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485B1 -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485B1
KR101151485B1 KR1020100115519A KR20100115519A KR101151485B1 KR 101151485 B1 KR101151485 B1 KR 101151485B1 KR 1020100115519 A KR1020100115519 A KR 1020100115519A KR 20100115519 A KR20100115519 A KR 20100115519A KR 101151485 B1 KR101151485 B1 KR 10115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im card
housing
car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혁
양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은 접촉 단자들을 평면 혹은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제조됨으로써, 단말기 소형화 추세에 따른 접촉단자 설치공간의 협소 문제와, 카드 삽입시 카드 선단과 접촉단자들의 충돌문제를 해소하고, 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이 심 카드의 접속 단자와 견고하게 접촉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접촉불량이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Socket for micro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본 발명은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접촉 터미널의 형상을 개선하여 초소형화 및 초 슬림화를 구현한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가입자정보모듈) 카드란 전화번호부 등 다양한 가입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칩으로, 이를 국제 로밍용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단말기에 연결하면 CDMA나 GSM(유럽식 이동통신방식)등과 같은 이동전화의 기술규격에 관계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자신의 전화번호로 자유롭게 이동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말한다.
이러한 심 카드를 이용해 국제로밍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단말기(휴대폰)에 내장된 소켓(커넥터)에 심 카드를 직접 꽂아 사용한다.
종래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은 심 카드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심 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단자);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심 카드 인식 터미널; 및 상기 심 카드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은 단말기 등의 장치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그 장치 안에 장착되는 심 카드도 초소형화되고 그에 따라 소켓 또한 초소형화되어 하우징 내에 접촉 터미널(단자)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협소해지고, 카드 삽입시 카드 선단과 접촉 터미널들의 충돌 위험이 있으며, 도피 공간이 부족하여 초 슬림화를 실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도 1a-도 1c를 보면서 메모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과의 충돌 문제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선단과 접촉 터미널(12)의 충돌 우려가 있는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터미널(12)의 선단을 좀더 길게 형성하여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선단과의 충돌을 방지해야 하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심 카드(1) 접촉 후, 접촉 터미널(12)의 에지가 기판 바닥에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도 1d를 보면서 메모리 카드 삽입시 메모리 카드 소켓의 공간 협소 문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접촉 터미널(12)이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촉 터미널(12)이 적어도 최소한의 길이를 가져야 하는바, 카드 삽입 방향으로 접촉 터미널(12)에 경사를 형성하면 충돌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접촉 터미널(단자)(12)의 최소 길이(L)가 상기 하우징(11)의 외각 선을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11) 안에 공간 부족하여 하우징(11) 안에 상기 접촉 터미널(12)을 장착하기 어렵고, 하우징(11)의 외각 라인과 인쇄회로기판 외각 라인도 불일치하여 솔더 패턴도 만들기 어려워서 실제로 이러한 구조는 심 카드에서 구현하기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 단자들을 평면에서 볼 때(Top view) 대략 "U"자 형상으로 제조하여,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른 설치공간의 협소 문제와, 마이크로 메모리 카드와 접촉 단자들의 충돌문제를 해소하고, 초 슬림화를 구현하면서도 마이크로 메모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이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촉력을 보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 단자들을 측면에서 볼 때(Side view) 대략 "U"자 형상으로 제조하여,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른 설치공간의 협소 문제와, 마이크로 메모리 카드와 접촉 단자들의 충돌문제를 해소하고, 초 슬림화를 구현하면서도 마이크로 메모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이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촉력을 보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은 마이크로 심 카드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인식 터미널; 및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터미널은 평면에서 볼 때(Top view)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촉 터미널의 일 측 단 부에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에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는 텐션 경사 부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 경사 부의 끝단에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부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부딪히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상기 접촉 부가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견고하게 접촉하는 구조이다.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30-45°상향 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자 형상의 접촉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수평 부와, 상기 수평 부의 일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수평 부의 타 단에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상향 절곡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은 심 카드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심 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심 카드 인식 터미널; 및 상기 심 카드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터미널은 측면에서 볼 때(Side view)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수평 부와, 상기 수평 부의 일단에 상향 절곡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수평 부의 타 단에 연장 형성되는 측면 "U"자 부와, 상기 측면 "U"자 부로부터 상향 경사진 텐션 경사 부와, 상기 텐션 경사 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촉 부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에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후면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며, 상기 접촉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후면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의 수평 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부딪히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접촉 터미널의 상기 접촉 부가 상기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견고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촉 단자들을 평면에서 볼 때 혹은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제조하여 단말기 소형화 추세에 따른 설치공간의 협소 문제와, 카드 선단 부와 접촉 단자들의 충돌문제를 해소하고, 초 슬림화를 구현하면서도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이 마이크로 심 카드와 안정된 접속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과의 충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d는 마이크로 심 카드의 하우징 안의 공간 협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하트 캠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의 최대 및 최소 접촉시 컨텍 포스와 소성 변형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하트 캠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의 최대 및 최소 접촉시 컨텍 포스와 소성 변형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및 도 7은 하트 캠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100)은 마이크로 심 카드(1)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120); 상기 하우징(110)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접속단자(1a)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미 도시)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130);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삽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지지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인식 터미널(140); 및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통상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구성되며, 바닥면에는 접속단자(1a)의 탄성 변형시 접속단자(1a)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메탈 쉘(120)은 심 카드(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통상 메탈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 터미널(130)은 심 카드(1)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8개의 접촉 터미널(130)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후술하는 텐션 경사 부(133)가 4개씩으로 앞뒤로 배열된다.
상기 접촉 터미널(130)의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접촉 터미널(130)은 평면에서 볼 때(Top view) 개략 "U"자 형상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 터미널(130)은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수평 부(131)와, 상기 수평 부(131)의 일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용접부)(132)와, 상기 수평 부(131)의 타 단에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상향 절곡 형성되는 텐션 경사 부(133)와, 상기 텐션 경사 부(13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촉 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경사 부(133)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 삽입 시에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후면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며, 상기 접촉 부(134)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접속 단자(1a)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 삽입 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후면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133)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130)의 수평 부(13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부딪히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접촉 터미널(130)의 상기 접촉 부(134)가 상기 심 카드(1)의 접속 단자(1a)에 견고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 경사 부(133)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30-45°상향 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 유닛(150)은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 내부에서 상기 심 카드(1)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트 형상의 안내 홈(151a)을 갖는 하트 캠(151); 상기 안내 홈(151a)에 끝단이 삽입되고, 상기 안내 홈(15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위치를 고정하는 핀 로드(153); 및 상기 하트 캠(15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55);을 구비한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의 안내 홈(151a) 안에는 핀 로드(153)의 끝단이 삽입되고, 마이크로 심 카드의 이동에 의한 하트 캠(151)의 이동시에 핀 로드(153)의 끝단이 안내 홈(151a)의 A-> B-> C-> D-> E-> F-> G-> H-> A로 다시 위치하게 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가 분리 위치(언 로킹)에서 삽입 위치(로킹)로, 그리고 다시 분리 위치(언 로킹)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 심 카드(1)를 절연체의 하우징(110) 안으로 눌러 삽입한다. 이때 메탈 쉘(120)은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트 캠(151)은 스프링(155)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핀 로드(153)의 끝단은 안내 홈(151a)의 A-> B-> C-> D-> E로 위치하게 되어 심 카드(1)가 분리 위치에서 삽입 위치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후면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133)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130)의 수평 부(13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부딪히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접촉 터미널(130)의 상기 접촉 부(134)가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1a)에 견고하게 접촉된다.
상기 심 카드(1)를 한번 더 누르면, 핀 로드의 끝단이 안내 홈의 E-> F-> G-> H-> A로 다시 위치하게 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가 다시 분리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의 최대 및 최소 접촉시 컨텍 포스와 소형 변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130)의 최대 접촉시 컨텍 포스(Contact force)는 0.62N/Pin, 소성변형은 0.035㎜로 측정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접촉 터미널(130)의 최소 접촉시 컨텍 포스는 0.38N/Pin, 소성변형은 0.0023㎜로 측정되었는 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130)은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접촉 터미널(130)의 상기 접촉 부(134)가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1a)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어 초소형은 물론 초슬림화가 가능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하트 캠을 보인 평면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의 최대 및 최소 접촉시 컨텍 포스와 소형 변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200)은 마이크로 심 카드(1)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210)과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220); 상기 하우징(210)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접속단자(1a)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미 도시)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230); 및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유닛(25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통상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구성되며, 바닥면에는 접속단자(1a)의 탄성 변형시 접속단자(1a)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메탈 쉘(220)은 심 카드(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통상 메탈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 터미널(230)은 심 카드(1)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8개의 접촉 터미널(230)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후술하는 텐션 경사 부(233)가 4개씩으로 앞뒤로 배열된다.
상기 접촉 터미널(230)의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접촉 터미널(230)은 측면에서 볼 때(Side view) 개략 "U"자 형상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 터미널(230)은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수평 부(231)와, 상기 수평 부(231)의 일단에 상향 절곡 형성되는 고정 부(232)와, 상기 수평 부(231)의 타 단에 연장 형성되는 측면 "U"자 부(233)와, 상기 측면 "U"자 부(233)로부터 상향 경사진 텐션 경사 부(234)와, 상기 텐션 경사 부(234)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촉 부(235)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경사 부(234)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 삽입 시에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후면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며, 상기 접촉 부(235)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접속 단자(1a)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 삽입 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후면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234)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230)의 수평 부(23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부딪히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접촉 터미널(230)의 상기 접촉 부(235)가 상기 심 카드(1)의 접속 단자(1a)에 견고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 유닛(250)은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 내부에서 상기 심 카드(1)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트 형상의 안내 홈(251a)을 갖는 하트 캠(251); 상기 안내 홈(251a)에 끝단이 삽입되고, 상기 안내 홈(25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1)의 위치를 고정하는 핀 로드(253); 및 상기 하트 캠(25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55);을 구비한다.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의 안내 홈(251a) 안에는 핀 로드(253)의 끝단이 삽입되고, 마이크로 심 카드의 이동에 의한 하트 캠(251)의 이동시에 핀 로드(253)의 끝단이 안내 홈(251a)의 A-> B-> C-> D-> E-> F-> G-> H-> A로 다시 위치하게 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가 분리 위치(언 로킹)에서 삽입 위치(로킹)로, 그리고 다시 분리 위치(언 로킹)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230)의 최대 접촉시 컨텍 포스(Contact force)는 0.59N/Pin, 소성변형은 0.021㎜로 측정되며,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230)의 최소 접촉시 컨텍 포스는 0.25N/Pin, 소성변형은 0.01㎜로 측정되었는 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접촉 터미널(230)은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접촉 터미널(230)의 상기 접촉 부(234)가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1a)에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어 초소형은 물론 초슬림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면 혹은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제조하여 단말기 소형화 추세에 따른 설치공간의 협소 문제와, 카드 선단 부와 접촉 단자들의 충돌문제를 해소하고, 초 슬림화를 구현하면서도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시 접촉 터미널이 마이크로 심 카드와 안정된 접속력(접촉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110: 하우징
120: 메탈 쉘
130: 접촉 터미널
131: 수평 부
132: 고정부(용접부)
133: 텐션 경사 부
134: 접촉 부
140: 심 카드 인식 터미널
150: 록킹 유닛
151: 하트 캠
151a: 안내 홈
153: 핀 로드
155: 스프링
210: 하우징
220: 메탈 쉘
230: 접촉 터미널
250: 록킹 유닛
231: 수평 부
232: 고정부
233: 측면 "U"자 부
234: 텐션 경사 부
235: 접촉 부

Claims (9)

  1. 심 카드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심 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심 카드 인식 터미널; 및
    상기 심 카드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터미널은 평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촉 터미널의 일 측 단 부에는 상기 심 카드 삽입 시에 상기 심 카드의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는 텐션 경사 부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 경사 부의 끝단에는 상기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카드 삽입 시 상기 심 카드의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상기 접촉 부가 상기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접촉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30-45°상향 밴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의 접촉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수평 부와, 상기 수평 부의 일단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수평 부의 타 단에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상향 절곡 형성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가 삽입시 상향 절곡된 단자의 경사면을 타고 삽입되어 선단 부와 충돌없이 안정되게 삽입되고,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5. 심 카드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 및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심 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터미널은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촉 터미널의 일 측 단 부에는 상기 심 카드 삽입 시에 상기 심 카드의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는 텐션 경사 부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 경사 부의 끝단에는 상기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6. 심 카드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접촉 터미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심 카드의 삽입 시 상기 접촉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에 부딪히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상기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접촉하도록 상기 접촉 터미널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텐션 경사 부와 상기 텐션 경사 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촉 부를 구비하며,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쪽으로 30-45°상향 밴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7. 심 카드가 장착되는 절연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메탈 쉘;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일 측 단 부는 상기 심 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고 타 측 단 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접촉 터미널;
    상기 심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심 카드 인식 터미널; 및
    상기 심 카드의 삽입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터미널은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수평 부와 상기 수평 부의 일단에 상향 절곡 형성되는 고정 부와 상기 수평 부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측면 "U"자 부와 상기 측면 "U"자 부로부터 상향 경사진 텐션 경사 부와 상기 텐션 경사 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촉 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경사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에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후면 끝단에 탄력적으로 눌려지며, 상기 접촉 부는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 삽입 시, 상기 마이크로 심 카드의 후면 끝단에 의해서 상기 텐션 경사 부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접촉 터미널의 수평 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2차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접촉 터미널의 상기 접촉 부가 상기 심 카드의 접속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KR1020100115519A 2010-11-19 2010-11-19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KR101151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519A KR101151485B1 (ko) 2010-11-19 2010-11-19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519A KR101151485B1 (ko) 2010-11-19 2010-11-19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485B1 true KR101151485B1 (ko) 2012-06-28

Family

ID=4668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519A KR101151485B1 (ko) 2010-11-19 2010-11-19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719A (ko) * 2021-11-08 2023-05-1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30B1 (ko) * 2006-01-30 2008-01-1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KR20080050513A (ko) * 2005-09-22 2008-06-05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카드 커넥터
KR20090129895A (ko) * 2008-06-14 2009-12-1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플라이 아웃을 방지하는 메모리카드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513A (ko) * 2005-09-22 2008-06-05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카드 커넥터
KR100793830B1 (ko) * 2006-01-30 2008-01-1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카드용 커넥터
KR20090129895A (ko) * 2008-06-14 2009-12-1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플라이 아웃을 방지하는 메모리카드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719A (ko) * 2021-11-08 2023-05-1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KR102633838B1 (ko) * 2021-11-08 2024-02-0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554B2 (en) Conductive terminal having a peripheral open portion between a frame member and a contact member
US8740635B2 (en) Card connector having an actuator engaging a locking element
KR101135860B1 (ko) 메모리 카드 소켓 및 그 메모리 카드 소켓의 하트 캠
US8167643B2 (en) Card connector
US7488214B2 (en) Memory card connector
EP1783657A2 (en) Memory card socket structure
US6974343B2 (en) SIM card connector
KR101140425B1 (ko)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US20170250480A1 (en)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JP4628183B2 (ja) トレイ式カードソケット
KR19990045324A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JP2013206663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785150B1 (en) Battery connector
JP2008544462A (ja) ハウジング、端子並びに該ハウジングおよび端子を使用したコネクタ
KR101151485B1 (ko)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CN109787049B (zh) 堆叠式二合一卡座及电子设备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KR100517651B1 (ko) 심 슬라이드 커넥터에 설치되는 접속핀
US6942513B2 (en) Card connector
KR20100107232A (ko) 듀얼 심 소켓
KR101402999B1 (ko) 심카드 커넥터용 컨택트 단자
CN216015748U (zh) 一种端子、端子组件及电连接器
CN109326904B (zh) 堆叠式二合一卡座及电子设备
KR100772004B1 (ko) 잠금구조
KR101586255B1 (ko) 심 카드 가이드부를 구비한 심 카드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