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846B1 -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846B1
KR101033846B1 KR1020070123175A KR20070123175A KR101033846B1 KR 101033846 B1 KR101033846 B1 KR 101033846B1 KR 1020070123175 A KR1020070123175 A KR 1020070123175A KR 20070123175 A KR20070123175 A KR 20070123175A KR 101033846 B1 KR101033846 B1 KR 101033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enclosure
panel
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146A (ko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주식회사 아이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주식회사 아이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07012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8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모터제어반, 수배전반 및 분전반 등과 같이 각종 전력시설과 장치들이 장착되는 함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체 내 배선용 전력케이블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고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가 필요 없게 되며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력설비용 함체는 함체(20,20-1) 내측의 상부면과 바닥면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해당 상부면과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패널을 배치하는 것으로 함체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 케이블덕트(25,23)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17,18,19)을 함체의 측면을 통해 인입/인출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6-2,26-1,24-1)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가 서로 마주하는 수평패널 내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17,18,19)을 상기 상, 하 케이블 덕트(25,23)내로 인입/인출하여 배선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6,2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시설, 함체, 케이블덕트, 배전, 수평패널

Description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A case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having power cable duct}
본 발명은 배전반, 모터제어반, 수배전반 및 분전반 등과 같이 각종 전력시설과 장치들이 장착되는 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함체 내 배선용 전력케이블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고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가 필요 없게 되며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모터제어반, 수배전반 및 분전반 등과 같은 각종 전력시설과 장치들은 모두 일정한 사이즈로 정형화된 직육면체형상의 함체내에 장착된다.
전력설비용 함체는 수백볼트에서 수만볼트의 전력을 다루는 관계로 대지와의 접지성, 안전성, 화재예방성, 그리고 주변영역과의 전자기적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금속패널로 조립 제작된다.
전력설비중의 하나인 수배전반을 예로 들면, 수배전반은 수만 볼트에 이르는 특고압을 수백 볼트의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아파트, 빌딩, 학교, 공장 등과 같은 수용가측에 전력을 공급해 주며 보통 수백kW∼수천kW정도의 용량으로 제작되는데, 그 내부를 살펴보면 주요 구성부품으로 고압변압기, 계기용변류기, 인입선로개폐 기, 고압퓨즈, 각종 계측기,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및 특고압 선로의 인입/인출과 분기배선을 위한 단자함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고압변압기 외에 최적운전제어기와 전력감시제어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가설이 용이하도록 단일 함체에 일체화시킨 패키지 타입으로 제작된다.
일반적인 고저압 일체형 원박스 패키지 타입의 수배전반은 전, 후방으로 나누어서 일측에는 고압설비를 배치하고 그 반대쪽에는 저압설비를 배치하며 작업자 및 관리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전방 및 후방의 고압부도어와 저압부도어는 각각 이중도어 형태로 설계하고 있다.
수배전반은 옥외설치형과 옥내설치형으로 나뉘어지는데, 옥내설치형과는 달리 옥외설치형은 기후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전력선로의 개설 및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고압케이블링 작업 등에서 작업상의 자유도가 떨어진다.
여기서 수배전반과 같은 함체형 전력설비내에서의 전력케이블의 배선과 고압의 인입인출을 위한 회로결선작업은 매우 중요한데, 만일 배선케이블에서의 단락이 일어날 경우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배전반 설비의 설치시 작업자들은 함체내 전력케이블의 정리와 고정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 전력설비의 시설 설치작업 또는 유지보수관리시 고려하게 되는 고압선로의 배선과 안정적인 세팅 및 유지를 위해서 전통적으로 배선용덕 트를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이미 완성품인 함체내부의 일측에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것은 단지 수배전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력시설이 장착된 모든 함체, 즉, 배전반, 모터제어반, 수배전반 및 분전반 등의 함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는 사안에 해당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설비 장착용 함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함체에 적용된 배전반 설비에서의 예시적인 전력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용 또는 수배전반용 함체(10-,10-1)를 보면 함체의 특정부위에 다수의 오프닝(13,13-1,14)이 마련되고 있어 이 오프닝(13,13-1,14)을 통해 특고전압이나 분기전압이 전력케이블(17,18,19)을 통하여 함체(10,10-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인출되고 인입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설비의 함체의 외관이 깨끗하고 단정하지 못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배전설비장착패널(12)상에 부착된 ACB(기중차단기)(15)와 MCCB(16)들에 의해 구성되는 배전실의 수많은 분기 배전케이블은 쉽게 정리정돈하기 어려워 별도의 케이블고정타이나 독립상품인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하여 정리하고 고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전력케이블을 숨기기가 어려워 외부에서 함체(10)의 도어를 열어 볼 경우 케이블링이 어수선한 내부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배전반 등이 연설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함체에서 인출된 특고압케이블이 다음 함체로 넘어갈 때 함체의 상부 등에 마련된 오프닝(13,13-1)을 통해 건 너가게 되므로 전력설비의 외관이 불량해 보일 뿐만 아니라 화재 및 안전상의 위험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전력설비용 함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설비의 함체내 배선용 전력케이블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고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가 필요 없게 되며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키면서 미려한 외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는 함체 내측의 상부면과 바닥면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해당 상부면과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패널을 배치하는 것으로 함체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 케이블덕트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을 함체의 측면을 통해 인접 함체 또는 외부로 인입/인출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를 이루는 수평패널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을 상기 상, 하 케이블 덕트내로 인입/인출하여 배선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는 배전반, 모터제어반, 수배전반 및 분전반 등과 같이 각종 전력시설과 장치들이 장착되는 함체에서 내부 배선용 전력케이블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게 되고 별도의 케이블 트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장착용 함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설비장착용 함체에 적용된 배전반 설비에서의 예시적인 전력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상태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함체(20) 내측의 상부면과 바닥면에는 각각 해당 상부면과 바각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그 상부면과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패널을 배치하여 이것에 의해 상 케이블덕트(25)와 하 케이블덕트(23)가 만들어지게 한다.
함체(20)의 내부 상단 공간부와 바닥면 바로위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 케이블덕트(25)와 하 케이블덕트(23)의 수직방향 측면, 즉, 해당 함체의 외측에서 바라볼 때 함체의 측벽 상단부 부근과 측벽 하단부 부위의 소정위치에 각각 전력케이블(17,18,19)을 인접 함체 또는 외부로 인입/인출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6-2,26-1,24-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가 서로 마주하는 수평패널 내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을 상기 상, 하 케이블 덕트(25,23)내로 인입/인출하여 배선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6,24)를 마련한다.
이와 같은 함체(20)의 구조는 2이상 다수개가 연속 설치되는 또 다른 함체(20-1)의 상, 하 케이블덕트(25, 23) 및 케이블인입인출구(26-2,26-1,24-1)와 완 전히 일치한다.
위 함체(20,20-1)의 내부에는 배전설비장착패널(22)가 설치되고 이 배전설비장착패널(22)상에는 ACB(기중차단기)(15)와 MCCB(16)들에 의해 구성되는 배전실 분기회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MCCB(16)에 접속된 전력케이블(19)은 상기 케이블인입인출구(24)를 통해 하 케이블덕트(23)내로 안내되어 또 다른 케이블인입인출구(24-1)로 인출(또는 인입)된다.
또 함체(20)의 외측벽 상단부근에 마련된 케이블인입인출구(26-1)를 통해 인입된 고압의 전력케이블(18)은 상기 상 케이블덕트(25)내로 안내되어 케이블인입인출구(26)로 유도 인출되어 상기 ACB(15)에 접속되고, ACB(15)에서 인출되는 고압의 전력케이블(17)은 다시 다른 케이블인입인출구(26)를 통해 상 케이블덕트(25)로 안내되고 상기 상 케이블덕트(25)를 통과하는 전력케이블(17)은 함체(20)의 케이블인입인출구(26-2)와 인접한 함체(20-1)의 케이블인입인출구를 거쳐 인접 함체(20-1)로 넘겨진다.
이렇듯, 전력설비용 함체의 상부와 하부에 통일적으로 마련된 케이블덕트 및 이들 케이블덕트를 통한 인접 함체간 전력케이블의 접속은 함체 외부로의 전력케이블 노출을 피할 수 있어 연속설치되는 전력설비용 함체의 외관을 미려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케이블덕트내에 전력케이블을 장입시켜 놓음으로써 전력설비용 함체의 도어(21)오픈시 불필요한 전력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화재의 위험성과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설비 장착용 함체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함체(20) 내측의 수직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직패널을 설치하여 측 케이블덕트(27)를 마련하고, 이 측 케이블덕트(27)의 소정의 위치에는 전력케이블 인출 및 인입을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8)를 마련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배전반 함체내에서의 복잡한 전력케이블을 상, 하 케이블덕트(25,23)외에 함체의 측벽을 따라 설치된 측 케이블덕트(27)를 이용하여 배전선로를 가지런하게 정돈할 수 있게 하며, 인접 함체와의 사이에서 전력을 인입하거나 인출하게 될 경우 전력케이블의 외부 노출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설비 장착용 함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함체에 적용된 배전반 설비에서의 예시적인 전력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장착용 함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설비장착용 함체에 적용된 배전반 설비에서의 예시적인 전력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설비 장착용 함체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1,20,20-1 : 함체 11,21 : 도어
12,22 : 배전설비장착패널 13,13-1,14 : 오프닝
15 : ACB 16: MCCB
17,18,19 : 전력케이블 23 : 하 케이블덕트
25 : 상 케이블덕트 27 : 측 케이블덕트
24,24-1,26,26-1,26-2,28 : 케이블인입인출구

Claims (2)

  1. 함체(20) 내측의 상부면과 바닥면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해당 상부면과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패널을 배치하는 것으로 함체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 케이블덕트(25,23)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17,18,19)을 함체의 측면을 통해 인접 함체 또는 외부로 인입/인출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6-2,26-1,24-1)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 케이블덕트를 이루는 수평패널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케이블(17,18,19)을 상기 상, 하 케이블 덕트(25,23)내로 인입/인출하여 배전설비장착패널(22)에 배선하기 위한 케이블인입인출구(26,2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2. 삭제
KR1020070123175A 2007-11-30 2007-11-30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KR10103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175A KR101033846B1 (ko) 2007-11-30 2007-11-30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175A KR101033846B1 (ko) 2007-11-30 2007-11-30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146A KR20090056146A (ko) 2009-06-03
KR101033846B1 true KR101033846B1 (ko) 2011-05-16

Family

ID=4098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175A KR101033846B1 (ko) 2007-11-30 2007-11-30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05B1 (ko) 2010-08-27 2012-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위치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705A (ja) * 1993-04-09 1994-10-28 Fuji Electric Co Ltd 電気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2003069259A (ja) 2001-08-27 2003-03-07 Kawamura Electric Inc 機器収納用ラック
KR20070078143A (ko) * 2006-01-26 2007-07-31 조병직 배전반용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705A (ja) * 1993-04-09 1994-10-28 Fuji Electric Co Ltd 電気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2003069259A (ja) 2001-08-27 2003-03-07 Kawamura Electric Inc 機器収納用ラック
KR20070078143A (ko) * 2006-01-26 2007-07-31 조병직 배전반용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05B1 (ko) 2010-08-27 2012-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위치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146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5403A (en) Low voltage switchboard
CN106992437B (zh) 配电柜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MX2007012884A (es) Bastidor de soporte para el montaje en la pared de un aparato electrico.
KR101336968B1 (ko) 다적재 멀티 배전반
KR100540204B1 (ko)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US6392141B1 (en) Electrical enclosure having dedicated wiring compartment
KR101033846B1 (ko)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US20160261055A1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for housing modular units and related components thereof
JPWO2008136112A1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KR100714799B1 (ko) 복합형 수배전반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US9692213B2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KR101173034B1 (ko) 고압전력용 일체형 수배전반
JP2002199515A (ja) 分電盤ユニットおよびそれで構成される分電盤
KR101570788B1 (ko) 케이블트레이가 구비된 모듈형 배전반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IT202100017669A1 (it) Cabina elettrica di trasformazione
KR101208594B1 (ko) 덕트형 분전함 모듈
CN106972351B (zh) 用于承载连接至电力电缆和通信电缆的模块的线槽
KR101359712B1 (ko) 모듈형 분전반
KR200279711Y1 (ko) 작업 및 보수로의 구조를 갖는 축소형배전반
KR200183804Y1 (ko)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223

Effective date: 201104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