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58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584B1
KR101478584B1 KR20130068079A KR20130068079A KR101478584B1 KR 101478584 B1 KR101478584 B1 KR 101478584B1 KR 20130068079 A KR20130068079 A KR 20130068079A KR 20130068079 A KR20130068079 A KR 20130068079A KR 101478584 B1 KR101478584 B1 KR 10147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etection terminal
mating connector
shel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279A (ko
Inventor
타케하루 나이토
마사요시 닛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는 셸과 검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셸에는, 전단(前端)을 고정단으로 하고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전후 방향을 따른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로의 삽입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접점부를 갖고 있다. 상기 셸과는 별체(別體)의 검지 단자와 상기 스프링부는 검지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접점부의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에 기인하여 상기 검지 스위치의 상태가 변경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이 검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는,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셸(shell)과, 그 셸과는 별개의 검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셸에는, 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상대측 셸(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되는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검지 단자는, 커넥터의 후방에 있어서 고정됨과 함께 그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면, 상대측 셸(도시하지 않음)이 검지 단자에 대하여 접속함과 함께 셸의 스프링부에도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지 단자와 셸이 상대측 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이 검지된다.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
그러나,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에서는,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 검지의 신뢰성이 낮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 검지의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끼워맞춤단(端)과, 복수의 콘택트와, 지지(holding) 부재와, 셸과, 검지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끼워맞춤단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전단(前端)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것이다. 지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셸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셸에는,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고정단인 전단을 가짐과 함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피가압부(pressed portion)와 접점부를 갖고 있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로의 삽입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된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검지 단자는, 상기 셸과는 별체(別體)이다. 상기 검지 단자와 상기 스프링부는 검지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접점부의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검지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삽입을 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검지 스위치는, 셸의 스프링부와 검지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된 스프링부가 변위하여 검지 스위치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셸과 검지 단자와의 사이에 상대측 셸을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셸의 품질이나 재료에 관계없이,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을 적절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셸의 스프링부와 검지 단자가 접촉했는지 아닌지에만 기초하여 삽입 검지를 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에서는, 셸의 스프링부와 상대측 셸과의 접속과, 검지 단자와 상대측 셸과의 접속의 쌍방에 기초하여 삽입 검지를 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검지 불량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부는, 전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부는,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에 의해 직접 가압되는 것이지만, 그 스프링부가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좌굴(buckling)해 버린다는 우려가 없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커넥터를 Ⅴ--Ⅴ선을 따라 나타내는 일부 절결(cut-away)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커넥터를 Ⅵ--Ⅵ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셸 이외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검지 단자는 지지 부재에 조립되어 있지 않다.
도 10은, 도 8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저면(底面)도이다.
도 13은, 도 9의 한쪽의 검지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의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아직 끼워맞춤되어 있지 않다. 상대측 커넥터는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끼워맞춤 도중의 상태에 있다.
도 16은, 도 14의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 17은, 도 1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검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검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의 청구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에 따른 USB 3.0 리셉터클로서, USB 3.0 플러그(상대측 커넥터: 도시하지 않음)와 끼워맞춤 가능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전후 방향(X방향)에 있어서 전(前)측(-X측)에 끼워맞춤단(12)을 갖고 있다. 커넥터(10)는, 당해 커넥터(10)에 대하여 끼워맞춤단(12)을 통해 후방을 향하여(즉, +X방향을 따라)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700)와 끼워맞춤 가능하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이 커넥터(10)는, 도 1,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후술)를 포함하는 구조체(100)와, 구조체(100)를 부분적으로 덮는 금속제의 셸(2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200)은,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수용부(202)를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200)은, 1매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그리고 펀칭한 금속판을 절곡(bending)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수용부(202)는, 셸(200)의 상면(+Z측면)(210), 저면(-Z측면)(215) 및 측면(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킹부(caulked portion;217)를 구성하도록 수용부(202)의 저면(215)이 코킹되고, 그에 따라, 수용부(202)는 폭이 넓은 각통상(角筒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상면(210)은, 비교적 큰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자동 반송 시스템의 진공을 이용하여 그 평면을 흡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210)의 후단(+X측 단부)에는, 피치 방향(Y방향: 소정 방향)의 내측 그리고 하측(-Z측)에 꺾어넣음 변형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변형부(212)가 꺾어넣음된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지만, 구조체(100)에 대하여 셸(200)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변형부(212)는 피치 방향(Y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셸(200)에는, 상면(210)의 후단 근방으로부터 하측(-Z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측 벽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각 후측 벽부(230)에는, 당해 후측 벽부(230)의 후연(後緣)으로부터 전방(-X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걸어맞춤 오목부(232)와, 커넥터(10)를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할 때에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스루홀(through-hole)(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측면(220)에는, 스프링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250)는, 전단(-X측 단부)을 고정단으로 하고 그리고 후방(+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스프링부(250)는, 산(山) 형상부를 갖도록 피치 방향(Y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 피가압부(252)와, 다른 산 형상부를 갖도록 피치 방향(Y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점부(254)를 갖고 있다.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가압부(252)는, 접점부(254)보다도 전측(-X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에 있어서, 끼워맞춤단(12)과 피가압부(252)와의 사이의 거리는, 끼워맞춤단(12)과 접점부(254)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프링부(250)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대책용 스프링으로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0)와의 끼워맞춤시에 상대측 셸(710)과 접속하여 실드(shield)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EMI 방지용 스프링을 스프링부(250)로서 이용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대측 커넥터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셸이 아니라 비(非)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셸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10)는 EMI 방지용 스프링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러한 경우라도, 각 스프링부(250)가 전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는 조건을 충족하도록, 스프링부(250)는 셸(200)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도 3 및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피가압부(252)의 각각은, 수용부(202) 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 피가압부(252)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700)와 끼워맞춤될 때에 상대측 셸(710)에 가압된다. 이 가압에 의해, 그 피가압부(252)에 대응하는 접점부(254)는, 피치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프링부(250)의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부(250)가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에 의해 좌굴해 버린다는 우려가 없다.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200)의 측면(220)의 각각에는, 커넥터(10)의 끼워맞춤단(12)측(셸(200)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방(+X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접혀진 되접힘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되접힘부(270)에는, 커넥터(10)를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할 때에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스루홀(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2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구조체(10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USB 2.0 콘택트(콘택트)(110) 및 USB 3.0 콘택트(콘택트)(12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130)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검지 단자(300R, 300L)를 구비하고 있다.
USB 2.0 콘택트(110)는, USB 2.0 규격에 준거한 신호 전송을 행하기 위한 콘택트로서, 그 개수는 4개 있다. 각 USB 2.0 콘택트(110)는 접촉부(112)를 갖고 있다. USB 3.0 콘택트(120)는, USB 3.0 규격에 준거한 신호 전송을 행하기 위한 콘택트로서, 5개 있다. 각 USB 3.0 콘택트(120)는 접촉부(122)를 갖고 있다. USB 2.0 콘택트(110)는, 지지 부재(130)에 압입되어(press-fit) 지지되어 있다. USB 3.0 콘택트(12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지지 부재(130)에 부분적으로 조립되어(embedded) 있다. USB 2.0 콘택트(110)는 피치 방향(Y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USB 3.0 콘택트(120)는 피치 방향(Y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USB 2.0 콘택트(110)의 접촉부(112)는 피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고, USB 3.0 콘택트(120)의 접촉부(122)도 피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지지 부재(130)는, 블록부(140)와, 블록부(140)로부터 전방(-X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상부(150)와, 블록부(140)의 피치 방향(Y방향)의 양단(兩端)으로부터 전방(-X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160)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130)에 지지된 USB 2.0 콘택트(110)의 접촉부(112) 및 USB 3.0 콘택트(120)의 접촉부(122)는, 모두 판 형상부(150)의 상면(152)측에 노출되어 있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블록부(140)의 상방 후단 부분(+Z측 그리고 +X측 단부)에는, 하측(-Z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벽부(160)의 후단측(+X측)에는, 피치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볼록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조체(100)를 셸(200)의 후단(+X측단)으로부터 전측(-X측)을 향하여 삽입하고, 오목부(144) 내에 셸(200)의 변형부(212)를 꺾어넣음으로써, 구조체(100)에 대하여 셸(200)이 부착된다. 이 부착시에, 지지 부재(130)의 걸어맞춤 볼록부(142)가 셸(200)의 걸어맞춤 오목부(232)에 걸어맞춤된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셸(200)의 지지 부재(130)에 대한 상하 방향(Z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블록부(140)와 벽부(160)와의 경계 부근에는 지지 부재(130)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슬릿(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46)은, 검지 단자(300R, 300L)를 압입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한, 검지 단자(300R, 300L)를 압입할 수 있다면, 슬릿(146)은, 지지 부재(130)를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 8, 도 9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벽부(160)는, 상벽부(162)와, 측벽부(164)를 갖고 있다. 도 8, 도 9 및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벽부(160)는, 전후 방향(X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L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검지 단자(300R, 300L)를 보호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각 측벽부(164)는, 전측(-X측)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측벽부(164)의 내벽면은, 전측(-X측) 그리고 피치 방향(Y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1, 도 8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검지 단자(300R, 300L)는, 셸(200)과는 별체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검지 단자(300R, 300L)는, 지지 부재(130)의 슬릿(146)에 대하여 하측(-Z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검지 단자(300R, 300L)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도 13에 나타나는 검지 단자(300L)에 착안하여 설명하고, 양 검지 단자(300L, 300R)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는 점에서, 검지 단자(300R)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검지 단자(300L)는, 슬릿(146)에 압입되는 판 형상의 압입부(fit-portion;310)와, 압입부(310)의 하측(-Z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314)와, 압입부(310)의 전측(-X측)으로 연장되는 검지 스프링부(320)를 갖고 있다. 압입부(310)에는, 다월(dowel;312)이 형성되어 있어, 슬릿(146)에 압입부(310)가 압입되면, 다월(312)에 의해 압입부(310)가 슬릿(146) 내의 일면으로 밀어붙여진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검지 스프링부(320)는, 피치 방향(Y방향)의 내측으로 조금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입부(310)를 슬릿(146)에 압입했을 때에, 검지 스프링부(320)와 벽부(160)의 측벽부(164)의 내면과의 사이에 검지 스프링부(320)의 변형용의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고정부(314)는, 커넥터(10)를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할 때에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스루홀(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된다.
이들 검지 단자(300R, 300L)는, 대응하는 스프링부(250)와 함께 검지 스위치(400)를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각 검지 스위치(400)는, 스프링부(250)의 피가압부(252)가 상대측 커넥터(700)에 가압 되었을 때에 접점부(254)의 피치 방향(소정 방향: Y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상태를 변경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검지 스위치(400) 상태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검지 스위치(400)는, 노멀 오픈(normal open)인 것이다. 즉, 검지 스위치(400)는, 무부하(無負荷) 상태(예를 들면,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0)가 서로 미(未)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0)와의 미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부(250)의 접점부(254)와 검지 단자(300R, 300L)가 접촉하지 않도록, 스프링부(250)와 검지 단자(300R, 300L)가 배치되어 있는 한편, 도 14 내지 도 1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에 의해 피가압부(252)가 가압되고, 그에 따라 접점부(254)가 피치 방향(소정 방향: Y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점부(254)가 검지 단자(300R, 300L)의 검지 스프링부(320)에 접촉하도록, 스프링부(250)와 검지 단자(300R, 300L)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지 스위치(400)의 개수는 2개이다. 즉, 스프링부(250)와 검지 단자(300R, 300L)는, 2조(組) 있다. 이들 검지 스위치(400)는,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커넥터(1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검지 회로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2개의 검지 스위치(400)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태를 변경한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를 이용한 검지 시스템의 경우, 검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신호 루프 내에 상대측 셸이 포함되어 버린다. 즉,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의 커넥터를 이용한 검지 시스템의 경우, 검지 정밀도가 상대측 셸의 품질이나 재료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에 기초한 검지 시스템의 경우, 상대측 셸의 도전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셸을 갖는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은 검지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검지 스위치(400)는, 셸(200)의 스프링부(250)와 검지 단자(300R, 300L)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이용한 검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신호 루프에는 상대측 커넥터(700)의 상대측 셸(710)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셸(200)과 검지 단자(300R, 300L)와의 사이에 상대측 셸(710)을 개재시킬 필요가 없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기초한 검지 시스템은, 상대측 셸(710)의 품질이나 재료 등에 관계없이,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의 검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기초한 검지 시스템은, 상대측 커넥터(700)가 비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셸을 갖고 있는 바와 같은 경우라도,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2188호 공보에 기초한 검지 시스템의 경우, 셸의 스프링부와 상대측 셸과의 사이의 접속과 검지 단자와 상대측 셸과의 사이의 접속과의 2가지의 상태가 양립되지 않으면,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을 검지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기초한 검지 시스템은, 셸(200)의 스프링부(250)와 검지 단자(300R 또는 300L)로 이루어지는 검지 스위치(400)의 어느 한쪽만이 스위치 상태를 바꾼 경우라도, 상대측 커넥터(700)의 삽입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 부재(130)의 벽부(160)와 셸(200)의 되접힘부(270)는, 커넥터(10)의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검지 스위치(400)를 보호하는 보호부(500)로서 기능하고 있다. 예를 들면, 검지 단자(300R, 300L)가 노출되어 있으면, 커넥터(10)의 작업자가 검지 스위치(400)의 검지 단자(300R, 300L)에 닿아 버려, 검지 스프링부(320)가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벽부(160)의 상벽부(162)가 검지 단자(300R, 300L)의 상측(+Z측)에 위치함과 함께 측벽부(164)가 검지 단자(300R, 300L)의 피치 방향(Y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도 2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되접힘부(270)가 검지 단자(300R, 300L)의 비스듬히 전방(Y방향의 외측 그리고 -X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검지 단자(300R, 300L)의 변형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프링부(250)는, 셸(200)의 측면(220)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상면(210) 또는 저면(215)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소정 방향은 피치 방향이 아니라 상하 방향(Z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가압부(252)가 소정 방향(피치 방향: Y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접점부(254)가 소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피가압부(252)가 상대측 커넥터(700)에 가압되면, 접점부(254)가 소정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피가압부(252)가 소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접점부(254)가 소정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피가압부(252)가 상대측 커넥터(700)에 가압되면, 접점부(254)가 소정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접점부(254)는, 산 형상의 부위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접점부(254)는, 산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단부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가압부(252)와 끼워맞춤단(12)과의 사이의 거리는 접점부(254)와 끼워맞춤단(12)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았지만, 피가압부(252)와 끼워맞춤단(12)과의 사이의 거리는 접점부(254)와 끼워맞춤단(12)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길어도 좋다. 즉, 접점부(254)가 대응하는 피가압부(252)보다도 전측(-X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지 단자(300R, 300L)는 지지 부재(130)의 슬릿(146)에 대하여 압입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검지 단자(300R, 300L)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지지 부재(130)에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검지 스위치(400)는, 노멀 오픈인 것, 즉, 무부하 상태(예를 들면,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700)가 서로 미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검지 스위치(400)는, 노멀 클로우즈(normal close)인 것이라도 좋다. 즉, 검지 스위치(400)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끼워맞춤단(端)과, 복수의 콘택트와, 지지(holding) 부재와, 셸과, 검지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끼워맞춤단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전단(前端)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것이며,
    지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셸에는, 고정단인 전단을 가짐과 함께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프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로의 삽입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는 피가압부(pressed portion)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접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검지 단자는, 상기 셸과는 별체(別體)이며,
    상기 검지 단자와 상기 스프링부는 검지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접점부의 상기 소정의 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검지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삽입을 검지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검지 단자와 접촉하고 있지 않고,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접점부가 상기 소정의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검지 단자에 접촉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소정의 일 방향은, 상기 피치 방향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소정의 일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단과 상기 피가압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끼워맞춤단과 상기 접점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은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접점부에 있어서 구부러진 산(山) 형상 또는 へ자 형상의 후단을 갖고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압입되어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부분적으로 조립되어(embedded) 있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자와 상기 스프링부는 2조(組) 있고,
    1조의 상기 검지 단자 및 상기 스프링부로 구성되는 상기 검지 스위치와, 다른 조의 상기 검지 단자 및 상기 스프링부로 구성되는 상기 검지 스위치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상태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삽입이 검지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를 취급할 때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검지 단자에 닿지 않도록 상기 검지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상기 셸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되접혀짐과 함께, 상기 검지 단자의 비스듬히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검지 단자를 보호하는 되접힘부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소정의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지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검지 단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호하는 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되접힘부와 상기 벽부는, 상기 보호부를 구성하는 커넥터.
KR20130068079A 2012-12-27 2013-06-14 커넥터 KR101478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4563 2012-12-27
JP2012284563A JP6097072B2 (ja) 2012-12-27 2012-12-2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279A KR20140085279A (ko) 2014-07-07
KR101478584B1 true KR101478584B1 (ko) 2015-01-02

Family

ID=4975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079A KR101478584B1 (ko) 2012-12-27 2013-06-14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5219B2 (ko)
JP (1) JP6097072B2 (ko)
KR (1) KR101478584B1 (ko)
CN (2) CN103904489B (ko)
TW (1) TWI5524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072B2 (ja) * 2012-12-27 2017-03-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406235A (zh) * 2014-09-01 2016-03-1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插座连接器
JP6393595B2 (ja) * 2014-11-18 2018-09-19 株式会社トップランド Usbプラグ
CN104538759A (zh) * 2014-12-19 2015-04-22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204558802U (zh) * 2014-12-22 2015-08-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016744U (zh) * 2015-08-17 2016-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6607141B2 (ja) * 2016-05-12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CN108270114A (zh) * 2016-12-30 2018-07-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接口保护装置和移动终端
US10485125B2 (en) * 2017-12-22 2019-11-1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USB connector and memory device
CN108539536B (zh) * 2018-03-13 2020-0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插座、电子设备、插头及数据线
US10522928B1 (en) * 2019-01-15 2019-12-31 Suzhou E-Con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plug, electric connector socket,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10985492B2 (en) * 2019-07-19 2021-04-2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shroud configu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579B1 (ko) 2003-05-26 2006-09-06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090042375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알.에프.텍 유에스비 플러그, 유에스비 플러그용 에이브이 소켓 및 이를 갖는 유에스비 커넥터 장치
KR101076652B1 (ko) 2008-09-16 2011-10-26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US8070520B2 (en) 2009-04-29 2011-12-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1857A (en) * 1972-02-18 1973-12-25 J Stendig Condition responsive receptacles
DE4216133A1 (de) * 1992-05-15 1993-11-18 Bissendorf Peptide Gmbh Anwendung von Urodilatin bei Lungen- und Bronchialerkrankungen
US5464353A (en) * 1993-04-21 1995-11-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 connector
JP3581063B2 (ja) * 1999-11-05 2004-10-27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のスイッチ構造
JP3937866B2 (ja) 2002-02-25 2007-06-27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4247343B2 (ja) * 2002-10-16 2009-04-02 大宏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840402Y (zh) * 2005-09-09 2006-11-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62199B2 (ja) * 2007-04-09 2010-10-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8262776A (ja) 2007-04-11 2008-10-30 Taiko Denki Co Ltd 接続感知機能付きレセプタクル及びその実装構造
US7413467B1 (en) * 2007-05-31 2008-08-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DMI connector assembly
JP5098580B2 (ja) * 2007-08-31 2012-1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及び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01113013Y (zh) * 2007-09-03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416428B1 (en) * 2007-10-25 2008-08-2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TWM346928U (en) * 2008-07-17 2008-12-11 Taiwin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socket
US8398416B2 (en) * 2009-01-23 2013-03-19 Molex Incorporated Socket connector having detecting switch
TWI403028B (zh) * 2010-05-17 2013-07-21 Advanced Connectek Inc High-frequency socket connector with plug detection
TWI398998B (zh) * 2010-07-22 2013-06-11 Delta Electronics Inc 智慧型電連接器
TW201210150A (en) * 2010-08-31 2012-03-01 Advanced Connectek Inc Standard connector with socket detecting function and sinking plate type connector with socket detecting function
US8465308B2 (en) * 2010-10-15 2013-06-18 Appple Inc. Connector having self-wiping contacts
JP2012099294A (ja) 2010-11-01 2012-05-24 Smk Corp 嵌合検知型コネクタ
JP2012230877A (ja) 2011-04-27 2012-11-22 Jst Mfg Co Ltd ジャック
CN202094354U (zh) 2011-06-03 2011-12-28 东莞宇球电子有限公司 带侦测功能的电连接器
US8690608B2 (en) * 2011-06-20 2014-04-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Special USB plug having different structure from standard USB plug and USB receptacle matable with the special USB plug
US8535087B1 (en) * 2012-03-13 2013-09-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detection switch
JP2012138383A (ja) * 2012-04-23 2012-07-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CN103427236B (zh) * 2012-05-25 2016-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747147B2 (en) * 2012-10-25 2014-06-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pins
JP6097072B2 (ja) * 2012-12-27 2017-03-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05779B2 (en) * 2013-03-18 2014-12-0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detecting pi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579B1 (ko) 2003-05-26 2006-09-06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090042375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알.에프.텍 유에스비 플러그, 유에스비 플러그용 에이브이 소켓 및 이를 갖는 유에스비 커넥터 장치
KR101076652B1 (ko) 2008-09-16 2011-10-26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US8070520B2 (en) 2009-04-29 2011-12-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351876U (zh) 2013-12-18
KR20140085279A (ko) 2014-07-07
TWI552461B (zh) 2016-10-01
CN103904489A (zh) 2014-07-02
JP6097072B2 (ja) 2017-03-15
CN103904489B (zh) 2016-12-28
TW201427203A (zh) 2014-07-01
JP2014127397A (ja) 2014-07-07
US9065219B2 (en) 2015-06-23
US20140187091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584B1 (ko) 커넥터
US8690608B2 (en) Special USB plug having different structure from standard USB plug and USB receptacle matable with the special USB plug
US2016002056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006618B2 (ja) コネクタ
JP5006610B2 (ja) コネクタ
US80705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TWI552450B (zh) 電連接器
KR101738396B1 (ko) 커넥터 단자
US20120149224A1 (en) Detection Switch Structur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JP5762187B2 (ja)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JP201504140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108560A (ja) コネクタ
US9196981B2 (en) Connector
US2015004489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dditional exterior shell
US20150249306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eject mechanism
JP6613129B2 (ja) 金属端子
JP4766338B2 (ja) カード検出スイッチを有するカード用コネクタ
US7159773B2 (en) Card connector having switch contacts
TWI543469B (zh) 電連接器
US920957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6103394A (ja) ワイピング部材及びコネクタ
JP2014135196A (ja) コネクタ
JP2020098705A (ja) コネクタ
US2015019476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astic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