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12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123B1
KR101962123B1 KR1020180010386A KR20180010386A KR101962123B1 KR 101962123 B1 KR101962123 B1 KR 101962123B1 KR 1020180010386 A KR1020180010386 A KR 1020180010386A KR 20180010386 A KR20180010386 A KR 20180010386A KR 101962123 B1 KR101962123 B1 KR 10196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mating
wa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361A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신고 나나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록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커넥터(10)는, 하우징(20)과, 2개의 부가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부가부재(40)는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벽(28)과, 수평면에 있어서 돌출벽(28)을 둘러싸는 둘레벽(24)과, 둘레벽(24)과 돌출벽(28)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22)를 갖고 있다. 부가부재(40)의 각각은 록부(62)를 갖고 있다. 2개의 록부(62)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돌출벽(28)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또한 수용부(22)에 면하고 있다.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70)와 결합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의 상대측 록부(762)는 수용부(22)에 수용된다. 이때에 록부(62)는 상대측 록부(762)를 각각 록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록부(lock部)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24 및 도25를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커넥터)(90)는, 리셉터클 하우징(receptacle housing)(하우징)(910)과, 2개의 전원단자(92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90)에는, 리셉터클측 수용공간(수용부(受容部))(912)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단자(920)의 각각은, 수용부(912)의 내부로 노출된 록부(922)를 갖고 있다. 커넥터(90)는, 2개의 피록부(被lock部)(상대측 록부)(962)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상대측 커넥터)(96)와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90)와 상대측 커넥터(96)가 서로 결합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96)는 수용부(912)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대측 록부(962)는 수용부(912)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에 록부(922)는, 상대측 록부(962)를 각각 록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 일본국 특허 제5805288호 공보
도2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는 상대측 커넥터(96)에 대하여, 상하방향(Z방향)을 따라 곧게 상방(+Z방향)을 향하는 힘을 가한 경우에, 2개의 상대측 록부(962)는 록부(922)와 각각 부딪쳐서 정지하고, 이에 따라 록부(922)에 의한 상대측 록부(962)의 록이 유지된다. 즉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96)의 전후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일방(一方)측(도25에 있어서 ―X측)의 하단부(下端部)를 지점으로 하여, X방향에 있어서의 타방(他方)측(도25에 있어서 +X측)의 상단부(上端部)에 경사지게 상방을 향하는 힘(F)을 가한 경우에, 상대측 록부(962)의 일방이 록부(922)에 의하여 정지되지 않고 상방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즉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록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상물의 위에 탑재 가능하고, 또한 피수용부와 상기 피수용부에 형성된 2개의 상대측 록부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비하여,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단자와, 2개의 부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및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둘레벽과, 돌출벽과, 수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둘레벽과 상기 돌출벽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피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록부를 갖고 있고,
2개의 상기 록부는,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어느 일방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 면하고 있고,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상대측 록부를 각각 록하여 상기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닥구멍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상기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피고정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록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바닥구멍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로서, 제2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둘레벽 보호부를 갖고 있고,
상기 둘레벽 보호부는,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3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피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록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벽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4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노출된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5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2개의 측부와, 연결부와, 주부를 갖고 있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측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측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주부의 일부이고,
상기 측부의 각각은, 피고착부와, 기부와, 아머부(54)와, 스프링부와,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착부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기부는, 상기 피고착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아머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부가부재를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아머부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는, 상기 아머부 중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하여 상기 피고착부에 가까운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로서, 제6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수평면에 있어서 U자형상 또는 J자형상을 갖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커넥터로서, 제6 또는 제7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평판형상의 평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커넥터로서, 제6부터 제8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커넥터로서, 제6부터 제9까지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아머부의 위치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고착부의 위치와 포개어져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록부는, 전후방향 및 가로방향의 어느 일방에 있어서 돌출벽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또한 수용부에 면하고 있다. 이 배치에 의하여,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에 경사지게 상방을 향하는 힘을 가한 경우에, 상대측 록부의 일방이 록부를 향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록부에 의한 상대측 록부의 록은 해제되지 않고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록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를 탑재하는 회로기판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회로기판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5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6은, 도3의 커넥터를 VI―V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회로기판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7은, 도1의 커넥터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8은, 도7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9는, 도7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도7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11은, 도7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위치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12는, 도7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대측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측 부가부재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회로기판의 윤곽을 2점쇄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13은, 도7의 부가부재를 도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의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7은, 도14의 상대측 커넥터를 도16의 XVII―XV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의 커넥터 및 도14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는 결합상태에 있다. 회로기판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19는, 도18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0은, 도19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XX―X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회로기판의 윤곽을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21은, 도12의 부가부재의 측부에 있어서의 각 부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기부 및 아머부가 연장되는 경로를 파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스프링부의 기점부의 윤곽을 1점쇄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22는, 도21의 측부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부의 각 부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부위의 윤곽은, 다른 부위의 밑에 가려진 윤곽도 포함시켜서 실선으로 묘화하고 있다.
도23은, 도21의 위치관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24는, 특허문헌1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대측 커넥터는 커넥터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25는, 도24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대측 커넥터는 커넥터와 결합되어 있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connector)(10)는, 상하방향(Z방향)에 있어서 대상물(회로기판)(80) 위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커넥터(10)는, 사용할 때에 회로기판(80)에 탑재되는 기판 커넥터이다. 도1, 도14 및 도18을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70)와 Z방향(결합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도14부터 도17까지를 참조하면, 상대측 커넥터(70)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하우징(相對側 housing)(72)과, 금속 등 절곡가공(折曲加工)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2개의 상대측 부가부재(相對側 附加部材)(76)와,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상대측 단자(相對側 端子)(78)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부가부재(76)의 각각은, 상대측 하우징(72)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대측 하우징(72)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상대측 단자(78)의 각각은 상대측 하우징(72)에 지지되어 있다.
도15부터 도17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70)는, 상대측 수용부(相對側 受容部)(722)와 피수용부(被受容部)(74)를 갖고 있다. 상대측 수용부(722)는, Z방향에 있어서 우묵하게 된 공간이며, Z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XY평면)에 있어서 상대측 하우징(72)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피수용부(74)는, XY평면에 있어서 상대측 수용부(722)를 둘러싸고 있다. 피수용부(74)에는, 내벽부(內壁部)(742)와 외벽부(外壁部)(744)가 형성되어 있다. 내벽부(742)는 상대측 수용부(722)에 면(面)하고 있고, 외벽부(744)는 피수용부(74)의 외측에 면하고 있다.
도14, 도15 및 도17을 참조하면, 2개의 상대측 부가부재(76)는, 상하방향(Z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피수용부(74)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상대측 부가부재(76)의 각각은, 상대측 록부(相對側 lock部)(762)와 2개의 상대측 접촉부(768)를 갖고 있다. 상대측 록부(762)는 상대측 부가부재(76)에 형성된 구멍이다. 2개의 상대측 록부(762)는, 내벽부(742)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상대측 수용부(722)에 면하고 있다. 상대측 부가부재(76)의 각각에 있어서의 2개의 상대측 접촉부(768)는, 상하방향(Z방향) 및 전후방향(X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가로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외벽부(744)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피수용부(74)의 Y방향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상대측 커넥터(70)는, 피수용부(74)에 형성된 2개의 상대측 록부(762) 및 4개의 상대측 접촉부(768)를 갖고 있다.
도14부터 도17까지를 참조하면, 상대측 단자(78)는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열(列)로 나누어져 있고, 각 열의 상대측 단자(78)의 각각은 상대측 접촉부(782)를 갖고 있다. 상대측 접촉부(782)의 2개의 열은, 내벽부(742)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상대측 수용부(722)에 면하고 있다.
도1부터 도5까지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0)과,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자(端子)(30)와, 금속 등 절곡가공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2개의 부가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둘레벽(24)을 갖고 있다. 둘레벽(24)은, XY평면에 있어서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둘레벽(24)은, 2개의 측벽(側壁)(242)과, 2개의 연결벽(連結壁)(244)을 갖고 있다. 측벽(242)의 각각은,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단자(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支持部)(248)를 갖고 있다. 지지부(248)는, 측벽(242)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벽(244)의 각각은,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2개의 측벽(242)의 X방향에 있어서의 끝을 Y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측벽(242)의 X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연결벽(2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보다도 크다. 즉 커넥터(10)는, Y방향에 비하여 X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수용부(22)와, 바닥벽(26)과, 돌출벽(28)을 갖고 있다. 바닥벽(26)은, Z방향에 있어서 하우징(20)의 하단(下端)(―Z측의 끝)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벽(28)은, 바닥벽(26)으로부터 Z방향에 있어서 상방(+Z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벽(28)은, 하우징(20)의 XY평면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XY평면에 있어서 둘레벽(24)으로 둘러싸여 있다. 수용부(22)는, 둘레벽(24)과 돌출벽(28)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도2, 도3 및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바닥벽(26)에는, 2개의 바닥구멍(262)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구멍(262)의 각각은, 수용부(22)의 밑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닥벽(26)을 Z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즉 수용부(22)는, 바닥구멍(262)을 통하여 하우징(20)의 하방(―Z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20)은, 상면(20U)과, 하면(20L)을 갖고 있다. 상면(20U)은 커넥터(10)의 상단(上端)(+Z측의 끝)에 위치하고 있고, 하면(20L)은 커넥터(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면(20U)은 둘레벽(24)의 상면이고, 하면(20L)은 바닥벽(26)의 하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단자(30)는,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열로 나누어져 있다. 각 열의 단자(30)의 각각은, 신호단자이며, 접촉부(32)와, 피지지부(被支持部)(34)와, 피고정부(被固定部)(38)를 갖고 있다. 단자(30)의 각각은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지지부(34)의 2개의 열은, 2개의 측벽(242)의 지지부(248)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1부터 도3까지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30)의 각각에 있어서 접촉부(32)는, 피지지부(34)로부터 돌출벽(28)의 내부까지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수용부(22)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자(30)의 각각에 있어서 피고정부(38)는, 피지지부(34)의 하단으로부터 Y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피고정부(38)의 각각은, 커넥터(10)를 사용할 때에 납땜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80)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18에서 도20까지를 참조하면, 커넥터(10)의 수용부(22)는,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70)와 결합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의 피수용부(74)를 수용한다. 도1 및 도1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의 상대측 수용부(722)는 커넥터(10)의 돌출벽(28)을 수용하여, 단자(30)의 접촉부(32)는 상대측 단자(78)의 상대측 접촉부(782)와 각각 접촉한다. 이 결과,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대측 커넥터(70)는 회로기판(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1을 참조하면, 커넥터(10)의 하우징(20) 및 단자(30)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0)은, 수용부(22), 둘레벽(24) 및 돌출벽(28)을 갖고 있는 한 어떤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하우징(20)에 있어서 단자(30)를 지지하는 부위는, 둘레벽(24)의 지지부(248)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자(30)의 각각은 신호단자가 아니어도 좋다.
이하, 커넥터(10)의 부가부재(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부터 도6까지를 참조하면, 2개의 부가부재(4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다. 부가부재(40)의 각각은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있다. 부가부재(40)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고, YZ평면에 대하여 서로 거울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개의 부가부재(40)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1개의 부재의 일부이더라도 좋다. 한편 부가부재(40)의 각각은, 복수의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서로 별체인 3개 이상의 부가부재(40)를 형성하여도 좋으며, 부가부재(40)는 서로 다소 다른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단, 제조비용을 삭감한다는 관점으로부터, 부가부재(4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부터 도12까지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부가부재(40)의 각각은, 절곡(折曲)된 1매의 금속판이며, XZ평면에 대하여 거울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부가부재(40)의 각각은, 2개의 측부(側部)(42)와, 연결부(44)와, 주부(主部)(46)와, 외측보호부(48)를 갖고 있다. 2개의 측부(42)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으며, XZ평면에 대하여 서로 거울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연결부(44)는 전체로서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하, 부가부재(40)의 주부(46) 및 외측보호부(4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을 도7과 더불어 참조하면, 커넥터(10)의 전방측(+X측)의 부가부재(40)에 있어서, 주부(46)는, 연결부(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전체로서 후방(―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보호부(48)는, 연결부(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만곡(彎曲)하면서 전방(+X방향) 및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넥터(10)의 후방측(―X측)의 부가부재(40)에 있어서, 주부(46)는, 연결부(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전체로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보호부(48)는, 연결부(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만곡하면서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부가부재(40)의 각각에 있어서, 주부(46)는 연결부(44)로부터 X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보호부(48)는 연결부(44)로부터 X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7부터 도10까지를 참조하면, 2개의 부가부재(40)의 각각의 주부(46)는, 록부(lock部)(62)와, 피고정부(64)와, 둘레벽 보호부(66)와, 피지지부(68)를 갖고 있고, 둘레벽 보호부(66)의 X방향 외측의 끝에서 연결부(44)와 연결되어 있다. 둘레벽 보호부(66)는, 연결부(44)의 Y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만곡하면서 X방향의 내측 및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고정부(64)는, 둘레벽 보호부(66)의 하단으로부터 X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록부(62)는, 피고정부(64)의 X방향 내측의 끝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지지부(68)는, 록부(62)의 상단으로부터 만곡하면서 X방향의 내측 및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7부터 도9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62)는 돌출부(622)를 갖고 있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622)는, 록부(62)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X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부가부재(40)의 록부(62)는, X방향에 있어서 돌출벽(28)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또한 수용부(22)에 면하고 있다. 돌출부(622)의 각각은, 수용부(22)의 내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다. 즉 2개의 돌출부(622)는,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부가부재(40)의 각각에 있어서 피고정부(64)는, 록부(62)의 하단으로부터 X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부가부재(40)의 각각에 있어서 피고정부(64)는, 둘레벽 보호부(66)의 하단과 록부(6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도2,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피고정부(64)는, 하우징(20)의 바닥벽(26)의 2개의 바닥구멍(262)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피고정부(64)의 각각은, 하우징(20)의 하면(20L)(즉 커넥터(10)의 하단)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떨어져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치된 피고정부(64)의 각각은, 커넥터(10)를 사용할 때에 납땜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80)에 고정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고정부(64)의 각각은, 하우징(20)의 바닥벽(26)에 형성되고 연속된 1개의 바닥구멍(26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피고정부(64)의 각각의 하단은, Z방향에 있어서 하우징(20)의 하면(20L)과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좋다.
도6을 참조하면, 부가부재(40)의 각각에 있어서 피지지부(68)는 돌출벽(28)에 지지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가부재(40)는 하우징(20)에 인서트 성형(insert 成型)되어 있고, 주부(46)의 피지지부(68)는 돌출벽(28)에 매설(埋設)되어 있다. 추가하여 연결부(44)는, 둘레벽(24)의 연결벽(244)의 상단부에 매설되어 있다. 주부(46)의 둘레벽 보호부(66) 및 외측보호부(48)는, 연결벽(244)을 X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하여 연결벽(244)에 매설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가부재(40)의 피지지부(68) 등의 부위는, 하우징(20)에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도20을 참조하면, 결합상태에 있어서 2개의 상대측 록부(762)는, 수용부(22)에 수용되고, 2개의 록부(62)와 X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對向)한다. 록부(62)는 상대측 록부(762)를 각각 록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결합상태에 있어서 록부(62)의 돌출부(622)는 상대측 록부(762)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대측 록부(762)는 록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록부(62)의 각각은, 돌출부(622)를 대신하여 수용부(22)의 내부로 노출된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상대측 록부(762)의 각각은, X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이더라도 좋다. 즉 상대측 록부(762)는 록부(62)의 오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록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벽(28)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록부(62)가 상대측 록부(762)를 각각 록한다. 따라서 결합상태에 있는 상대측 커넥터(70)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방을 향하는 힘(즉 X방향의 성분 및 Z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을 가한 경우에, 상대측 록부(762)의 일방이 록부(62)를 향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록부(62)에 의한 상대측 록부(762)의 록은 해제되지 않아,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록부(62)는, 상대측 커넥터(70)와의 결합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록부(62)의 배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록부(62)는, 돌출벽(28)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즉 2개의 록부(62)는, X방향 및 Y방향 중 어느 일방에 있어서 돌출벽(28)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돌출벽(28)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록부(62)는,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좋고, 다른 위치에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돌출벽(28)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록부(62)는, X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좋고, 다른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한 커넥터(10)에 3개 이상의 록부(62)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1개의 부가부재(40)가 2개 이상의 록부(62)를 갖고 있어도 좋고, 록부(62)를 1개만 갖는 부가부재(40)를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커넥터(10)에 4개의 록부(62)를 형성하는 경우에, 2개의 록부(62)를 돌출벽(28)의 X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시키고 또한 나머지 2개의 록부(62)를 돌출벽(28)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위치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넥터(10)를 사용할 때에 있어서 피고정부(64)가 회로기판(80)에 고정되고, 피지지부(68)가 돌출벽(28)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록부(62)는, 이렇게 고정된 피고정부(64)와 피지지부(68)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한 힘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록부(62)는 상대측 록부(762)를 견고하게 록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부(46)는, 피고정부(64) 및 피지지부(68)의 일방 또는 양방을 갖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둘레벽 보호부(66)는, 피고정부(64)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둘레벽(24)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특히 둘레벽 보호부(66)는, 연결벽(244)의 X방향 내측을 덮고 있고, 이에 따라 상대측 커넥터(70)에 의한 연결벽(244)의 파손을 방지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부(46)는 둘레벽 보호부(66)를 갖지 않아도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주부(46)는, 둘레벽 보호부(66)를 대신하여 외측보호부(48)를 그 일부로 하여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주부(46)는, 연결벽(244)의 하방을 통과하여, 외측보호부(48)의 하단과 피고정부(64)의 X방향 외측의 끝을 서로 연결하는 부위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하, 커넥터(10)의 전방측의 부가부재(40)의 측부(4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부가부재(40)는, YZ평면에 대하여 서로 거울대칭으로 배치된 동일부품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X방향에 있어서의 방향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고, 커넥터(10)의 후방측의 부가부재(40)의 측부(42)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합하다.
도7부터 도10까지를 참조하면, Y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44)의 양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2개의 측부(4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2개의 측부(42)는 연결부(4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2개의 측부(42)는 부분적으로 2개의 측벽(242)에 각각 매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측부(42)는, Y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2)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다.
도7부터 도12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42)의 각각은, 기부(基部)(50)와, 피고착부(被固着部)(52)와, 아머부(armor部)(54)와, 스프링부(spring部)(56)와, 돌출부(58)를 갖고 있다. 즉 부가부재(40)는, 2개의 기부(50)와, 2개의 피고착부(52)와, 2개의 아머부(54)와, 2개의 스프링부(56)와, 2개의 돌출부(58)를 갖고 있다. 도7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부(44)는, 2개의 측부(42)의 기부(5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연결부(44)는 2개의 측부(42)의 아머부(54)를 서로 연결하고 있어도 좋다.
도7, 도8 및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피고착부(52)는, 측부(42)의 하면이고,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피고착부(52)는, Z방향에 있어서 하우징(20)의 하면(20L)(즉 커넥터(10)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피고착부(52)는, 커넥터(10)를 사용할 때에 납땜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80)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7, 도8,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기부(50)는 피고착부(52)로부터 전체로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부(50)와 피고착부(52) 사이의 경계부(502)는, 피고착부(52) 그 자체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부(50)는, 평판부(504)와, 만곡부(506)와, 상판부(508)를 갖고 있다. 평판부(504)는, XZ평면과 평행한 평판형상을 갖고 있으며, 피고착부(52)로부터 상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평판부(504)의 상부(+Z측의 부위)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만곡부(506)는, 평판부(504)의 상단으로부터 만곡하면서 상방 및 Y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판부(508)는, XY평면과 평행한 평판형상을 갖고 있으며, 만곡부(506)로부터 Y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7, 도9 및 도12를 참조하면, 아머부(54)는, 기부(50)의 상판부(508)의 Y방향 내측의 끝으로부터 Y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머부(54)는 만곡하면서 하방 및 Y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아머부(54)는 하우징(20)의 수용부(2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연장되는 아머부(54)는 최내측부(最內側部)(542)를 갖고 있다. 최내측부(542)는 아머부(54) 중 Y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머부(54)의 최내측부(542)는 아머부(54)의 선단(先端)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머부(54)의 선단부분은, 기부(50)의 평판부(504)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아머부(54)의 최내측부(542)는, 아머부(54)의 선단보다 Y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7부터 도10까지를 참조하면, 스프링부(56)는, 기부(50)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기부(50)에 의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부(56)는, 스프링부(56)와 기부(50) 사이의 경계부(기점부(起點部))(562)를 지점으로 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프링부(56)는, 기점부(562)에 추가하여 제1스프링부(564)와, 제2스프링부(566)와, 제3스프링부(568)를 갖고 있다. 제1스프링부(564)는, 기점부(562)로부터 X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스프링부(566)는, 제1스프링부(564)의 후단(後端)으로부터 만곡하면서 후방 및 Y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다음에 Y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면서 전방 및 Y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스프링부(568)는, 제2스프링부(566) 중 Y방향 내측의 부위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아머부(54)의 하방을 통과하여, X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프링부(56)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XY평면 내에 있어서 J자형상을 구비하여 높은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특히 제3스프링부(568)는 X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어, 제3스프링부(568)의 스프링성은 높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스프링부(56)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방향에 있어서의 기점부(562)의 위치를 전방으로 비키어 놓고, 제1스프링부(564)의 길이를 제3스프링부(568)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스프링부(56)는 XY평면 내에 있어서 U자형상을 갖는다.
도7부터 도10까지를 참조하면, 돌출부(58)는 스프링부(56)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58)는, 스프링부(56)의 제3스프링부(568)의 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Y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부가부재(40)를 Z방향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스프링부(56)의 제3스프링부(568)는 아머부(54)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3스프링부(568) 중 X방향에 있어서 아머부(54)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부위는, 아머부(54)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스프링부(56)는 아머부(54)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아머부(54)를 후방으로 연장시켜서, 스프링부(56) 중 제3스프링부(568) 전체를 덮어도 좋다. 또한 스프링부(56)를, 기부(5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으로부터 Y방향 내측으로 연장시켜서, 스프링부(56) 전체를 아머부(54)에 의하여 덮어도 좋다.
도1 및 도5를 참조하면, 기부(50)는, 상판부(508)의 일부 및 하단 근방의 부위를 제외하고 하우징(20)의 측벽(242)에 매설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추가하여 스프링부(56)의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도7을 참조)는 측벽(242)에 매설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부(56)의 제3스프링부(568)는, 측벽(242)에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어,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스프링부(568)에 지지된 돌출부(58)는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도7을 참조)는, 하우징(20)에 매설되어 있어,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의 일방 또는 양방은, 하우징(20)에 매설되어 있지 않아,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도 좋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기부(50)는 Y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부가부재(40)를 Z방향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70)(도14를 참조)와 결합하지 않고 있는 미결합상태에 있어서, 돌출부(58)는 수용부(22)의 내부에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배치된 돌출부(58)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대측 커넥터(70)와 접촉한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돌출부(58)는,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의 상대측 부가부재(76)의 상대측 접촉부(768)와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가부재(40)는 커넥터(10)의 전원단자이고, 상대측 부가부재(76)는 상대측 커넥터(70)의 전원단자이다. 즉 돌출부(58) 및 상대측 접촉부(768)의 각각은, 전원단자의 접촉부로서 결합상태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부가부재(40) 및 상대측 부가부재(76)의 각각은 전원단자가 아니어도 좋다. 부가부재(40)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아,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는 스프링부(56)에 의하여 지지된 돌출부(58)에서 상대측 커넥터(70)와 접속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58)의 전체가 수용부(22)의 내부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돌출부(58)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22)의 내부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가부재(40)의 측부(42)의 각각에 대하여, 하방으로 만곡된 아머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머부(54)는,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3스프링부(568)(도7을 참조)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의 결합과정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는, 돌출부(58)와의 접촉 전에 제3스프링부(568)를 변형시키지 않고, 아머부(54)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여 원활하게 가이드된다.
도1을 참조하면, 부가부재(40)의 측부(42)의 각각에 있어서 아머부(54) 및 제3스프링부(568)를 제외한 부위는, 하우징(2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아머부(54) 및 제3스프링부(568)만이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하여 아머부(54)와 제3스프링부(568)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도14를 참조)의 결합과정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70)가 아머부(54)에 부딪쳐서 아머부(54)를 탄성변형시킬 정도의 비교적 작은 가압력을 아머부(54)에 가하였다고 하더라도, 제3스프링부(568)는 이 가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제3스프링부(568)에 지지된 돌출부(58)는 가압력에 의해서는 이동하지 않아, 상대측 접촉부(768)(도14를 참조)와 설계한 대로 접촉한다.
도12를 참조하면, 부가부재(40)의 아머부(54)에 가해진 상대측 커넥터(70)의 가압력은, 기부(50) 및 피고착부(52)를 경유하여 회로기판(80)에 의하여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가압력이 아머부(54)를 소성변형(塑性變形)시킬 만큼 큰 경우에도, 부가부재(40) 중 피고착부(52)에 가까운 부위는 가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도21을 참조하면, 스프링부(56)는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56)가 기부(50)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562)는, 아머부(54)의 최내측부(542)에 비하여 피고착부(52)에 가깝다. 이 배치에 의하여, 아머부(54)가 상대측 커넥터(70)(도15를 참조)에 가압되어 변형(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되었을 경우에도, 피고착부(52)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점부(562)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점부(562)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부(56) 및 스프링부(56)에 지지된 돌출부(58)도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도1을 참조)에 의하면, 돌출부(58)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70)와의 접속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부가부재(40)에 있어서 스프링부(56)의 기점부(562)의 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피고착부(52)의 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동일하다. 바꾸어 말하면, 기점부(562)와 피고착부(52) 사이의 Y방향에 있어서의 거리(D0)(도23을 참조)는 제로(zero)이다. 한편 Y방향에 있어서 아머부(54)의 최내측부(542)는 기점부(562)로부터 거리(D1)만큼 떨어져 있다. 즉 Y방향에 있어서 기점부(562)와 피고착부(52) 사이의 거리(D0)(도23을 참조)는, 기점부(562)와 최내측부(542) 사이의 거리(D1)에 비하여 짧다. 바꾸어 말하면, Y방향에 있어서 기점부(562)는, 최내측부(542)에 비하여 피고착부(52)에 가깝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배치에 의하여 스프링부(56)에 대한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점부(562), 최내측부(542) 및 피고착부(52)를 X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피고착부(52)와 최내측부(542) 사이를 기점부(562)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가상적인 경로(P1)를 정의할 수 있다. 경로(P1)상에 있어서 기점부(562)와 피고착부(52) 사이의 경로길이(연면거리(沿面距離))는, 기점부(562)와 최내측부(542) 사이의 경로길이(연면거리)에 비하여 짧다. 바꾸어 말하면, 기점부(562), 최내측부(542) 및 피고착부(52)를 X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기부(50) 및 아머부(54)가 연장되는 방향(즉 경로(P1)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기점부(562)는 최내측부(542)에 비하여 피고착부(52)에 가깝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배치에 의해서도 스프링부(56)에 대한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부가부재(40)에 있어서 기부(50)의 평판부(504)는, 피고착부(52)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방을 향하는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에 확실하게 대항할 수 있다. 스프링부(56)는 평판부(504)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부(58)에 있어서의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의 접속신뢰성을 더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스프링부(56)는, 기부(5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한, 평판부(504) 이외의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프링부(56)는 만곡부(506)로부터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2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부가부재(40)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아머부(54)의 위치는, X방향에 있어서의 피고착부(52)의 위치와 포개어져 있다. 이 배치에 의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을 더 확실하게 피고착부(52)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58)(도21을 참조)에 있어서의 커넥터(10)(도1을 참조)와 상대측 커넥터(70)(도15를 참조)의 접속신뢰성을 더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력을 확실하게 피고착부(52)에 분산시킨다는 관점으로부터, X방향에 있어서의 아머부(54)의 위치는, X방향에 있어서의 피고착부(52)의 위치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는, 이미 설명한 변형예에 추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부가부재(40)는 측부(42), 연결부(44) 및 외측보호부(48)를 갖지 않아도 좋다. 즉 부가부재(40)는 주부(46)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주부(46)는 록부(62)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부가부재(40)에 있어서, 스프링부(56)의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를 하방으로 연장시켜서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의 하단을, 피고착부(52)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연장시킨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의 하단을, 회로기판(80)(도1을 참조)에 납땜 등에 의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이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10)의 사용 시에 있어서 제1스프링부(564) 및 제2스프링부(566)는 스프링성을 잃는 한편, 스프링부(56)(제3스프링부(568))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돌출부(58)에 있어서의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의 접속신뢰성을 더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23을 도21과 함께 참조하면, 변형예에 의한 부가부재(40A)는, 부가부재(40)의 측부(42)와 다른 측부(42A)를 갖고 있다. 측부(42A)는, 기부(50) 및 피고착부(52)와 각각 다른 기부(50A) 및 피고착부(52A)를 갖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측부(42)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기부(50A)는, 하단 근방에서 Y방향 외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피고착부(52A)는, 기부(50A)의 Y방향 외측의 단부(端部)인 경계부(502)로부터 Y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스프링부(56)가 기부(50A)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562)는, 아머부(54)의 최내측부(542)에 비하여 피고착부(52A)에 가깝다. 상세하게는, Y방향에 있어서 기점부(562)와 피고착부(52A)(경계부(502)) 사이의 거리(D0)는, 기점부(562)와 최내측부(542) 사이의 거리(D1)에 비하여 짧다. 또한 기점부(562), 최내측부(542) 및 피고착부(52A)를 X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기점부(562)와 피고착부(52A) 사이의 연면거리(경로(P1)를 따른 거리)는, 기점부(562)와 최내측부(542) 사이의 연면거리에 비하여 짧다. 도3을 참조하면, 본변형에 의해서도 돌출부(58)에 있어서의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의 접속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커넥터
20 : 하우징
20U : 상면
20L : 하면
22 : 수용부
24 : 둘레벽
242 : 측벽
244 : 연결벽
248 : 지지부
26 : 바닥벽
262 : 바닥구멍
28 : 돌출벽
30 : 단자
32 : 접촉부
34 : 피지지부
38 : 피고정부
40, 40A : 부가부재
42, 42A : 측부
44 : 연결부
46 : 주부
48 : 외측보호부
50, 50A : 기부
502 : 경계부
504 : 평판부
506 : 만곡부
508 : 상판부
52, 52A : 피고착부
54 : 아머부
542 : 최내측부
56 : 스프링부
562 : 경계부(기점부)
564 : 제1스프링부
566 : 제2스프링부
568 : 제3스프링부
58 : 돌출부
62 : 록부
622 : 돌출부
64 : 피고정부
66 : 둘레벽 보호부
68 : 피지지부
70 : 상대측 커넥터
72 : 상대측 하우징
722 : 상대측 수용부
74 : 피수용부
742 : 내벽부
744 : 외벽부
76 : 상대측 부가부재
762 : 상대측 록부
768 : 상대측 접촉부
78 : 상대측 단자
782 : 상대측 접촉부
80 : 대상물(회로기판)

Claims (10)

  1.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상물의 위에 탑재 가능하고, 또한 피수용부(被受容部)와 상기 피수용부에 형성된 2개의 상대측 록부(相對側 lock部)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비하여,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단자(端子)와, 2개의 부가부재(附加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및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둘레벽과, 돌출벽과, 수용부(受容部)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둘레벽과 상기 돌출벽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피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록부(lock部)를 갖고 있고,
    2개의 상기 록부는,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어느 일방(一方)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 면(面)하고 있고,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상대측 록부를 각각 록하여 상기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바닥구멍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상기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록부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바닥구멍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둘레벽 보호부를 갖고 있고,
    상기 둘레벽 보호부는,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피지지부(被支持部)를 갖고 있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록부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벽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노출된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
  6.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상물의 위에 탑재 가능하고, 또한 피수용부(被受容部)와 상기 피수용부에 형성된 2개의 상대측 록부(相對側 lock部)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비하여,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단자(端子)와, 2개의 부가부재(附加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 및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둘레벽과, 돌출벽과, 수용부(受容部)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둘레벽과 상기 돌출벽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피수용부를 수용하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록부(lock部)를 갖고 있고,
    2개의 상기 록부는, 상기 전후방향 및 상기 가로방향의 어느 일방(一方)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 면(面)하고 있고,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상대측 록부를 각각 록하여 상기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2개의 측부(側部)와, 연결부(連結部)와, 주부(主部)를 갖고 있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측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측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주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주부의 일부이고,
    상기 측부의 각각은, 피고착부(被固着部)와, 기부(基部)와, 아머부(armor部)와, 스프링부(spring部)와,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착부는, 상기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기부는, 상기 피고착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아머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프링부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로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부가부재를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아머부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육안(肉眼)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기점부는, 상기 아머부 중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비하여 상기 피고착부에 가까운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수평면에 있어서 U자형상 또는 J자형상을 갖고 있는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평판형상의 평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가압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하는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아머부의 위치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고착부의 위치와 포개어져 있는 커넥터.
KR1020180010386A 2017-02-28 2018-01-29 커넥터 KR101962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6100A JP6806593B2 (ja) 2017-02-28 2017-02-28 コネクタ
JPJP-P-2017-036100 2017-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361A KR20180126361A (ko) 2018-11-27
KR101962123B1 true KR101962123B1 (ko) 2019-03-26

Family

ID=6324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386A KR101962123B1 (ko) 2017-02-28 2018-01-29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33239B2 (ko)
JP (1) JP6806593B2 (ko)
KR (1) KR101962123B1 (ko)
CN (1) CN108511934B (ko)
TW (1) TWI6444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19A (ko) * 2018-04-1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차폐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US10777924B1 (en) * 2019-03-05 2020-09-15 Dell Products L.P. Connector receptacle
JP6986039B2 (ja) * 2019-03-15 2021-1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20184459A (ja) 2019-05-08 2020-1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D206849S (zh) * 2019-05-29 2020-09-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固定件
JP7075912B2 (ja) * 2019-06-11 2022-05-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740252A (zh) 2020-06-08 2020-10-02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2022105811A (ja) * 2021-01-05 2022-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1692460S (ja) * 2021-02-22 2021-08-16 コネクタ
JP1698702S (ja) * 2021-04-09 2021-11-01 コネクタ
JP1698591S (ko) * 2021-04-19 2021-11-01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9373A (ja) 2010-06-28 2012-01-12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18141A (ja) 2011-12-05 2013-06-13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3232386A (ja) 2012-05-02 2013-11-14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288A (ja) 1981-07-03 1983-01-12 Honshu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US5931689A (en) * 1997-08-06 1999-08-03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characteristics
US7029244B2 (en) * 2002-04-04 2006-04-18 Vortech Engineering, Inc. High-speed, belt-driven industrial blower
JP4478609B2 (ja) * 2005-05-23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8270085A (ja)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1333B2 (ja)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34243B2 (ja) 2011-09-09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5638026B2 (ja)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659209B2 (ja) * 2012-11-02 2015-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104795654B (zh)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034339B2 (ja)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051630A (ja) * 2014-09-01 2016-04-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5805288B2 (ja) 2014-10-08 2015-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9373A (ja) 2010-06-28 2012-01-12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18141A (ja) 2011-12-05 2013-06-13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3232386A (ja) 2012-05-02 2013-11-14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33239B2 (en) 2019-06-25
TW201834332A (zh) 2018-09-16
US20180248287A1 (en) 2018-08-30
TWI644487B (zh) 2018-12-11
JP2018142456A (ja) 2018-09-13
JP6806593B2 (ja) 2021-01-06
CN108511934A (zh) 2018-09-07
CN108511934B (zh) 2019-11-29
KR20180126361A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123B1 (ko) 커넥터
JP6761736B2 (ja) コネクタ
US9300091B2 (en) Connector with interposed ground plate
US102115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structures thereof
JP7309370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10242874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H11345645A (ja) リセプタクル電気端子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CN108023206B (zh) 电子装置和连接器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JP2021118077A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20077524A (ja) 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US20190190172A1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TW201541744A (zh) 連接器
CN112864706B (zh) 连接器组件
EP4027462A1 (en) Socket and electronic device
CN109004459B (zh) 电连接器
JP2020187896A (ja) コネクタ
US20220320799A1 (en) Socket and electronic device
JP201203871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0700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575133B1 (en) A connector with a thinner design
JP2022185625A (ja) ジョイント端子
JP2021047994A (ja) コネクタ用雌側端子片及び端子片対
CN114725731A (zh) 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