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831Y1 - 수변전장치 - Google Patents

수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831Y1
KR200196831Y1 KR2020000011299U KR20000011299U KR200196831Y1 KR 200196831 Y1 KR200196831 Y1 KR 200196831Y1 KR 2020000011299 U KR2020000011299 U KR 2020000011299U KR 20000011299 U KR20000011299 U KR 20000011299U KR 200196831 Y1 KR200196831 Y1 KR 200196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ase
water substation
partition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08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0013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2020000011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압부(A)와 고압부(B)를 하나의 케이스(C)내에 구비하고, 고압부(B)를 복층구조화 함으로서 사이즈를 평면적인 배치에 있어서보다 1/4정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C)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해 개별적으로 점검할 수 있고, 구성요소 별로 점검 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수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변전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본 고안은 6,600V 이상 22,900V 급의 특고압을 380V 또는 220V의 저압으로 낮추어 건물단위 또는 공장단위 별로 공급하기 위한 수변전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변전장치의 사이즈를 평면적인 배치에 있어서보다 1/4정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고, 구성요소 별로 점검 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수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빌딩,아파트단지,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서는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특고압을 수전하여 적정한 저전압의 상용전압으로 변전하기 위해 변압기와 스위치장치 기타 안전장치들을 포함하는 수변전시설을 갖추게 된다.
종래의 수변전시설을 보면, 전력수용가 단위로 정해지게 되는 대형의 변압기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고압스위치 장치들과 관련계기 등을 배치할 때 이들을 평면적으로 배치해왔고 또한 감전사고 등의 안전을 고려하여 수변전시설 내부에서도 장치들간에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시켜 왔기 때문에 수변전시설을 설치하는데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었고, 특고압의 누설에 따른 안전사고의 예방차원에서 접지장치와 실드를 위한 케이스를 다중으로 설치하고 있어 변전설비의 중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변전설비의 사이즈 증가 및 중량 증가는 시설기간 및 증설기간의 증가를 초래하여 설비의 설치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 수변전설비의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된 고안이 일본국 특허공개 평7-322426가 있으나 이것은 케이스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나누고 변압기를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를 구획별로 배치하였고 도어가 정면에만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수변전설비의 사이즈를 줄이는데는 효과가 있으나 각 구성요소의 점검 및 보수,교체 작업을 하기위해서는 케이스를 이루고 있는 외부패널을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변전장치의 사이즈를 평면적인 배치에 있어서보다 1/4정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고, 구성요소 별로 점검 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수변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부 공간이 저압분전반을 이루고 있는 격벽에 의해 저압부와 고압부로 나누어진 케이스; 각종 계측제어수단이 상기 저압분전반으로 배선되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전방에 한쪽이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된 한쌍의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 상기 격벽과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 사이에 설치된 수평 칸막이의 일측에 배치된 주차단기; 상기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중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주차단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한쪽이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되고, 상기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의 각종 계측제어수단 및 주차단기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이 구비된 한쌍의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 상기 고압부의 하부에 설치된 고압 변압기와 계기용 변압기; 상기 고압 변압기 위의 레일에 설치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후방의 격벽에 설치된 한류형 퓨즈;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격벽 사이에 칸막이에 의해 형성된 점검공간;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한쪽이 힌지결합되어 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되고 내부의 한류형 퓨즈 및 계기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구비된 한쌍의 배면 고압측 도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내부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고압변압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 상기 점검공간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스의 타측벽 상부에 설치된 점검 도어; 상기 고압변압기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스의 타측벽 하부에 설치된 점검 도어로 이루어진 수변전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를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있어서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를 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있어서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를 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있어서 측면 점검도어 측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있어서 배면 고압측 도어를 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구조도
도 10은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조도
도 11은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 구조도
도 12는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방열부의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방열부의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방열부의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열부에 마련된 방열날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고안의 저압출력용 부스바의 접속상태 불량에 따른 발열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온도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고안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설치되는 지능형 전력감시제어기의 기능수행을 위한 주변기기와의 회로결손도
도 19는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설치되는 전력감시제어기 내의 콘트롤러에 의한 시스템 내부 안전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차단기 2 : 고압변압기
2A : 주유구 2B : 방열판
2C,C3 : 냉각팬 2D : 유조
2E : 변압기 케이스 2F : 보온재
2G : 덮개부 2H : 보조냉각판
2J : 가스켓 2K : 배풍구
2L : 송풍구 2M : 노즐
2N :날개 3 : 계기용 변압기
4 :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4A : 작동레버
5 : 한류형 퓨즈 5A : 안전판
5B : 가이드 5C : 아크분리판
6 : 계기함 7 : 피뢰기
8A : 진상용 콘덴서 8B : 콘덴서
10 : 격벽 11,42,111 : 칸막이
21,22 : 저압측 콘트롤 도어 31,32 : 저압측 외부 도어
41 : 격벽 43 : 레일
51,52 : 고압측 도어 53 : 금속메쉬
61,62 : 측벽 71,72,73 : 고압선로
74 : 고압단자 75 : 저압단자
76,77,79 : 차단기 78 : 부하
80 : 전력감시제어기 81,82 : 접지판
83 : 부스바 84 : 온도테이프
91,93 : 피크확장유니트 92,94,96 : 릴레이유니트
95 : 입출력유니트 97,102,105 : 컴퓨터
98,101,104 : 프린터 99,106 : 모뎀
100 : 컨버터 103 : 그래픽보드
107 : 전화기 108 : 팩시밀리
221,311,321,521,611,612 : 투시창
613 : 접지단자함 621,622 : 점검도어
623 : 안전프레임
A : 저압부 B : 고압부
C : 케이스 C1 : 지게차 발삽입구
C2 : 냉각팬 트라이 S : 점검공간
CT : 계기용 변류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저압분전반을 이루고 있는 격벽(10)에 의해 저압부(A)와 고압부(B)로 나누어진 케이스(C); 각종 계측제어수단이 상기 저압분전반으로 배선되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10)의 전방에 한쪽이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된 한쌍의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 상기 격벽(10)과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 사이에 설치된 수평 칸막이(11)의 일측에 배치된 주차단기(1); 상기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중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주차단기(1)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221); 상기 케이스(C)의 정면에 한쪽이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되고, 상기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의 각종 계측제어수단 및 주차단기(1)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311)(321)이 구비된 한쌍의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 상기 고압부(B)의 하부에 설치된 고압 변압기(2)와 계기용 변압기(3); 상기 고압 변압기(2) 위의 레일(43)에 설치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의 후방의 격벽(41)에 설치된 한류형 퓨즈(5);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와 격벽(10) 사이에 칸막이(42)에 의해 형성된 점검공간(S); 상기 케이스(C)의 배면에 한쪽이 힌지결합되어 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되고 내부의 한류형 퓨즈(5) 및 계기함(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521)이 구비된 한쌍의 배면 고압측 도어(51)(52); 상기 케이스(C)의 일측벽(61)에 형성되어 내부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와 고압변압기(2)의 상태를 육안으로 각각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611)(612); 상기 점검공간(S)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스(C)의 타측벽(62) 상부에 설치된 점검 도어(621); 상기 고압변압기(2)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스(C)의 타측벽 하부에 설치된 점검 도어(622)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의 외관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를 닫은 상태에서도 투시창(311)(321)을 통해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의 각종 계측제어수단 및 주차단기(1)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측벽(61)에 형성된 투시창(611)(612)을 통해 내부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와 고압변압기(2)의 상태를 육안으로 각각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벽(61)에는 접지단자함(613)이 마련되어있다.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의 상부에는 야광부(31A)(31B)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0)을 기준으로 전방은 저압부(A)가 이루어지고, 후방은 상부에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4)와 피뢰기(7),한류형 퓨즈(5)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고압변압기(2) 및 계기용 변압기(3)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를 연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를 열고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의 각종 계측제어수단 및 주차단기(1)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관리자는 배선이 연결된 저압배전반에 대하여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에 의해 차단되는 상태로 각종 계측제어수단 및 주차단기(1)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 등의 위험요소로 부터 완벽하게 보호된다.
도 4는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를 연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를 관리자가 열게 되면 격벽(10)에 구비된 저압배전반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측면 점검도어(621)(622) 측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점검도어(621)를 열게되면 점검공간(S)과 연결되어 점검이 가능해지며, 하부의 점검도어(622)를 열게되면 고압변압기(2)의 정비 및 변압기용 흡습필터 교체가 가능해진다.
상기 점검도어(622)에는 안전프레임(623)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점검도어(621)(623)을 연 상태의 수변전장치의 배면사시도로서,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고압측 도어(51)(52)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한류형 퓨즈(5) 및 계기함(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배면 고압측 도어(51)(52)를 연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고압이 흐르는 한류형 퓨즈(5)의 전방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인체의 일부가 특고압에 접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투명체의 안전판(5A)이 양측의 가이드(5B)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한류형 퓨즈(5) 사이에는 아크분리판(5C)이 설치되어있다.
즉 한류형 퓨즈(5)를 교체하려고 할 경우에는 배면 고압측 도어(51)(52)를 열고 안전판(5A)을 제거하면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의 전기적인 회로구성도로서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고압선로(71)를 통하여 입력되는 3상 특고압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를 거친 다음 고압선로(72)를 통하여 일측이 그라운딩 된 피뢰기(7)와 한류형 퓨즈(5)에 인입되게 연결된다.
상기 한류형 퓨즈(5)를 통한 특고압의 3상라인에는 계기용 변압기(3)를 설치되어 사용 전력량 측정을 위한 전압 및 전류를 픽업하게 연결되고, 상기 계기용 변압기(3)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값은 계기함(6)에 설치된 전압계 및 전류계에 인가되게 연결된다.
한편, 각상 별로 한류형 퓨즈(5)를 통한 특고압은 고압선로(73)을 통해 고압변압기(2)의 Δ결선방식의 고압단자(74)를 통해 고압변압기(2)의 2차측 저압단자(75)에서 변환 출력되게 연결되고, 상기 고압변압기(2)의 2차측 저압단자(75)에 나타난 저전압은 고속 배선용 차단기(76,77)를 거쳐 부하(78)측에 인가되게 연결된다.
상기 고압변압기(2)의 2차측 저압출력단에는 3단자의 차단기(79)을 통해 역률 개선을 위한 진상용 콘덴서(8A)를 연결된다.
상기 진상용 콘덴서(8A)와 작업용 콘덴서(8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0)과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111)에 의해 구획이 나뉘어진 공간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76)의 입측에 연결된 퓨즈를 통한 고압변압기(2)의 2차측 전압값과 차단기(76)의 출측에 설치되는 계기용 변류기(CT)의 각 상별 부하전류 값은 전력감시제어기(80)에 인가되게 연결된다.
한편 고압선로가 지나는 케이스의 내측 상부면에는 고압누설에 따른 아크를 신속하게 픽업하여 그라운드 시키기 위한 접지판(81)을 설치된다. 이 접지판(81)은 금속철사를 격자형태로 만들어 접지판(81) 표면에 수많은 요철이 만들어지게 하고 있다. 이 접지판(81)은 안전사고의 확율을 낮추기 위해 케이스(C)의 접지선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접지선으로 접지단자함(613)을 통하여 그라운드 된다.
또한 케이스(C) 하부에 설치되는 고압변압기(2)와 계기용 변압기(3)의 고압단자를 연결하는 고압선로에서 고압누설사고가 발생하게 될 경우 이를 신속히 픽업하여 그라운딩 시키기 위한 안전판으로서의 접지판(82)을 케이스(C)의 내측벽에 일정거리 이격시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접지판(82)과 마찬가지로 케이스(C)의 접지와는 별도의 독립적인 접지선을 이용하여 접지단자함(613)에 접속시킨다.
이 접지판(82)도 표면에 수많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고압누설에 따른 아크전류의 픽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중량을 줄일 수 있는 격자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고압변압기(2)의 2차측의 저압단자에 나타나게 되는 저전압은 격벽(10)을 사이에 두고 부스바(83)를 통하여 저전압부에 인가되게 연결된다.
배면 고압측 도어(51)(52)의 투시창(521)에는 특고압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및 고압방전 전류를 흡수하여 그라운드로 바이패스 시켜주기 위한 금속메쉬(53)가 설치된다.
저압부(A)에는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가 열렸을 때 점등되어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23)가 설치되고, 고압부(B)에는 배면 고압측 도어(51)(52)를 열었을 때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54)가 각각 설치된다.
도 9는 고압변압기(2)의 구조도로써, 내부에 기름이 채워진 고압변압기(2)의 상부에는 저압단자(75)와 고압단자(74)를 마련되고 상부 중앙부에는 주유를 위한 주유구(2A)가 마련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 고압변압시 발생되는 발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고압변압기(2)의 주변에는 다수의 방열판(2B)을 다단으로 배치하고 이들 방열판(2B)의 하부에는 냉각팬(2C)이 설치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그의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고압변압기(2)의 주변에는 유조(2D) 내부의 코일에 의한 변압시 발생되는 기름의 온도상승을 저지시키기 위해 그의 양쪽으로 다수의 연속하는 방열판(2B)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방열판(2B)을 갖는 고압변압기(2)는 변압기 케이스(2E)와 보온재(2F)와 덮개부(2G)를 이용하여 외부와 차폐시키기 위한 밀폐구조와 공기통로를 형성시키며, 상기 방열판(2B)들 사이사이에는 보조냉각판(2H)을 배치한다.
상기 덮개부(2G)와 유조(2D)의 상부 둘레에는 고압변압기(2)의 냉각풍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2J)을 설치한다.
상기 변압기 케이스(2E)의 측면 하부에는 배풍구(2K)를 설치하고 변압기의 하부에는 송풍구(2L)를 마련하며, 상기 송풍구(2L)의 내측에는 변압기 케이스(2E)의 바닥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노즐(2M)을 마련한다.
상기 고압변압기의 유조(2D) 상부의 일측에는 고압단자(74)를 설치하여 여기에 Δ결선에 따른 3상의 특고압케이블을 접속하고 상기 유조(2D) 상부의 또 다른 일측에는 4개의 저압단자(75)를 설치하여 여기에 Y결선형태로 스위치장치를 통하여 부하측에 접속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고압변압기(2)에 설치되는 방열판(2B)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고압변압기 방열부 평면도,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바와 같이, 고압변압기(2)의 방열판(2B)은 다수개가 연속하는 병렬형태로 배치되며, 각 방열판(2B)들의 사이에는 방열 냉각풍의 흐름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보조냉각판(2H)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판(2B)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냉각판(2H)에는 고압변압기(2)의 냉각용 공기 흐름을 산란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15와 같이 보조냉각판(2H)의 상부를 일정간격으로 부분 절개시켜 이를 이용하여 날개(2N)를 만들어 주고 이들 날개들의 방향이 층별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켜 구성한다.
도 16은 고압변압기의 2차측에서 변압 출력되는 저전압을 스위치를 통하여 부하측에 연결시킬 때, 저전압측 단자부의 접속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저전압 접속배선인 부스바(83)의 접속부의 표면에 온도테이프(84)를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변전장치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C3)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써, 케이스(C)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게차 발삽입구(C1)에 냉각팬(C3)이 장착된 냉각팬 트라이(C2)를 삽입시키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본 고안의 수변전장치에 부가 설치되는 전력감시제어기(8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주변기기와의 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전력감시 제어기(80)는 고압변압기 온도검출신호와 주변온도 검출신호와 도어오픈 접점신호 등의 시스템 분석용 소스를 입력하고 또한 저전압단의 1,2차측의 각 상별 전압값 및 전류값과 조작용 전원전압을 입력하여 이를 토대로 부하측의 최대전력제어, 자동역율제어, 고압트랜스 불평형 및 결상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력감시 제어기(80)는 제1피크확장유니트(91)와 릴레이유니트(92)를 통해서는 부하를 제어하게 구성하고 제2피트확장유니트(93)와 릴레이유니트(94)를 통해서는 콘덴서를 제어하게 구성하고 입출력유니트(95)와 릴레이유니트(96)를 통해서는 차단기 부하조작회로가 제어되게 구성한다.
상기 전력감시 제어기(80)에서 감시되고 처리되는 제어정보는 구내 컴퓨터(97)에 전송되어 저장되고 프린터(98)를 통해 출력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력감시 제어기(80)의 감시처리 제어정보는 통신모뎀(99) 및 컨버터(100)를 통해 프린터(101)와 같은 출력장치를 가지는 지역 컴퓨터(102)에 전송되게 할 수 있고, 그래픽보드(103) 및 프린터(104)를 가지는 호스트 컴퓨터(105)에 전송되게 할 수 있고, 또 팩스모뎀(106)을 통해 원격지의 전화기(107) 또는 팩시밀리(108)에 전송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전소로부터 최고 22,900V의 3상 특고압이 본 고안의 패키지형 수변전장치에 공급되면 이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따라 작동레버(4A)를 가지고 있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의 고압인입단자에 인가된다. 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는 스페어라인(또는 오프라인)과 특고압 인입라인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동레버(4A)의 작동에 의해 선택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4A)에 의해 선택된 특고압라인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의 고압인출단자에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따라 피뢰기(7)와 한류형 퓨즈(5)에 인가된다.
즉, 케이스(C) 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압변압기(2)와 복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는 특고압성분을 일측이 그라운딩된 각 상별 피뢰기(7)와 한류형 퓨즈(5)를 통해 고압변압기(2) 및 계기용 변류기(CT)에 고압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한류형 퓨즈(5)는 밀폐된 퓨즈통 내에 엘리먼트와 규소 등 소호제를 충진시킨 규소퓨즈로서 매우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단시간내에 차단하게 된다.
상기 피뢰기(7)는 3개가 한조를 이루어서 3상입력 라인마다 설치되는 한류형 퓨즈(5)와 함께 상부에 구획된 공간내에 위치하여 낙뢰와 같은 초특고압 성분이 유입되면 비직선 저항특성을 이용하여 이를 신속히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켜 수변전장치를 낙뢰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들 한류형 퓨즈(5)와 피뢰기(7)를 지나게 되는 고압선로는 케이스(C)의 내측 상면과 충분한 안전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만일의 경우 고압누설에 따른 아크방전전류가 발생되며, 이 아크방전 전류가 케이스(C)에 도달하기 전에 먼저 접지판(81,82)에 의해 픽업되어 신속하게 그라운드로 바이패스되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지판(81,82)은 금속선(철사)을 격자로 배열시킨 금속망 형태로 제작되므로, 철판을 이용한 접지판에 비해 그 중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며 또한 접지판의 표면이 수많은 요철로 이루어지고 있어,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철부를 통해 쉽게 픽업되어 그라운드로 바이패스 되게 된다.
상기 한류형 퓨즈(5)를 거쳐 고압변압기(2)에 이르는 특고압 3상라인 상에 설치된 계기용 변압기(3)는 전력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해 변압된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고압측 계기함(6)에 마련된 전압계와 전류계에 표시한다.
이 계기함(6)에는 전력량계와 같은 전력사용 거래를 위한 계기들이 구비된다.
한편, 한류형 퓨즈(5)와 고압선로를 거친 3상 Δ결선 방식의 특고압전압이 고압변압기(2)의 특고압단자(74)에 인가되면 고압변압기(2)의 2차측에서는 Y결선방식의 380V/220V의 저전압으로 변성되어 저압단자(75)에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고압변압기(2)의 저압단자(75)에 나타난 저전압은 부스바(83)를 통해 각종 계측계기와 출력전압 스위치 장치들이 구비된 출력판넬측으로 제공되게 되며, 패키지 내부에서 상기 출력판넬측과 고압변압기측은 격벽(10)에 의해 차폐되게 된다.
상기 고압변압기(2)의 저압출력단에는 각 상별로 진상을 위한 콘덴서(8A)가 RST 라인별 차단기를 통해 접속되고 있어 전력사용 효율을 증가되도록 역률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진상용 콘덴서(8A)는 별도의 구획 공간에 독립적으로 배치시켜 어느 하나의 전기적 파손시 다른 부분으로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한편, 고압변압기(2)는 유입식과 몰드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본 고안 장치에 적용된 고압변압기(2)는 유입식 변압기로서, 그의 내부에는 기름이 채워지게 되며 변압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기 위한 다수의 방열판(2B)에는 냉각팬(2C)이 설치되어 있어 고압변압기(2)의 방열을 돕게 된다.
이러한 고압변압기(2)의 강제 냉각은 변압효율을 상승시켜 몰드식 변압기의 경우 30-50%까지 정격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입식인 경우 10-20%의 정격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같은 정격에서 변압기의 사이즈와 중량의 감축을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압변압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변전장치 패키지내의 고압변압기 장착부분만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집중냉각시킴으로써, 패키지 내부 전체의 냉각에 의한 고압변압기의 냉각효과나 변압기의 설치위치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냉각팬에 의한 국부적인 냉각효과 보다 더 높은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0도와 도 11는 본 고안 장치에 장착되는 고압변압기의 다른 실시예이다.
여기에서, 변압기 케이스(2E)의 하부에 형성된 송풍구(2L)를 통해 외부로부터 방열판 냉각을 위한 냉각풍이 주입되며 이러한 냉각풍은 노즐(2M)을 통하여 분산되어 방열판(2B)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흐르게 된다.
노즐(2M)을 통해 주입된 냉각풍은 방열판 내부를 상향으로 흐르면서 방열판(2B)의 열을 흡수한 후 보온재(2F)와 변압기 케이스(2E)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변압기 케이스(2E)의 측벽하부에 마련된 배풍구(2K)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보온재(2F)는 방열판(2B)의 냉각에 의해 상승된 공기가 변압기 케이스(2E)의 내벽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때, 상승된 공기에 의해 방열판의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 역할을 한다.
상기 고압변압기(2)에 설치되는 방열판(2B)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고압변압기(2)의 주변에 다수개가 연속하는 병렬형태로 배치되는 각 방열판(2B)들 사이에서 방열 냉각풍의 흐름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보조냉각판(2H)이 배치되고 있다.
이 보조냉각판(2H)에는 고압변압기의 냉각용 공기흐름을 산란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13과 같이 보조냉각판(2H)의 상부를 일정간격으로 부분 절개되어 날개(2N)가 형성되며 또한 이들 날개(2N)는 각층별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냉각공기의 흐름방향이 매 보조냉각판(2H)을 지날때마다 바뀌어 산란되게 된다.
이와 같은 냉각풍의 산란현상은 방열판의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고압변압기(2)의 효율을 고효율화 시키게 된다.
도 14는 고압변압기의 2차측에서 변압 출력되는 저전압을 스위치를 통하여 부하측에 연결시킬 때, 저전압측 단자부의 접속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저전압 접속배선인 부스바(83)의 접속부 표면에 온도테이프(84)를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고압변압기의 2차전압 출력단의 접속상태가 불량하여 여기에서 열이 발생할 경우 이 온도테이프(84)의 칼라가 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패키지형 수변전장치는 비교적 중량물이어서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설치하게 되는데, 지게차의 발을 받아들이기 위한 지게차 발삽입구(C1)가 패키지 본체, 즉, 케이스(C)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어 여기에 지게차의 발을 삽입시키는 것으로 패키지형 수변전장치를 쉽게 이동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수변전장치 패키지를 설치하고 난후, 상기 지게차 발삽입구(C1)에는 도 17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그의 지게차발 삽입구의 사이즈에 맞는 냉각팬트레이(C2)를 삽입하여 마무리하게 되며, 이 냉각팬트레이(C2) 상에는 냉각팬(C3)이 설치되어 있어 패키지 내부, 특히 고압변압기를 강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은 고압변압기에 의해 변압된 2차전압을 부하측으로 공급할 때, 부항상태와 전력공급상태를 종합적으로 체크,기록하고 또한 원격제어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전력감시 제어기(80)의 회로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전력감시 제어기(80)는 고압변압기 온도검출 신호와 주변온도 검출신호와 도어오픈 접점신호 등의 시스템 분석용 소스를 입력하고 또한 저전압단의 1,2차측의 각 상별 전압값 및 전류값과 조작용 전원전압을 입력하여 이를 토대로 부하측의 최대전력제어, 자동역율제어, 고압트랜스 불평형 및 결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전력감시 제어기(80)는 제1피크확장유니트(91)와 릴레이유니트(92)를 통해서는 부하를 제어하고 제2피크확장유니트(93)와 릴레이유니트(94)를 통해서는 콘덴서를 제어하고 입출력유니트(95)와 릴레이유니트(96)를 통해서는 차단기 부하조작회로를 내부의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한다.
상기 전력감시 제어기(80)에서 감시되고 처리되는 제어정보는 구내 컴퓨터(97)에 전송 저장되고 프린터(98)를 통해 출력된다.
특히, 전력감시 제어기(80)의 감시처리 제어정보는 원격지의 지역 컴퓨터(102)관리자에게 통신모뎀(99) 및 컨버터(100)를 통해 전송되며, 또한 그래픽보드(103) 및 프린터(104)가 설치된 호스트 컴퓨터(105)에 전송된다.
또 팩스모뎀(106)을 통해 원격지의 전화기(107) 또는 팩시밀리(108)에 전력감시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도 17은 본 고안은 패키지형 수변전장치의 전력감시 제어기 내의 콘트롤러에 의한 시스템 내부안전제어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수변전장치 패키지의 시스템 파워가 온되면 변압기의 온도검출과정과 시스템의 내부온도검출과정과 전원전압검출과정과 도어오픈검출과정과 외부충격검출과정이 전력감시제어기 내의 콘트롤러에서 동시에 수행되게 된다.
변압기 온도검출과정은 먼저 변압기의 온도를 검출하여 현재의 검출온도가 일예로 65℃ 정도로 정해질 수 있는 제1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현재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콘트롤러는 변압기 냉각용 냉각팬을 가동한다.
변압기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 가동에 이어 변압기의 온도검출결과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여 일예로 75℃정도로 정해질 수 있는 제2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콘트롤러는 경보램프와 알람을 작동시켜 변압기의 발열상태가 높음을 관리자에게 경고한다.
이후 변압기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일예로 90℃로 정해질 수 있는 제3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콘트롤러는 ASS를 작동시켜 특고압 인입을 차단시킨다.
시스템 내부온도검출과정은 먼저 시스템의 내부온도를 검출하여 일예로 60℃정도로 정해질 수 있는 제1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현재 내부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이면 일예로 -10℃로 정해질 수 있는 제2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에서 현재의 검출온도가 -10℃이하이면 시스템 내부온도를 상승시켜주기 위한 히터를 가동한다.
한편 현재의 시스템 내부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면 경보램프와 알람을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주의를 주고, 시스템 내부온도검출결과 일예로 80℃정도로 정해질 수 있는 제3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ASS를 작동시켜 고압인입을 차단한다.
전원전압검출과정은 입력되는 고압과 변압된 저압의 전압을 체크하고 부하전류를 검출한다. 또한 부하에 대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의 산출과 전원주파수 변동폭과 전원 투입 및 차단시간정보를 체크한다.
도어오픈 검출은 먼저 고압측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고압측도어의 리미트 스위치 작동이면 콘트롤러는 고압측 내부조명램프를 점등시키고 ASS를 작동시킨 다음 경보램프와 알람을 작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단계에서 고압측도어 오픈이 아니면 저압측도어의 리미트 스위치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저압측 도어의 오픈이면 저압측 내부조명램프를 점등시키고 경보램프와 알람을 작동시킨다.
외부충격검출과정은 일정한 감도값으로 정해진 충격센서에 규정값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충격검출스위치가 작동한다. 이러한 충격검출이 있게되면 경보램프와 알람을 작동시키고 이어서 ASS를 작동시켜 고압인입을 차단시킨다.
이와 같은 변압기의 온도검출과정과 시스템의 내부온도검출과정과 전원전압 검출과정과 도어오픈검출과정과 외부충격검출과정의 수행에 따른 시스템 내부 콘트롤러의 정보는 시스템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전력감시제어기(20)에 전달되어 긴급데이터 전송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원격지의 팩시밀리에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를 비상전화 및 비상호출하며, 시스템 사고발생 정보등을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저압부(A)와 고압부(B)를 하나의 케이스(C)내에 구비하고, 고압부(B)를 복층구조화 함으로서 사이즈를 평면적인 배치에 있어서보다 1/4정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C)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해 개별적으로 점검할 수 있고, 구성요소 별로 점검 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수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수변전장치가 하나의 케이스(C)내에 패키지화되어 사이즈가 줄어들게 된다는 것은 운반 및 설치시간의 절감효과는 얻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변전장치의 각 구성요소 별로 투시창을 통한 육안 점검 및 도어를 통한 점검의 용이성은 관리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내부 공간이 저압분전반을 이루고 있는 격벽(10)에 의해 저압부(A)와 고압부(B)로 나누어진 케이스(C); 각종 계측제어수단이 상기 저압분전반으로 배선되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10)의 전방에 한쪽이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된 한쌍의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 상기 격벽(10)과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 사이에 설치된 수평 칸막이(11)의 일측에 배치된 주차단기(1); 상기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중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주차단기(1)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221); 상기 케이스(C)의 정면에 한쪽이 힌지 결합되어 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되고, 상기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의 각종 계측제어수단 및 주차단기(1)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311)(321)이 구비된 한쌍의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 상기 고압부(B)의 하부에 설치된 고압 변압기(2)와 계기용 변압기(3); 상기 고압 변압기(2) 위의 레일(43)에 설치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의 후방의 격벽(41)에 설치된 한류형 퓨즈(5);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와 격벽(10) 사이에 칸막이(42)에 의해 형성된 점검공간(S); 상기 케이스(C)의 배면에 한쪽이 힌지결합되어 후방으로 여닫히게 설치되고 내부의 한류형 퓨즈(5) 및 계기함(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521)이 구비된 한쌍의 배면 고압측 도어(51)(52); 상기 케이스(C)의 일측벽(61)에 형성되어 내부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4)와 고압변압기(2)의 상태를 육안으로 각각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창(611)(612); 상기 점검공간(S)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스(C)의 타측벽(62) 상부에 설치된 점검 도어(621); 상기 고압변압기(2)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스(C)의 타측벽 하부에 설치된 점검 도어(622)로 이루어진 수변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고압측 도어(51)에도 한류형 퓨즈(5)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5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고압측 도어(51)(52)의 투시창에는 고압누설에 따른 아크 및 전자파를 흡수하여 그라운딩 시키는 금속메쉬(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류형 퓨즈(5)의 전방에 투명체의 안전판(5A)이 양측의 가이드(5B)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C)의 측면 하부에 지게차 발삽입구(C1)를 마련하고, 이 지게차 발삽입구(C1)에는 냉각팬(C3)이 설치된 냉각팬 트레이(C2)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부(B)의 측벽에 금속선을 격자형태로 배열시켜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접지판(8A)(8B)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0)의 저압분전반의 부스바(83)의 접속부위에 온도테이프(84)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압기(2)의 둘레에 성치되는 방열판(2B)의 저부에는 냉각팬(2C)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압기의 주변을 완전 밀폐시키고 밀폐된 공간부분만 냉각팬(2C)을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압기의 둘레에 설치되는 방열판(2B)의 사이사이에 보조냉각판(2H)을 설치하고 상기 방열판(2B)의 하부에 냉각공기 주입용 노즐(2M)을 마련하고 상기 방열판(2B) 둘레에 보온재(2F)를 설치하고 상기 보온재(2F)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변압기 케이스(2E)를 설치하여, 방열판(2B)의 하부에서 주입되어 방열판(2B)을 냉각시킨 공기가 보온재(2F)와 변압기 케이스(2E)가 형성하는 통로를 따라 케이스 측벽 하부에 마련된 배풍구(2K)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변압기 둘레의 방열판(2B)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보조냉각판(2H)에는 공기의 흐름을 산란시켜 주는 날개(2N)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2N)의 방향은 층별로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저압측 외부 도어(31)(32)의 상부에는 야광부(31A)(31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0)과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 사이에 칸막이(111)에 의해 구획을 나누고 진상용 콘덴서(18)와 작업용 콘덴서(19)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부(A)에는 정면 저압측 콘트롤 도어(21)(22)가 열렸을 때 점등되어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가 설치되고, 고압부(B)에는 배면 고압측 도어(51)(52)를 열었을 때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장치.
KR2020000011299U 2000-04-19 2000-04-20 수변전장치 KR200196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299U KR200196831Y1 (ko) 2000-04-19 2000-04-20 수변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811A KR100300139B1 (ko) 1999-04-19 2000-04-19 수변전장치
KR2020000011299U KR200196831Y1 (ko) 2000-04-19 2000-04-20 수변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811A Division KR100300139B1 (ko) 1999-04-19 2000-04-19 수변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831Y1 true KR200196831Y1 (ko) 2000-09-15

Family

ID=2663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299U KR200196831Y1 (ko) 2000-04-19 2000-04-20 수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8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26B1 (ko) 2005-11-28 2007-04-06 주식회사 아이파워 접철형 점검도어가 마련된 복합형 수배전반
KR101084343B1 (ko) 2008-02-29 2011-11-16 주식회사 부시파워 수배전반용 발전기 탑재함
KR101251058B1 (ko) 2012-11-12 2013-04-05 제일기전(주) Emi 감시장치를 탑재한 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26B1 (ko) 2005-11-28 2007-04-06 주식회사 아이파워 접철형 점검도어가 마련된 복합형 수배전반
KR101084343B1 (ko) 2008-02-29 2011-11-16 주식회사 부시파워 수배전반용 발전기 탑재함
KR101251058B1 (ko) 2012-11-12 2013-04-05 제일기전(주) Emi 감시장치를 탑재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139B1 (ko) 수변전장치
US7636233B2 (en) Multi-compartmental transformer and methods of maintenance therefor
CN105790147B (zh) 一种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US20130182355A1 (en) Connection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modules
KR100550969B1 (ko) 복합기능형 배전장치
KR20000012177A (ko) 패키지형수변전장치
WO2005003796A1 (ja)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KR100583791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CN106058702A (zh) 一种模块化智能箱式变电站
KR20090119539A (ko) 변전실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KR102215103B1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KR200196831Y1 (ko) 수변전장치
CN108459230A (zh) 电气高压设备故障检测方法
KR100358002B1 (ko)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KR100714799B1 (ko) 복합형 수배전반
Mohla et al. Electrical safety by design
KR200435046Y1 (ko)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200398674Y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CN109958609A (zh) 隧道变频空压机组智能动力供风系统及施工方法
KR102250102B1 (ko) 모듈형 보호 및 점검장치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
KR100590606B1 (ko) 패키지 수배전반
KR101033672B1 (ko)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블랙박스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0183804Y1 (ko)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KR100279548B1 (ko) 수배전 장치
CN204610232U (zh) 一种6kV、10kV两种高压电源的水泵测试台电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