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205B1 - 선박용 스위치보드 - Google Patents

선박용 스위치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205B1
KR101138205B1 KR1020100083492A KR20100083492A KR101138205B1 KR 101138205 B1 KR101138205 B1 KR 101138205B1 KR 1020100083492 A KR1020100083492 A KR 1020100083492A KR 20100083492 A KR20100083492 A KR 20100083492A KR 101138205 B1 KR101138205 B1 KR 10113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witchboard
ship
suppor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906A (ko
Inventor
윤명호
홍순용
김범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2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선박용 스위치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케이블인입구가 형성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케이블인입구의 상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블행거부와, 케이블인입구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스위치보드 {Swichboard for a ship}
본 발명은 스위치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용 스위치보드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설치되는 스위치보드는 설비에 필요한 다수의 케이블들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케이블들은 스위치보드의 상부 측을 통해 스위치보드와 연결된다. 즉, 스위치보드의 상부 측에는 케이블인입구 등이 형성되고, 케이블인입구를 통해 케이블들이 스위치보드 내로 인입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스위치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스위치보드(30)의 상부 측에는 케이블인입구(20)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블(10)은 케이블인입구(20)를 통해 스위치보드(30) 내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케이블(10) 설치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작업자가 케이블(10)을 들어 케이블인입구(20)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케이블(10) 설치작업이 이뤄진다.
그러나 케이블(10)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케이블(10)을 케이블인입구(20)에 직접 삽입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케이블(10)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방식은 작업자가 케이블(20)을 직접 드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 덧붙여, 케이블(20)의 하중이 과다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케이블(2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의 설치작업이 용이한 선박용 스위치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케이블인입구가 형성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인입구의 상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블행거부와, 상기 케이블인입구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행거부에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인입구의 하측에 결합구를 사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구는 상기 케이블지지부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지지부가 분리됨으로써, 케이블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케이블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행거부를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운항시 케이블(1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유동으로 인한 설비의 고장 및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스위치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행거부와 케이블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에 케이블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행거부(120)와 케이블지지부(14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의 상부에는 케이블인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인입구(110)로는 다수의 케이블들(미도시)이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인입구(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케이블행거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행거부(120)는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의 정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행거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고정홀(121)은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케이블고정홀(121)들은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고정홀(121)들은 상기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케이블고정홀(121)들이 일렬로 배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케이블행거부(120)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상기 다수의 케이블들을 케이블인입부(110)에 인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케이블인입구(110)의 양측에는 플랜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0)는 케이블인입구(110)의 외주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30)는 케이블행거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플랜지부(130)의 하측에는 후술할 케이블지지부(140)가 결합되는 제 1 체결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인입구(110)에 하측에 체결되는 케이블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케이블지지부(140)는 케이블인입구(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케이블들을 지지한다.
케이블지지부(140)는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와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지지부(140)는 결합구(141)를 사용하여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와 체결될 수 있다.
결합구(141)는 볼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구(141)는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구(141)는 상기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구(141)로 볼트(141)를 사용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케이블지지부(140)에는 결합구(1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 2 볼트체결홀(142)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131)에는 복수개의 제 2 볼트체결홀(142)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1 볼트체결홀(13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140)는 결합구(141)가 제 1 볼트체결홀(132) 및 제 2 볼트체결홀(142)에 삽입됨으로써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구(141)는 케이블지지부(140)의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케이블지지부(14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케이블지지부(140)는 일면이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상기 다수의 케이블들을 케이블인입구(110)에 인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케이블지지부(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살(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강살(143)은 케이블지지부(14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살(143)은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살(143)들은 케이블지지부(141)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에 케이블(10)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에 케이블(10)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케이블지지부(140)가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10) 설치를 시작한다. 작업자는 먼저 케이블(10)을 케이블인입구(110)로 끌어올린다. 이때, 케이블지지부(140)가 분리되어 케이블인입구(110)의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케이블(10)을 케이블인입구(110)로 끌어올릴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경우 케이블(10)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소형기중기(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선박용 스위치보드(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을 의존하였던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지지부(140)가 분리되어 상기 소형기중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10)이 케이블인입구(110) 측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고정부재(122)를 사용하여 케이블(10)을 케이블행거부(12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10)이 케이블행거부(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선박의 운항시 케이블(1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10)이 케이블행거부(120)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케이블지지부(140)를 제 1 체결부(131)에 결합시킨다.
먼저, 작업자는 케이블지지부(140)에 형성된 제 2 볼트체결홀(142)과 제 1 체결부(131)에 형성된 제 1 볼트체결홀(132)이 일치하도록 케이블지지부(140)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 1 볼트체결홀(132) 및 제 2 볼트체결홀(142)에 결합구(141, 도 2 참고)를 삽입한다.
이때, 결합구(141)는 케이블지지부(1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삽입된다. 즉, 작업자는 결합구(141)를 케이블지지부(1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체결한다. 케이블지지부(110)는 선박용 스위치보드(100)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와 같은 결합구(141)의 체결방향은 케이블지지부(1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지지부(140)가 조립되면, 케이블(10)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케이블지지부(1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블(10)을 입선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케이블(10)을 직접 들어 케이블인입구(110)에 케이블(10)을 인입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행거부(120) 및 케이블지지부(140)가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케이블(10)의 인입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지지부(140)가 분리됨으로써, 케이블(10)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케이블(10)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감축될 수 있다.
또한,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인입구(110)의 하측이 개방됨으로써, 케이블(10) 설치작업시 상기 소형기중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케이블(10)의 크기나 중량이 과다한 경우 작업자에게 발생하였던 근골격계질환 및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행거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운항시 케이블(1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0)의 유동으로 인한 설비의 고장 및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케이블행거부(120) 및 케이블지지부(140)가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케이블(10)의 인입이 용이하다. 덧붙여, 선박용 스위치보드(100)는 결합구(141)가 케이블지지부(1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케이블지지부(140)의 조립작업이 간편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선박용 스위치보드
110: 케이블인입구
120: 케이블행거부
130: 플랜지부
140: 케이블지지부

Claims (6)

  1. 상부에 케이블인입구가 형성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인입구의 상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블행거부와,
    상기 케이블인입구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측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행거부에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홀이 형성된 선박용 스위치보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지지부는 상기 케이블인입구의 하측에 결합구를 사용하여 체결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케이블지지부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체결되는 선박용 스위치보드.
  6. 삭제
KR1020100083492A 2010-08-27 2010-08-27 선박용 스위치보드 KR10113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492A KR101138205B1 (ko) 2010-08-27 2010-08-27 선박용 스위치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492A KR101138205B1 (ko) 2010-08-27 2010-08-27 선박용 스위치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06A KR20120019906A (ko) 2012-03-07
KR101138205B1 true KR101138205B1 (ko) 2012-05-10

Family

ID=4612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492A KR101138205B1 (ko) 2010-08-27 2010-08-27 선박용 스위치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784U (ko) 1985-09-17 1987-03-31
KR20050028194A (ko) * 2003-09-17 2005-03-22 (주)엠케이산업 엑스레이 차폐용 챔버 구조 및 이를 위한 케이블 덕트
KR100835679B1 (ko) * 2008-04-07 2008-06-05 (주)동남이엔지 케이블 코밍장치
KR101033846B1 (ko) 2007-11-30 2011-05-16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784U (ko) 1985-09-17 1987-03-31
KR20050028194A (ko) * 2003-09-17 2005-03-22 (주)엠케이산업 엑스레이 차폐용 챔버 구조 및 이를 위한 케이블 덕트
KR101033846B1 (ko) 2007-11-30 2011-05-16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KR100835679B1 (ko) * 2008-04-07 2008-06-05 (주)동남이엔지 케이블 코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06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0476339Y1 (ko) 그레이팅 설치용 인양장치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101138205B1 (ko) 선박용 스위치보드
KR100655132B1 (ko)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CN203474186U (zh) 一种施工用临时电梯井防护门
CN111593898A (zh) 一种可调节周转卸料平台及安装方法
KR200469390Y1 (ko) 선박용 비계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CN106006314A (zh) 一种电梯轿顶安全护栏
KR101744790B1 (ko)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CN210795537U (zh) 模块式组装机架
KR101302977B1 (ko) 족장 고정장치
KR101820695B1 (ko)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KR100655141B1 (ko) 전기설비용 콘센트박스 시공방법
KR20080002071U (ko) 특수족장설비의 안전용 핸드레일 설치구조
CN217790051U (zh) 一种便于吊装的大型数据中心机柜
CN219011976U (zh) 一种节段钢筋笼拼装平台用开合机构及系统
KR20130127763A (ko) 작업용 비계
KR20140005570A (ko) 보조 전로용 체결식 행거
CN209976003U (zh) 一种脚手架的踏板间隙填充板
KR102308112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CN212773547U (zh) 一种可调节周转卸料平台
KR101224917B1 (ko) 족장 지그
CN211598491U (zh) 一种混凝土搅拌运输车可拆卸式爬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