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167B1 - Usb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Usb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167B1
KR101613167B1 KR1020140096145A KR20140096145A KR101613167B1 KR 101613167 B1 KR101613167 B1 KR 101613167B1 KR 1020140096145 A KR1020140096145 A KR 1020140096145A KR 20140096145 A KR20140096145 A KR 20140096145A KR 101613167 B1 KR101613167 B1 KR 10161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detection pin
special
usb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770A (ko
Inventor
마사유키 가타야나기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USB 리셉터클은, 식별부를 구비한 특수 USB 플러그와 소정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하다. USB 리셉터클은, 지지(hoiding) 부재와, 검지 핀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주부(main portion)를 갖고 있다. 검지 핀은, 주부의 측부에 지지되어 있다. 검지 핀은, 접촉부를 갖고 있다. 접촉부는,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주부와 전혀 겹쳐 있지 않다.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가 서로 끼워맞춤했을 때, 특수 USB 플러그의 식별부는, 검지 핀의 접촉부에 접속된다.

Description

USB 리셉터클{USB RECEPTACLE}
본 발명은, 적어도 2종의 상대측 커넥터(플러그)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USB(Universal Serial Bus) 리셉터클)로서, 끼워맞춤된 상대측 커넥터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검지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30452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USB 규격에 준거한 USB 리셉터클이다. 이 USB 리셉터클은, USB 규격에 준거한 표준 USB 플러그(도시하지 않음) 및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 가능하다. 특수 USB 플러그는,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특수 셸(shell)을 구비하고 있다. 특수 셸은, 표준 USB 플러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식별부를 갖고 있다. USB 리셉터클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셸과,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holding member)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검지 핀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는, 셸로 덮여 있고, 검지 핀을 지지하고 있다.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를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서로 끼워맞춤시키면, 특수 셸의 식별부가 검지 핀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USB 리셉터클은,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한 USB 리셉터클은, 표준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한 USB 리셉터클과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30452호
특허문헌 1의 USB 리셉터클이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할 때, 특수 셸의 식별부는, 지지 부재의 측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식별부의 선단부가 지지 부재의 측면에 닿아 측면을 깎을 우려가 있다. 이 결과, 깎아낸 부스러기가 식별부에 의해 검지 핀까지 옮겨져 검지 핀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깎아낸 부스러기가 검지 핀에 부착되면, 검지 핀과 식별부가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속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USB 플러그의 식별부와 접촉하는 검지 핀을 구비한 USB 리셉터클로서, 검지 핀과 식별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USB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표준 USB 플러그 및 적어도 1종의 특수 USB 플러그와 소정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 제거 가능한 USB 리셉터클을 제공한다. 상기 표준 USB 플러그는, USB 규격에 준거하고 있고 또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표준 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수 USB 플러그는, 상기 표준 USB 플러그의 구조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특수 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수 셸은, 상기 표준 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소정 부위와,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보다도 돌출된 식별부를 갖고 있다. 상기 USB 리셉터클은,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셸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검지 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의 각각은, 접점부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또한 상기 콘택트를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으로 나열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주부(main portion)를 갖고 있다. 상기 주부는, 상기 소정 방향 및 상기 피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주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셸은,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셸은,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표준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상기 표준 셸과 접속하고,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상기 특수 셸과 접속한다. 상기 검지 핀은, 상기 셸과 별체(別體)이다. 상기 검지 핀은, 상기 셸과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 부재의 양 측부의 하나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검지 핀은, 접촉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표준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상기 표준 셸이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주부와 전혀 겹쳐 있지 않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특수 셸의 상기 식별부의 내측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지 핀의 접촉부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지지 부재의 주부와 전혀 겹쳐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주부의 측면이 특수 USB 플러그의 식별부에 의해 깎여졌다 해도, 깎아낸 부스러기는 검지 핀의 접촉부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지 핀과 식별부와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USB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USB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USB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USB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USB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USB 리셉터클과 끼워맞춤 가능한 표준 USB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USB 리셉터클과 끼워맞춤 가능한 특수 USB 플러그의 특수 셸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특수 USB 리셉터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USB 리셉터클의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 검지 핀 및 제2 검지 핀은 커넥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11은 도 9의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본체의 제1 검지 핀의 근방(도 11에 있어서 파선 A로 둘러싸인 부분)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 본체의 제1 검지 핀의 근방(도 13에 있어서 파선 B로 둘러싸인 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9의 커넥터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9의 커넥터 본체의 제1 검지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1 검지 핀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제1 검지 핀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9는 도 2의 USB 리셉터클과 도 7의 특수 USB 플러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 및 특수 USB 플러그는 미(未)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20은 도 19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 및 특수 USB 플러그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21은 도 20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의 특수 셸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의 셸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22는 도 21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의 특수 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 및 특수 USB 플러그는 미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23은 도 22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의 특수 셸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여기에서, 특수 셸로 덮인 표준 지지 부재의 윤곽과 식별부의 측면의 윤곽을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도 21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의 특수 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의 특수 셸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여기에서, 특수 셸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26은 도 25의 USB 리셉터클의 제2 검지 핀의 근방(도 25에 있어서 파선 C로 둘러싸인 부분)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7은 특허문헌 1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 및 특수 USB 플러그는 미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28은 도 27의 USB 리셉터클과 특수 USB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USB 리셉터클 및 특수 USB 플러그는 끼워맞춤 도중 상태에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USB 리셉터클(100)은, 회로 기판(800)의 절결(cut:810) 내에 형성되는 소위 드롭 인(drop-in) 타입의 커넥터이다. 단, 본 발명은, 드롭 인 타입의 커넥터 이외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소위 온 보드(on-board) 타입의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USB 리셉터클(100)은, 특수 USB 플러그(500)와 소정 방향(Y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하다. 또한, USB 리셉터클(100)은, 표준 USB 플러그(400)(도 6 참조) 및 특수 USB 플러그(500')(도 8 참조)의 각각과 Y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하다. 환언하면, USB 리셉터클(100)은, 표준 USB 플러그(400) 및 적어도 1종의 특수 USB 플러그(특수 USB 플러그(500) 또는 특수 USB 플러그(500')와 Y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 제거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USB 리셉터클(100)은, 끼워맞춤된 USB 플러그(즉, 상대측 플러그)가 특수 USB 플러그인지 표준 USB 플러그(400)(도 6 참조)인지를 검지 가능하다. 환언하면, USB 리셉터클(100)에는, 상대측 플러그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검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우선 USB 리셉터클(100)과 끼워맞춤 가능한 표준 USB 플러그(400), 특수 USB 플러그(500)(도 7 참조) 및 특수 USB 플러그(500')(도 8 참조)의 각각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후, USB 리셉터클(10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표준 USB 플러그(400)는, USB 규격 중 하나인 USB 3.0 규격에 준거한 USB 플러그이다. 표준 USB 플러그(400)는,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표준 셸(410)(상대측 셸)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표준 콘택트(42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표준 콘택트(43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표준 지지 부재(450)를 구비하고 있다. 표준 셸(410) 및 표준 지지 부재(450)의 각각은, USB 3.0 규격에 준거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다. 표준 콘택트(420)는 USB 2.0 접속용의 콘택트이며, 표준 콘택트(430)는 USB 3.0 접속용의 콘택트이다. 표준 지지 부재(450)는, 표준 콘택트(420) 및 표준 콘택트(430)를 지지하고 있다. 표준 셸(410)은, 표준 지지 부재(450)를 덮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특수 USB 플러그(500)는, 표준 USB 플러그(400)와 동일하지만 조금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특수 USB 플러그(500)는,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특수 셸(510)(상대측 셸)과, 복수의 표준 콘택트(420)(도 6 참조)와, 복수의 표준 콘택트(430)와, 표준 지지 부재(450)를 구비하고 있다. 특수 셸(510)은, 표준 지지 부재(450)를 덮고 있다.
특수 셸(510)은, Y방향에 있어서 표준 셸(410)과 상이한 사이즈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특수 셸(510)은, 표준 셸(410)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식별부(5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특수 셸(510)은, 식별부(512)를 제외하면, 표준 셸(410)과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다. 환언하면, 특수 셸(510)은, 표준 셸(410)과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소정 부위를 갖고 있다. 식별부(512)는, -Y방향에 있어서 특수 셸(510)의 소정 부위(즉, 표준 셸(410)에 대응하는 부위)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Y방향에 있어서, 특수 셸(510) 전체의 사이즈는, 식별부(512)의 사이즈만큼 표준 셸(410)보다도 크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식별부(512)는, 사각 고리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식별부(512)는, 제1 식별부(식별부)(512R)와 제2 식별부(식별부)(512L)의 2종류의 식별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식별부(512R) 및 제2 식별부(512L)는, X방향(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식별부(512)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제1 식별부(512R)와 제2 식별부(512L)는, Y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특수 USB 플러그(500')(도 8 참조)는, 특수 USB 플러그(500)(도 7 참조)의 특수 셸(510)의 식별부(512)만을 변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특수 USB 플러그(500')는, 특수 셸(510')(상대측 셸)을 갖고 있다. 특수 셸(510')은, 특수 셸(510)과 동일하게, 제1 식별부(512R) 및 제2 식별부(512L)를 갖고 있다. 단, 특수 셸(510')은, Y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제1 식별부(512R)와 제2 식별부(512L)를 연결하는 부위를 갖고 있지 않다. 특수 USB 플러그(500')는, USB 리셉터클(100)(도 2 참조)의 검지 기구에 관하여, 특수 USB 플러그(500)와 동일한 종류의 특수 USB 플러그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USB 리셉터클(100)은, 2종류의 USB 플러그(표준 USB 플러그(400) 및 1종류의 특수 USB 플러그)를 식별 가능하다.
특수 USB 플러그(500')의 특수 셸(510')은, 추가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특수 셸(510')의 제1 식별부(512R)만을 갖는 제2 특수 USB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나 제2 식별부(512L)만을 갖는 제3 특수 USB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 USB 플러그(500) 및 특수 USB 플러그(500')는, USB 리셉터클(100)(도 2 참조)의 검지 기구에 관하여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특수 USB 플러그(500)에 대한 이후의 설명은, 특수 USB 플러그(500')에 대해서도 해당된다. 이 때문에, 이후는, 특수 USB 플러그(500')에 대해서 명시적으로는 언급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USB 리셉터클(100)은, 커넥터 본체(11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셸(120)을 구비하고 있다. 셸(120)은, Y방향과 직교하는 면(XZ평면) 내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10)를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120)은, 개략, 각통(角筒)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셸(120)은, Y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대체로 직사각형의 단면(斷面)을 갖고 있다. 셸(120)의 직사각형의 단면은, X방향에 있어서 길고, Z방향(수직 방향)에 있어서 짧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12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에는, 셸 접속부(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셸 접속부(122)는, USB 리셉터클(100)이 특수 USB 플러그(500)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특수 셸(510)과 접속된다(도 20 참조). 또한, 셸 접속부(122)는, USB 리셉터클(100)이 표준 USB 플러그(400)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표준 셸(410)과 접속된다(도 6 참조). 환언하면, USB 리셉터클(100)이 표준 USB 플러그(400) 또는 특수 USB 플러그(500)와 끼워맞춤하면, 셸(120)은, 표준 셸(410) 또는 특수 셸(5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12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는, 2개의 피(被)고정부(1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USB 리셉터클(100)이 회로 기판(800)에 부착될 때, 피고정부(126)는, 회로 기판(800)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도체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2 및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120)에는, 2개의 부착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28)는, 셸(12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의 후단(後端)(-Y측의 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28)는, 전방을 향하여(+Y방향을 따라) 잘려진 노치(notch)이다. 환언하면, 부착부(128)는, 전방을 향하여 오목해져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USB 리셉터클(100)의 커넥터 본체(11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13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140)와,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15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1 검지 핀(검지 핀)(300R)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2 검지 핀(검지 핀)(300L)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150)는, 콘택트(130)를 지지하고 있고, 또한, X방향으로 나열하고 있다. 또한, 지지 부재(150)는, 콘택트(140)를 지지하고 있고, 또한, X방향으로 나열하고 있다.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각각은, 셸(120)(도 4 참조)과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각각은, 셸(120)과 별체이며, 셸(120)과 상이하다.
콘택트(130)는, USB 2.0 접속용의 콘택트이며, 콘택트(140)는, USB 3.0 접속용의 콘택트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콘택트(130)의 갯수는 4개이며, 콘택트(140)의 갯수는 5개이다. 콘택트(130)의 각각은, 피지지부(132)와, 스프링부(134)와, 접점부(136)와, 피고정부(138)를 갖고 있다. 피지지부(132)는, 지지 부재(150)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부(134)는, 피지지부(132)로부터 상방으로(+Z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점부(136)는, 스프링부(134)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140)의 각각은, 접점부(146)와, 피고정부(148)(도 15 참조)를 갖고 있다. 피고정부(138) 및 피고정부(148)는, USB 리셉터클(100)이 회로 기판(800)(도 1 참조)에 부착되었을 때, 회로 기판(800)의 도체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지지 부재(150)는, 주부(152)와, 콘택트 지지부(158)를 갖고 있다. 주부(152)는, Z방향에 있어서 두께를 갖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주부(152)는, 상면(154)과 2개의 측면(156)을 갖고 있다. 측면(156)은, 주부(152)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콘택트 지지부(158)는, 주부(152)의 후측(-Y측)에 위치하고 있다. 콘택트 지지부(158)는, 2개의 측부(160)를 갖고 있다. 측부(160)는, 콘택트 지지부(158)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콘택트(130)의 피지지부(132)는, 지지 부재(150)의 콘택트 지지부(158)에 압입되어 있고, 하방을 향하여(-Z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접점부(136)는, 주부(152)의 상면(154)에,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130)의 스프링부(134)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접점부(136)는, 주로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콘택트(140)는, 지지 부재(150)의 성형시에, 지지 부재(150)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콘택트(140)는, 지지 부재(150)에 부분적으로 매입(embed)되어 있다. 콘택트(140)의 접점부(146)는, 주부(152)의 상면(154) 상에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140)의 접점부(146)는, 콘택트(130)의 접점부(136)와 비교하여, 주부(152)의 전단(前端)(+Y측의 단)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콘택트(140)의 접점부(146)는, Y방향에 있어서, 콘택트(130)의 접점부(136)와 주부(152)의 전단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지지부(158)의 측부(160)의 각각에는, 핀 지지부(162)와, 변형 허용부(164)와, 이동 허용부(166)와, 규제부(168)와, 부착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핀 지지부(162)는,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상세하게는, 핀 지지부(162)는, X방향과 직교하는 수직면(YZ평면) 내를 연장되면서, Z방향에 있어서 측부(160)를 부분적으로 관통하고 있다. 핀 지지부(162)의 일부는, 지지 부재(150)의 저면(底面)까지 연장되어 있다.
변형 허용부(164) 및 이동 허용부(166)의 각각은, 하방으로(-Z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이다. 변형 허용부(164)는, 핀 지지부(162)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변형 허용부(164)는, 핀 지지부(162)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동 허용부(166)는, 변형 허용부(164)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변형 허용부(164)는, Y방향에 있어서 핀 지지부(162)와 이동 허용부(166)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규제부(168)는, Y방향으로 근소하게 연장되는 벽이다. 규제부(168)는, 이동 허용부(166)의 X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변형 허용부(164)의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핀 지지부(162)로부터 이동 허용부(166)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진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변형 허용부(164)는, 2개의 벽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이 2개의 벽은, X방향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떨어지면서,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형 허용부(164)는, 지지 부재(150)의 강도(특히, 측부(160)의 강도)를 거의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동 허용부(166)는, X방향에 있어서 규제부(168)와 주부(152)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동 허용부(166)의 X방향 내측의 단면(端面)은, X방향에 있어서 변형 허용부(164)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착부(176)는, 측부(160)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부착부(176)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을 갖고 있다. 부착부(176)는, 측부(160)로부터 X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셸(120)의 부착부(128)(도 2 참조)는, 후방을 향하여(-Y방향을 따라) 부착부(176)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에 따라 셸(120)이 지지 부재(150)에 부착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과 제2 검지 핀(300L)은, X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관하여 서로 경상(鏡像)인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검지 핀(300L)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1 검지 핀(300R)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은, 피지지부(302)와, 스프링부(304)와, 접촉부(306)와, 피규제부(308)와, 압입 포스트(310)를 갖고 있다. 피지지부(302)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피지지부(302)에는, 2개의 뒤벨(protrusion;312)이 형성되어 있다. 뒤벨(312)은, 피지지부(302)의 X방향 외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304)는, 피지지부(302)로부터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306)는, 스프링부(304)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304)는, X방향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접촉부(306)는, 스프링부(304)의 탄성 변형에 의해, 주로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피규제부(308)는, 접촉부(306)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피규제부(308)와 접촉부(306)는, Z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압입 포스트(310)는, 피지지부(30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뒤벨(312) 중 하나는, 피지지부(302)와 압입 포스트(310)와의 사이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압입 포스트(310)는, USB 리셉터클(100)이 회로 기판(800)(도 1 참조)에 부착되었을 때, 회로 기판(800)의 도체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도 16 내지 도 1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지지부(302), 스프링부(304) 및 압입 포스트(310)는, 동일한 수직면(YZ평면) 내에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피지지부(302), 스프링부(304) 및 압입 포스트(310)는, 동일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단, 접촉부(306) 및 피규제부(308)는, 스프링부(304)를 포함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즉, 제1 검지 핀(300R)은, 최저한의 굽힘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피지지부(302), 스프링부(304) 및 압입 포스트(310)의 각각의 두께(즉,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핀 지지부(162)의 홈폭보다도 작다(도 12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접촉부(306)는, 스프링부(304)를 포함하는 동일 평면으로부터 튀어나온 곡면을 갖고 있다. X방향 및 Y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면 내(XY평면 내)에 있어서, 접촉부(306)의 곡면은, X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은, +X측의 측부(160)에 각각 지지되어 있고, 제2 검지 핀(300L)은, -X측의 측부(160)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압입 포스트(310)는, 상방으로부터 -Z방향을 따라 핀 지지부(162)에 각각 삽입(압입)되고, 이에 따라 피지지부(302)는, 핀 지지부(162) 내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압입 포스트(310)가 핀 지지부(162)에 압입될 때, 피지지부(302)의 뒤벨(312)은, 핀 지지부(162)의 내벽으로 밀어붙여진다. 이에 따라, 뒤벨(312)은, 피지지부(302)를 핀 지지부(162)의 내벽으로 밀어붙인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각각의 스프링부(304)의 고정단이 명확하기 때문에, 설계대로의 탄성력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뒤벨(312)은, 압입 포스트(310)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핀 지지부(162)에 각각 압입됨과 거의 동시에,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뒤벨(312)에 의해 X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피지지부(302)를 핀 지지부(162)의 내벽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측부(160)에 지지된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은, 셸(120)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환언하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은, 셸(120)과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지지 부재(150)의 측부(160)에 지지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측부(160)에 각각 지지되었을 때, 스프링부(304)는 변형 허용부(164)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부(304)는, 변형 허용부(164) 내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환언하면, 변형 허용부(164)는, 스프링부(304)의 탄성 변형을 허용 한다.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측부(160)에 각각 지지되었을 때, 스프링부(304)는, 피지지부(302)로부터, +Y방향 및 -Z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스프링부(304)는, Z방향 및 Y방향의 쌍방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부(304)를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변형 허용부(164)는, Y방향에 있어서 피지지부(302)로부터 접촉부(306)에 가까워짐에 따라 X방향의 사이즈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형 허용부(164)에 배치된 스프링부(304)는, X방향에 있어서 충분히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측부(160)에 각각 지지되었을 때, 접촉부(306)는, Z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 내(XY평면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접촉부(306)는, 주부(152)의 측면(156)으로부터 X방향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USB 리셉터클(100)을 끼워맞춤단측으로부터(전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접촉부(306)를 시인(視認)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촉부(306)는, Z방향에 있어서 주부(152)와 전혀 겹쳐 있지 않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접촉부(306)는, Z방향에 있어서 주부(152)의 측면(156)과 전혀 겹쳐 있지 않다. 환언하면, 접촉부(306)와 주부(152)를 Z방향과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을 따라 Z방향과 평행한 평면에 투영한 경우, 접촉부(306)의 투영상은, 주부(152)의 투영상과 겹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촉부(306)의 하단(-Z측의 단)은, Z방향에 있어서 주부(152)의 상면(154)보다도 근소하게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접촉부(306)는, 주부(152)의 근소하게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 접촉부(306)는, Z방향에 있어서 주부(152)의 상면(154)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어도 좋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측부(160)에 각각 지지되었을 때, 피규제부(308)는, 이동 허용부(166) 내에 위치하고 있다. 피규제부(308)는, 스프링부(304)가 탄성 변형했을 때에, 이동 허용부(166)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 환언하면, 이동 허용부(166)는, 수평면 내에 있어서, 피규제부(308)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규제부(168)는, X방향에 있어서, 피규제부(308)의 외측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상세하게는, 규제부(168)는, X방향에 있어서 피규제부(308)와 접촉부(306)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규제부(168)는, X방향에 있어서 피규제부(308)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X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접촉부(306)에 가해졌다고 해도, 피규제부(308)가 규제부(168)에 부딪히고, 이에 따라 접촉부(306)의 과도한 이동이 방지된다. 규제부(168)는, X방향에 있어서 외측면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규제부(168)의 외측면과 주부(152)의 측면(156)은, 면일(面一)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 규제부(168)의 외측면은, X방향에 있어서, 주부(152)의 측면(156)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피규제부(308)는, X방향에 있어서, 규제부(168)의 내측의 공간 내(주부(152)의 상면(154)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이동 허용부(166)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USB 리셉터클(100)을 끼워맞춤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피규제부(308)를 시인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피규제부(308)가 -Y방향을 따라 삽입된 어떠한 부재나 부위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수 USB 플러그(500)가 -Y방향을 따라 USB 리셉터클(100)과 끼워맞춤하면, 특수 셸(510)의 제1 식별부(512R) 및 제2 식별부(512L)는,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접촉부(306)와 각각 접촉한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USB 리셉터클(100)은, 제1 식별부(512R) 및 제2 식별부(512L)와 각각 접속 가능한 2종류의 검지 핀(즉,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을 구비하고 있다.
도 23, 도 25 및 도 2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USB 리셉터클(100)과 특수 USB 플러그(500)가 끼워맞춤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168)는, 특수 셸(510)의 X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306)는, 특수 셸(510)의 식별부(512)의 내측에 접속된다. 접촉부(306)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USB 리셉터클(10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촉부(306)의 곡면의 일부가, X방향에 있어서, 제1 식별부(512R)나 제2 식별부(512L)의 내측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접촉부(306)의 접점은 명료하다.
도 2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특수 USB 플러그(500)가 USB 리셉터클(100)과 끼워맞춤할 때, 식별부(512)를 제외하고, 특수 셸(510)의 어느 부위도, Y방향에 있어서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표준 USB 플러그(400)(도 6 참조)가 USB 리셉터클(100)과 끼워맞춤할 때, 표준 셸(410)은,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과 접촉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접촉부(306)는, USB 리셉터클(100)을 표준 USB 플러그(400)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표준 셸(410)이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각각은, USB 리셉터클(100)을 표준 USB 플러그(400)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표준 셸(410)이 접촉부(306)까지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은, USB 리셉터클(100)을 특수 USB 플러그(500)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특수 셸(510)의 식별부(512)가 접촉부(306)에 접속되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120)은, USB 리셉터클(100)을 표준 USB 플러그(400)(도 6 참조)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셸 접속부(122)를 통하여 표준 셸(410)과 접속하고, USB 리셉터클(100)을 특수 USB 플러그(500)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셸 접속부(122)를 통하여 특수 셸(510)과 접속한다. 환언하면, 셸(120)은, 표준 셸(410) 및 특수 셸(510)의 각각과 접속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은, USB 리셉터클(100)과 표준 USB 플러그(400)와의 끼워맞춤시에는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한편, USB 리셉터클(100)과 특수 USB 플러그(500)와의 끼워맞춤시에는 특수 셸(510)을 통하여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4 및 도 2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306)가 Z방향에 있어서 주부(15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식별부(512) 중 접촉부(306)에 접속되는 부위는, 주부(152)의 측면(15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USB 리셉터클(100)과 특수 USB 플러그(500)가 끼워맞춤할 때(도 22 참조), 식별부(512)가 주부(152)의 측면(156)을 깎았다고 해도, 깎아낸 부스러기는 접촉부(306)에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은, 특수 셸(510)의 제1 식별부(512R) 및 제2 식별부(512L)와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각각 유지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이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함으로써, USB 리셉터클(100)이 표준 USB 플러그(400)(도 6 참조)와 끼워맞춤했는지 특수 USB 플러그(500)와 끼워맞춤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USB 리셉터클(100)의 상대측 플러그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류를 검지함으로써 상대측 플러그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셸(120)과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각각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면 좋다. 또한, 전위를 검지함으로써도 상대측 플러그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각각의 전위를 풀업(pulled-up)하는 한편, 셸(120)을 그라운드(ground)에 접속해 두면 좋다. 그 후에,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핀(300L)의 각각의 전위에 변동이 있는지(즉, 그라운드 전위까지 저하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 또는 전압을 검지하는 경우, 제1 검지 핀(300R)에 관한 제1 검지와 제2 검지 핀(300L)에 관한 제2 검지를 서로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1 검지와 제2 검지를 독립적으로 행하는 경우, 특수 USB 플러그(500)뿐만 아니라, 제1 식별부(512R)만을 갖는 제2 특수 USB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나 제2 식별부(512L)만을 갖는 제3 특수 USB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쌍방이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USB 리셉터클(100)에 대하여 특수 USB 플러그(500)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검지 핀(300L)만이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USB 리셉터클(100)에 대하여 제3 특수 USB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검지 핀(300R)만이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USB 리셉터클(100)에 대하여 제2 특수 USB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검지 핀(300R) 및 제2 검지 핀(300L)의 쌍방이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USB 리셉터클(100)에 대하여 표준 USB 플러그(400)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표준 USB 플러그 및 적어도 1종의 특수 USB 플러그와 소정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 제거 가능한 USB(Universal Serial Bus)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상기 표준 USB 플러그는, USB 규격에 준거하고 있고 또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표준 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특수 USB 플러그는, 상기 표준 USB 플러그의 구조와는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특수 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특수 셸은, 상기 표준 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소정 부위와,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위보다도 돌출된 식별부를 갖고 있고,
    상기 USB 리셉터클은,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지지(holding) 부재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셸과,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검지 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의 각각은, 접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또한 상기 콘택트를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으로 나열하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주부(main portion)를 갖고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소정 방향 및 상기 피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는 상기 주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셸은,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표준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상기 표준 셸과 접속하고,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상기 특수 셸과 접속하고,
    상기 검지 핀은, 상기 셸과 별체(別體)이며,
    상기 검지 핀은, 상기 셸과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 부재의 양 측부의 하나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검지 핀은, 접촉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표준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에는 상기 표준 셸이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주부와 전혀 겹쳐 있지 않고, 상기 접촉부의 하단은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상기 상면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USB 리셉터클을 상기 특수 USB 플러그와 끼워맞춤했을 때,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특수 셸의 상기 식별부의 내측에 접속되는 USB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핀은, 피(被)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주부에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규제부의 외측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는 USB 리셉터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주부는, 이동 허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이동 허용부는, 상기 수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피규제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USB 리셉터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핀은, 피지지부와 스프링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피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핀 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핀 지지부는,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고 있는 USB 리셉터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변형 허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변형 허용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있고,
    상기 변형 허용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지 핀의 상기 피지지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피치 방향의 사이즈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USB 리셉터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 지지부는, 상기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면 내에 연장되는 홈이고,
    상기 피지지부 및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수직면 내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각각의 사이즈는, 상기 핀 지지부의 사이즈보다도 작고,
    상기 검지 핀에는, 뒤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뒤벨은,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핀 지지부의 내벽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USB 리셉터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핀에는, 압입 포스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입 포스트는, 상기 지지 부재에 압입되어 있고,
    상기 뒤벨은 상기 압입 포스트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USB 리셉터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수직 방향 및 상기 소정 방향의 쌍방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USB 리셉터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에는, 제1 식별부와 제2 식별부가 포함되고,
    상기 검지 핀에는, 제1 검지 핀과 제2 검지 핀이 포함되고,
    상기 제1 검지 핀 및 상기 제2 검지 핀은, 상기 제1 식별부 및 상기 제2 식별부와 각각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1 검지 핀 및 상기 제2 검지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피치 방향의 상기 양 측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는 USB 리셉터클.
KR1020140096145A 2013-08-27 2014-07-29 Usb 리셉터클 KR101613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5352 2013-08-27
JP2013175352A JP6084136B2 (ja) 2013-08-27 2013-08-27 Usbレセプタ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70A KR20150024770A (ko) 2015-03-09
KR101613167B1 true KR101613167B1 (ko) 2016-04-18

Family

ID=5258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145A KR101613167B1 (ko) 2013-08-27 2014-07-29 Usb 리셉터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1634B2 (ko)
JP (1) JP6084136B2 (ko)
KR (1) KR101613167B1 (ko)
CN (1) CN104426003B (ko)
TW (1) TWI5055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4675B2 (ja) * 2013-10-24 2017-04-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203800219U (zh) * 2013-12-11 2014-08-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9915695B2 (en) * 2014-12-01 2018-03-13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Detecting a proper connection
JP6790273B2 (ja) * 2016-12-08 2020-11-25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Usbポート付きデバイス
DE102018000207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DE102018000204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KR102638653B1 (ko) 2018-10-04 202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0452A (ja) 2011-06-20 2013-02-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Usb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1818A (zh) * 2003-09-25 2005-03-30 莫列斯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1130767Y (zh) * 2007-10-12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044800A (zh) * 2009-10-22 2011-05-04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检测usb设备接入的方法、装置及其usb插座
CN202094354U (zh) 2011-06-03 2011-12-28 东莞宇球电子有限公司 带侦测功能的电连接器
JP5826646B2 (ja) 2011-09-09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特殊レセプタクル及び特殊プラグ
US8690608B2 (en) * 2011-06-20 2014-04-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Special USB plug having different structure from standard USB plug and USB receptacle matable with the special USB plug
TWI497848B (zh) * 2011-06-20 2015-08-21 Japan Aviation Electron 具有與標準usb插頭不同構造之特殊usb插頭以及可與特殊usb插頭嵌合之usb插座
JP2012138383A (ja) 2012-04-23 2012-07-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CN103427236B (zh) * 2012-05-25 2016-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2855957U (zh) * 2012-08-14 2013-04-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0452A (ja) 2011-06-20 2013-02-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Usb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84136B2 (ja) 2017-02-22
US9281634B2 (en) 2016-03-08
CN104426003B (zh) 2017-04-12
TWI505585B (zh) 2015-10-21
US20150064958A1 (en) 2015-03-05
JP2015046240A (ja) 2015-03-12
KR20150024770A (ko) 2015-03-09
TW201530936A (zh) 2015-08-01
CN104426003A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KR101962123B1 (ko) 커넥터
US8814583B2 (en) USB connector
JP6761736B2 (ja) コネクタ
US8690608B2 (en) Special USB plug having different structure from standard USB plug and USB receptacle matable with the special USB plug
KR101674998B1 (ko) 커넥터
CN103904489B (zh) 连接器
US8845351B2 (en) Connector housing with alignment guidance feature
CN109962356B (zh) 电路基板用l型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8241069B2 (en) Connector
JP2008108559A (ja) コネクタ
US20180131117A1 (en) Joint connector
KR102520419B1 (ko) 전기 접속 부품
US9780478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TWI575821B (zh) Usb插座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3582982B (zh) 具有受保护的直接触头的直接插接元件
JP6814051B2 (ja) コネクタ
KR101677678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JP6049689B2 (ja) リーディングコンタクトを備えた電気的なプラグコネクタ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