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90B1 -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90B1
KR101744790B1 KR1020160168326A KR20160168326A KR101744790B1 KR 101744790 B1 KR101744790 B1 KR 101744790B1 KR 1020160168326 A KR1020160168326 A KR 1020160168326A KR 20160168326 A KR20160168326 A KR 20160168326A KR 101744790 B1 KR101744790 B1 KR 10174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am
frame
fix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락
백동주
정우진
조성태
류화성
김득모
신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주)한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주)한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6016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폼을 연결한 테이블폼에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설치하여 단위 테이블폼을 모듈화함으로써 통상의 동바리보다 층고가 높은 구조물 형성시, 복수의 단위폼과 동바리의 연결 및 해체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여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감있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단위폼 및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모듈화한 단위 테이블폼은 인양안내부재를 통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인건비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Unit table for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위폼을 연결한 테이블폼에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설치하여 단위 테이블폼을 모듈화함으로써 통상의 동바리보다 층고가 높은 구조물 형성시, 복수의 단위폼 및 동바리 연결과 해체에 따른 작업공정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토목 및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판의 재료에 따른 합판형틀, 강재형틀, 단위폼(유로폼), 알루미늄폼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단위폼(유로폼)은 사각형태의 패널과 상기 패널을 둘러싸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단위폼을 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연결한 슬래브 거푸집을 멍에와 장선 및 동바리로 순차적으로 받쳐 지지하도록 한 후,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거푸집은 복수의 단위폼과 동바리를 각각 연결 및 해체하여야 하는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수의 단위폼과 동바리의 연결 및 해체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 여건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915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단위폼을 연결한 테이블폼에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설치하여 단위 테이블폼을 모듈화함으로써 통상의 동바리보다 층고가 높은 구조물 형성시, 복수의 단위폼과 동바리의 연결 및 해체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능률 향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단위폼 및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모듈화한 단위 테이블폼은 인양안내부재를 통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은,
다수의 핀홀이 관통된 프레임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를 핀홀이 관통된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면서 상기 프레임에 패널을 장착하여 형성한 단위폼과;
상기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웨지핀으로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을 형성하는 테이블폼과;
상기 테이블폼 저면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수의 멍에를 단위폼 또는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고정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멍에와 직교되도록 멍에 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장선을 단위폼 또는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고정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와;
통상의 동바리보다 높은 층고의 구조물 형성 시, 상기 장선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에 통상의 동바리가 일체로 연결되어 장착고정되는 연결받침대와;
인양장비에 의한 상기 테이블폼의 인양을 안내하도록 멍에 또는 장선의 양단부에 대향하게 장착되는 인양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폼을 연결한 테이블폼에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설치하여 단위 테이블폼을 모듈화함으로써 통상의 동바리보다 층고가 높은 구조물 형성시, 복수의 단위폼과 동바리의 연결 및 해체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능률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발생 여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정감있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폼 및 통상의 동바리가 연결된 연결받침대를 모듈화한 단위 테이블폼은 인양안내부재를 통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인건비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의 제작과정도
도 2는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의 개략적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의 측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에 설치되는 받침브라켓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의 제작과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의 개략적인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100)은, 다수의 핀홀(111')이 관통된 프레임(111)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를 핀홀(111')이 관통된 프레임(111)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면서 상기 프레임(111)에 패널(112)을 장착하여 형성한 단위폼(110)이 구성되고, 상기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프레임(111)에 관통된 핀홀(111')을 웨지핀(121)으로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을 형성하는 테이블폼(120)이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폼(120) 저면의 프레임(111)에 장착되는 다수의 멍에(130)를 단위폼(110) 또는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프레임(111)에 관통된 핀홀(111')을 통해 고정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140)가 구성되고, 상기 멍에(130)와 직교되도록 멍에(130) 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장선(150)을 단위폼(110) 또는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프레임(111)에 관통된 핀홀(111')을 통해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140) 또는 제2고정부재(160)가 구성되며, 통상의 동바리(10)보다 높은 층고의 구조물 형성 시, 상기 장선(150)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160)에 통상의 동바리(1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장착고정되는 연결받침대(170)가 구성되고, 인양장비에 의한 상기 테이블폼(120)의 인양을 안내하도록 멍에(130) 또는 장선(150)의 양단부에 대향하게 장착되는 인양안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고정부재(140)는, 상기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핀홀(111')에 결합되면서 멍에(130)를 수용하도록 하는 U자형의 볼트(141)가 구비되고, 상기 U자형 볼트(141) 단부가 돌출되도록 U자형 볼트(141)에 결합되어 멍에(130) 저면에 밀착되면서 일정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부로 개구되어 절곡된 브라켓(142)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142)으로 돌출되는 U자형 볼트(141)에 체결고정되는 너트(1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60)는, 상기 단위폼(110)의 프레임(111)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프레임(111) 사이에 결합되어 웨지핀(121)이 핀홀(111')에 장착고정되는 볼트부재(161)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부재(161) 단부가 돌출되도록 볼트부재(161)에 결합되어 장선(150) 저면에 밀착되면서 장선(150)을 수용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단부가 절곡된 브라켓(162)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162)으로 돌출된 볼트부재(161)에 체결고정되는 너트(1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받침대(170)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상단부에 연결받침편(171a)이 형성된 연결받침부재(17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받침편(171a)을 수용하면서 제2고정부재(160)에 장착되는 상부연결부재(17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받침부재(17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통상의 동바리(10)의 연결받침편(11)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하부연결부재(17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하부연결부재(172)(173)는, 상기 연결받침편(171a)(11)을 각각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절곡된 연결브라켓(172a)(173a)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72a)(173a)에 각각 수용된 연결받침편(171a)(11)을 고정시키도록 연결브라켓(172a)(173a)에 관통된 통공(172b)(173b)으로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고정핀(172c)(173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인양안내부(180)는, 상기 테이블폼(120)의 저면 및 멍에(130)에 밀착되도록 제1고정부재(140)로 고정되는 안내몸체(18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몸체(181)에 고정되어 단부가 장선(150) 외부로 돌출되도록 2개 1조의 장선(150) 사이로 결합되면서 인양안내공 또는 인양안내고리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인양안내부재(18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위 테이블폼(100) 가장자리의 프레임(111)에 관통된 핀홀(111')에 걸이쇠(191)를 장착하여 받침목(19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핀홀(111')이 관통된 프레임(111)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핀홀(111')이 관통된 프레임(111)을 연결하여 보강함으로써, 패널(112)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111)에 패널(112)을 장착하여 단위폼(110)을 형성한다.
상기 단위폼(110)은 정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단위폼(110) 프레임(111)에 인접하는 단위폼(110') 프레임(111)을 밀착시킨 후, 상기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프레임(111)에 관통된 핀홀(111')로 웨지핀(121)을 결합하여 웨지핀(121)의 일측이 핀홀(111')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핀홀(111')로 돌출된 웨지핀(121)의 통공(미도시)으로 고정핀(121')을 결합하면서 웨지핀(121)과 고정핀(121')에 의해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을 고정하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다수의 단위폼(110)이 연결되어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모듈화하는 테이블폼(1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폼(120) 저면 즉, 상기 단위폼(110)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이 중첩되는 부분의 프레임(111) 및 상기 프레임(111) 내부를 보강하는 프레임(111)에 다수의 멍에(13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멍에(130) 상부의 프레임(111)에 형성된 핀홀(111')에 제1고정부재(140)의 U자형 볼트(141)를 결합하면서 U자형 볼트(141) 단부가 멍에(130)를 수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멍에(130)를 수용한 상기 U자형볼트(141)에 브라켓(142)을 결합하여 U자형 볼트(141) 단부가 돌출되면서 멍에(130)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브라켓(142)으로 돌출된 U자형 볼트(141)에 너트(143)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테이블폼(120) 저면에 다수의 멍에(130)를 제1고정부재(140)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42)은 하부로 개구되도록 절곡되므로 일정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142) 내부에 너트(143)가 위치하여 너트(14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40)로 고정된 멍에(130)와 직교되도록 멍에(130) 저면에 1개 또는 2개 1조의 다수의 장선(150)을 위치시킨 후, 상기 멍에(130)를 제1고정부재(140)로 고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선(150)을 단위폼(110)의 프레임(111)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장선(150)을 제2고정부재(160)로 고정할 수 있는데, 상기 제2고정부재(160)는, 상기 단위폼(110)의 프레임(111)과 인접하는 단위폼(110')의 프레임(111) 사이에 단부가 편상인 볼트부재(161)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161)에 관통된 통공(미도시)이 프레임(111)에 관통된 핀홀(111')과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핀홀(111')로 웨지핀(121)이 결합하여 돌출되도록 한 후, 돌출된 웨지핀(121)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으로 고정핀(121')을 결합하면서 웨지핀(121)에 의해 볼트부재(161)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볼트부재(161)에 1개 또는 2개 1조의 장선(150)을 수용하는 브라켓(162)을 결합하여 볼트부재(161) 단부가 돌출되면서 장선(150)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브라켓(162)으로 돌출된 볼트부재(161)에 너트(163)를 체결고정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162) 양단부가 절곡되어 2개 1조의 장선(150)의 측면에 밀착되므로 장선(15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감있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선(150)을 고정하는 다수의 제2고정부재(160) 중 일정간격의 제2고정부재(160)에는 연결받침대(170)를 설치하는데, 상기 연결받침대(170)는, 상기 장선(150)에 밀착된 제2고정부재(160)의 브라켓(162)에 상부연결부재(172)의 연결브라켓(172a)을 밀착시켜 내부의 통공(미도시)으로 볼트부재(161) 단부가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볼트부재(161)에 너트(163)를 체결하여 제2고정부재(160)의 브라켓(162)과 상부연결부재(172)의 연결브라켓(172a)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172a)이 브라켓(162)에 고정되면, 상기 연결브라켓(172a)에 연결받침부재(171)의 연결받침편(171a)을 밀착시키는데, 상기 연결받침부재(171)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므로 연결브라켓(172a)으로 돌출된 볼트부재(161) 단부와 너트(163)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브라켓(172a)에 연결받침편(171a)이 밀착되면, 연결브라켓(172a) 양단부의 절곡된 부분에 대향하게 관통된 통공(172b)으로 연결고정핀(172c)을 각각 결합하여 한 쌍의 연결고정핀(172c)이 연결받침편(171a)에 밀착되면서 연결받침부재(171)를 수용하므로 연결받침편(17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연결받침대(170)의 상부연결부재(172)가 연결받침부재(171)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받침편(171a)을 수용하면, 상기 연결받침부재(171)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연결부재(173)에는 회전부재(12)에 의해 하단부가 승강하는 통상의 동바리(10)를 장착하는데, 하부연결부재(173)의 연결브라켓(173a)에 통상의 동바리(10)의 연결받침대(11)를 밀착시킨다.
상기 연결브라켓(173a)에 연결받침편(11)이 밀착되면, 연결브라켓(173a) 양단부의 절곡된 부분에 대향하게 관통된 통공(173b)으로 연결고정핀(173c)을 각각 결합하여 한 쌍의 연결고정핀(173c)이 연결받침편(11)에 밀착되면서 통상의 동바리(10)를 수용하므로 연결받침편(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양장비에 의한 상기 테이블폼(120)의 인양을 안내하도록 테이블폼(120)의 저면 및 멍에(130)에 인양안내부(180)를 장착하는데, 상기 인양안내부(180)는, 상기 장선(150)과 동일선상으로 테이블폼(120) 저면 및 멍에(130)에 안내몸체(181)를 밀착시키면서 상기 안내몸체(181)에 고정된 인양안내부재(182)를 2개 1조의 장선(150) 사이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안내몸체(181)를 제1고정부재(140)에 의해 테이블폼(120)에 고정하면서 본 발명 단위 테이블폼(10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양안내부재(182)는 테이블폼(120) 단부로 돌출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된 단위 테이블폼(100)을 통상의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로 일정 간격 인양하거나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에 고리(미도시)를 인양안내부재(182)에 형성된 인양안내공 또는 인양안내고리에 장착하여 인양장비에 의해 상부로 인양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테이블폼(100)이 일정간격으로 인양되면, 통상의 동바리(10)에 형성된 회전부재(12)를 회전시켜 통상의 동바리(10)의 하단부가 하강하여 하부 슬래브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승강장치(미도시) 및 인양장비와의 연결을 분리하면서 단위 테이블폼(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 단위 테이블폼(100)이 설치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테이블폼(100)에 단위 테이블폼(100)과 인접하는 단위 테이블폼(100')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설치한 후, 상기 단위 테이블폼(100)과 인접하는 단위 테이블폼(100')의 핀홀(111')에 웨지핀(121)을 결합하여 돌출시킨 상태에서 돌출된 웨지핀(121)의 통공(미도시)에 고정핀(122)을 결합하여 과정을 반복하면서 슬래브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연결받침대(170)의 길이만큼 통상의 동바리(10)보다 높은 층고의 구조물의 슬래브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테이블폼(100) 또는 단위 테이블폼(100)과 인접하는 단위 테이블폼(100')의 테이블폼(120) 가장자리에는 받침브라켓(190)을 장착하여 받침목(190')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받침브라켓(190)은 받침브라켓(190)에 형성된 걸이쇠(191)가 핀홀(111')에 장착되어 받침목(190')에 장착되는 받침브라켓(19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조물의 슬래브가 형성되면, 승강장치(미도시)를 슬래브 거푸집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승강장치(미도시)의 상향 이동으로 단위 테이블폼(100)을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통상의 동바리(10)에 형성된 회전부재(12)를 회전시켜 통상의 동바리(10)의 하단부가 하부 슬래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상승되도록 한 후, 단위 테이블폼(100)과 인접하는 테이블폼을 연결한 고정핀(122)과 웨지핀(121)을 해체한다.
상기 고정핀(122)과 웨지핀(121)의 해체로 연결이 분리된 단위 테이블폼(100)을 하부 슬래브 바닥면 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인양안내부(180)의 인양안내부재(182)에 형성된 인양안내공 또는 인양안내고리 중 어느 하나를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미도시)의 고리와 연결한 후, 상기 인양장비에 의해 단위 테이블폼(100)을 상부 슬래브의 상면으로 이동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단위 테이블폼 110: 단위폼
120: 테이블폼 130: 멍에
140: 제1고정부재 150: 장선
160: 제2고정부재 170: 연결받침대
180: 인양안내부 190: 받침브라켓

Claims (7)

  1. 다수의 핀홀이 관통된 프레임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를 핀홀이 관통된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면서 상기 프레임에 패널을 장착하여 형성한 단위폼과;
    상기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웨지핀으로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을 형성하는 테이블폼과;
    상기 테이블폼 저면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수의 멍에를 단위폼 또는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고정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멍에와 직교되도록 멍에 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장선을 단위폼 또는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고정하는 다수의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와;
    통상의 동바리보다 높은 층고의 구조물 형성 시, 상기 장선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에 통상의 동바리가 일체로 연결되어 장착고정되는 연결받침대와;
    상기 멍에 또는 장선의 양단부에 대향하게 장착되어 인양장비에 의한 테이블폼의 인양을 안내하도록 상기 테이블폼의 저면 및 멍에에 제1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안내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몸체에 고정되어 단부가 장선 외부로 돌출되도록 2개 1조의 장선 사이로 결합되면서 인양안내공 또는 인양안내고리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인양안내부재가 구비된 인양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받침대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상단부에 연결받침편이 형성된 연결받침부재와;
    상기 연결받침편을 수용하면서 제2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받침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통상의 동바리의 연결받침편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하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받침편을 각각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절곡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에 수용된 연결받침편을 각각 고정시키도록 연결브라켓에 관통된 통공으로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고정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테이블폼 가장자리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에 걸이쇠를 장착하여 받침목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
  6. 다수의 핀홀이 관통된 프레임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를 핀홀이 관통된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보강하면서 상기 프레임에 패널을 장착하여 단위폼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웨지핀으로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테이블폼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테이블폼 저면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수의 멍에를 단위폼 또는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제1고정부재로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멍에와 직교되도록 멍에 저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장선을 단위폼 또는 단위폼과 인접하는 단위폼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을 통해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로 고정하는 제4단계와;
    통상의 동바리보다 높은 층고의 구조물 형성 시, 상기 장선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에 통상의 동바리가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받침대가 장착고정되는 제5단계와;
    상기 멍에 또는 장선의 양단부에 대향하게 장착되어 인양장비에 의한 테이블폼의 인양을 안내하도록 상기 테이블폼의 저면 및 멍에에 제1고정부재로 고정되는 안내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몸체에 고정되어 단부가 장선 외부로 돌출되도록 2개 1조의 장선 사이로 결합되면서 인양안내공 또는 인양안내고리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인양안내부재가 구비된 인양안내부를 장착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의 제작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내지 6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단위 테이블폼 가장자리의 프레임에 관통된 핀홀에 걸이쇠를 장착하면서 받침목을 받침브라켓이 받쳐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의 제작방법.
KR1020160168326A 2016-12-12 2016-12-12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KR10174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26A KR101744790B1 (ko) 2016-12-12 2016-12-12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26A KR101744790B1 (ko) 2016-12-12 2016-12-12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790B1 true KR101744790B1 (ko) 2017-06-09

Family

ID=5922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326A KR101744790B1 (ko) 2016-12-12 2016-12-12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85B1 (ko) * 2021-03-02 2021-11-10 황동근 거푸집용 멍에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48B1 (ko) * 2005-12-30 2006-10-25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48B1 (ko) * 2005-12-30 2006-10-25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85B1 (ko) * 2021-03-02 2021-11-10 황동근 거푸집용 멍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1191A (ko)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KR101608472B1 (ko)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744790B1 (ko) 동바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테이블폼과 이의 제작방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CN216428980U (zh) 一种悬挑工字钢脚手架结构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CN210619988U (zh) 建筑模块单元的起吊装置
KR20110131336A (ko) 안전 작업대유닛
CN111058622A (zh) 一种柱钢筋采用绑扎搭接方式的大钢模现浇柱施工方法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12773547U (zh) 一种可调节周转卸料平台
CN217711842U (zh) 一种框架结构作业层水平洞口可周转安全防护装置
CN217268946U (zh) 建筑施工楼层中的铝合金模板倒料提升机
KR102656619B1 (ko) 슬래브 패널 지지 장치
CN219138354U (zh) 降板吊模固定装置
KR101109492B1 (ko) 거푸집 판넬의 조립틀 구조
KR102402921B1 (ko) 스마트 커넥팅 멤버를 이용한 샌드위치 피씨패널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RU46027U1 (ru) Консольно-переставные леса
CN217142841U (zh) 钢板剪力墙结构的焊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