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875B1 - 일체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일체형 수배전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7875B1 KR101237875B1 KR1020120097810A KR20120097810A KR101237875B1 KR 101237875 B1 KR101237875 B1 KR 101237875B1 KR 1020120097810 A KR1020120097810 A KR 1020120097810A KR 20120097810 A KR20120097810 A KR 20120097810A KR 101237875 B1 KR101237875 B1 KR 101237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gear
- frame
- breaker
- transformer
- ai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각 기기가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길이방향 전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2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는 특고압 공간부가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상호 인접하며 격벽으로 구획된 단자부 및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저압 차단부에는 수직 배치된 다수의 저압 차단기(MCCB)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수배전반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저압 차단기(MCCB)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배전반의 측면에 저압반 을 배치하여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보다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저압 스위치(MCCB) 수납공간이 최대한 확장되어 부하증설이 용이하며 , 콘덴서 함을 별도 구획하여 수배전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이상 전압 발생으로 인한 콘덴서가 파열되거나 폭발하였을 경우 그로 인한 피해를 국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배전반의 측면에 저압반 을 배치하여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보다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저압 스위치(MCCB) 수납공간이 최대한 확장되어 부하증설이 용이하며 , 콘덴서 함을 별도 구획하여 수배전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이상 전압 발생으로 인한 콘덴서가 파열되거나 폭발하였을 경우 그로 인한 피해를 국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고압(고압반 포함)수전단과 저압반을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저압반의 수용 능력을 높이고 내부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체형 수배전반은 특고압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특고압반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전력수급 계량기용 변성기반, 변압기반, 저압반으로 각각 구성된 일반 판넬 구조(최소 4면)를 복층 구조로 배열되어 1면으로 구성됨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통상적인 일체형 수배전반의 사시도 및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수배전반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고압반(1) 및 저압반(2)이 수배전반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있고, 격벽(3)처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중간에 배치된 변압기 등 특고압 관련 기기의 점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부의 특고기기 의 교체시 다수의 기기를 제거 또는 이동 하여야 하는 등 유지보수 및 설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압반(2)이 수배전반의 길이방향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부하증설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저압차단기(MCCB)를 증설이 어려운 등 확장성이 떨어져, 부하증설을 위한 저압차단기(MCCB) 증설에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여 공간 활용성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덴서가 수배전만 내부에 존재하여 콘덴서의 이상 전압 발생으로 콘덴서 폭발시 수배전만 내부 기기의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며, 콘덴서 교체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 MOF 등 고압 수배전 설비들의 고장 시 교체 뿐 만 아니라 설치 시에 타 저압설비들을 제거하거나 이동시키지 아니하고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도어를 통하여 교체, 설치가 가능함으로 설치된 기기 교체 및 유지 보수가 극히 용이하고, 저압반 을 특고반의 측면에 배치하여 저압반 수납공간을 극대화 하였으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특고기기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일체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내부가 빈 직사각 형태 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각 기기가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길이방향 전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2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는 특고압 공간부가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상호 인접하며 격벽으로 구획된 단자부 및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저압 차단부에는 수직 배치된 다수의 저압 차단기(MCCB)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수배전반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저압 차단기(MCCB)의 조작부(조작레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분리된 공간 중 하나에는 특고압공간부가 위치하며, 상기 특고압공간부에는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 특고 부스바, 메인 차단기(AISS), 피뢰기(LA), 계기용 변성기(MOF) 및 변압기(PT)가 설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의 특고압공간부에는, 상기 특고압공간부를 길이방향 상하로 분할하도록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제1프레임 및 상기 특고압공간부를 길이방향 전후로 분할하도록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제2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 상부 및 상기 제2프레임 후면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이되, 피뢰기(LA)가 설치된 공간인 피뢰부(S1),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피뢰부(S1)와 수평 대향된 공간인 고압차단부(S2), 상기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고압차단부(S2)와 수직 대향된 변압기부(S3)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변압기부(S3)와 수평 대향된 MOF부(S4)을 형성하고, 상기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은 상기 고압차단부(S2) 상측 하면에 설치된 애자를 통하여 특고압공간부(210)로 인입되며, 상기 특고 부스바는 상기 애자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인입된 상기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메인 차단기(AISS)는 상기 고압차단부(S2)에 존재하고, 상기 애자(216)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특고 부스바(2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피뢰기(LA)는 상기 피뢰부(S1)에 존재하고, 일단은 메인 차단기(AISS) 수배전반의 후면에서 인입된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메인 차단기(AISS)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계기용 변성기(MOF)는 상기 MOF부(S4)에 존재하며, 상기 제1프레임(212)을 관통하는 부스바를 통하여 메인 차단기(AIS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피뢰기(LA)와 수직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변압기(PT)는 상기 변압기부(S3)에 존재하며,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계기용 변성기(MOF)와 수평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차단기(AISS)는 스위칭 시 발생되는 돌입전류가 외부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212)의 위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차단기(AISS)는 상기 제1프레임(212)과의 이격 설치를 위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메인 차단기(AISS) 사이에 이격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부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되며, 콘덴서가 설치된 콘덴서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 MOF 등 고압 수배전 설비들의 고장 시 교체 뿐 만 아니라 설치 시에 타 저압설비들을 제거하거나 이동시키지 아니하고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도어를 통하여 교체, 설치가 가능함으로 설치된 기기 교체 및 유지 보수가 극히 용이하며, 수배전반의 측면에 저압반 을 배치하여 종래의 일체형 수배전반보다 저압 (MCCB) 수납공간이 1,5배 이상 확장되어 증설이 용이하며, 콘덴서 함을 별도 구획하여 수배전반 측면에 설치함 으로서, 이상 전압에 의하여 콘덴서가 파열되거나 폭발하여 화재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피해를 국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통상적인 수배전반의 사시도 및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계통을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A-A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3의 B-B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계통을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A-A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3의 B-B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계통을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은 전력계통의 통전 순서 및 전압종별에 따라 크게 특고압반(10) 및 저압반(20)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수배전반이란 특고압(고압도 수전하나 설명의 편의상 특고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을 수전하여 고압 또는 저압으로 배전하는 것을 지칭한다.
상기 특고압반(1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고, 상기 저압반(20)은 저압의 전기를 다수의 부하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고압반(10)은 한전측의 케이블(CH1, CH2)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부하개폐기(AISS)에 연결되고, 상기 부하개폐기(AISS)에는 피뢰기(LA)를 연결시키고, 이를 외함 접지함과 연결시킨다. 한편, 부하개폐기(AISS)에는 상기 피뢰기(LA)와 병렬로 계기용 변성기(MOF)가 연결되며, 계기용 변성기(MOF)기 2차측에 연결되는 적산전력량계, 무효전력량계등 한국전력과 연계되어 과금과 관련된 장비 등은 타 전력 계측 및 측정 장비와 분리되어 MOF 계량기함 내에 장착된다.
상기 피뢰기(LA)와 병렬로 계기용 변성기(MOF) 사이에는 전력퓨즈(PF)가 설치된다. 또한, 계기용 변성기(MOF)에 DM 메타( 전력품질관리를 위한 전력품질 관리 장치로서 전압계 전류계 역률계 등 각종 측정값을 표시하는 계측기, 이하 "DM 메타"라 DM 메타가 배치되는 부분을 "종합계측기함"이라 한다)를 연결하여 수배전반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계기용 변성기(MOF)의 타단에는 변압기(PT)가 연결되고, 전술한 부분까지 수배전반의 특고압반(10)에 설치된다.
저압반(20)은 상기 변압기(PT)로부터 저압 부스바를 통하여 콘덴서 차단기 및 콘덴서(C)가 연결되며, 이와 병렬로 공기차단기(ACB)가 연결되며, 공기차단기(ACB)의 타단에는 저압차단기(MCCB)가 연결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3a의 A-A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3a의 B-B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좌측은 도 3a에 도시한 전면을 의미하며, 도 4에서 우측은 도 3a에 도시한 후면을 의미한다.
도 3a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은 내부가 빈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각 기기가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설치되고, 길이 방향 전후면에 도어(11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길이방향 전후면에는 별도로 보수용 도어(도시 생략)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의 내부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격벽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2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는 특고압공간부(210)가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상호 인접하며 격벽으로 구획된 단자부(210) 및 저압 차단부(230)이 위치한다.
특고압공간부(210)에는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 …), 부하개폐기(AISS), 계기용 변성기(MOF), 계기용 변압기(PT), 진공차단기(VCB)와, 계기용 변류기(CT)가 부스바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이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들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부스바 또는 케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고압공간부(210)는 수배전반(10)의 내부 공간을 수배전반의 길이방향 상하로 분할하도록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제1프레임(212) 및 수배전반의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 전후로 분할하도록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제2프레임(214)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212) 상부 및 상기 제2프레임(214) 후면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이되, 피뢰기(LA)가 설치된 공간인 피뢰부(S1), 상기 제2프레임(214)을 기준으로 상기 피뢰부(S1)와 수평 대향된 공간인 고압차단부(S2), 상기 제1프레임(212)을 기준으로 상기 고압차단부(S2)와 수직 대향된 변압기부(S3) 및 상기 제2프레임(214)을 기준으로 상기 변압기부(S3)와 수평 대향된 MOF부(S4)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 …)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고압공간부(210)의 고압차단부(S2)의 상측에 설치된 애자(216)를 통하여 특고압공간부(210)로 인입된다. 상기 애자(216)에는 특고 부스바(218)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 …)은 상기 특고 부스바(218)를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애자(216)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림직한데, 수배전반에 상기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 …)이 충분한 길이만큼 인입되어 고압차단부(S2) 내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메인 차단기(AISS, Air Insulated Section Switch)는 고압차단부(S2) 내에 존재하며, 상기 애자(216)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특고 부스바(2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메인 차단기인 AISS는 전력 공급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고압 설비에 의무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과부하 보호기능, 돌입전류에 의한 오동작 방지기능 및 과전류 보호기능이 있다.
메인 차단기(AISS)는 스위칭 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고,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212)과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12)과의 이격 설치를 위하여 제1프레임(212)과 메인 차단기(AISS) 사이에 이격판(21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저압반과 고압반이 배치된 종래기술에 의한 수배전반 보다 도어(110)에서 상기 메인 차단기(AISS)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피뢰기(LA)는 피뢰부(S1)에 존재하며, 일단은 메인 차단기(AISS) 수배전반의 외함(100)의 후면에서 인입된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메인 차단기(AISS)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피뢰기(LA)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육안점검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기용 변성기(MOF)는 MOF부(S4) 내에 존재하며, 메인 차단기(AIS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피뢰기(LA)와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MOF부(S4)의 하면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계기용 변성기는 후면에 설치된 도어를 통하여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변압기(PT)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부(S3)에 존재하며, 제2프레임(214)를 기준으로 계기용 변성기(MOF)와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계기용 변성기(MOF)와 마찬가지로 변압기부(S3)의 하면 상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변압기(PT)는 변성기(MOF)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부(220)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격벽 구획된 ACB, 종합계측기함, MOF 계량기함, 콘덴서함 및 접지 단자함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콘덴서함을 고압공간부(210)에 설치하지 않고, 단자부(220)의 별도 구획된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이상 전압 발생에 의하여 발생되는 콘덴서 파열로 인하여 다른 부품에 추가적으로 손상이 발생하거나 수배전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덴서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계기용 변류기(CT)는 도 5의 MOF 계량기함 내부에 설치하여 육안으로 검침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하였고, 전력 품질 장치는 도 5의 접지 단자함 내부에 설치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수배전반의 접지 단자함을 통하여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접지 선로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수배전반의 측면에 위치하는 저압 차단부(230)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저압 차단기(MCCB)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저압 차단부(230)를 종래 기술과 같이 수배전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하지 않고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저압 차단기(MCCB)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효율성을 높여 부하 증설에 따른 저압 차단기(MCCB)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공간을 요구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저압 차단부(230)가 위치하는 수배전반의 측면에는 개폐가능한 측면 도어(231)를 설치하여 상기 개폐 가능한 도어(231)을 개폐하면 저압 차단기(MCCB)가 노출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저압 차단기(MCCB)의 증설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였다. 저압 차단부(230)를 도 3a와 같이 일측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의 양에 따라 저압 차단부(230)를 양측면에 모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저압 차단기(MCC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차단 용량의 차단기 다수개를 수배전반의 높이방향으로 다수 배치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저압 차단기(MCCB) 증설을 용이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차단기(MCCB)에 연결되는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굵은 부하 케이블을 다수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시 하지는 아니 하나 저압 차단부(230)에 배치된 각각의 차단기(MCCB)의 부착부는 조작의 편리 등을 위하여 수배전반 길이방향에서 보아 후단측이 돌출되어 경사지게 배치 될 수 있다.
저압 차단부(230) 내부에는 단자부(220)의 콘덴서 함에 설치된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콘덴서 차단기를 설치하여 수배전반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수배전반의 하단에 누전경보기(ELD)가 설치될 수 있다. 수배전반 내부에 누전이 발생되었을 경우 경보를 울려 위험을 알릴 수 있고, 또한 별도의 단말로 위험 정보를 전송하여 수배전반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10: 특고압반 20: 저압반
100: 외함 110: 도어
210: 특고압공간부 220: 단자부
230: 저압 차단부 212: 제1프레임
214: 제2프레임 216: 애자
218: 특고 부스바 219: 이격판
100: 외함 110: 도어
210: 특고압공간부 220: 단자부
230: 저압 차단부 212: 제1프레임
214: 제2프레임 216: 애자
218: 특고 부스바 219: 이격판
Claims (3)
- 내부가 빈 직사각 형태 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각 기기가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길이방향 전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2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는 특고압 공간부가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상호 인접하며 격벽으로 구획된 단자부 및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저압 차단부에는 수직 배치된 다수의 저압 차단기(MCCB)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수배전반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저압 차단기(MCCB)의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특고압공간부에는 상기 특고압공간부를 길이방향 상하로 분할하도록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제1프레임 및 상기 특고압공간부를 길이방향 전후로 분할하도록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제2프레임이 설치되어, 피뢰기(LA)가 설치된 공간인 피뢰부(S1),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피뢰부(S1)와 수평 대향된 공간인 고압차단부(S2), 상기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고압차단부(S2)와 수직 대향된 변압기부(S3) 및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변압기부(S3)와 수평 대향된 MOF부(S4)을 형성하고,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은 상기 고압차단부(S2) 상측 하면에 설치된 애자를 통하여 고압공간부(210)로 인입되며, 특고 부스바는 상기 애자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인입된 상기 특고 입력 케이블(CH1, CH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메인 차단기(AISS)는 상기 고압차단부(S2)에 존재하고 애자(216)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특고 부스바(2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피뢰기(LA)는 상기 피뢰부(S1)에 존재하고 일단은 메인 차단기(AISS) 수배전반의 후면에서 인입된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메인 차단기(AISS)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계기용 변성기(MOF)는 상기 MOF부(S4)에 존재하고 상기 제1프레임(212)을 관통하는 부스바를 통하여 메인 차단기(AIS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피뢰기(LA)와 수직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변압기(PT)는 상기 변압기부(S3)에 존재하고 상기 제2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계기용 변성기(MOF)와 수평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메인 차단기(AISS)는 스위칭 시 발생되는 돌입전류가 외부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212)의 위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메인 차단기(AISS)는 상기 제1프레임(212)과의 이격 설치를 위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메인 차단기(AISS) 사이에 이격판이 설치되며,
단자부는, 콘덴서함, 종합계측기함, MOF계량기함 , 접지단자함 및 AC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내부가 빈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각 기기가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일체형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길이방향 전.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2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는 특고압공간부가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상호 인접하며 격벽으로 구획된 단자부 및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저압 차단부에는 수직 배치된 다수의 저압 차단기(MCCB)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저압 차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수배전반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저압 차단기(MCCB)의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부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되며, 콘덴서가 설치된 콘덴서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7810A KR101237875B1 (ko) | 2012-09-04 | 2012-09-04 | 일체형 수배전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7810A KR101237875B1 (ko) | 2012-09-04 | 2012-09-04 | 일체형 수배전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7875B1 true KR101237875B1 (ko) | 2013-02-27 |
Family
ID=4790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7810A KR101237875B1 (ko) | 2012-09-04 | 2012-09-04 | 일체형 수배전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787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5288A (ko) * | 2021-03-29 | 2022-10-07 | 주식회사 남전사 | 특고압 수전설비 |
KR102606905B1 (ko) * | 2023-06-09 | 2023-11-29 | 한일테크 주식회사 | 수전용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 수배전반 설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0139B1 (ko) | 1999-04-19 | 2001-11-07 | 이기표, 박기주 | 수변전장치 |
KR200398675Y1 (ko) | 2005-07-27 | 2005-10-14 | (주)서전기전 |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
KR100615721B1 (ko) | 2006-04-17 | 2006-08-25 |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 특고압용 수전반 |
KR100714799B1 (ko) | 2005-11-28 | 2007-05-04 | 주식회사 아이파워 | 복합형 수배전반 |
-
2012
- 2012-09-04 KR KR1020120097810A patent/KR1012378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0139B1 (ko) | 1999-04-19 | 2001-11-07 | 이기표, 박기주 | 수변전장치 |
KR200398675Y1 (ko) | 2005-07-27 | 2005-10-14 | (주)서전기전 |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
KR100714799B1 (ko) | 2005-11-28 | 2007-05-04 | 주식회사 아이파워 | 복합형 수배전반 |
KR100615721B1 (ko) | 2006-04-17 | 2006-08-25 |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 특고압용 수전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5288A (ko) * | 2021-03-29 | 2022-10-07 | 주식회사 남전사 | 특고압 수전설비 |
KR102525798B1 (ko) * | 2021-03-29 | 2023-04-27 | 주식회사 남전사 | 특고압 수전설비 |
KR102606905B1 (ko) * | 2023-06-09 | 2023-11-29 | 한일테크 주식회사 | 수전용 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 수배전반 설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33145B2 (ja) | 固体絶縁母線スイッチギヤ | |
JP4268991B2 (ja) |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 |
US7440260B2 (en) | Electrical bus member mounting system and electrical enclosure employing the same | |
CN201199609Y (zh) | 一种新型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 |
KR101196704B1 (ko) | 전압 감지 기능을 갖춘 격벽 격실 축소형 고?저압 폐쇄배전반 | |
KR100583791B1 (ko) |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 |
CN203895828U (zh) | 一种环网开关设备 | |
KR20120124020A (ko) | 전기 전력 스위치, 및 전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패널 | |
KR101079984B1 (ko) |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 |
KR101336968B1 (ko) | 다적재 멀티 배전반 | |
RU2543062C2 (ru) |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газовой изоляцией | |
JP5026537B2 (ja) | スイッチギヤ | |
KR102215103B1 (ko) |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 |
KR100717326B1 (ko) | 가스 및 고체절연 복합형 폐쇄 배전장치 | |
KR101145723B1 (ko) | 폐쇄배전반 | |
KR101237875B1 (ko) | 일체형 수배전반 | |
KR101271146B1 (ko) | 기체절연 개폐장치 | |
KR200435046Y1 (ko) |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 |
KR100857439B1 (ko) | 수변전 장치 | |
KR100754769B1 (ko) |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 |
KR100703036B1 (ko) |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 |
KR101596105B1 (ko) | 기기 복합형 가스 절연 서브 유닛을 구비한 금속 피복 폐쇄 배전반 | |
KR101546791B1 (ko) | 기체절연 개폐장치 | |
KR101338254B1 (ko) | 특고압 수배전반 | |
KR200434542Y1 (ko) | 벽관통 부싱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