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709B1 -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 Google Patents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709B1
KR101134709B1 KR1020100057917A KR20100057917A KR101134709B1 KR 101134709 B1 KR101134709 B1 KR 101134709B1 KR 1020100057917 A KR1020100057917 A KR 1020100057917A KR 20100057917 A KR20100057917 A KR 20100057917A KR 101134709 B1 KR101134709 B1 KR 10113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synthetic resin
installation
box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912A (ko
Inventor
이은길
전은숙
조휘만
박도신
최영선
Original Assignee
이은길
전은숙
최영선
박도신
조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039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347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길, 전은숙, 최영선, 박도신, 조휘만 filed Critical 이은길
Priority to KR102010005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70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은,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전면에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버를 설치하되,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상하좌우의 본체측판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을 형성하고 밑판에는 전선인입공을 형성하여,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양 측면에 형성된 녹아웃홀을 선택적으로 뚫어 전선을 인입 배선시키고,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밑면의 전선인입공을 통해 전선을 인입 배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주로 천장이나 벽면의 내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같은 배선시설물에 인접(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하여 용이하게 거치(설치)시킬 수 있고,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계량기함의 내부로 인입(IN)시켜 배선하고 슬리브(C형 슬리브)를 관통하여 분기선을 배출(OUT)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취부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장치(계량기와 누전차단기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현장상황에 따라 설치위치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면서 설치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작업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설비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A Gauge Box}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을 배선 지지하기 위하여 설비되는 트레이에 거치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전면에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버를 설치하되,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상하좌우의 본체측판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을 형성하고 밑판에는 전선인입공을 형성하여,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양 측면에 형성된 녹아웃홀을 선택적으로 뚫어 전선을 인입 배선시키고,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밑면의 전선인입공을 통해 전선을 인입 배선할 수 있도록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전면에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버를 설치하되,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내부를 내부 하측부에 조립 설치되는 분할벽에 의해 상측의 계량기설치실과 하측의 풀박스(Pull Box: 일명 조인트박스)설치실로 구분하고, 상기 상측의 계량기설치실에는 전자식계량기와 누전차단기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을 1개 조로하여 1개조 이상씩 설치하며, 하측의 풀박스(Pull Box: 일명 조인트박스) 설치실에는 여유전선 등을 보관하며, 계량기설치실의 상면과 좌우측면 및 풀박스(Pull Box: 일명 조인트박스) 설치실의 밑면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을 형성하고 계량기설치실의 밑판에는 전선인입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버에는 계량기설치실과 일치하는 상측부에 계량기 투시공과 세대간명판홈을 1개 조로하여 1개조 이상씩 형성하고, 풀박스(Pull Box: 일명 조인트박스)설치실과 일치하는 하측에는 다수의 에어유통공이 뚫어진 전면판을 설치하여서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에는 전기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계량기나 인입되는 전원의 과전압 발생과 같은 전압의 이상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스위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계량기나 차단스위치가 설치되는 계량기 박스를 이용하여 계량기나 차단스위치를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존의 계량기 박스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건물의 건축중에 동시에 매설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에 의하여 측벽 내부에 매설되도록 하였다.
통상의 계량기 박스의 구성은 내측으로 계량기와 차단기, 전선분배블록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계량기 박스는, 시공에 의한 거푸집과 함께 일체로 설치될 경우 계량기 박스의 교체에 어려움이 발생 되고, 벽면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돌출 설치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상기 본체와 계량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계량기나 차단기의 추가 설치시 계량기 박스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또, 계량기의 설치 수에 따라 계량기 박스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만흥 설치면적과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며, 그로 인해 설치가 용이치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져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284025호의 '계량기 박스'가 알려져 있다.
이는 내측에 일정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전선분배블록이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며 계량기와 차단기가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계량기의 수치를 전시토록 형성되는 표시부와 차단기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전면의 일측이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겉판;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계량기와 차단기를 2조씩 설치하도록 된 것이나, 벽체(콘크리트)의 내부에 매설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본체의 내부에 계량기와 차단기를 각각 설치하기 위해는 별도의 베이스판을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의 계량기 박스들은 별도의 설치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로 천장이나 벽면의 내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같은 배선시설물에 인접(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하여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계량기 박스들은 전선을 절단하여야 계량기함의 내부로 인입시켜야 하고, 별도의 취부대를 이용하여 전기장치(계량기와 누전차단기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현장 상황과는 전혀 무관하게(무시한 상태에서) 벽체(콘크리트)의 내부에 매설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성이 느리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전면에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버를 설치하되,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상하좌우의 본체측판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을 형성하고 밑판에는 전선인입공을 형성하여,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양 측면에 형성된 녹아웃홀을 선택적으로 뚫어 전선을 인입 배선시키고,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밑면의 전선인입공을 통해 전선을 인입 배선할 수 있도록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로 천장이나 벽면의 내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같은 배선시설물에 인접(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하여 용이하게 거치(설치)시킬 수 있도록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계량기함의 내부로 인입(IN)시켜 배선하고 슬리브(C형 슬리브)를 관통하여 분기선을 배출(OUT)시킬 수 있고, 별도의 취부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장치(계량기와 누전차단기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상황에 따라 설치위치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면서 설치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작업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설비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계량기설치실(10-1)에 전자식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를 설치하도록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전면에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를 볼트스크루에 의해 결합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밑판에는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상면과 하면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37-1)(37-2)을 형성하며,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에는 계량기 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좌우 양측 본체측판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37-2)을 각각 형성하여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를 케이블 트레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하여 전선을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측면에서 인입 배선시키도록 한 것과;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내부를 내부 하측부에 조립 설치되는 분할벽(35)에 의해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과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로 구분한 것과;
상기 풀박스설치실(10-2)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녹아웃홀(38)을 형성한 것과;
상기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에는 전자식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을 1개 조로하여 1개조 이상 설치한 것과;
상기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에서 계량기설치실(10-1)과 일치하는 상측부에는 계량기 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을 1개 조로하여 1개조 이상씩 형성한 것과;
상기 풀박스설치실(10-2)의 전면에는 다수의 에어유통공(56)이 뚫어진 풀박스설치실전면판(5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은,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전면에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버를 설치하되,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의 상하좌우의 본체측판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을 형성하고 밑판에는 전선인입공을 형성하여,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좌측 또는 우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양 측면에 형성된 녹아웃홀을 선택적으로 뚫어 전선을 인입 배선시키고,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을 트레이의 상측에 거치시켜 설치할 때에는 밑면의 전선인입공을 통해 전선을 인입 배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주로 천장이나 벽면의 내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같은 배선시설물에 인접(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측)하여 용이하게 거치(설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계량기함의 내부로 인입(IN)시켜 배선하고 슬리브(C형 슬리브)를 관통하여 분기선을 배출(OUT)시킬 수 있고, 별도의 취부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장치(계량기와 누전차단기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현장상황에 따라 설치위치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면서 설치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작업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설비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일 예시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a 내지 도 3f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평면도, 측단면도 및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도 9a 내지 도 9f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측단면도 및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각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평면도,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도 16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평면도, 측단면도.
도 19a와 도 19b 및 도 20a와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에서 1세대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 및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1세대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2)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 및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f는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 및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2)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 및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3ㆍ4세대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 및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3ㆍ4세대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2)을 보인 분해 사시도와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본체 및 계량기설치함 합성수지커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9a와 도 19b 및 도 20a와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은, 전자식계량기(41)와 같은 계량기ㆍ누전차단기(43)ㆍ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와,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로 분할 형성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3f와 도 4 내지 도 6c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의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1-2)을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f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은, 계량기(41:전자식계량기)ㆍ누전차단기(43)ㆍ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인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와,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인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로 형성하였다.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밑판(31)의 가장자리에 본체측판(30)을 일체로 세워 형성하여 상부(전면)로 개방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본체측판(30)의 내면에는 다수의 돌편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본체측판(3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측판(30)의 모서리와 양 측면의 중앙부에는 장착수단으로서 너트공(32-1)이 뚫어진 장착블록(32)을 각각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를 결합시킬 때에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에 뚫어진 스크루볼트체결공(57)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루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본체측판(30)의 전면(두께면)에는 결합수단으로서 요홈(39)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의 돌편(58)을 결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내부 하측에서 본체측판(30)을 형성하는 양 측면에는 한 상씩의 가이드레일(34)을 동일 선상에 대향되게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면 사이의 가이드레일(34)에 분할벽(35)을 조립 설치하여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내부를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과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로 분할 형성하였다.
상기 계량기설치실(10-1)에서 밑판(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복수 개씩의 설치공(33)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을 케이블트레이(100)의 일 측면에 설치할 때에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취부블록(110)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계량기설치실(10-1)에서 밑판(31)의 중앙선상에는 전선인입공(36)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을 케이블트레이(100)의 상측(전면)에 설치할 때에 케이블트레이(100)에 배선되는 케이블(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전선인입공(36)상에서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계량기장착부(40)와 누전차단기장착부(42)를 각각 형성하여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를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전선인입공(36)의 양측에서 일측 하부에는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설치부(44)를 형성하여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에서 상면에는 한 쌍의 록아웃홀(37-1)을 좌우로 이격시켜 형성하였고 양 측면에는 한 쌍의 록아웃홀(37-2)을 상하로 이격시켜 각각 형성하여 케이블트레이(100)에 배선된 전선을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에서 밑면에는 다수의 록아웃홀(37-3)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밑판(31)에는 록아웃홀(38)을 형성하여 조인트박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배선되는 각종 통신선 등을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배선시에 발생하는 여유전선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전면에 결합되는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여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전면을 덮어 줄 수 있도록 하였고,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의 모서리와 좌우 가장자리의 중간부에 스크루체결공(57)을 뚫어 스크루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결합하여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장착블록(32)에 나사 결합하여 줌으로서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를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전면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에서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상측 계량기설치실(10-1)과 일치되는 면에서, 상측부의 전면(외면)에는 요면(51)을 형성하였고, 요면(51)의 중앙선상에는 계량기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 및 힌지(54-1)로 설치되는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설치하여 계량기투시공(52)을 통해서는 계량기(41)을 확인(점검)하고 세대간명판홈(53)에는 세대간동호수가 기재된 명판을 설치하며 개폐되는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통해서는 누전차단기(43)의 작동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에서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하측 풀박스설치실(10-2)와 일치되는 면에는 장방형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였고, 그 공간부의 전면에는 다열의 에어유통공(56)이 내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뚫어진 풀박스설치실전면판(55)을 볼트스크루에 의해 결합하여 풀박스설치실(10-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외기와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 내지 도 6c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1세대형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2)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1세대형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2)도 도 1 내지 도 3f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과 같이, 계량기(41:전자식계량기)ㆍ누전차단기(43)ㆍ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인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2)와,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인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2)로 형성하였다.
상기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2)는 도 1 내지 도 3f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의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에서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상기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1)과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2)는 도 1 내지 도 3f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1)의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에서 가장자리(사면의 가장자리)에 연설부(59)를 더 형성하여,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2)를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2)에 설치하였을 때에 연설부(59)가 1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그외에는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f와 도 10 내지 도 12c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2-2)은 2세대용으로 사용되도록 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도 7 내지 도 9f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은, 계량기(41:전자식계량기)ㆍ누전차단기(43)ㆍ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인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와,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인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로 형성하였다.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밑판(31)의 가장자리에 본체측판(30)을 일체로 세워 형성하여 상부(전면)로 개방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본체측판(30)의 내면에는 다수의 돌편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본체측판(3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측판(30)의 모서리와 양 측면의 중앙부에는 장착수단으로서 너트공(32-1)이 뚫어진 장착블록(32)을 각각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를 결합시킬 때에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에 뚫어진 스크루볼트체결공(57)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루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본체측판(30)의 전면(두께면)에는 결합수단으로서 요홈(39)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1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1)의 돌편(58)을 결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내부 하측에서 본체측판(30)을 형성하는 양 측면에는 한 상씩의 가이드레일(34)을 동일 선상에 대향되게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면 사이의 가이드레일(34)에 분할벽(35)을 조립 설치하여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내부를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과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로 분할 형성하였다.
상기 계량기설치실(10-1)에서 밑판(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복수 개씩의 설치공(33)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을 케이블트레이(100)의 일 측면에 설치할 때에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취부블록(110)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계량기설치실(10-1)에서 밑판(31)의 중앙선상에는 전선인입공(36)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을 케이블트레이(100)의 상측(전면)에 설치할 때에 케이블트레이(100)에 배선되는 케이블(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전선인입공(36)의 좌우 양측에는 계량기장착부(40)와 누전차단기장착부(42)를 각각 형성하여 2세대의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를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전선인입공(36)의 하측부에는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설치부(44)를 형성하여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에서 상면에는 한 쌍의 록아웃홀(37-1)을 좌우로 이격시켜 형성하였고 양 측면에는 한 쌍의 록아웃홀(37-2)을 상하로 이격시켜 각각 형성하여 케이블트레이(100)에 배선된 전선을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에서 밑면에는 다수의 록아웃홀(37-3)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밑판(31)에는 록아웃홀(38)을 형성하여 조인트박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배선되는 각종 통신선 등을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전면에 결합되는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여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전면을 덮어 줄 수 있도록 하였고,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의 모서리와 좌우 가장자리의 중간부에 스크루체결공(57)을 뚫어 스크루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결합하여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장착블록(32)에 나사 결합하여 줌으로서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를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전면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결합수단으로서 돌편(58)을 형성하여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요홈(39)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돌편(58)을 2세대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를 형성하는 본체측판(30)의 내면에 유입되도록 형성하여,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를 2세대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에 결합시켰을 때에 돌띠(58)가 본체측판(30)의 내면에 인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에서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상측 계량기설치실(10-1)과 일치되는 면에서, 상측부의 전면(외면)에는 요면(51)을 형성하였고, 요면(51)의 중앙선상 좌우 양측에는 각 세대용으로 사용되는 계량기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 및 힌지(54-1)로 설치되는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각각 설치하여, 각 계량기투시공(52)을 통해서는 각 계량기(41)을 확인(점검)하고 각 세대간명판홈(53)에는 세대간 동호수가 기재된 명판을 설치하며 개폐되는 각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통해서는 각 누전차단기(43)의 작동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에서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하측 풀박스설치실(10-2)와 일치되는 면에는 장방형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였고, 그 공간부의 전면에는 다열의 에어유통공(56)이 내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뚫어진 풀박스설치실전면판(55)을 볼트스크루에 의해 결합하여 풀박스설치실(10-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외기와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 내지 도 12c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2세대형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2)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2세대형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2)도 도 7 내지 도 9f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과 같이, 계량기(41:전자식계량기)ㆍ누전차단기(43)ㆍ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2세대용의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인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4)와,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4)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인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4)로 형성하였다.
상기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4)는 도 7 내지 도 9f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의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에서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상기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4)는 도 7 내지 도 9f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2-1)의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에서 가장자리(사면의 가장자리)에 연설부(59)를 더 형성하여,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4)를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4)에 설치하였을 때에 연설부(59)가 2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그외에는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3)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b와 도 16 내지 도 18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2)은 3,4세대용으로 사용되도록 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도 13 내지 도 15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은, 3,4세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4개의 계량기(41:전자식계량기)와 누전차단기(43) 및 하나의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인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와,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인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로 형성하였다.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밑판(31)의 가장자리에 본체측판(30)을 일체로 세워 형성하여 상부(전면)로 개방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본체측판(30)의 내면에는 다수의 돌편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본체측판(3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측판(30)의 모서리와 양 측면의 중앙부에는 장착수단으로서 너트공(32-1)이 뚫어진 장착블록(32)을 각각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2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를 결합시킬 때에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에 뚫어진 스크루볼트체결공(57)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루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본체측판(30)의 전면(두께면)에는 결합수단으로서 요홈(39)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의 돌편(58)을 결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내부 하측에서 본체측판(30)을 형성하는 양 측면에는 한 상씩의 가이드레일(34)을 동일 선상에 대향되게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 측면 사이의 가이드레일(34)에 분할벽(35)을 조립 설치하여,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내부를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과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로 분할 형성하였다.
상기 계량기설치실(10-1)에서 밑판(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복수 개씩의 설치공(33)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을 케이블트레이(100)의 일 측면에 설치할 때에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취부블록(110)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계량기설치실(10-1)에서 밑판(31)의 중앙선상에는 전선인입공(36)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을 케이블트레이(100)의 상측(전면)에 설치할 때에 케이블트레이(100)에 배선되는 케이블(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전선인입공(36)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2쌍씩의 계량기장착부(40)와 누전차단기장착부(42)를 각각 상하 및 좌우로 각각 형성하여 2세대씩의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를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전선인입공(36)에는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설치부(44)를 형성하여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에서 상면에는 한 쌍의 록아웃홀(37-1)을 좌우로 이격시켜 형성하였고 양 측면에는 한 쌍의 록아웃홀(37-2)을 상하로 이격시켜 각각 형성하여 케이블트레이(100)에 배선된 전선을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에서 밑면에는 다수의 록아웃홀(37-3)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밑판(31)에는 록아웃홀(38)을 형성하여 조인트박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배선되는 각종 통신선 등을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전면에 결합되는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여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전면을 덮어 줄 수 있도록 하였고,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의 모서리와 좌우 가장자리의 중간부에 스크루체결공(57)을 뚫어 스크루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결합하여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3)의 장착블록(32)에 나사 결합하여 줌으로서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를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전면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결합수단으로서 돌편(58)을 형성하여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요홈(39)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돌편(58)을 3,4세대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를 형성하는 본체측판(30)의 내면에 유입되도록 형성하여,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를 3,4세대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에 결합시켰을 때에 돌띠(58)가 본체측판(30)의 내면에 인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에서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상측 계량기설치실(10-1)과 일치되는 면에서, 상측부의 전면(외면)에는 요면(51)을 형성하였고, 요면(51)의 중앙선상 좌우 양측에는 각 세대용으로 사용되는 계량기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 및 힌지(54-1)로 설치되는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각각 설치하여, 각 계량기투시공(52)을 통해서는 각 계량기(41)을 확인(점검)하고 각 세대간명판홈(53)에는 세대간 동호수가 기재된 명판을 설치하며 개폐되는 각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통해서는 각 누전차단기(43)의 작동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에서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의 하측 풀박스설치실(10-2)와 일치되는 면에는 장방형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였고, 그 공간부의 전면에는 다열의 에어유통공(56)이 내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뚫어진 풀박스설치실전면판(55)을 볼트스크루에 의해 결합하여 풀박스설치실(10-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외기와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6 내지 도 18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형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2)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형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2)도 도 13 내지 도 15b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과 같이, 계량기(41:전자식계량기)ㆍ누전차단기(43)ㆍ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과 같은 3,4세대용의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인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6)와,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6)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인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6)로 형성하였다.
상기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6)는 도 13 내지 도 15b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의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6)에서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상기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5)과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6)는 도 13 내지 도 15b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3-1)의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5)에서 가장자리(사면의 가장자리)에 연설부(59)를 더 형성하여,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6)를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6)에 설치하였을 때에 연설부(59)가 3,4세대용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6)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그외에는 3,4세대용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4)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도 19a와 도 19b 및 도 20a와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은 도 19a와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장상황에 따라 취부블록(110)을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일 측면에 인접하게 설치하거나, 도 20a와 도 2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취부블록(120)과 볼트(121)를 이용하여 (100: Cable Tray)의 상측에 설치된다.
특히,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상측에 설치되는 노출형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를 장착시키는 취부블록(120)은 도 2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취부공이 뚫어지고 평판형으로 형성된 취부판의 양단에 억류편을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는 전선 등 각종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유닛 또는 유닛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 등으로 구성한 구조물로서, 주로 천장 또는 벽체에 부착(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일 측면 또는 상측에 설치하여 각 가정에 전원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상기 19a와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을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일 측면(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하게 설치할 때에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에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11, 12, 13, 14, 15, 16)의 양 측면에 형성된 록아웃홀(37-2)에서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와 인접하는 측면의 상하 록아웃홀(37-2)을 오픈하여(뚫어)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에 배선된 전선(케이블)을 계량기설치실(10-1)의 내부로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19a와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일 측면(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에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11, 12, 13, 14, 15, 16)의 계량기설치실(10-1)에 형성된 각 계량기장착부(40)와 누전차단기장착부(42) 및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설치부(44)에는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 및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45)을 각각 설치(장착)한다.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11, 12, 13, 14, 15, 16)의 일측(상측)의 록아웃홀(37-2)을 통해 계량기설치실(10-1)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케이블)은,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45)의 인입부로 연결하고,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45)의 배출부를 통해 분배되어 각 계량기(41)의 인입부에 연결한다.
상기 각 각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는 동판의 외면에 테이프가 수축된 부스바(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연결하며, 각 누전차단기(43)를 통해 각 가정으로 분배되도록 배선한다.
또한 상기 20a와 도 2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을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상측에 설치할 때에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에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11, 12, 13, 14, 15, 16)의 밑판(31)에 전선인입공(33)이 형성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2-1, 3-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11, 12, 13, 14, 15, 16)의 밑판(31)에 전선인입공(33)이 형성된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2-1, 3-1)을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상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로 배선되는 전선을 전선인입공(33)의 상측으로 인입시키고, 전선인입공(33)의 상측으로 인입되는 전선을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45)의 인입부로 연결한다.
상기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45)의 배출부를 통해 분배되어 각 계량기(41)의 인입부에 연결하고, 상기 각 각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는 동판의 외면에 테이프가 수축된 부스바(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연결하며, 각 누전차단기(43)를 통해 각 가정으로 분배되도록 배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은 풀박스설치실(1-2)의 록아웃홀(37-3) 및 록아웃홀(38)을 선택적으로 오픈(개방)시켜 각 가정의 전화와 같은 각종 통신시설용 케이블 등(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설치하거나 여유전선 등을 수납하여 보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은 현장 상황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100: Cable Tray)의 상측 또는 좌우 양측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인입된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11, 12, 13, 14, 15, 16)의 내부로 전선을 인입시켜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C형 슬리브)을 관통하여 분기선을 배출(OUT)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1: 1-1, 1-2, 2-1, 2-2, 3-1, 3-2)은 종래와 같이 높이 조절용 취부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 및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45)을 설치할 수 있고, 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는 부스바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1-1. 1-2: 1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2-1. 2-2: 2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3-1. 3-2: 3,4세대용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10: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 10-1: 계량기설치실
10-2: 풀박스설치실 20: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
30: 본체측판 35: 분할벽
40: 계량기장착부 41: 계량기
42: 누전차단기장착부 43: 누전차단기
44: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설치부 45: 전선분기형터미널블록
52: 계량기투시공 53: 세대간명판홈
54: 누전차단기확인도어 55: 풀박스설치실전면판

Claims (11)

  1. 삭제
  2.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계량기설치실(10-1)에 전자식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를 설치하도록 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전면에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를 볼트스크루에 의해 결합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밑판에는 전선인입공(36)을 형성하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상면과 하면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37-1)(37-2)을 형성하며,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에는 계량기 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좌우 양측 본체측판에는 다수 개씩의 녹아웃홀(37-2)을 각각 형성하여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를 케이블 트레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하여 전선을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측면에서 인입 배선시키도록 한 것과;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내부를 내부 하측부에 조립 설치되는 분할벽(35)에 의해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과 하측의 풀박스설치실(10-2)로 구분한 것과;
    상기 풀박스설치실(10-2)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녹아웃홀(38)을 형성한 것과;
    상기 상측의 계량기설치실(10-1)에는 전자식계량기(41)와 누전차단기(43) 및 전선분기형 터미널블록(45)을 1개 조로하여 1개조 이상 설치한 것과;
    상기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에서 계량기설치실(10-1)과 일치하는 상측부에는 계량기 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을 1개 조로하여 1개조 이상 형성한 것과;
    상기 풀박스설치실(10-2)의 전면에는 다수의 에어유통공(56)이 뚫어진 풀박스설치실전면판(5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는;
    상기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에서 계량기설치실(10-1)과 일치되는 면에 계량기투시공(52)과 세대간명판홈(53) 및 힌지(54-1)로 설치되는 누전차단기확인도어(54)를 한 쌍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와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의 당접면에는 결합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7. 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100)의 상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는 취부블록(120)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10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와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의 당접면에 형성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의 전면과 계량기설치함합성수지커버(2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요홈(39)과 돌편(58)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100)의 상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계량기설치합성수지함본체(10)를 장착시키는 취부블록(120)은;
    중앙에 취부공이 뚫어지고 평판형으로 형성된 취부판의 양단에 억류편을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KR1020100057917A 2010-06-18 2010-06-18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KR10113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917A KR101134709B1 (ko) 2010-06-18 2010-06-18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917A KR101134709B1 (ko) 2010-06-18 2010-06-18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12A KR20110137912A (ko) 2011-12-26
KR101134709B1 true KR101134709B1 (ko) 2012-04-13

Family

ID=4550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917A KR101134709B1 (ko) 2010-06-18 2010-06-18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72B1 (ko) 2014-03-03 2014-04-02 김창덕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54B1 (ko) * 2013-05-10 2014-04-04 정현찬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CN104235507A (zh) * 2013-06-17 2014-12-24 特变电工沈阳变压器集团有限公司 一种输变电设施配线用桥架结构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KR101374087B1 (ko) * 2013-11-15 2014-03-26 (주)성창종합기술단 지하주차장 케이블 트레이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CN105259498B (zh) * 2015-10-30 2018-04-13 江苏祥源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熔断器复合绝缘子检测工装
KR200488492Y1 (ko) * 2018-07-09 2019-02-11 (주)주안전기 방수 기능이 향상된 배전함
CN112382956B (zh) * 2020-09-30 2023-04-1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计量表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823A (ko) * 2001-10-16 2003-04-23 한상문 단자함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823A (ko) * 2001-10-16 2003-04-23 한상문 단자함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72B1 (ko) 2014-03-03 2014-04-02 김창덕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12A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US9837804B2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enclosure, master tub, multi-wire connector, and junction box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WO2011142685A2 (en) Distribution meter cabinet with ventilation device for mounting on the posts, walls or on the stand to post on public areas, either independently or side-to-side
PL204649B1 (pl) Sposób rozszerzania przestrzeni montażowej ustawionej na wolnym powietrzu szafki rozdzielczej oraz zestaw montażowy dla nowej jednostki szafki rozdzielczej
US20160241002A1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for housing modular units and related components thereof
KR20100001124U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20120020877A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0880625B1 (ko)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14799B1 (ko) 복합형 수배전반
JP2978391B2 (ja) 集合住宅用引込盤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010309B1 (ko) 단자함
CN210621997U (zh) 一种预埋电线的装配式墙体
CN203618260U (zh) 自动线单机电气柜
KR20150083535A (ko) 배면판착탈형 통신기기설치용 다중정보통신기기함
JP2009007871A (ja) パーティション盤
US20120285717A1 (en) Removable knockout plate for enclosures
KR100648078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 및 통신케이블 보호 케이스구조
CN209709457U (zh) 光电一体箱
EA000289B1 (ru) Пластмассов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с блоками розеток
CN219739576U (zh) 一种模块化配电柜
CN210053073U (zh) 一种箱变专用轻质化铝合金通风栅
CN219779474U (zh) 一种组合式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428

Effective date: 201511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