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838A -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838A
KR20110093838A KR1020117012743A KR20117012743A KR20110093838A KR 20110093838 A KR20110093838 A KR 20110093838A KR 1020117012743 A KR1020117012743 A KR 1020117012743A KR 20117012743 A KR20117012743 A KR 20117012743A KR 20110093838 A KR20110093838 A KR 20110093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ntact
connecto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036B1 (ko
Inventor
마틴 쳅하우저
빌렘 블랙본
율리히 쾨베레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9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부(10)와, 각각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보형 대응부에 플러그인에 의해서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부(32)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구역들(30)을 가지며, 개구(12)가 각 접촉 구역(30)을 위해 장착부(10)에 형성되고, 각 접촉 구역(30)은 플러그인부(32)에 의해 개구들 중 하나를 관통하여 장착부(10)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각 접촉 구역(30)은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측면(34) 상에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36, 38)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10)가 접촉 구역(30)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3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장치(26)를 가지며, 장착부(1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장치(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장치(28)를 가진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PLUG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와, 각각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보형 대응부에 플러그인에 의해서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구역들을 가지며, 개구가 각 접촉 구역을 위해 장착부에 형성되고, 각 접촉 구역은 플러그인부에 의해 개구들 중 하나를 관통하여 장착부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각 접촉 구역은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측면 상에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범위 제15항의 전제부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전기 회로를 갖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DE 43 12 091 A1호에는, 전도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의 평평한 평면 구역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형 개구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전도체를 구비한 구역을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인쇄 회로로부터 나온 다수의 평행한 전도체들이 연장하고 있다.
독일 특허 공보 DE 197 20 678 C1호에는 인쇄회로기판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무선(RF) 동축 플러그인 커넥터부가 공지되어 있다. 무선 동축 플러그인 커넥터의 금속 하우징 상에 솔더 핀들과, 경우에 따라 동축 플러그 또는 동축 소켓 형태인, 금속 플러그인부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이 그 저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끼워지면, 솔더 핀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솔더 핀들과 관련된 전기 접속부들에 맞물리게 되는데, 이들 전기 접속부들은 솔더 핀들이 납땜되는 접속부 생성용 장착공들(connection-making mounting holes)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수의 이러한 무선 동축 플러그인 커넥터부들을 부품에 통합할 수 있도록, 독일 특허 공보 DE 198 05 944 C1호에는 다수의 수용공을 가지는 커넥터 스트립이 공지되어 있다. 각진 동축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플러그인부들에 의해 수용공들 각각에 삽입되고, 커넥터 스트립에 의해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는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커넥터 스트립에 먼저 삽입되고 그 다음에 커넥터 스트립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끼워짐으로써, 모든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들의 솔더 핀들이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장착공들에 맞물리게 되고 모든 플러그인 커넥터들 상의 납땜 면들이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솔더 패드들에 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커넥터 스트립이 끼워질 때 커넥터 스트립에 장착된 다수의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들의 솔더 핀들이 각각의 장착공들에 동시에 맞물리도록 솔더 핀들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커넥터 스트립에 장착된 다수의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들 상의 납땜면들에서, 이들이 정확한 위치에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평면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배치될 필요가 있다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커넥터 스트립에 끼우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와 상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을 단순화시켜서 간단히 끼울 수 있게 하고 동시에 그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들을 갖는 상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및 청구범위 제15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특징들을 갖는 상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다른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부가 접촉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장치를 가지며, 장착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장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접촉 구역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기능이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들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따라서 플러그인 기능과 전기적 접촉부가 기능적으로 서로 분리되게 만든다. 이렇게 해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접촉부들이 정확하게 위치될 요건이 장착부로 이동되는데, 이 장착부에서는 상기 요건을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들에서보다 더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즉, 장착부는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와 인쇄회로기판의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데, 이는 접촉 구역의 상기 접촉 부재와 인쇄회로기판의 컨덕터가 더 이상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나의 접촉 요소 또는 다수의 접촉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기능이 이제 장착부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들은 더 이상 정확하게 위치될 필요가 없다.
장착부의 제2 접촉 장치는, 유용하게는, 상기 제2 접촉 장치가 상기 제2 접촉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접촉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구역은 외부 컨덕터와 중앙 컨덕터를 가지는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의 형태를 취하고, 접촉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는 외부 컨덕터 접촉부의 형태를 취하고, 접촉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촉 부재는 중앙 컨덕터 접촉부의 형태를 취한다. 이 경우, 장착부의 제1 접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구역들의 모든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접촉 장치와 연결된 제2 접촉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외부 컨덕터, 즉 접지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접촉 장치가 클램핑된 접촉부의 형태를 취하게 함으로써 무선 용도를 위한 접촉의 수준을 높이고 신뢰성 있게 반복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특히 용이하고 저렴한 제작 및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핑된 접촉부의 접촉 영역들을 니켈로 코팅함으로써 특히 높은 수준의 전기적 접촉이 달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들과 장착부의 제2 접촉 장치 사이의 한정된 그리고 국부적으로 경계지어진 접촉부들의 지점들 및 전류 흐름을 위한 소정의 대응 흐름 경로는 장착부의 제2 접촉 장치가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장착부의 측면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개별 융기부들을 가지게 함으로써 얻어진다.
장착부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납땜이 특히 잘 될 수 있는 접촉 영역들은 장착부의 제2 접촉 장치가 주석으로 된 마감부를 가지게 함으로써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착부는 스탬핑/천공되어 절곡된 부품의 형태를 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장착부는 아연 다이캐스팅의 형태를 취한다.
장착부의 제1 및/또는 제2 접촉 장치는 유용하게는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착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측면에, 이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장착 개구에 맞물려 인쇄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그리고/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가진다.
장착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한층 더 고정시키도록, 장착부는 장착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고정부를 갖는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스크류가 통과해서 인쇄회로기판에 나사 결합되게 하는 개구를 갖는다.
상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접촉 구역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기능이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들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에 따라 플러그인 기능과 전기적 접촉부가 기능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해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접촉부들이 정확하게 위치될 요건이 장착부로 이동되는데, 이 장착부에서는 상기 요건을 접촉 구역의 접촉 부재들에서보다 더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견고하게 나사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장착부가 아직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장착부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장착부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세 개의 개구(12),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인쇄회로기판측 면(16)을 갖는 제1 벽(14) 및 개구들(12)이 형성된 제2 벽(18)을 갖는 장착부(10)를 포함한다. 장착부(10)는 제1 벽(14)과 제2 벽(18)에 직교하게 배치된 측면 부재들(20)도 갖는다. 한 측면 부재(20) 상에는 장착부(10)를 예를 들면 나사 연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개구(23)를 갖는 고정부(22)가 있다. 인쇄회로기판측 면(16)의 반대쪽에 있는 제1 벽(14)의 접촉 구역측 면(24) 상에는 아치형으로 솟은 러그(26) 형태로 제1 접촉 장치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벽(14)의 인쇄회로기판측 면(16) 상에는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접촉 영역들(28)의 형태로 제2 접촉 장치들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0)가 인쇄회로기판에 끼워지면, 이들 접촉 영역들(28)은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접촉 패드들 상에 놓이고 납땜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접촉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장착부는 모든 접촉 영역들(28)이 100μm 이하의 공차 내로 하나의 공통 평면 내에서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해서 모든 접촉 영역들(28)이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촉 패드들과 균일하게 접촉되는 것이 보장된다. 장착부(10) 및, 하나의 부재로 장착부(10) 상에 형성된 접촉 영역(28)과 아치 형상으로 솟은 러그들(26)은 전체적으로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아치 형상으로 솟은 모든 러그들(26)과 모든 접촉 영역들(28) 사이에는 도전성 연결부가 있다.
일례로서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는 또한 명료성을 이유로 단 한 개만이 도시된 세 개의 접촉 구역들(30)을 또한 포함한다. 접촉 구역들(30)은 플러그인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미도시)의 상보형 대응부(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부(32)를 각각 갖는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각 플러그인부(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들(12) 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 구역들(30)은 그것들의 각각의 플러그인부들(32)에 의해 개구로 압입된다.
각 접촉 구역(30)은 또한 접촉 부재들(36, 38)이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측부(34)를 갖는다. 일례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부재(36)는 외부 전도체 접촉부의 형태를 취하고 제2 접촉 부재(38)는 중앙 전도체 접촉부의 형태를 취한다. 중앙 전도체 접촉부(38)는, 장착부의 제1 벽(14)을 지나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연장하고 장착부(10)가 인쇄회로기판에 끼워질 때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장착 개구에 맞물리고,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컨덕터에 전기 접속되는 핀의 형태를 취한다. 이 중앙 컨덕터 접촉부(38)는 접촉 구역(30)의 중앙 컨덕터부(42)(도 3)에 전기 접속되고, 이 중앙 컨덕터부는 플러그인부(32)로 연장하고 절연체(44)(도 1 및 도 2)에 의해 접촉 구역(30)의 외부 컨덕터부(40) 내부에 유지된다. 외부 컨덕터 접촉부(36)는 외부 컨덕터부(40)에 전기 접속되고, 아치형 러그들(26) 아래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구역(30)의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36)은 아치형 러그들(26)의 자유단 아래에서 활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클램핑된 전기 접촉부가 접촉 구역의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36)과 아치형 러그들(26) 사이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접촉 구역(30)의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36)과 장착부(10)의 제1 벽(14) 상의 접촉 영역들(28) 사이의 도전성 연결부는 도전성 장착부(10)를 통해 동시에 만들어진다.
제1 벽(14)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아치형 러그들(26)은 따라서 접촉 영역들(28)에 전기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제1 벽(14)은 아치형 러그들(26)과 접촉 영역들(28)을 통해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36)과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접지 컨덕터들 사이에 전기 접촉부를 형성하고, 이 접지 컨덕터들로 접촉 영역들(28)은 전기 접촉부를 형성한다. 즉, 접촉 구역들(30)의 컨덕터 접촉부들(36)에 의한 이 전기 접촉부는 더 이상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접촉 구역들의 측부(34) 상에 직접 형성될 필요는 없을 것이고, 그 대신 이 전기 접촉부는 장착부(10)에 형성된다. 이는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서로 인접한 접촉 구역들(30)의 그 측부들(34)이 0.1mm의 정확도로 평면에서 정렬될 필요가 없게 한다.
장착부(10)는 주석으로 된 마감부를 갖는 일체로 스탬핑/천공되어 절곡된 부품의 형태를 취한다. 이에 따라 접촉 영역들(28)이 인쇄회로기판 상의 대응하는 접촉 패드들에 잘 납땜될 수 있다. 한편, 접촉 구역(30) 더 정확히는 그 외부 컨덕터부(40) 및 중앙 컨덕터부(42)는 바람직하게는 니켈로 된 마감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력이 낮은 상보형 대응 커넥터를 갖는 우수한 전기 접촉부를 플러그인부(32)에 형성한다. 외부 컨덕터 접촉부(36)와 아치형으로 솟은 러그들(26)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부의 지점들에서 발생되는 것이 클램핑된 접촉부이지 납땜된 접촉부가 아니기 때문에, 납땜이 어려운 니켈 마감부가 접촉 구역(30) 상에 있는 것은 단점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또는 인쇄회로기판 커넥터는 플러그인부(32)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인쇄회로기판 상의 대응하는 접지 컨덕터들에 대해 외부 컨덕터(40)의 납땜된 전기 접속부와 기능적으로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각기 다른 코팅들이 한편으로는 플러그인부(32)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대응하는 접지 컨덕터들에 대한 외부 컨덕터(40)의 납땜된 전기 접속부에서 연결 인터페이스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는 바, 세 개의 접촉 구역들(30)이 반드시 동일한 형태일 필요는 없다. 이 시스템은 단일, 이중, 삼중 및 사중 PCB 커넥터들 용으로 특히 적당하다. 해당 전기 접촉부들이 장착부(10)의 접촉 영역들(28)로 만들어지지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접촉 구역들(30)의 측부(34) 상의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36)로 직접 만들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들에서도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을 위한 스탠드-오프 평면성(stand-off planarity)을 0.1mm 이내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접촉부가 장착부(10)의 접촉 영역들(28)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지 컨덕터들로 만들어진다는 점은 전기 접촉부의 국부적으로 한정된 지점들이 주석-납 솔더에 관계없이 전류의 흐름을 위한 대응하게 한정된 경로들을 부여하게 하는데, 이는 납땜 공정 도중에 예측이 불가능한 방식들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확산은 제1 벽(14)의 인쇄회로기판측 면(16)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놓이는 완전히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장착부(10)는, 측면 부재들(20) 상에,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장착 개구에 맞물리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46)(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네 개)을 갖는다.

Claims (16)

  1. 장착부(10)와, 각각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보형 대응부에 플러그인에 의해서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부(32)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구역들(30)을 가지며, 개구(12)가 각 접촉 구역(30)을 위해 장착부(10)에 형성되고, 각 접촉 구역(30)은 플러그인부(32)에 의해 개구들 중 하나를 관통하여 장착부(10)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각 접촉 구역(30)은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측면(34) 상에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36, 38)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가 접촉 구역(30)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3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장치(26)를 가지며, 장착부(1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장치(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장치(2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제2 접촉 장치(28)는, 상기 제2 접촉 장치(28)가 상기 제2 접촉 장치(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접촉 장치(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 구역(30)의 접촉 부재(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구역(30)은 외부 컨덕터(40)와 중앙 컨덕터(42)를 가지는 무선 플러그인 커넥터의 형태를 취하고, 접촉 구역(30)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36)는 외부 컨덕터 접촉부의 형태를 취하고, 접촉 구역(3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접촉 부재(38)는 중앙 컨덕터 접촉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제1 접촉 장치(26)는 접촉 구역들(30)의 모든 외부 컨덕터 접촉부들(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접촉 장치(26)와 연결된 제2 접촉 장치(28)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외부 컨덕터, 즉 접지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장치(26)는 클램핑된 접촉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된 접촉부(26)의 접촉 영역들은 니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제2 접촉 장치(28)는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장착부(10)의 측면(16)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개별 융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제2 접촉 장치(28)의 접촉 영역들은 주석으로 된 마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는 스탬핑/천공되어 절곡된 부품의 형태를 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는 아연 다이캐스팅의 형태를 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제1 및/또는 제2 접촉 장치(26, 28)는 장착부(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는, 인쇄회로기판에 인접한 측면(16)에, 이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인쇄회로기판의 대응하는 장착 개구에 맞물려 인쇄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4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는 장착부(10)를 인쇄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고정부(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14.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는 스크류가 통과해서 인쇄회로기판에 나사 결합되게 하는 개구(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
  15. 전기 회로를 갖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용 다중 플러그인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견고하게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117012743A 2008-11-03 2009-10-26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 KR101647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8014542U DE202008014542U1 (de) 2008-11-03 2008-11-03 Steckverbinder für Schaltungsplatinen
DE202008014542.2 2008-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838A true KR20110093838A (ko) 2011-08-18
KR101647036B1 KR101647036B1 (ko) 2016-08-09

Family

ID=4029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743A KR101647036B1 (ko) 2008-11-03 2009-10-26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17523B2 (ko)
EP (1) EP2356722B1 (ko)
JP (1) JP5331209B2 (ko)
KR (1) KR101647036B1 (ko)
CN (1) CN102204025B (ko)
CA (1) CA2740942C (ko)
DE (1) DE202008014542U1 (ko)
HK (1) HK1158382A1 (ko)
WO (1) WO2010060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4542U1 (de) * 2008-11-03 2009-01-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Schaltungsplatinen
JP5914547B2 (ja) 2014-02-27 2016-05-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30202B2 (en) 2014-11-04 2019-03-12 X-Microwave, Llc Modular building block system for RF and microwave design of components and systems from concept to production
JP2016100190A (ja) * 2014-11-21 2016-05-3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組立て
EP3179564A1 (en) * 2015-12-09 2017-06-14 Teleste Oyj A coaxial cable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790A (en) * 1978-07-07 1980-02-12 Gen Electric Device for connecting coaxial cable connector to printed board
US5405267A (en) * 1994-03-28 1995-04-11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ing rack for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ors
EP1109259A2 (de) * 1999-12-16 2001-06-20 HARTING KGaA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
KR20060045006A (ko) * 2004-03-31 2006-05-1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차폐형 전기 잭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428Y2 (ko) * 1987-10-23 1992-12-03
US4991988A (en) * 1989-04-18 1991-02-12 Bic Corporation Component writing instrument having retractable cartridge
JP2570351Y2 (ja) * 1992-04-13 1998-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5215470A (en) * 1992-06-26 1993-06-01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478258A (en) * 1993-12-20 1995-12-26 Wang; Tsan-Chi BNC connector and PC board arrangement
JP3071136B2 (ja) * 1995-03-07 2000-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子構造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ユニバーサルlnb
DE19720678C1 (de) 1997-05-16 1998-10-08 Siemens Ag HF-Koaxial-Steckverbinderteil
DE19805944C1 (de) 1998-02-13 1999-09-16 Siemens Ag Leiterplattenanordnung
US6358062B1 (en) * 2000-10-24 2002-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6478587B2 (en) * 2001-03-06 2002-11-12 Stanley S. Sharples Retractable electric wall outlet assembly
US6468089B1 (en) * 2001-04-20 2002-10-22 Molex Incorporated Solder-less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having a common ground contact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US7234967B2 (en) * 2005-11-15 2007-06-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port RF connector
DE102007014356A1 (de) * 2007-03-26 2008-10-02 Robert Bosch Gmbh Pin zum Einsetzen in eine Aufnahmeöffnung einer Leiterplatte und Verfahren zum Einsetzen eines Pin in eine Aufnahmeöffnung einer Leiterplatte
US7766696B2 (en) * 2007-07-26 2010-08-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DE202008014542U1 (de) * 2008-11-03 2009-01-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Schaltungsplatinen
US8105092B2 (en) * 2009-05-06 2012-01-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s mounted to a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790A (en) * 1978-07-07 1980-02-12 Gen Electric Device for connecting coaxial cable connector to printed board
US5405267A (en) * 1994-03-28 1995-04-11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ing rack for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ors
EP1109259A2 (de) * 1999-12-16 2001-06-20 HARTING KGaA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
KR20060045006A (ko) * 2004-03-31 2006-05-1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차폐형 전기 잭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4025B (zh) 2013-05-22
US8317523B2 (en) 2012-11-27
US20110207345A1 (en) 2011-08-25
EP2356722B1 (de) 2016-03-30
CN102204025A (zh) 2011-09-28
JP5331209B2 (ja) 2013-10-30
CA2740942A1 (en) 2010-06-03
KR101647036B1 (ko) 2016-08-09
WO2010060511A1 (de) 2010-06-03
HK1158382A1 (en) 2012-07-13
DE202008014542U1 (de) 2009-01-29
CA2740942C (en) 2013-08-20
JP2012507824A (ja) 2012-03-29
EP2356722A1 (de)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51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US7722365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08343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229319B2 (en) Printed board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US736102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019681B2 (ja) 回路基板への無はんだ実装のための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3134262U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KR101647036B1 (ko) 인쇄회로기판용 플러그-인 커넥터
US20110263158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09175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US7540777B2 (en) Plug-i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20010078106A (ko) Pcb용 종단 어댑터
US4589720A (en) Planar electronic filter element and a connector embodying such a filter
US9252540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having an upstream contact terminal
KR20060030488A (ko) 인쇄 회로 기판용 전도체 접속 모듈
KR101152739B1 (ko) 전자부품 부착용 소켓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콘택트 캐리어
JP5736227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CN109428226B (zh) 电插接件,电路板和电插接件的生产方法
JP4486909B2 (ja) 電気コネクタ
KR20200133420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US7066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EP2947719A1 (en) Wire lug connector
US6270366B1 (en) Adaptable high integrated electric interconnecting system
CN108075334B (zh) 电源连接装置及导电汇流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