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799B1 - 복합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복합형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799B1
KR100714799B1 KR1020050114357A KR20050114357A KR100714799B1 KR 100714799 B1 KR100714799 B1 KR 100714799B1 KR 1020050114357 A KR1020050114357 A KR 1020050114357A KR 20050114357 A KR20050114357 A KR 20050114357A KR 100714799 B1 KR100714799 B1 KR 10071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essure chamber
low pressure
high pressur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환
이해원
박기주
신항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파워
Priority to KR102005011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를 수배전반의 일면에 나란히 배치하여 그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키고 협소한 공간에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며 보수, 점검 등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복합형 수배전반은 전면부에 도어가 마련된 일체폐쇄형의 케이스(100)의 고압실 하부에 설치되는 고압변압기(131) 및 MOF(130)와, 상기 고압변압기 및 MOF가 설치된 고압실의 상부에 복층구조로 배치되어 특고압 인입선로를 스위치하는 AISS(136)와, 상기 고압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거친 인입 특고압을 상기 고압변압기의 고압단자 및 MOF에 접속하는 한류형 고압퓨즈(137)와, 상기 고압변압기의 저압단자에서 출력되는 저압을 분기 출력하기 위해 케이스(100)의 저압실에 설치되는 분기스위치블록(122)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고압실과 저압실은 일체폐쇄형의 케이스(100)의 전면부에서 바라볼 때 케이스(100)내부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하는 종축 수직방향 배치의 고저압수직격벽(138)에 의해 분할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형 수배전반, 고저압수직격벽, 일체폐쇄형, 고압실도어, 저압실도어

Description

복합형 수배전반{A compound distributing 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도어 오픈상태를 보인 참고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평단면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단면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2실시예의 도어 오픈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2실시예에서 고압실 및 저압실의 외부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01,101-1,102,102-1,128 :고압실외부도어
103,103-1,103-2,103-3 : 저압실외부도어
104,105,119,123,144 : 투시창
106 : 미끄럼방지판 107 : 점검도어
108 : 특고압인입구 109 : 저압인출구
110 : 접지인입구 111 : 지게발삽입구
112 : 냉각팬 113 : 볼트체결조립보드
114,126 : MOF계량기함 115,127 : 접지단자함
116,116-1,117,117-1 : 고압실내부도어
118,124 : AISS선택기 120 : 저압실내부도어
121 : ACB 122 : 분기스위치블록
125 : 계측기 130 : MOF
131 : 고압변압기 132 : 고압단자
133 : 저압단자 134 : 부스바
135 : AISS받침대 136 : AISS
137 : 고압퓨즈 138,138-1 : 고저압수직격벽
139 : 고압실 140 : 저압실
141 : 저압실수직격벽 142 : 선반
143 : 접지접속단자
본 발명은 수천V 내지 수만V의 특고압을 수백V대의 상용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공장이나 건물 단위의 수용가 측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측제어패널 등을 포함하는 저압부와 고압트랜스 및 고압퓨즈 등을 포함하는 고압부가 케이스 전면부로부터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고저압분리격판에 의해 분리되게 하고 이 고저압분리격판을 중심으로 케이스 전면부 상에 고압부도어와 저압부도어를 나란히 배치시킴으로써 수배전반의 설치 요구면적의 최소화와 시공 및 보수시의 공간 이용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6,600V 내지 22,900V의 특고압을 380V, 220V 등의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학교, 빌딩, 아파트 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 수요처에 필요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설치면적의 최소화와 설치 및 운용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선발명 특허 제300139호(명칭 : 수변전장치)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하나의 함체내에 고압부와 저압부를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 구획하고 또한 상기 고, 저압부는 다시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구획한 전, 후방 분리의 복층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 그의 측면에는 내부투시를 위한 투시창과 내부점검을 위한 점검도어가 마련되고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특허 제300139호의 수변전장치는 고압부와 저압부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각각 전용의 안전도어가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수배전 반의 안전관리가 용이하고 부주의로 인한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에 대한 주의력을 환기시키기 용이한 잇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이 고, 저압부가 전, 후방으로 구획된 형태의 종래의 수배전반에서는 그의 현장설치시 측면투시창을 통한 관측공간 및 측면점검도어의 오픈영역에 대한 고려는 물론이고, 고압부와 저압부의 도어가 충분히 열릴 수 있게 하기 위해 전방측과 후방측의 도어열림 공간부를 필히 확보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고압부와 저압부의 도어 열림공간 확보는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및 관리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곳은 건물내부의 지하실과 같은 폐쇄적이고 협소한 공간, 특히 3면이 벽체로 둘러싸여 있고 나머지 1면이 오픈된 공간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배전반 설치공간의 안쪽에 수배전반의 도어 열림공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수배전반 설치공간은 수배전반의 사이즈보다 월등히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배전반을 전력수용가 건물의 외부에 노출시켜 설치하는 경우, 수배전반 둘레를 따라 안전 펜스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에도 건물내 설치와 마찬가지로 저압부와 고압부의 도어열림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수배전반 안전 펜스의 설치면적이 수배전반 본체의 면적보다 월등히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더구나 건물 내의 3면이 폐쇄된 공간내에 수배전반을 설치하는 경우, 고압부 도어 또는 저압부 도어의 열림각을 고려하여 해당 설치공간의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설치한다고 하여도 유지보수 및 점검을 위한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거나 부주의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부 도어와 저압부 도어를 수배전반의 전면에 나란히 배치하여 수배전반의 운용 및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른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및 점검 작업을 편리하게 한 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면부 고,저압도어 일체형 수배전반에서 고압실도어와 저압실 도어를 그 설치각도에 의해 직관적으로 식별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착오나 부주의로 인한 고전압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 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형 수배전반은 전면부에 도어가 마련된 일체폐쇄형의 케이스의 고압실 하부에 설치되는 고압변압기 및 MOF와, 상기 고압변압기 및 MOF가 설치된 고압실의 상부에 복층구조로 배치되어 특고압 인입선로를 스위치하는 AISS와, 상기 고압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거친 인입 특고압을 상기 고압변압기의 고압단자 및 MOF에 접속하는 한류형 고압퓨즈와, 상기 고압변압기의 저압단자에서 출력되는 저압을 분기 출력하기 위해 케이스의 저압실에 설치되는 분기스위치블록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 기 고압실과 저압실은 일체폐쇄형의 케이스의 전면부에서 바라볼 때 케이스 내부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하는 종축 수직방향 배치의 고저압수직격벽에 의해 분할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도어 오픈상태를 보인 참고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평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단면구조도이다.
여기에서 참고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복합형 수배전반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일체폐쇄형 케이스(100)내에 고압변압기(131) 및 MOF(130)를 고압실(139)하부에 배치하고 그 상부에는 특고압 인입선로를 스위치하는 AISS(136)와 이 AISS를 거친 인입 특고압을 상기 고압변압기(131)의 고압단자(132) 및 MOF에 접속하는 한류형 고압퓨즈(137)와 피뢰용 접지접속단자(143)를 배치하는 것으로 고압부를 복층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고압변압기(131)의 저압단자(133)에서 출력되는 저압은 저압실(140)에 설치된 ACB(121)와 분기스위치블록(122)을 통하여 수용가측에 필요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는 고압실 도어와 저압실 도어를 수직평면상에서 근사적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복합형 수배전반의 도어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로 이루어진 고압실 도어와 외문개 폐형 저압실외부도어(103)로 이루어진 저압실 도어는 수배전반 전면부의 수직평면상에서 일정각도 벗어나 서로 둔각(90°내지 180°이하)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있다. 즉, 저압실외부도어(103)의 바깥쪽 에지부분이 고압실외부도어(101,102)보다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 상호간에 수직평면상에서 일정한 각(둔각)이 유지되도록 배치한 것은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을 향상시켜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및 점검 관리시 작업자의 착오나 부주의로 인한 특고압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저압부 도어의 전면부 인접배치 기술은 케이스(100)의 전면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체폐쇄형의 케이스(100) 내부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하는 고저압수직격벽(138)을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도어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수직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시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해 완성되며, 이것에 의해 복합형 수배전반의 내부는 고압실(139)과 저압실(140)로 구획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합형 수배전반의 내부를 고압실(139)과 저압실(140)로 구획하는 고저압수직격벽(138)은 케이스 전면부에 마련된 도어의 프레임으로부터 고압변압기(131)의 고압단자와 고압퓨즈(137)와 MOF(130)를 커버하는 AISS(136)의 특고압 출력단 위치까지 연장 설치한다. 즉, 이 고저압수직격벽(138)은 케이스 전면부의 도어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AISS(136)가 놓여지는 AISS받침대(135) 중 앞쪽(도어쪽) 받침대까지 연장 설치하는 것이 된다.
상기 저압실의 배면 상단부에는 복합형 수배전반의 환기 및 냉각을 위한 냉각팬(11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의 진입 발판에는 미끄럼방지판(106)을 마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의 길이는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완전하고 확실한 고저압 분리를 위해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은 케이스 전면부의 도어 프레임에서 배면부에 접근하는 정도까지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길게 연장된 고저압수직격벽을 참조부호 138-1로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복합형 수배전반을 이루는 일체폐쇄형의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외부의 특고압라인을 통한 특고압 인입용 특고압인입구(108)와 개별 수용가측에 저압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저압인출구(109)와 수배전반 접지를 위한 접지인입구(110)를 마련하고 있고, 그의 측벽 하부에는 수배전반의 이동설치를 위한 지게발삽입구(111)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저압인출구(109)는 복합형 수배전반의 저압실을 통과하는 부스바(134)에 별도의 케이블을 접속하여 외부로 직접인출하기 위한 홀이고, 접지 인입구(110)는 피뢰용 접지접속단자(143)에 접속된 피뢰접지용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한 홀이다.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에서, 고저압수직격벽(138)에 의해 만들어지는 저압실(140)에는 비교적 저압실 도어 측에 인접하여 저압실수직격벽(141) 을 설치하고, 이 저압실수직격벽(141)의 상부에는 선반(142)을 설치하여, 상기 저압실수직격벽(141)에는 다수의 분기스위치들로 이루어진 분기스위치블록(122)을 배치하고 상기 선반(142)에는 ACB(121)를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압변압기(131)의 저압단자(133)에서 인출되는 저전압은 부스바(134)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대전류 케이블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고저압수직격벽(138)에 의해 구획된 저압실(140)로 인출되어 저압실수직격벽(141)상의 선반(142)에 배치된 ACB(121)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상기 ACB에서 출력되는 저전압은 상기 저압실수직격벽(141)에 설치된 분기스위치블록(122)내의 각 분기스위치를 통해 각 수용가 측으로 출력되게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복합형 수배전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에는 내부투시를 위한 투시창을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고압실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7)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저압실도어는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내부도어(120)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고압실외부도어(101)와 저압실외부도어(103)에도 각각 투시창(104),(105)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양문개폐형 고압실내부도어(116,117)의 어느 한쪽에 상기 AISS(136)에 의한 고압선로 절체를 직접 작동시키기 위한 AISS선 택기(118)를 마련하고, 나머지 다른 한쪽의 고압실내부도어에 고압실 내부 관찰을 위한 투시창(119)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저압실수직격벽(141)에 설치된 분기스위치블록(122) 및 상기 저압실수직격벽(141)상의 선반(142)에 설치된 ACB(121)를 보호하기 위해 저압실외부도어(103)외에 저압실내부도어(120)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 저압실내부도어(120)상에는 저압실외부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투시창(105)을 통하여 활선절연저항 등의 정보를 외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계측기(도면상 생략됨)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2실시예의 도어 오픈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2실시예에서 고압실 및 저압실의 외부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로서, 복합형 수배전반의 전면부 도어구조를 고압실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2중 도어구조로 설치하고 저압실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단일의 저압실외부도어(103-1)구조로 설치한 것을 보이고 있는데, 여기서는 고압실외부도어(101-1,102-1)중 어느 한쪽에 상기 AISS(136)에 의한 고압선로 절체를 직접 작동시키기 위한 AISS선택기(124)를 마련하고, 저압실외부도어(103-1)의 바깥쪽에는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활선절연저항 등의 정보를 외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계측기(125)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고압실내부도어(116-1,117-1)중 어느 한 쪽, 바람직하게는 고압실내부도어(116-1)에 고압실 내부투시를 위한 투시창(123)을 마련하고 있으며, 저압실수직격벽 (141)과 그 저압실수직격벽(141)상에 마련된 선반(142)에는 각각 분기스위 치블록(122)과 ACB(121)이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 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2실시예의 내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28)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로 구성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고압실 도어와 저압실 도어에 각각 투시창(144),(105)이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외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이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간의 설치각도를 90°내지 180°미만 범위의 각도(둔각)로 설치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간의 설치각도를 180°이상 내지 270°범위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는 각각 2중 도어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3실시예의 내부구성 및 구조는 앞서 설 명한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로 이루어진 고압실 도어와 외문개폐형 저압실외부도어(103-2)로 이루어진 저압실 도어가 수배전반 전면부의 동일 수직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고압실외부도어(101)와 저압실외부도어(103-2)에는 각각 내부 관측용 투시창(104),(105)을 마련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저압실도어를 구성하는 저압실외부도어(103-3)의 수직설치각도는 고압실외부도어(101,102)가 이루는 수직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 초과하도록 하여 상기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간 180°이상 내지 270°의 설치각도를 유지하게 구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저압실외부도어(103-3)의 바깥쪽 에지부분이 고압실외부도어(101,102)보다 후방으로 밀려들어간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것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을 향상시켜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및 점검 관리시 작업자의 착오나 부주의로 인한 특고압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일체폐쇄형 케이스(100)의 상부에 마련된 특고압인입구(108)를 통하여 복합형 수배전반의 내부로 인 입된 외부의 고압선로상의 특고압은 고압실(139) 내의 AISS(136)와 한류형 고압퓨즈(137)를 차례로 통하여 계기용변류기인 MOF(130)와 고압변압기(131)의 고압단자(132)에 인가된다.
이렇게 인가된 고압은 MOF(130)를 거쳐 MOF계량기함(114)에 설치된 계량기에 의해 적산계량되고 또한 고압변압기(131)에 의해 소정의 저전압으로 변환되어 고압변압기의 저압단자(133)에 220V, 380V 등의 저전압이 나타난다.
이 저전압은 부스바(134) 또는 유연성이 있는 대전류 케이블을 통하여 저압실(140) 내의 기중차단기, 즉, ACB(121)를 통해 수용가 단위로 전력공급을 분기하기 하는 분기스위치블록(122)에 인가된다.
이러한 회로계통을 가지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복합형 수배전반 내에 설치된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은 수배전반 내부를 고압실(139)과 저압실(140)로 구획하게 되는데, 여기서 고압실(139)은 상기 MOF(130), 고압퓨즈(137) 및 고압변압기(131)의 고압단 등이 위치한 영역으로 정의되고, 저압실(140)은 상기 고압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특히 부스바(134)와 ACB(121)와 분기스위치블록(122)와 그리고 상기 ACB와 분기스위치블록이 설치되는 저압실수직격벽(141)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 고저압수직격벽(138)은 고압실(139)의 특고압 누설전류가 저압실(140)로 전파하는 것을 차폐한다.
고저압수직격벽(138)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케이스(100)의 횡축을 따라 설치되는 저압실수직격벽(141)의 선반(142)상의 ACB(121)에는 고압변압기(131)의 저압 단자(133)전압이 부스바(134) 등을 통하여 인입된다. ACB(121)에 인입된 전압은 다시 저압실수직격벽(141)에 의해 저압실(140)의 내측과 완전 분리된 분기스위치블록(122)을 통하여 각 수용가 측에 공급된다.
상기 저압실수직격벽(141)은 ACB와 분기스위치블록(122)을 배치 고정시키는 기능 외에 작업자가 안전상 저압실에 노출되거나, 나아가 인접한 고압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저압실수직격벽(141)에 설치된 ACB(121)와 분기스위치블록(122)은 다시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내부도어(120)에 의해 커버되며, 이 저압실내부도어(120)에는 활선절연저항측정기를 포함하는 계측기(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저압실내부도어를 커버하는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를 열지 않고서도 그 저압실외부도어(103)에 마련된 투시창(105)을 통하여 외부에서 바로 계측할 수 있다.
고압실(139)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7)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에 의한 2중 도어구조를 가지고 있어, 고압실외부도어(101)에 마련된 투시창(104)을 통하여 AISS선택기(118)의 상태를 외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고압실외부도어(101,102)를 열면 고압실내부도어(116)에 마련된 AISS선택기(118)를 이용하여 특고압 인입선로를 스위치하는 AISS(136)를 조작시킬 수 있고 또 다른 고압실내부도어(117)에 마련된 투시창(119)을 통하여는 그 고압실내부도어(117)를 열지 않고서도 고압실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복층형 수배전반의 고압실 도어와 저압실 도어를 전면부에 나란히 배치하고 또한 이들을 2중 도어방식의 양문개폐형과 외문개폐형으로 구분 설계함으로 서 수배전반의 시공과 유지 및 보수 관리시에 필요한 각 실별 공간 및 출입구가 적정한 크기로 확보된다.
특히,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이들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간의 설치각도를 90°내지 180°미만 범위의 각도(둔각)로 설치함으로써, 수배전반의 점검 및 보수시 작업자의 고압부와 저압부의 인식 착오에 따른 불의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압실도어는 도 2에서 보인 것처럼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7)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에 의한 2중 도어구조를 말하고, 저압실도어는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내부도어(120)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에 의한 2중 도어구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입구에 마련된 미끄럼방지판(106)은 수배전반 보수 및 점검 등의 작업시 고압실 도어 입구에서 작업자가 고압실 안쪽으로 미끄러짐으로써 불의의 감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에 대한 안전장치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도 5 및 도6의 복합형 수배전반은 제1실시예와는 그 전면부 도어구조를 달리한 것으로, 여기서는 고압실외부도어(102-1)상에 AISS선택기(124)가 설치되고 있어 고압실외부도어(101-1,102-1)를 열지 않고서도 이 AISS선택기(124)를 이용하여 특고압 인입선로를 스위치하는 AISS(136)를 조작시킬 수 있으며, 고압실내부도어(116-1,117-1)중 어느 한쪽의 도어에 투시창(123)을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고압실내부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고압실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에서는 저압실외부도어(103-1)를 단문 구조로 설계하여 이 저압실외부도어를 열면 바로 ACB(121)와 분기스위치블록(122)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이 저압실외부도어(103-1)에 바깥쪽에는 활선절연저항 등의 직접 계측을 위한 계측기(125)가 설치되고 있어 수배전반의 전력상태를 외부에서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3실시예는 도 7에서 참고 되는 바와 같이 고압실과 저압실을 명백히 구획하기 위한 고저압수직격벽(138)을 가지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도어를 설치하되 외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28)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를 둔각 조건으로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한 것으로,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 간의 배치각도의 구분과 도어사이즈의 구분을 통하여 복합형 수배전반의 고압부도어와 저압부도어를 분명히 구분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도 필요에 따라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에 각각 투시창(144),(105)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 7에는 표현하고 있지는 않지만, 앞서 설명한 본 발명 제1,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외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를 2중 도어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4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일체폐쇄형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마련된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와 외문개폐형 저압실외부도어(103-2)가 동일 수직평면상에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고압실외부도어(101)와 저압실외부도어(103-2)에 각각 내부 관측용 투시창(104),(105)이 마련되고 있어, 이를 통하여 고압부 및 저압부 내부를 외부에서 간단히 점검할 수 있다.
이러한 제4실시예의 복합형 수배전반도 고압실 및 저압실의 분리를 위해 고저압수직격벽(138)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그의 전기적 동작 및 고, 저압 도어의 배치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제5실시예는 도 9에서 잘 설명되고 있는 것처럼,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외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저압실도어를 구성하는 저압실외부도어(103-3)의 수직평면상 설치각도는 고압실외부도어(101,102)가 이루는 수직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를 초과시켜 상기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간 180°이상 내지 270°범위 내의 설치각도가 되게 하고 있다.
이것은 저압실외부도어(103-3)의 바깥쪽 에지부분이 고압실외부도어(101,102)보다 후방으로 밀려들어간 형태로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을 향상시켜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및 점검 관리시 작업자의 착오나 부주의로 인한 특고압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여기에는 예시적으로 케이스(100)내부를 고압실과 저압실로 구획하는 고저압수직격벽(138-1)이 케이스 전면부에 마련된 도어의 프레임으로부터 배면판까 지 연장 설치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일체폐쇄형 케이스(1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복합형 수배전반의 고,저압실 분리를 더욱 견고히 하여 고압실로부터의 고압누설 성분이 저압실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준다. 이러한 고저압수직격벽(138-1)은 본 발명 복합형 수배전반의 다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압부 도어와 저압부 도어를 수배전반의 전면부에 나란히 배치하여 수배전반의 운용 및 관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며 유지보수 및 점검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부 고저압도어 일체형 수배전반에서 고압실도어와 저압실 도어를 그 설치각도에 의해 직관적으로 식별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착오나 부주의로 인한 고전압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21)

  1. 전면부에 도어가 마련된 일체폐쇄형의 케이스(100)의 고압실 하부에 설치되는 고압변압기(131) 및 MOF(130)와, 상기 고압변압기 및 MOF가 설치된 고압실의 상부에 복층구조로 배치되어 특고압 인입선로를 스위치하는 AISS(136)와, 상기 고압실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거친 인입 특고압을 상기 고압변압기의 고압단자 및 MOF에 접속하는 한류형 고압퓨즈(137)와, 상기 고압변압기의 저압단자에서 출력되는 저압을 분기 출력하기 위해 케이스(100)의 저압실에 설치되는 분기스위치블록(122)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고압실과 저압실은 일체폐쇄형의 케이스(100)의 전면부에서 바라볼 때 케이스(100)내부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하는 종축 수직방향 배치의 고저압수직격벽(138)에 의해 분할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은 케이스 전면부에 마련된 도어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고압변압기(131)의 고압단자와 고압퓨즈(137)와 MOF(130)를 커버하는 AISS(136)의 특고압 출력단 위치까지 연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은 케이스 전면부에 마련된 도어의 프레임으로부터 배면판까지 연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 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압기(131)의 저압단자에서 인출되는 저전압은 부스바(134)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대전류 케이블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고저압수직격벽(138)에 의해 구획된 저압실 내의 ACB(121)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상기 ACB에서 출력되는 저전압은 상기 분기스위치블록(122)내의 각 분기스위치를 통해 출력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기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상기 분기스위치블록(122)은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에 대해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압실을 횡 분할하는 저압실수직격벽(141)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CB(121)는 상기 고저압수직격벽(138)에 대해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압실을 횡 분할하는 저압실수직격벽(141)상에 선반을 배치하고 그 선반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에는 내부투시를 위한 투시창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7)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저압실도어는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내부도어(120)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고압실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7)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내부도어(116,117)중 어느 한쪽에 상기 AISS(136)에 의한 고압선로 절체를 직접 작동시키기 위한 AISS선택기(118)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 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고압실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102-1)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17-1)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외부도어(101-1,102-1)중 어느 한쪽에 상기 AISS(136)에 의한 고압선로 절체를 직접 작동시키기 위한 AISS선택기(12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고압실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02)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7)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저압실도어는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내부도어(120)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저압실내부도어(120)에는 활선절연저항 등의 직접 계측을 위한 계측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고압실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01-1,102-1)와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내부도어(116-1,117-1)에 의한 2중 도어구조로 구성하되, 저압실외부도어(103-1)의 바깥쪽에는 활선절연저항 등의 외부 직접 계측을 위한 계측기(12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28)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간의 설치각도를 90°내지 180°미만 범위의 각도(둔각)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양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간의 설치각도를 180°이상 내지 270°범위의 각도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의 진입 발판에는 미끄럼방지판(106)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128)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103)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에는 각각 내부 투시를 위한 투시창(144,105)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1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는 각각 2중 도어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실도어와 저압실도어간의 설치각도를 90°내지 180°미만 범위의 각도(둔각)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2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는 외문개폐형의 고압실외부도어와 외문개폐형의 저압실외부도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의 직관적 식별력 부여를 위해 고압 실외부도어와 저압실외부도어간의 설치각도를 180°이상 내지 270°범위의 각도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수배전반.
KR1020050114357A 2005-11-28 2005-11-28 복합형 수배전반 KR10071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357A KR100714799B1 (ko) 2005-11-28 2005-11-28 복합형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357A KR100714799B1 (ko) 2005-11-28 2005-11-28 복합형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799B1 true KR100714799B1 (ko) 2007-05-04

Family

ID=3826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357A KR100714799B1 (ko) 2005-11-28 2005-11-28 복합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7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762B1 (ko) 2010-01-18 2010-08-17 주식회사 지에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복합기능형 배전장치 박스
KR100991417B1 (ko) 2010-06-17 2010-11-03 심강문 누설전류의 상시 검출이 가능한 접지 단자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WO2011156243A2 (en) * 2010-06-07 2011-12-15 Abd El & Larson Holdings LLC Multi-access switchgear assembly
KR101237875B1 (ko) 2012-09-04 2013-02-27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일체형 수배전반
CN107863714A (zh) * 2016-09-22 2018-03-30 北京华东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的预装紧凑型箱式变电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24Y1 (ko) 2003-06-10 2003-09-03 이윤학 폐쇄형 수,배전 시스템
KR200348962Y1 (ko) 2004-01-20 2004-04-30 정재경 커버 어셈블리
KR100550969B1 (ko) 2005-08-19 2006-02-13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복합기능형 배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24Y1 (ko) 2003-06-10 2003-09-03 이윤학 폐쇄형 수,배전 시스템
KR200348962Y1 (ko) 2004-01-20 2004-04-30 정재경 커버 어셈블리
KR100550969B1 (ko) 2005-08-19 2006-02-13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복합기능형 배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762B1 (ko) 2010-01-18 2010-08-17 주식회사 지에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복합기능형 배전장치 박스
WO2011156243A2 (en) * 2010-06-07 2011-12-15 Abd El & Larson Holdings LLC Multi-access switchgear assembly
WO2011156243A3 (en) * 2010-06-07 2012-04-19 Abd El & Larson Holdings LLC Multi-access switchgear assembly
US8451589B2 (en) 2010-06-07 2013-05-28 Abd El & Larson Holdings LLC Multi-access switchgear assembly
KR100991417B1 (ko) 2010-06-17 2010-11-03 심강문 누설전류의 상시 검출이 가능한 접지 단자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237875B1 (ko) 2012-09-04 2013-02-27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일체형 수배전반
CN107863714A (zh) * 2016-09-22 2018-03-30 北京华东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的预装紧凑型箱式变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799B1 (ko) 복합형 수배전반
CN103414114B (zh) 抽屉式智能综合低压配电jp柜
KR100550969B1 (ko) 복합기능형 배전장치
KR100704226B1 (ko) 접철형 점검도어가 마련된 복합형 수배전반
KR20110137912A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KR100358002B1 (ko)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CN203553648U (zh) 一种高压开关柜
KR20000012177A (ko) 패키지형수변전장치
KR100699070B1 (ko) 통합형 수배전반
KR20000037361A (ko) 수변전장치
JPWO2008136112A1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CN103151741B (zh) 一种低压电缆分支箱进出线母线系统及其安装方式
CN110518485A (zh) 一种特殊结构的充气柜
JPH07193918A (ja) 集合住宅用引込盤
KR200183804Y1 (ko)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CN102217155B (zh) 一种制造开关设备面板的方法
KR101831934B1 (ko) 측방향으로 상 배열이 나란히 배치되는 수배전반
CN206060015U (zh) Gck型低压抽出式开关柜
CN203445433U (zh) 一种带绝缘防护罩的美式环网柜
JPH0479706A (ja) 閉鎖配電盤
KR100570447B1 (ko) 작업, 점검실과 전선 인출관로가 형성되는 수배전반
KR200196831Y1 (ko) 수변전장치
CN216720541U (zh) 一种组合式接地装置
KR101033846B1 (ko)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CN110911998B (zh) 一种自动集线的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