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336A - 안전 작업대유닛 - Google Patents

안전 작업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336A
KR20110131336A KR1020100050714A KR20100050714A KR20110131336A KR 20110131336 A KR20110131336 A KR 20110131336A KR 1020100050714 A KR1020100050714 A KR 1020100050714A KR 20100050714 A KR20100050714 A KR 20100050714A KR 20110131336 A KR20110131336 A KR 2011013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andrail
main frame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805B1 (ko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102010005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8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안전 작업대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유닛은, 판넬의 일측면에 마련된 수직보강빔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안전발판이 지지되도록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에 관통형성된 제1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제1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절곡되어 수직보강빔에 관통형성된 제2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갖는 체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안전발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안전 작업대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작업대유닛{Safety working table unit}
본 발명은 안전 작업대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안전발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안전 작업대유닛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판넬로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판넬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하에서 판넬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또는 기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넬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판넬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과,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판넬을 말한다. 유로폼의 프로파일에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유로폼 상호 간을 웨지핀을 통해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웨지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갱폼 또는 유로폼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완성한 후에는 완성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한편, 거푸집을 조립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이 판넬의 상측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렇듯 고소(高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넬의 상측에 안전발판과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도 1은 유로폼에 설치된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10)은 유로폼(U)의 프로파일(UP)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암(11, 12)과, 결합암(11, 1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암(13)과, 결합암(11, 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전발판(14)과, 다수의 수직암(13)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핸드레일(15)을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암(11, 12)의 일단부에는 각각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유로폼(U)의 프로파일(UP)에 형성된 웨지핀홀(WH)과 연통되는 결합홀(H)이 관통형성되는 브래킷(B)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10)은 결합홀(H) 및 웨지핀홀(WH)을 따라 웨지핀(미도시)을 체결함으로써 결합암(11, 12)을 유로폼(U)에 고정시키고, 다수의 결합암(11, 12)의 상부에 안전발판(14)을 거치시키며, 다수의 수직암(13)에 걸쳐 핸드레일(15)을 배치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결합암(11, 12)의 브래킷(B)은 한 쌍의 프로파일(UP)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므로 브래킷(B)의 폭은 한 쌍의 프로파일(UP)의 폭의 합보다 커야만 하며, 웨지핀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해 결합홀(H)의 크기는 웨지핀홀(WH)의 크기보다 커야만 하게 된다.
이러한 크기의 차이에 따라,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10)은 브래킷(B)과 프로파일(UP)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며 결합홀(H)과 웨지핀홀(WH)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므로, 결합암(11, 12)이 유로폼(UP)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안전발판(14)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10)은 안전 작업대유닛(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한 쌍의 결합암(11, 12)을 마련해야만 하고, 이를 각각 유로폼(UP)에 체결해야 하므로 설치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의 난이도도 높아지게 되어 공기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10)은 유로폼(UP)에만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므로 갱폼 또는 기타 판넬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안전발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안전 작업대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판넬의 일측면에 마련된 수직보강빔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안전발판이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형성된 제1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절곡되어 상기 수직보강빔에 관통형성된 제2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갖는 체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수직보강빔에 대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보강빔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보강빔의 일측면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회전방지부일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은 상기 수직보강빔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수직보강빔이 상호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공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부일 수 있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수직보강빔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 삽입부에 결합되는 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안전발판을 고정하는 발판고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고정모듈은,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안전발판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양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보강빔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바디삽입공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절곡부는 각각, 상기 안전발판의 상면을 덮는 격자망에 형성된 다수의 격자 중 어느 하나의 격자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에 다수의 핸드레일을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핸드레일 결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 결합모듈은, 상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핸드레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작업대유닛은, 상기 안전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상기 판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드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마련되는 추락방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모듈은, 상기 핸드레일이 마련된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가로빔; 상기 가로빔을 상호 연결하는 세로빔; 및 상기 가로빔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핸드레일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핸드레일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 고정부는, 상기 핸드레일의 일단부가 관통삽입되는 핸드레일 삽입부; 및 상기 핸드레일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핸드레일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핸드레일 삽입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부가 수직보강빔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체결모듈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안전발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안전 작업대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유로폼에 설치된 종래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작업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지지프레임을 갖는 도 2의 안전 작업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체결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발판고정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핸드레일 결합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판넬에 결합된 상태의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발판고정모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핸드레일 결합모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작업대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지지프레임을 갖는 도 2의 안전 작업대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체결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발판고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핸드레일 결합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9는 판넬에 결합된 상태의 도 2의 안전 작업대유닛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발판고정모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11은 핸드레일 결합모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작업대유닛(100)은 수직보강빔(PV)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120)과, 메인프레임(110) 및 지지프레임(120)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과, 핸드레일(HR)이 결합되는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과, 메인프레임(110)을 판넬(P)에 고정시키는 체결모듈(150)과, 메인프레임(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60)와, 메인프레임(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1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판넬(P)은 본 출원인의 다른 출원인 "코너가 보강된 시스템판넬(출원번호 제10-2009-0052734호)"을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유닛(100)은 갱폼 및 특수폼 등에 있어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메인프레임(110)은 판넬(P)의 일측면에 마련된 수직보강빔(PV)에 결합되는 금속성 부재이다.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너트(N1)의 체결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재형상의 보강플레이트(111)가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메인프레임(110)에는 보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체결공(111a)과 상호 연통되는 체결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되며, 메인프레임(110)의 체결공 및 보강플레이트(111)의 제1 체결공(111a)을 따라서는 후술하는 체결모듈(150)의 제1 삽입부(151)가 삽입되어 너트(N1)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이 수직보강빔(PV)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프레임(120)은 안전발판(FB)이 지지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상단부에서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성 부재이다. 지지프레임(120)은 안전발판(FB)이 지지되는 공간이 충분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지지프레임(120)에는 후술하는 발판고정모듈(200)의 바디부(210)가 삽입되기 위한 바디삽입공(120a)이 관통형성된다.
경사프레임(130)은 메인프레임(110)의 전면과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을 상호 연결하는 금속성 부재이다. 메인프레임(110) 및 지지프레임(120)은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데,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반복 사용시 피로의 누적에 따라 연결지점이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사프레임(130)을 통해 메인프레임(110) 및 지지프레임(120)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연결강도를 보강하고 이를 통해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지지프레임(120) 및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은 지지프레임(120)의 하면과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의 배면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편(R)에 의하여 연결강도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은 지지프레임(120)의 일단부에서 지지프레임(1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금속성 부재이다.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은 다수의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 걸쳐 배치되는 핸드레일(HR)이 적어도 2개 이상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는 후술하는 핸드레일 결합모듈(300)이 체결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공(140a)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모듈(150)은 판넬(P)에 메인프레임(1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판넬(P)의 수직보강빔(PV)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메인프레임(110)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체결모듈(150)은 메인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삽입부(151)와, 제1 삽입부(15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절곡되어 수직보강빔(PV)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 삽입부(152)와, 제1 삽입부(151) 및 제2 삽입부(152)의 연결지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동방지부재(153)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151)는 메인프레임(110)의 체결공 및 보강플레이트(111)의 제1 체결공(111a)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너트(N1)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10)의 전면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제1 삽입부(151)의 일단부에는 각산 볼트의 나사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나사산(S1)이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을 각산 볼트의 나사산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하는 것은 너트(N1)의 회전량을 줄임으로써 제1 삽입부(151)가 메인프레임(110)에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은 일반적인 나사산에 비해 큰 두께를 갖도록 또한 나사산(S1) 사이의 간격이 일반적인 나사산에 비해 충분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이에 체결되는 너트(N1)를 적게 회전시키고도 너트(N1)의 이동거리를 늘릴 수 있게 되어 체결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은 반복 사용시에도 쉽게 마모되지 않는 특징을 가짐으로써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반복사용횟수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제2 삽입부(152)는 제1 삽입부(15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절곡되어 판넬(P)의 수직보강빔(PV)에 형성된 제2 체결공(H2)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너트(N2)에 의하여 수직보강빔(PV)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제2 삽입부(152)의 일단부에는 나사산(S2)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2 삽입부(152)의 나사산(S2)은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과 달리 각산 볼트의 나사산이 아닌 일반적인 나사산으로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즉, 제2 삽입부(152)는 제1 삽입부(151)에 비해 작은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바 그 나사산(S2)도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과 다른 형식으로 채택될 수 있게 된다.
유동방지부재(153)는 제1 삽입부(151) 및 제2 삽입부(152)의 연결지점에 인접한 제2 삽입부(152)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유동방지부재(153)는 일반적인 와셔 등을 제2 삽입부(152)의 일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거나 제2 삽입부(152)를 제2 체결공(H2)에 삽입하기 전에 제2 삽입부(152)의 일측에 끼워넣음으로써 제2 삽입부(152)의 일측에 마련된다. 유동방지부재(153)는 제2 삽입부(152)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S2)을 따라 체결되는 너트(N2)의 조임에 따라 수직보강빔(PV)의 일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제2 삽입부(152)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회전방지부(160)는 수직보강빔(PV)에 대한 메인프레임(110)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에 너트(N1)를 조이는 경우 또는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사용에 있어서 일정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메인프레임(110)에는 일정한 회전모멘트가 걸리게 되므로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이 수직보강빔(PV)에 대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의 회전은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전체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방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회전방지부(160)가 마련된다.
회전방지부(160)는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또한 메인프레임(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수직보강빔(PV) 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물론 회전방지부(160)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폭(W1)은 수직보강빔(PV)의 폭(W2)보다 크게 마련되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면은 수직보강빔(PV)의 일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전방지부(160)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이 시계방향(도 7의 C 방향)으로 회전모멘트를 받는 경우 메인프레임(110)의 하단에 마련된 회전방지부(160)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며, 메인프레임(110)이 반 시계방향(도 7의 CC 방향)으로 회전모멘트를 받는 경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마련된 회전방지부(160)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지부(170)는 회전방지부(160)가 마련된 지점에 대향되는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지지부(170)의 일측면은 메인프레임(110)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타측면은 메인프레임(110)을 수직보강빔(PV)에 결합하는 경우 판넬(P)의 판면부(PB)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을 따라 너트(N)를 조임하는 경우 메인프레임(110)이 유동(들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70)는 회전방지부(16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70)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처럼 지지부(170)를 한 쌍으로 마련하는 것은 제1 삽입부(151)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삽입부(151)는 한 쌍의 지지부(17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10) 및 보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S1)에 너트(N)가 조임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을 판넬(P)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작업대유닛(100)은 지지프레임(120)에 안전발판(FB)을 고정하는 발판고정모듈(200)과,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 핸드레일(HR)을 결합하는 핸드레일 결합모듈(300)과, 안전발판(FB)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추락방지모듈(400)을 더 포함한다.
발판고정모듈(200)은 다수의 지지프레임(120)에 걸쳐 안착되는 안전발판(FB)을 지지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바디부(210)와, 바디부(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접촉부(220)와, 접촉부(22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230, 240)를 포함한다.
바디부(210)는 지지프레임(120)에 형성된 바디삽입공(120a)을 따라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그 일단부에는 너트(N3)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S3)이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산(S3)은 전술한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과 마찬가지로 각산 볼트의 나사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접촉부(220)는 안전발판(FB)의 상면을 접촉 가압할 수 있도록 바디부(2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절곡부(230, 240)는 접촉부(220)의 양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절곡되어 안전발판(FB)의 격자망(LM)을 이루는 다수의 격자(L) 중 어느 하나의 격자(L)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핸드레일 결합모듈(300)은 다수의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핸드레일(HR)을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바디부(310)와, 바디부(310)의 일단부로부터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고정부(320)를 포함한다.
바디부(310)는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 형성된 체결공(140a)을 따라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그 일단부에는 너트(N4)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S4)이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산(S4)은 전술한 제1 삽입부(151)의 나사산(S1)과 마찬가지로 각산 볼트의 나사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고정부(320)는 핸드레일(HR)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바디부(310)의 일단부로부터 호 형상을 이루도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의 체결공(140a)을 따라 바디부(210)를 삽입한 후에는 나사산(S4)에 너트(N4)를 조임으로써 고정부(320)가 핸드레일(HR)의 외주면에 점차 인접할 수 있도록 하며, 너트(N4)의 조임이 완료되면 고정부(320)가 핸드레일(HR)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핸드레일(HR)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추락방지모듈(400)은 안전발판(FB)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판넬(P)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작업자가 판넬(P)의 뒤쪽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핸드레일(HR)이 마련되는 것에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안전 작업대유닛(100)은 작업자가 판넬(P)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모듈(400)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추락방지모듈(400)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빔(410)과, 한 쌍의 가로빔(410)을 상호 연결하는 세로빔(420)과, 핸드레일(HR)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핸드레일 고정부(430)를 포함한다.
가로빔(410) 및 세로빔(420)은 추락방지모듈(4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것과 달리, 가로빔(410) 및 세로빔(420)은 각각 추락방지모듈(4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핸드레일 고정부(430)는 핸드레일(HR)의 일단부가 관통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가로빔(4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핸드레일(HR)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핸드레일 삽입부(431)와, 삽입된 핸드레일(HR)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가압볼트(432)를 포함한다.
핸드레일 삽입부(431)는 핸드레일(HR)의 일단부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가로빔(4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중공형 브래킷 부재이다. 다만, 핸드레일 삽입부(431)의 형상은 삽입 객체가 되는 핸드레일(HR)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압볼트(432)는 핸드레일 삽입부(43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핸드레일 삽입부(431)에 삽입된 핸드레일(HR)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부재이다. 가압볼트(4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핸드레일 삽입부(431)에는 너트가 추가로 결합되거나 또는 핸드레일 삽입부(4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미도시)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추락방지모듈(400)은 판넬(P)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거나 좌측 및 우측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먼저 다수의 안전 작업대유닛(100)을 판넬(P)에 고정한다. 이 경우 판넬(P)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전 작업대유닛(100)을 고정하며 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전 작업대유닛(100a)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판넬의 타측에 도 3의 안전 작업대유닛(100a)을 고정하는 것은 안전발판(FB)의 유동(떨림)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7에 있어서, 안전발판(FB)은 한 쌍의 안전 작업대유닛(100, 100a)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이 경우 한 상의 안전 작업대유닛(100, 100a)의 지지프레임(120)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길수록 안전발판(FB)의 유동이 효율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즉, 판넬(P)의 수직보강빔(PV) 상호 간의 이격거리는 이미 결정되어 있는바 수직보강빔(PV)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키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이에 결합되는 안전 작업대유닛(100)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판넬(P)의 타측에 결합되는 안전 작업대유닛(100a)을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안전 작업대유닛(100a)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지지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결국, 도 2에 도시된 안전 작업대유닛(100)의 메인프레임(110)과 도 3에 도시된 안전 작업대유닛(100a)의 메인프레임(110) 상호 간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늘어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안전 작업대유닛(100)과 도 3에 도시된 안전 작업대유닛(100a)은 메인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의 결합방향만이 상이할 뿐 기타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판넬(P)에 안전 작업대유닛(100)을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모듈(150)의 제2 삽입부(152)를 수직보강빔(PV)을 관통하여 삽입하며 너트(N2)를 조임으로써 이를 고정한다. 제2 삽입부(152)가 고정되면 제1 삽입부(151)는 수직보강빔(PV)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연장된다.
다음으로, 메인프레임(110)을 관통하도록 체결모듈(150)의 제1 삽입부(151)를 삽입한다. 이때 메인프레임(110)의 일측면과 수직보강빔(PV)의 일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이 배치되면 회전방지부(160)는 자연적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일측면 및 수직보강빔(PV)의 일측면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수직보강빔(PV)에 대한 메인프레임(110)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메인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삽입부(151)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S1)에 너트(N1)를 조임으로써 제1 삽입부(151)를 고정하고,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이 판넬(P)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이 고정되면 지지프레임(120)의 상면에 걸쳐 안전발판(FB)을 배치한다. 배치된 안전발판(FB)의 어느 하나의 격자(L)를 관통하도록 먼저 발판고정모듈(200)의 바디부(210)를 삽입한다. 삽입된 바디부(210)는 지지프레임(120)의 바디삽입공(120a)을 따라 삽입 연장된 후 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서 너트(N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바디부(210)의 고정에 따라 절곡부(230, 240)는 각각 어느 하나의 격자(L)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이와 함께 접촉부(220)가 안전발판(FB)의 격자망(LM)을 가압함으로써 안전발판(FB)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의 체결공(140a)을 따라 핸드레일 결합모듈(300)의 바디부(310)를 삽입하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140)에 걸쳐 핸드레일(HR)을 배치하고, 바디부(310)의 나사산(S4)에 너트(N4)를 조임으로써 고정부(320)가 자연스럽게 핸드레일(HR)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핸드레일(HR)의 일단부에 추락방지모듈(400)의 핸드레일 삽입부(431)를 삽입하고 가압볼트(432)를 회전시킴으로써 핸드레일(HR)이 추락방지모듈(40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 작업대유닛(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순서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순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안전 작업대유닛(100)은 판넬(P)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안전발판(FB)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안전 작업대유닛 110 : 메인프레임
120 : 지지프레임 130 : 경사프레임
140 : 핸드레일 결합프레임 150 : 체결모듈
160 : 회전방지부 170 : 지지부
200 : 발판고정모듈 300 : 핸드레일 결합모듈
400 : 추락방지모듈 P : 판넬

Claims (16)

  1. 판넬의 일측면에 마련된 수직보강빔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안전발판이 지지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관통형성된 제1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절곡되어 상기 수직보강빔에 관통형성된 제2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갖는 체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빔에 대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수직보강빔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빔의 일측면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회전방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은 상기 수직보강빔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수직보강빔이 상호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 상기 제1 체결공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빔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 삽입부에 결합되는 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안전발판을 고정하는 발판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고정모듈은,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안전발판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양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보강빔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바디삽입공을 따라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절곡부는 각각, 상기 안전발판의 상면을 덮는 격자망에 형성된 다수의 격자 중 어느 하나의 격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에 다수의 핸드레일을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핸드레일 결합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결합모듈은,
    상기 핸드레일 결합프레임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디부;
    상기 핸드레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상기 판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드레일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마련되는 추락방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모듈은,
    상기 핸드레일이 마련된 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가로빔;
    상기 가로빔을 상호 연결하는 세로빔; 및
    상기 가로빔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핸드레일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핸드레일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고정부는,
    상기 핸드레일의 일단부가 관통삽입되는 핸드레일 삽입부; 및
    상기 핸드레일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핸드레일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핸드레일 삽입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유닛.
KR1020100050714A 2010-05-29 2010-05-29 안전 작업대유닛 KR10113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714A KR101138805B1 (ko) 2010-05-29 2010-05-29 안전 작업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714A KR101138805B1 (ko) 2010-05-29 2010-05-29 안전 작업대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336A true KR20110131336A (ko) 2011-12-07
KR101138805B1 KR101138805B1 (ko) 2012-04-24

Family

ID=4549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714A KR101138805B1 (ko) 2010-05-29 2010-05-29 안전 작업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001296U1 (de) * 2019-03-19 2020-06-25 Doka Gmbh Schalungsbühne
US20220154471A1 (en) * 2020-11-18 2022-05-19 Rex Industrial, LLC Modular Guardrai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347B1 (ko) * 2013-09-27 2015-03-04 김경호 수직벽체 거푸집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00Y1 (ko) * 1995-09-20 1999-02-18 한준수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KR200189738Y1 (ko) 2000-02-26 2000-07-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001296U1 (de) * 2019-03-19 2020-06-25 Doka Gmbh Schalungsbühne
EP3712354A1 (de) 2019-03-19 2020-09-23 DOKA GmbH Schalungsbühne
US20220154471A1 (en) * 2020-11-18 2022-05-19 Rex Industrial, LLC Modular Guardrail System
US11920354B2 (en) * 2020-11-18 2024-03-05 Rex Industrial, LLC Modular guardrai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805B1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654483B1 (ko)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KR101817962B1 (ko) 안전작업대 모듈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US20230279678A1 (en) Side protector, ceiling formwork system having at least one such side protector, and method for erecting such a side protector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0862737B1 (ko)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200404035Y1 (ko) 고정식 교량 점검대와 이에 사용되는 발판 고정틀
JP5374178B2 (ja) 床付き布枠
KR101157588B1 (ko) 슬라브 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철골조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JPH1113274A (ja) ベント作業足場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2546964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방법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101488762B1 (ko) 발판 설치용 시스템 서포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발판 설치용 시스템 서포트 시공방법과 슬래브 시공방법
KR101353089B1 (ko)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WO2001069004A1 (en) Inner stair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