 솔더편(34)의 저면은 기판(40)에 솔더링되는 부분이다. 상기 솔더편(34)의 저면과 상기 기판(40)사이가 평행하게 되지 않게 되면 상기 솔더편(34)의 저면이 전체적으로 기판(40)에 일정하게 결합되지 않게 되어 사이드브라켓(30)이 기판(40)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않게 된다. 상기 솔더편(34)의 저면과 상기 터미널(20)의 솔더링부(26)의 저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있다. 이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솔더편(34)에는 솔더공(36)이 형성된다. 상기 솔더공(36)을 통해서는 상기 솔더편(34)의 상면과 하면에 있는 솔더링을 위한 재료가 일체로 되어 솔더링이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는 사이드브라켓(30)에 의해 하우징(10)이 보다 견고하게 기판(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관통부(12)에 상기 터미널(20) 들을 설치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상기 터미널(20)의 접촉부(24)를 상기 터미널관통부(12)로 삽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터미널관통부(12)를 지나 상기 접촉부(24)가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하우징(10)의 구조에 따라서는 상기 접촉부(24)가 하우징(10)에서 돌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결합부(22)가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관통부(12) 내면에 압입되거나 파고들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20)이 하우징(10)에 설치되면 상기 솔더링부(26)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즉, 상기 기판(40)에 실장될 때, 기판(40)의 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측방향에서 이동하여 하우징(10)의 측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결합아암(14,14')에 사이드브라켓(30)의 장착편(32)이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편(32)의 장착공(33)에 각각의 결합아암(14,14')의 쌍이 대응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장착편(32)을 하우징(10)의 측면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결합아암(14,14')의 선단에 있는 걸이턱(18)이 상기 장착공(33) 내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장착공(33)의 내면에 상기 걸이턱(18)의 가장자리가 안내되는데, 특히 상기 안내경사면(18')이 장착공(33)의 내면에 안내되면서 각각의 결합아암(14,14')이 상기 탄성변형공간(19)으로 이동하게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걸이암(14,14')이 서로 인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이턱(18)이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장착공(33)을 통과한다. 상기 장착공(33)을 상기 걸이턱(18)이 통과하면 상기 걸이암(14,14')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아암몸체(16)가 상기 장착공(33)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탄성변형공간(19)이 원래의 형태로 되고, 상기 장착편(32)의 외면, 즉 상기 장착공(33)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기 걸이턱(18)에 밀착되어 상기 장착편(32)이 상기 걸이암(14,14')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이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가 기판(40)에 실장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20)의 솔더링부(26)와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의 상기 솔더편(34)이 기판(40) 상에 안착되고 솔더링된다. 이때, 상기 솔더편(34)의 저면은 기판(40)의 표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상기 결합아암(14,14')의 쌍 들이 일렬로 하우징(1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브라켓(30)이 장착되는 하우징(10)의 측면이 외부로 전부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위치될 수 없어 하우징(10)의 측면에 사이드브라켓(30)의 장착편(32)이 정확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솔더편(34)이 또한 기판(40)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어 사이드브라켓(30)이 기판(40) 상에 정확하게 솔더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한쌍의 결합아암(14,14')이 사이드브라켓(30)과의 결합을 위한 사용되고 있으나, 한쌍의 결합아암(14,14')대신에 기둥형상의 결합아암이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아암은 장착공(33)이 원형이라면 원기둥형상으로 되면서 장착공(33)의 내경보다 결합아암의 외경이 조금 크도록 하여 압입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장착공(33)의 내부로 결합아암이 잘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 쳄퍼를 형성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터미널관통부
14,14': 결합아암 16: 아암몸체
18: 걸이턱 18': 안내경사면
19: 탄성변형공간 20: 터미널
22: 결합부 24: 접촉부
26: 솔더링부 30: 사이드브라켓
32: 장착편 33: 장착공
34: 솔더편 36: 솔더공

Claims (12)

  1. 터미널관통부가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관통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후단에 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구비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2군데 이상 구비되는 결합아암 쌍과,
    상기 결합아암 쌍이 관통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결합아암이 상기 장착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고 기판에 솔더링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아암 쌍은 2개의 결합아암이 탄성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아암은 하우징의 측면에 직교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아암몸체와, 상기 아암몸체의 선단을 둘러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걸이턱을 포함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은 상기 아암몸체에서 결합아암 쌍의 마주보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하우징의 측면에 안착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되는 솔더편을 포함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상기 결합아암의 쌍이 있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편에는 솔더공이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8. 터미널관통부가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관통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후단에 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구비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는 결합아암과,
    상기 결합아암이 관통하는 장착공이 상기 결합아암의 갯수만큼 열을 지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에서 상기 결합아암이 상기 장착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고 기판에 솔더링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하우징의 측면에 안착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되는 솔더편을 포함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편에는 솔더공이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의 내경은 상기 결합아암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아암이 상기 장착공에 압입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아암의 선단을 둘러서는 쳄퍼가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KR1020190058539A 2019-05-20 2019-05-20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200133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539A KR20200133420A (ko) 2019-05-20 2019-05-20 기판실장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539A KR20200133420A (ko) 2019-05-20 2019-05-20 기판실장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20A true KR20200133420A (ko) 2020-11-30

Family

ID=736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539A KR20200133420A (ko) 2019-05-20 2019-05-20 기판실장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3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719A (ko) * 2021-11-08 2023-05-1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15B1 (ko) 2013-12-11 2015-06-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KR20160134155A (ko) 2015-05-15 2016-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15B1 (ko) 2013-12-11 2015-06-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KR20160134155A (ko) 2015-05-15 2016-1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719A (ko) * 2021-11-08 2023-05-1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2603B (zh) 連接器
JP4691468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US8454397B2 (en) Anti-wicking terminal and connector
US7303429B2 (e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JP6325720B1 (ja) 多接点コネクタ
WO2012096288A1 (ja) コネクタ
US11233345B2 (en)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US7985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US6739880B2 (en) Circuit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device
KR20120002160A (ko) 조인트 커넥터
KR20200133420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110093838A (ko)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WO2020050028A1 (ja) コネクタ
US10446945B2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JP2015530723A (ja) ヘッダーコネクタ
JP4028497B2 (ja) コネクタ
JP5959212B2 (ja) コネクタ
JP3141031U (ja) 電気コネクタ
TWI704732B (zh) 電連接器基座以及電連接器
CN111213285B (zh) 焊接接触件和接触模块以及用于制造接触模块的方法
KR20120075934A (ko)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JP4044646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