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232B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232B1
KR100918232B1 KR1020090018018A KR20090018018A KR100918232B1 KR 100918232 B1 KR100918232 B1 KR 100918232B1 KR 1020090018018 A KR1020090018018 A KR 1020090018018A KR 20090018018 A KR20090018018 A KR 20090018018A KR 100918232 B1 KR100918232 B1 KR 10091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anel
cable tray
sides
distribution
storage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텍
Priority to KR102009001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실(EPS)에 설치되는 분전반의 중앙 내부에 내부케이블트레이를 구성하고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의 내측에 케이블서포트를 구성하여 장소가 좁은 분전실의 내부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분전실의 크기를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전반의 내부측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을 내부케이블트레이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케이블의 배선연결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분전반의 구성을 좌우측의 수납실과 중앙의 내부케이블트레이로 구획형성하여 좁은 분전실의 내부에서의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분전실 설치 후 사후점검에 대한 처리작업성의 향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분전실의 양측에 에어벤트를 더 구성하여 분전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쉽게 외부측으로 방열되도록 하고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 분전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종 전기기기가 배치되는 함체형 몸체로 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중앙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되게 통공된 케이블트레이 관통개구부(20)와;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 내부 양측에 배선용차단기 내지는 누전차단기와 같은 부품이 설치되는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케이블서포트(41)가 구비된 내부케이블트레이(40)와;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구획형성하는 구획부(50)와;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중앙의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개폐하는 도어(11)가 포함되어 된 것이다.

Description

분전반{POWER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 함체 내부 중앙에 내부케이블트레이를 형성하고, 외부케이블트레이가 관통설치되는 관통개구부를 더 형성하여 좁은 공간의 EPS(Electric pipe shaft)실에 분전반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분전반의 내부측으로 케이블트레이(Cable Tray)가 인입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기대하고 설치공간의 축소를 향상시킴은 물론 케이블 시공 후 사후점검이 용이하도록 한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건물의 각층과 방 또는 공장 등에서는 모터와 각각의 장치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 전원의 모선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부하별로 전원을 분산되게 공급하게 되고 이러한 전원 공급에서 과부하로 과전류가 흐르면 차단시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배선용차단기(MCCB)와 선로의 누전으로 보호 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하기기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분전함 내에 메인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그리고 상기 메인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와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스바들로 이루어지며,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각 차단기에 연결되는 선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누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분전반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을 연결하는 케이블트레이(1)의 일측면에 분전반(2)을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좁은 분전실(3)의 내부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각 층을 연결하는 케이블트레이(1)의 일측면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트레이(1)와 분전반(2)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바, 이와 같이 케이블트레이(1)의 일측에 분전반(2)을 설치하기 때문에 분전반(2)과 케이블트레이(1)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좁은 분전실(3) 내부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고 분전실(3)의 크기를 축소하여 시공할 수 없음에 따라, 분전실의 설치공간이 차지하는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케이블트레이(1)의 일측에 분전반(2)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케이블트레이(1)를 타고 연결되는 케이블(4)이 상기 분전반(2)의 내측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분전반(2)측으로 케이블(4)이 꺾여 설치됨에 따라 케이블을 통한 전력 등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케이블(4)이 분전반(2)측으로 꺾여 설치됨으로써, 케이블(4)의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출구멍을 분전반의 일면에 통공하여야 하며, 분전반의 일측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케이블에 의해 분전반의 내부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선용 차단기나 누전차단기 등이 복잡하게 설치될 수 밖에는 없어 분전반의 시공에 따른 작업성 저하 및 작업능률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분전반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층을 연결하는 케이블트레이가 설치된 분전실(EPS)내부에 설치되는 분전반의 중앙 내부에 내부케이블트레이를 구성하고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의 내측에 케이블서포트를 구성하여 장소가 좁은 분전실의 내부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분전실의 크기를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전반의 내부측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을 내부케이블트레이에 의해 수직되게 연결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케이블의 배선연결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분전반의 구성을 좌우측의 수납실과 중앙의 내부케이블트레이로 구획형성하여 좁은 분전실의 내부에서의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분전실 설치 후 사후점검에 대한 처리작업성의 향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분전실의 양측에 에어벤트를 더 구성하여 분전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쉽게 외부측으로 방열되도록 하고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한 분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분전반은, 각종 전기기기가 배치되는 함체형 몸체로 된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함체형 몸체의 중앙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되게 통공된 케이블트레이 관통개구부와; 상기 분전반의 함체형 몸체 내부 양측에 배선용차단기 내지는 누전차단기와 같은 부품이 설치되는 양측의 수납실과; 상기 양측의 수납실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에 횡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케이블서포트가 구비된 내부케이블트레이와; 상기 양측의 수납실과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를 구획형성하는 구획부와; 상기 함체형 몸체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수납실과 중앙의 내부케이블트레이를 개폐하는 도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전반의 함체형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분전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쉽게 외부측으로 방열되도록 하고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에어벤트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인 분전반은 케이블서포트가 구비된 내부케이블트레이가 내부 중앙에 구성되어 있고 내부케이블트레이와 연통되는 관통개구부가 함체형 몸체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좁은 공간의 분전실에 분전반을 설치함에 있어서, 각 층을 연결하는 케이블트레이가 분전반의 중앙 내측으로 관통되게 설치함으로써, 장소가 협소한 공간에 고압전기간선용 덕트, 약전용 덕트, 전화 단자함, 분전반 및 전선트레이 등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분전실 공간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전반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내부케이블트레이와 분전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블트레이가 서로 결합하여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분전반의 내부측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을 굴절시키지 않고 수직으로 바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짐은 물론, 좌/우에 구성된 수납실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기기와의 배선이 매우 용이하고, 배선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배선 재료절감의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삭제
또한, 분전반 함체형 몸체의 정면에 3개의 도어가 폭이 좁게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분전반의 양측을 구획하여 배선용 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어 좁은 공간의 분전실(EPS) 내부에서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작업이 용이하여 분전반의 사후점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이 일측이 아닌 분전반의 중앙측에 구성된 내부케이블트레이에 의해 수직으로 분전반측에 연결되기 때문에, 분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용차단기나 누전차단기의 설치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배선용차단기나 누전차단가의 설치에 대한 정렬이 깔끔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분전반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에어벤트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분전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에어벤트에 의해 방열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분전반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분전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전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분전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전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분전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분전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분전반이 각 층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분전반이 벽면에 설치된 케이블트레이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분전반이 벽면에 설치된 케이블트레이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형 몸체 11 : 도어
20 : 케이블트레이 관통개구부
30, 30a : 수납실 40 : 내부케이블트레이
41 : 케이블서포트 50 : 구획부
60 : 에어벤트 100 : 분전반
101 : 외부케이블트레이 102 : 분전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분전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분전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분전반이 각 층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분전반이 벽면에 설치된 케이블트레이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분전반이 벽면에 설치된 케이블트레이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분전반은, 각종 전기기기가 배치되는 함체형 몸체로 된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중앙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되게 통공된 케이블트레이 관통개구부(20)와,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 내부 양측에 배선용차단기 내지는 누전차단기와 같은 부품이 설치되는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에 횡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케이블서포트(41)가 구비된 내부케이블트레이(40)와,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구획형성하는 구획부(50)와,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중앙의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개폐하는 도어(11)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분전반(100)은,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중앙측에 구성된 내부케이블트레이(40)와 내부케이블트레이(40)의 내측에 횡간 구성된 케이블서포트(41)에 의해 분전실의 벽면에 케이블트레이 없이도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분전반의 설치성이 크게 향상된다.
즉,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의 후면과 벽면을 마주보도록 한 다음,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와 벽면 사이에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케이블트레이 없이도 본 발명인 분전반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인 분전반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를 벽면에 체결할 때, 벽면(102)에 설치되고 각층을 연결하는 외부케이블트레이(101)에 형성된 플랜지(103)와,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상/하단면이 각각 밀착시킨 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플랜지(103)와 함체형 몸체(10)를 결합함으로써 각 층을 연결하는 외부케이블트레이(101)에 함체형 몸체(10)를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블트레이(101)와 벽면(102)은 고정브라켓(10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분전반(100)은, 함체형 몸체(10)의 내부 중앙측에 내부케이블트레이(40)가 더 구성되고 함체형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수납실(30)(30a)가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타고 수직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에 구성되는 배전용차단기나 누전차단기에 케이블을 꺾어 연결하지 않고 수직되게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분전반에 케이블을 꺾어 연결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이 해결됨은 물론, 함체형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용 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케이블을 깔끔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분전반의 경우 케이블을 분전반의 내부에 인입하기 위해서는 분전반의 일측면에 구멍을 타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분전반은 이와 같은 케이블 인입용 구멍을 타공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에 따른 번거로움이 생략된다.
뿐만 아니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을 연결하는 케이블트레이(101)에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중앙측에 형성된 관통개구부(20)의 상/하단을 위치시켜 볼트에 의해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외부케이블트레이(101)가 함체형 몸체(1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좁은 분전실(105)의 내부에 분전함(100)을 설치할 때, 분전함(100)의 함체형 몸체(10) 중앙 내측에 구성된 내부케이블트레이(40)에 외부케이블트레이(101)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좁은 분전실(102)의 설치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증대된다.
또한,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가 구획부(50)에 의해 내부에 배선용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되는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 중앙에 형성되어 외부케이블트레이(101)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내부케이블트레이(40)가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의 내부에 배전용 차단기나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외부케이블트레이(101)를 상기 관통개구부(20)의 상/하단에 위치시켜 상기 외부케이블트레이(101)에 함체형 몸체(10)가 외부케이블트레이(101)의 중앙측에 위치되도록 수직설치할 수 있어 외부케이블트레이(101)를 타고 연결되는 케이블을 쉽게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측으로 연결하여 인출하거나 인입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작업의 향상은 물론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옴은 물론,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관통실(40)을 각각 개폐하도록 3개의 도어(11)가 각각 구성되되 도어(11)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사후점검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분전반(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쉽게 외부측으로 방열되도록 하고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에어벤트(6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벤트(60)를 통해 함체형 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쉽게 방출될 수 있음으로써, 함체형 몸체(10)의 내부에 구성된 각종 구성요소들의 불량률 및 고장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함체형 몸체(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양측에 구성되는 상기 수납실(30)(30a)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실(30)(30a)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용차단기나 누전차단기와 같은 전기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봉(31)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지지봉(31)에 의해 수납실(30)(3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들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각종 전기기기가 배치되는 함체형 분전반에 있어서,
    함체형 몸체(10)의 중앙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되게 통공된 케이블트레이 관통개구부(20)와;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 내부 양측에 배선용차단기 내지는 누전차단기와 같은 전기기기가 설치되는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케이블서포트(41)가 구비된 내부케이블트레이(40)와;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상기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형성하는 구획부(50)와;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수납실(30)(30a)과 중앙의 내부케이블트레이(40)를 개폐하는 도어(11)가 포함되며,
    상기 함체형 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관통개구부(20)의 양측단에는 결합공(12)이 통공되고,
    상기 결합공(12)에 건물 각층의 벽면(102)에 고정브라켓(104)으로 설치되는 외부케이블트레이(101)의 플랜지(103)가 위치되어 상기 결합공(12)과 결합되고,
    상기 분전반(100)은 각 층의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외부케이블트레이(101)에 연결되어 각 층에 설치되도록 한 분전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100)의 함체형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분전반(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쉽게 외부측으로 방열되도록 하고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에어벤트(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KR1020090018018A 2009-03-03 2009-03-03 분전반 KR10091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18A KR100918232B1 (ko) 2009-03-03 2009-03-03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18A KR100918232B1 (ko) 2009-03-03 2009-03-03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232B1 true KR100918232B1 (ko) 2009-09-28

Family

ID=4135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018A KR100918232B1 (ko) 2009-03-03 2009-03-03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63B1 (ko) 2013-01-07 2013-03-19 애니콤정보통신 주식회사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82B1 (ko) * 2005-09-26 2007-05-21 오태수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809455B1 (ko) * 2007-10-12 2008-03-06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82B1 (ko) * 2005-09-26 2007-05-21 오태수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809455B1 (ko) * 2007-10-12 2008-03-06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63B1 (ko) 2013-01-07 2013-03-19 애니콤정보통신 주식회사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4161B2 (en) Switchgear
BR112015026626B1 (pt) Equipamento elétrico, montagem de barramento, placa de montagem para uma montagem de barramento e blindagem para isolar uma montagem de barramento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JP5272639B2 (ja) 電力変換装置盤
US20160261055A1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for housing modular units and related components thereof
CN102904426A (zh) 一体化滤波单元及四象限变频器
KR101079984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KR100918232B1 (ko) 분전반
JP2008245430A (ja) 電気室から負荷機器まで長い距離を有する施設の送電構造
KR200404930Y1 (ko) 옥외용 분전반
US7481029B2 (en) Zone access floor network distribution system
KR20110111026A (ko) 플로어 유틸리티 박스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CN215119816U (zh) 一种智能配电柜
US7881045B2 (en) Enclosure of a power electronics appliance
JP4093293B2 (ja) 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3847586B2 (ja) 閉鎖配電盤
KR101333569B1 (ko)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JP2002078119A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KR100876915B1 (ko) 건축용 천장 전기 분전함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RU2316093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центр
KR20160002412U (ko) 통합 세대분전반함
JP5971924B2 (ja) スイッチギヤ
CN203660331U (zh) 一种md190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