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738Y1 -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738Y1
KR200189738Y1 KR2020000005383U KR20000005383U KR200189738Y1 KR 200189738 Y1 KR200189738 Y1 KR 200189738Y1 KR 2020000005383 U KR2020000005383 U KR 2020000005383U KR 20000005383 U KR20000005383 U KR 20000005383U KR 200189738 Y1 KR200189738 Y1 KR 200189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aggregate
fastening
window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천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정경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정경천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5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5Mitre joints
    • E06B3/9646Mitre joints using two similar connecting pieces each connected with one or the frame members and drawn together at the joint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그 목적은 수평/수직골재의 결합부 사이에 방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면에는 중앙이 절곡된 각각의 보강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 폭방향에는 체결보조재를 덧대어 그들을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며 체결되므로써 수평/수직골재의 체결력이 향상되게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양끝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평/수직골재와, 상기 수평/수직골재의 결합부 양외측면에 덧대어진 체결보조재와, 상기 체결보조재 및 수평/수직골재가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설치된 막대형 스터드볼트로 구성된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골재 및 체결보조재에는 각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는 양끝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그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양끝단부는 상기 체결보조재 및 수평/수직골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수평/수직골재와 직각이 되게 결착된 구성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Corner assembly structure of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수직골재의 결합부 사이에 방수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면에는 중앙이 절곡된 각각의 보강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 폭방향에는 체결보조재를 덧대어 그들을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며 체결되므로써 수평/수직골재의 체결력이 향상되고 비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틀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12)이 개폐되는 레일(11)이 형성된 4개의 골조 단부를 체결하여 4각형의 틀체를 마련한 것으로 이는 부피가 크고 중량체이므로 제조공장에서 건설현장으로 이송할 때에 화물차의 적재함에 많은 량의 창문틀을 적재할 수 없어 물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건설현장으로 운송된 창문틀(10)을 건축물의 각층에 운반하기 위해서는 특수장비( 곤도라·타워크레인)를 이용하여 운반해야 하는데, 이 경우 건축물의 주위에 촘촘하게 가설된 비계의 일부를 해체하고 운반작업을 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수반됨은 물론,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창문틀(10)을 설치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창문틀(10)의 코너 체결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조립 후 수평/수직골재의 견고한 체결력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틀 코너체결 기술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수직골조(20))의 내측 단부가 45°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그들이 상호 결합되고 그의 양단 외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21)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공(23)이 형성된 고정구(22)가 안착되고, 상기 관통공(23)에는 일자형의 볼트(24)가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되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종래의 창문틀 조립 기술은 수평/수직골재(20)의 양단부 소정의 위치에 고정구(22)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21)을 각각 형성시야 하므로 그에 따른 가공작업이 수반되어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 상기 삽입홈(21)은 수평/수직골재(20)의 일부를 절취해내는 것으로 그 부분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삽입홈(21)에 안착되는 고정구(22)는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공(23)이 형성됨으로 그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의 어려움과 상기 고정구(22)가 경질의 합성수지재 임으로 관통공(23)의 일측이 약간의 충격이나 압력에도 견디지 못하고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수평/수직골재(20)의 체결력이 와해됨은 물론 비틀림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등록 제227160호의 기술이 제공되어 있는 바, 그의 기술은 끝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내측면은 45°로 경사진 수평/수직골재(30)가 결합되며 그 결합부의 양외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볼트공(33)이 형성된 체결보조재(32)를 덧댄 다음 일자형의 볼트(35)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보조재(32)와 수평/수직골재(30)를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한 후 상기 볼트(35)의 일측 단부를 너트(36)로 고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조재(32)를 수평/수직골재(30)의 외측면에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 수평/수직골재(30)에 형성된 관통공(31)에 체결보조재(32)의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34)를 끼워맞춤 하고 나사(37)로는 체결보조재(32)의 몸체 다수곳을 수평/수직골재(3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문틀 고정 기술은 상기 수평/수직골재((30)의 외측면에 덧대어지는 체결보조재(32)의 고정을 다수개의 나사(37)로 하기 때문에 언재든지 나사(37)를 준비해야 하고, 또 체결보조재(32)에 나사공을 형성시켜야 하는 가공상의 문제점과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상기 수평/수직골재(30)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공(31)을 형성시켜야 하고, 또 체결보조재(32)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공(31)에 삽입되는 체결돌기(34)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그에따른 제작단가의 상승과 구조적인 복잡함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창문틀 고정 기술은 일자형의 볼트(35)가 수평/수직골재(30)를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되기 때문에 그 체결장력이 수평/수직골재(30)의 내측 대각선 방향으로 발휘되어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견고성이 떨어지는 결정적인 문제점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평/수직골재의 결합부 사이에 방수부재가 마련하고 그 결합부의 내/외측면에는 중앙이 절곡된 보강부재를 마련하며 외측면 폭방향에는 평자형의 체결보조재를 마련하여 그들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양단부와 체결함으로써 창문틀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체결된 창문틀이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고안은 수평/수직골재에 덧대어지는 체결보조재에 돌출부 형성시켜 이 돌출부가 상기 수평/수직골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를 형성시키면서 형성되는 수용홈에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단부를 체결하는 너트를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수직골재의 체결완료 후 너트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한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벽체에 일반적인 창틀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창문틀 코너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와 다른 상태의 종래 창문틀 코너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창문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창문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창문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창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수평/수직골재 체결장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 : 수평/수직골재 41,51 : 관통공
42 : 요홈 43 : 방수부재
50 : 체결보조재 52 : 돌출부
53 : 수용홈 60 : 막대형 스터드볼트
61 : 너트 70 : 보강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양끝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평/수직골재와, 상기 수평/수직골재의 결합부 양외측면에 덧대어진 체결보조재와, 상기 체결보조재 및 수평/수직골재가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설치된 막대형 스터드볼트로 구성된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골재 및 체결보조재에는 각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는 양끝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그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양끝단부는 상기 체결보조재 및 수평/수직골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수평/수직골재와 직각이 되게 결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양끝단부 절곡 각도는 90°∼170°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수직골재가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력 향상과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방수부재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수직골재의 양끝단부 내/외측에는 수평/수직골재의 체결력 향상을 위하여 중앙이 절곡된 부강부재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보조재의 일측면에는 수평/수직골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의 내부는 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창문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창문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창문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창틀 코너부 체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수평/수직골재 체결장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수직골재(40)의 양단부 내면이 소정의 각도로 절단되어 있음으로 그들을 상호 결합시키면 수평/수직골재(40)는 상호간에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예각을 이루며 4각형의 창문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결합부 내/외측면과 외측면 폭방향으로는 중앙이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결합 후 형성되는 각도와 준하도록 절곡된 각각의 보강부재(70)와 평자형의 체결보조재(50)를 마련한다.
단 상기 각각의 보강부재(70) 및 체결보조재(50)는 수평/수직골재(40)보다 강한재질의 강판이 사용되고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가 끼워지는 부분의 체결보조재(50) 및 수평/수직골재(40)에는 관통공(41,51))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사이에는 기밀성과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방수부재(43)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수평/수직골재(40) 결합부에는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 (90°∼ 170°)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60)를 상기 체결보조재(50)에 형성된 관통공(51)과 수평/수직골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 및 방수부재(43)를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를 너트(61)로 고정하여 수평/수직골재(40)의 체결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방수부재(43)는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또 기밀성을 유지시켜 주므로 물 등이 쓰며들지 않아 부식을 방지해 준다.
이상과 같이하여 체결된 수평/수직골재(40)의 끝단부는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가 수평/수직골재(40)와 체결되었을때 그 수평/수직골재(40)의 체결부위와 직각이 되게 절곡된 상태에서 체결되기 있기 때문에 그의 체결장력이 수평/수직골재(40)의 직각 방향으로 발휘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 창문틀의 견고성이 향상된다.
단 본고안의 막대형 스터드볼트(60) 양단부와 수평/수직골재(40)간의 체결부위 각도는 직각으로 한정되지 않고 창문틀의 형상(마름모형, 사다리꼴형)에 따라 다를수도 있다. 상기 창문틀의 형상이 마름모형이거나 사다리꼴형일 경우에는 수평/수직골재(40)의 각도가 직각이 아닌 예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 절곡 각도도 그에 준하는 각도로 절곡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수평/수직골재(40) 코너부분 체결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수직골재(40)의 양끝단부 내측면이 상기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수평/수직골재(40)와 마찬가지로 양끝단부 내측이 소정의 각도록 경사지게 절단되어 있어 그들을 상호 결합시키면 상기 수평/수직골재(40)는 상호 소정의 각을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외측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정 깊이의 요홈(42) 및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내/외측면에 중앙이 절곡된 각각의 보강부재(70)를 마련한 다음 상기 수평/수직골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에는 체결보조재(50)에 형성된 돌출부(52)를 끼운다.
그후 상기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는 상기 체결보조재(50)에 형성된 관통공(51)과 수평/수직골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을 관통하며 삽입되고 그 삽입된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는 너트(61)로 고정되며 이 너트(61)는 상기 돌출부(52)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53)에 수용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체결된 창문틀의 코너 부분은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수직골재(40)에 체결되게 되면 그 체결부위가 수평/수직골재(40)와 직각이 되므로 체결장력이 수평/수직골재(40)의 직각 방향으로 발휘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 창문틀의 견고성은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가 수평/수직골재(40)와 직각이 되게 체결되었을때 체결장력이 향상되는 원리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창문틀 코너 체결구조는 양끝단부가 상호 결합된 수평/수직골재(40)의 내/외측면에 중앙이 절곡된 각각의 보강부재(70)가 결합되고 양끝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가 수평/수직골재(40)의 A.B 지점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체결장력은 화살표 방형인 외측에서 내측의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 안전성과 견고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결합부 내/외측 모서리 부분 즉 C 지점에는 중앙이 상기 수평/수직골재(40)가 결합되어 이루는 각도에 준하도록 절곡된 보강부재(70)가 마련되어 수평/수직골재(40)의 양끝단부 내/외측을 감싸며 지지해주기 때문에 창문틀의 안전성, 견고성, 그리고 비틀림 현상을 방지해 준다.
또한 본 고안은 창문틀의 각 모서리부분이 직각이 아닌 예각을 취하는 형상의 마름모나 사다리꼴 형상일때 그의 내/외측에 마련되는 보강부재(70)의 중앙부 절곡각도는 상기 마름모나 사다리꼴 형상을 취할때의 모서리 각도와 준하는 각도로 절곡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단부도 상기 창문틀의 각 모서리 각도를 감안하여 수평/수직골재(40)와 직각 또는 예각을 갖도록 절곡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창문틀 체결 구조는 수평/수직골재 그 자체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그 곳에서 직접 창문틀을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어 물류비용 및 설치비용의 절감과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수평/수직골재의 결합부 사이에 방수부재를 마련하고 양끝부분 내/외측면에 중앙이 절곡된 각각의 보강부재를 마련하며 외측면 폭방향에는 평자형의 체결보조재를 마련하여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로 상기 수평/수직골재와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양단부가 각을 이루도록 체결되므로써 창문틀의 견고성을 확보함은 물론,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수평/수직골재에 덧대어지는 체결보조재에 돌출부 형성시켜 이 돌출부가 상기 수평/수직골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를 형성시키면서 형성되는 수용홈에 막대형 스터드볼트의 단부를 체결하는 너트를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수직골재의 체결완료 후 너트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끝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평/수직골재(40)와,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결합부 양외측면에 덧대어진 체결보조재(50)와, 상기 체결보조재(50) 및 수평/수직골재(40)가 대각선 방향으로 관통설치된 막대형 스터드볼트(60)로 구성된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골재(40) 및 체결보조재(50)에는 각각의 관통공(41,51)이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60)는 양끝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그 절곡된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끝단부는 상기 체결보조재(50) 및 수평/수직골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51)을 관통하며 수평/수직골재(40)와 직각이 되게 결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스터드볼트(60)의 양끝단부 절곡 각도는 90°∼1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골재(40)가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의 사이에는 결합력 향상과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방수부재(43)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골재(40)의 양끝단부 내/외측에는 수평/수직골재(40)의 체결력 향상을 위하여 중앙이 절곡된 부강부재(70)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조재(50)의 일측면에는 수평/수직골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에 끼워지는 돌출부(52)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52)의 내부는 너트(61)를 수용하는 수용홈(53)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KR2020000005383U 2000-02-26 2000-02-26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KR200189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83U KR200189738Y1 (ko) 2000-02-26 2000-02-26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83U KR200189738Y1 (ko) 2000-02-26 2000-02-26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738Y1 true KR200189738Y1 (ko) 2000-07-15

Family

ID=1964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383U KR200189738Y1 (ko) 2000-02-26 2000-02-26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7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805B1 (ko) 2010-05-29 2012-04-24 (주)블루폼 안전 작업대유닛
KR200482151Y1 (ko) * 2016-07-18 2016-12-22 해강기술(주) 수배전반 조립구조
CN109000382A (zh) * 2018-09-29 2018-12-14 江苏贝德莱特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水器安装用拐角固定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805B1 (ko) 2010-05-29 2012-04-24 (주)블루폼 안전 작업대유닛
KR200482151Y1 (ko) * 2016-07-18 2016-12-22 해강기술(주) 수배전반 조립구조
CN109000382A (zh) * 2018-09-29 2018-12-14 江苏贝德莱特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水器安装用拐角固定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2700B2 (ko)
JP4095946B2 (ja) 木質部材の接合構造
KR200189738Y1 (ko) 창문틀의 코너 체결구조
JP7371339B2 (ja) 耐力壁構造及び耐力壁構造の施工方法
JP2004108141A (ja) 構造用接合金物
JP2006322278A (ja) 耐震補強装置
JP3546819B2 (ja) 複合梁と柱の接合構造
JP4080419B2 (ja) 柱梁接合部における接合金具の取付構造
JPH0416662A (ja) 壁材の取付構造
JPH05311743A (ja) 建築構造材の連結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連結材
KR200267890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JP4309961B1 (ja) 入隅連結金具
JPH111961A (ja) 木造建築における仕口装置
JP4494839B2 (ja) 鉄筋又はアンカーボルト固定用のテンプレート
JP3314055B2 (ja) 建築物の補強金物
KR20190135784A (ko)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
US20080022618A1 (en) Concrete form system with skin panel
JP3922875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KR200393500Y1 (ko) 창틀용 결합부재
JP2745380B2 (ja) ボルト取付構造
KR970005543Y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361278Y1 (ko)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JP2007169883A (ja) 通し柱構造
KR200143604Y1 (ko) 꺽임천정용 바 결합구
JP2594021B2 (ja) 開口付壁パネルの補強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