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75Y1 -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 Google Patents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675Y1
KR200398675Y1 KR20-2005-0021887U KR20050021887U KR200398675Y1 KR 200398675 Y1 KR200398675 Y1 KR 200398675Y1 KR 20050021887 U KR20050021887 U KR 20050021887U KR 200398675 Y1 KR200398675 Y1 KR 200398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pressure
compartments
faucet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근 홍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20-2005-0021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1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gas-insul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쇄수전반 내부에 하나의 수직격벽과 두 개의 수평격벽을 설치하여 네 개의 격실을 구획하고 다수의 부싱을 통해서 각 격실에 설치된 전력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격실에는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섬락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상간 이격거리를 좁혀서 폐쇄수전반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각 격실의 상부에 가스방출장치를 설치하여 폭발사고 발생 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여 폐쇄수전반 전체에 걸쳐 고압의 가스가 확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은, 소정 크기의 폐쇄수전반으로 이루어진 약식 폐쇄수전반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전반의 가운데에 설치된 수직격벽에 의해서 양분된 제1 및 제2 수전 격실과; 양분된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부에 설치된 두 개의 수평격벽에 의해서 상·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모선 격실과; 상기 제1 수전 격실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격벽의 일 측면에 설치된 부하개폐기와;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폐쇄수전반의 내측면에 설치된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수직 및 수평 격실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각 격실의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형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HIGH INTEGRATED SIMPLE METAL CLAD}
본 고안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폐쇄수전반 내부에 하나의 수직격벽과 두 개의 수평격벽을 설치하여 네 개의 격실을 구획하고 다수의 부싱을 통해서 각 격실에 설치된 전력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격실에는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섬락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상간 이격거리를 좁혀서 폐쇄수전반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각 격실의 상부에 가스방출장치를 설치하여 폭발사고 발생 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여 폐쇄수전반 전체에 걸쳐 고압의 가스가 확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 마련된 전기실에는 전력회사가 공급하는 고압 또는 특별 고안의 전기를 수전하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반이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배전반을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식 수전반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배전반(100)은 전력계통의 통전 수순 및 전압에 따라 크게 특고압반(또는 고압반)(300), 변압기반(500) 및 저압반(700)으로 구분된다.
도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식 수전반(300)은 고압폐쇄수전반(LBS반:300-1)과, 계기용변압변류기반(MOF반:300-2), 계기용변압기반(PT반:300-3), 특고차단기반(VCB반:300-4) 등 네 개의 수전반(1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압반(700)은 차단기, 콘덴서, 저압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 등이 설치된 다수 개의 배전반(700-1)(700-2)과, 차단기, 충전기, 배터리 등이 설치된 동력반(700-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폐쇄수전반(300-1)은 소정 크기의 수전반(110) 내부에 부하개폐기(LBS)(130-1)와 피뢰기(LA)(130-2)가 설치되고, 상기 계기용변압변류기반(300-2)에는 계기용 변압변류기(MOF)(130-3)와 전력퓨즈(PF)(130-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계기용변압기반(300-3)에는 계기용 변압기(PT)(130-5)가 설치되고, 상기 특고차단기반(VCB)(130-4)에는 진공차단기(VCB)(130-6)와 계기용 변류기(CT)(130-7) 및 서지흡수기(SA)(130-8)가 각각 설치된다.
종래의 정식 수전반(300)은 4개의 수전반(110)을 일렬로 배치하는 구조이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을 전기실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전반(110)은 그 내부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그 공간에 차단기, 단로기 등의 전력기기와 제어회로 및 모선이 함께 설치되므로 전력계통의 아-크(Arc) 혹은 섬락(Flash-Over)을 수반하는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수전반(110)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에 의해서 수전반(110)이 파손되거나 그 내부의 기기나 회로가 손상되게 된다.
본 고안은 1,000kVA 이하의 고압 전기를 수전할 수 있는 간이 폐쇄수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간이 폐쇄수전반은 정식 폐쇄수전반에 비해서 진공차단기, 계기용 변압기와 변류기 등의 전력기기와 계전기기가 생략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하나의 폐쇄수전반에 각종 전력기기와 제어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벽을 설치하고 이 격벽에 설치된 관통형 부싱을 통해서 각종 전력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좁은 면적의 전기실에 설치할 수 있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전력계통의 고장 또는 사고 시 어느 하나의 격실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가 폐쇄수전반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수전반 내부에 수직격벽 및 수평격벽을 설치하여 다수의 격실을 구획하고, 상기 격실과 연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스방출구를 설치하여 사고 발생 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폐쇄수전반 내부에 설치된 수평 또는 수직격벽에 다수의 부싱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격실의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접지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격벽을 이용하여 상간 이격거리를 단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격실 내부에 습기 및 오염물질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섬락 전압을 높여서 섬락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폐쇄수전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은, 하나의 폐쇄수전반으로 이루어진 약식 폐쇄수전반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전반의 가운데에 설치된 수직격벽에 의해서 양분된 제1 및 제2 수전 격실과; 양분된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부에 설치된 두 개의 수평격벽에 의해서 상·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모선 격실과; 상기 제1 수전 격실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격벽의 일 측면에 설치된 부하개폐기와;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폐쇄수전반의 내측면에 설치된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수직 및 수평 격실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각 격실의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형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전 격실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평격벽과 수직격벽에 의해서 소정 크기의 제어부 격실이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전 격실 및 제1 모선 격실에 연통하도록 다수의 가스방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방출장치는 각 격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소정 크기의 가스방출구와, 이 가스방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압판과, 상기 방압판을 폐쇄수전반의 상판에 고정하는 플라스틱 볼트로 이루어져 상기 격실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증가하면 그 내부압력에 의해서 플라스틱 볼트가 파손되어 상기 방압판이 외부로 이탈됨으로써 격실 내의 고압가스를 외부로 신속히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전 격실의 내부에는, 열전소자의 흡열면에 설치된 흡열판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면에 설치된 발열판을 이용하여 냉각된 공기를 가온하며, 상기 흡열판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격벽 및 수평격벽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소정 크기의 공기순환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홀에는 소정의 밸브체를 설치하여 격실 간의 압력차에 의해서 상기 공기순환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하나의 폐쇄수전반으로 이루어진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3)은, 하나의 폐쇄수전반(10) 내부에 보호등급을 갖는 수직격벽(12)을 설치하여 제1 수전 격실(20a)와 제2 수전 격실(20b)로 양분하고, 상기 제1 수전격실(20a)에는 부하개폐기(21)와 피뢰기(22)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수전 격실(20b)에는 계기용 변성기(24)와 파워휴즈(23)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전 격실(20b) 내부에는 두 개의 수평격벽(14-1)(14-2)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2 수전 격실(20b)의 상부에는 제1 모선 격실(20c)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전 격실(20b)의 하부에는 제2 모선 격실(20d)를 더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1 수전 격실(20a)의 상부에는 소정의 수평격벽(51)과 수직격벽(52)에 의해서 사각형상의 제어부 격실(50)이 구획된다. 이 제어부 격실(50)에는 각종 제어회로가 설치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폐쇄수전반(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수전격실(20a) 및 제1 모선 격실(20c)과 연통하도록 가스방출장치(7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폐쇄수전반(10)의 격실(20a)(20b)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가스는 폐쇄수전반을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폭발시 발생하는 고온 고압가스로부터 폐쇄수전반을 보호하기 위해서 각 격실과 연통하도록 가스방출장치(70)를 설치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11은 상기 폐쇄수전반(10)이 전후면에 설치되는 도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출장치(70)의 일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출장치(70)는 상기 격실(20a,20c)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소정 크기의 가스방출구(73)와, 이 가스방출구(73)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압판(74)과, 상기 방압판(74)을 폐쇄수전반(10)의 상판에 고정하는 플라스틱 볼트(7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볼트(75)는 격실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어 상기 방압판(74)이 외부로 이탈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격실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하여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방압판(74)이 외부로 이탈되어 내부의 고압가스를 외부로 신속히 방출한다. 이에 따라, 폐쇄수전반(10) 내부의 압력이 급속히 감소되므로 폐쇄수전반(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폐쇄수전반(10)은 각 격실마다 하나 이상의 가스방출장치(70)를 설치함으로써 전력계통의 고장 또는 사고 시 어느 하나의 격실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가 폐쇄수전반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출장치(7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가스방출장치(70)는, 격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스방출구(73)와 이 가스방출구(73)의 주연부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어 고압가스를 유도하는 유도틀(76)과, 상기 유도틀(76)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77)와, 상기 힌지(77)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방압판(74)와, 상기 방압판(74)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탄성판(7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판(78)은 불연성의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곡률로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압판(74)이 소정 각도이상 예를 들어 80°이상으로 회동하면, 상기 탄성판(78)의 굴곡부가 폐쇄수전반의 상판 또는 유도틀(76)의 외측면에 닿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압판(74)의 회동각이 제한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판(78)은 상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예를 들어 80°이상으로 회동되어 있는 방압판(74)을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므로 격실내의 압력이 떨어질 때 자동적으로 상기 가스방출구(73)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방출장치(70)는 섬락사고 등이 발생할 때, 상기 방압판(74)이 완전히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동되므로 비산하는 방압판에 의해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압판(74)의 설치방향이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고압가스나 불꽃의 분출방향을 제한하여 인명사고의 발생할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10)은, 폐쇄수전반(10)의 가운데에 수직격벽(12)을 설치하여 그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수전 격실(20a,20b)로 양분하고, 상기 제2 격실(20b)의 내부에 두 개의 수평격벽(14-1)(14-2)를 설치하여 제1 및 제2 모선 격실(20c)(20d)을 구획하며, 상기 제1 수전 격실(20a)에는 수평격벽(51)과 경사격벽(52)을 직교하게 설치하여 소정 크기의 제어부 격실(50)를 구획함으로서 다수의 격실을 공간적 분리하고 전기적으로 차폐함으로써 섬락사고의 발생을 예방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폐쇄수전반(10)은 모선을 절연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절연 튜브나 엑폭시 분말 코팅 처리를 함과 아울러 접지금속으로 이루어진 격벽을 사용하여 상간 이격거리를 단축하고 기계적 강도를 유지함으로써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고압 모선이 소정 거리내에 접근하면, 빛을 내면서 방전하는 섬락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웃하는 두 개의 도체는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종래의 폐쇄수전반은 이러한 상간 이격거리를 만족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폐쇄수전반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폐쇄수전반(10)은 섬락 전압을 높일 수 있도록 소정의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를 설치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30)는 크게 본체 몸체(31)와 본체 덮개(32), 그리고 상기 본체 몸체(31)에 설치된 전원부(33), 열전소자(34), 상기 열전소자(34)의 흡열부에 부착된 흡열판(35), 상기 열전소자(34)의 방열부에 부착되는 방열판(36),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휀(37), 상기 흡열판(35)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부(38) 및 센서부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소자(34)의 흡열면에 부착된 흡열판(35)은 공기를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한다. 상기 흡열판(35)에는 다수의 핀이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34)의 저면 발열면에 부착된 방열판(36)은 열을 발산시킨다. 따라서 상기 방열면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36)의 열전도에 의해서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36)을 거쳐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는 가온된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34)의 공기유입구 쪽에 설치된 집수구(38)는 유도휀(37)의 작동에 따라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응축수는 집수부(38)를 통해서 캐비닛(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는 공기중에 포함된 분지 등과 함께 배출되므로 폐쇄수전반 내부의 공기를 청결하게 한다. 이어 상기 흡열판(35)에서 건조된 공기는 상기 방열판(36)와 전원부(33)를 거치는 동안 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서 폐쇄수전반 내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폐쇄수전반(10)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서 다수의 격실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30)를 이용하여 모든 격실의 습기와 오염물을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격벽에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는 다수의 공기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격벽에는 다수의 공기순환홀(56)이 형성되는데, 상기 격벽의 공간 및 전기적 차폐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순환홀(56)은 가능한 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공기순환홀(56)의 크기가 제한되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격판에 보다 큰 크기의 공기순환홀(56)을 형성한 경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홀(56)에 소정의 밸브체(60)를 설치한다. 상기 밸브체(60)는, 상기 공기순환홀(56)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봉형상의 밸브본체(67)과, 상기 밸브본체(67)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판(67)과, 상기 밸브본체(67)와 가압판(67) 사이에 설치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두 개의 가압스프링(6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가압스프링(66)이 균형을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밸브체(67)는 공기순환홀(56)를 개방한다. 그러나, 상기 일측 격실의 내부압력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면, 일측 가압판(67)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두 개의 가압스프링(66) 사이의 균형이 깨지고 일측 가압스프링(66)이 압축되어 상기 공기순환홀(56)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60)는 이웃하는 격실에서 발생된 고압의 가스나 불꽃이 공기순환홀(56)을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폐쇄수전반(10)은 상기 제2 수전 격실(20b)과 제1 모선 격실(20c) 사이에 소정의 수평격벽(14-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전 격실(20b)에서 발생된 고압가스가 상기 제1 모선 격실(20c)에 연통되어 있는 가스배출구(7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격벽(14-1)에 다수의 관통구멍(57)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12의 부분확대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격벽(14-1)은 소정 크기의 접지금속으로서, 제2 수전 격실(20b)의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브라켓(55)에 고정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55)은 소정 형태로 절곡된 지지플레이트(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격벽(14-1)에는 다수의 관통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격벽(14-1)은 지지플레이트(56)의 절곡부(58)의 상면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격벽(14-1)은 제1 모선 격실(20c)에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서 기기실(15)쪽으로 이탈되지 않는 반면에, 제2 수전 격실(20b)의 내압에 의해서는 제1 모선 격실(20c) 쪽으로 이탈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때 파손되는 플라스틱 볼트(59)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수전 격실(20b)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상기 수평격벽(14-1)은 플라스틱 볼트(59)가 파손되어 제1 모선 격실(20c) 쪽으로 이탈됨으로써 고압가스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은, 하나의 폐쇄수전반에 각종 전력기기와 제어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 및 수평격벽을 이용하여 다수의 격실을 설치하고, 상기 격벽에 설치된 관통형 부싱을 통해서 각종 전력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이 폐쇄수전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폐쇄수전반 내부에 수직격벽 및 수평격벽을 설치하여 다수의 격실을 구획하고, 상기 격실과 연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스방출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전력계통의 고장 또는 사고 시 어느 하나의 격실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가스 또는 증기가 폐쇄수전반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폐쇄수전반 내부에 설치된 수평 또는 수직격벽에 다수의 부싱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격실의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접지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격벽을 이용하여 상간 이격거리를 단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격실 내부에 습기 및 오염물질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섬락 전압을 높여서 섬락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폐쇄수전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배전반을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식 폐쇄수전반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하나의 폐쇄수전반으로 이루어진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선 결선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출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라 다수의 공기순환홀이 형성된 수직격벽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격벽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12 : 수직격벽
14 : 수평격벽 20a : 제1 수전 격실
20b : 제2 수전 격실 20c : 제1 모선 격실
30 :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 50 : 제어부 격실
55 : 지지브라켓 56 : 공기순환홀
60 : 밸브체 70 : 가스방출장치

Claims (9)

  1. 하나의 폐쇄수전반으로 이루어진 간이 폐쇄수전반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전반의 가운데에 설치된 수직격벽에 의해서 양분된 제1 및 제2 수전 격실과;
    양분된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부에 설치된 두 개의 수평격벽에 의해서 상·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모선 격실과;
    상기 제1 수전 격실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격벽의 일 측면에 설치된 부하개폐기와;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폐쇄수전반의 내측면에 설치된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수직 및 수평 격실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각 격실의 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형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전 격실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평격벽과 수직격벽에 의해서 소정 크기의 제어부 격실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전 격실 및 제1 모선 격실에 연통하도록 가스방출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장치는 각 격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소정 크기의 가스방출구와, 이 가스방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압판과, 상기 방압판을 폐쇄수전반의 상판에 고정하는 플라스틱 볼트로 이루어져, 상기 격실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증가하면 그 내부압력에 의해서 플라스틱 볼트가 파손되어 상기 방압판이 외부로 이탈됨으로써 격실 내의 고압가스가 외부로 신속히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장치는, 각 격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소정 크기의 가스방출구와, 상기 가스방출구의 주연부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된 고압가스 유도틀과, 상기 유도틀의 상단을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압판과, 상기 유도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압판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와, 상기 가스방출구 위에 설치된 상기 방압판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소정 곡률로 굴곡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섬락사고 등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고압가스에 의해서 방압판이 완전히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압판의 회동각을 제한하며 격실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면 상기 방압판을 반대쪽으로 가압하여 가스방출구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전 격실의 내부에는, 열전소자의 흡열면에 설치된 흡열판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면에 설치된 발열판을 이용하여 냉각된 공기를 가온하며, 상기 흡열판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습기 및 오염물 제거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벽 및 수평격벽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소정 크기의 공기순환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홀에는 소정의 밸브체를 설치하여 양 격실의 압력차에 의해서 상기 공기순환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공기순환홀를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밸브본체과, 상기 밸브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밸브본체와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두 개의 가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전 격실과 제1 모선 격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격벽은, 소정 크기의 접지금속으로서, 상기 제2 수전 격실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의 절곡부의 상면에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때 파손되는 플라스틱 볼트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모선 격실에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서 상기 제2 수전 격실 쪽으로 이탈되지 않는 반면에, 제2 수전 격실(20b)의 내압에 의해서는 제1 모선 격실 쪽으로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KR20-2005-0021887U 2005-07-27 2005-07-27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KR200398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87U KR200398675Y1 (ko) 2005-07-27 2005-07-27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87U KR200398675Y1 (ko) 2005-07-27 2005-07-27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675Y1 true KR200398675Y1 (ko) 2005-10-14

Family

ID=4369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887U KR200398675Y1 (ko) 2005-07-27 2005-07-27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67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05B1 (ko) 2009-06-30 2009-10-07 (주)태원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100938883B1 (ko) * 2009-01-21 2010-01-27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분방전 진단기능을 갖는 격실 구조형 배전반
KR101135485B1 (ko) 2011-10-28 2012-04-13 (주)이지시스템 저전력 수분포집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168536B1 (ko) 2011-03-24 2012-07-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절연안정성 향상을 위해 곡면 차폐부를 갖는 고압배전반 및 고압배전반의 절연안정성 향상을 위한 격벽구조
KR101237875B1 (ko) 2012-09-04 2013-02-27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일체형 수배전반
KR101467528B1 (ko) * 2014-04-21 2014-12-01 세명엔지니어링(주) 다각도 개방형 아크방출 장치
CN113315022A (zh) * 2021-06-29 2021-08-27 江苏华彤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开关柜以及开关柜安装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83B1 (ko) * 2009-01-21 2010-01-27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분방전 진단기능을 갖는 격실 구조형 배전반
KR100920405B1 (ko) 2009-06-30 2009-10-07 (주)태원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101168536B1 (ko) 2011-03-24 2012-07-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절연안정성 향상을 위해 곡면 차폐부를 갖는 고압배전반 및 고압배전반의 절연안정성 향상을 위한 격벽구조
KR101135485B1 (ko) 2011-10-28 2012-04-13 (주)이지시스템 저전력 수분포집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237875B1 (ko) 2012-09-04 2013-02-27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일체형 수배전반
KR101467528B1 (ko) * 2014-04-21 2014-12-01 세명엔지니어링(주) 다각도 개방형 아크방출 장치
CN113315022A (zh) * 2021-06-29 2021-08-27 江苏华彤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开关柜以及开关柜安装方法
CN113315022B (zh) * 2021-06-29 2024-03-12 江苏华彤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开关柜以及开关柜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791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200398675Y1 (ko)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US7952857B1 (en) Arc-resistant switchgear enclosure with ambient air ventilation system
US9117607B2 (en) Muffler for enhanced arc protection
CA2699189C (en) Arc resistant switchgear vertical exhaust system
US6924721B2 (en) Gas segregator barrier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KR100906774B1 (ko)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CN103794988A (zh) 送气组件
KR102215103B1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KR101145723B1 (ko) 폐쇄배전반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KR100617363B1 (ko) 초집적형 폐쇄수전반
KR200398674Y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101057127B1 (ko) 콤팩트형 수배전반
RU2216084C2 (ru)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е на расход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US7548148B2 (en) Integral transformer junction module
JP2004072914A (ja) 電力用遮断器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KR100680027B1 (ko) 차단벽이 구비된 수변전장치
KR200325624Y1 (ko) 폐쇄형 수,배전 시스템
KR100562931B1 (ko) 폐쇄형 수,배전 시스템
CN213027427U (zh) 一种漏电断路器的接线座
KR100573023B1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US11657988B2 (en) Switchgear having a mounting base with an internal arc pat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