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543Y1 - 거푸집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543Y1
KR970005543Y1 KR2019940021829U KR19940021829U KR970005543Y1 KR 970005543 Y1 KR970005543 Y1 KR 970005543Y1 KR 2019940021829 U KR2019940021829 U KR 2019940021829U KR 19940021829 U KR19940021829 U KR 19940021829U KR 970005543 Y1 KR970005543 Y1 KR 970005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ctangular
pair
reinforcing rods
ou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276U (ko
Inventor
이기택
Original Assignee
이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택 filed Critical 이기택
Priority to KR2019940021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543Y1/ko
Publication of KR960008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거푸집용 지지대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용지지대10 : 사각형재
20 : 보강대21 : 외측날개
24 : 내측날개30 : 결착수단
본 고안은 거푸집공사시 일측면에 지지되어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여 주는 거푸집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공사에서 거푸집의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부어넣을때 측압에 의해서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거푸집의 외측면을 받쳐주는 목재로된 사각형재를 댄다. 이때 사각형재는 거푸집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가 부어질때 발생되는 하중을 전달받아서 버팀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준다.
종래의 거푸집용 지지대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목재로 된 사각형재를 사용하여 미경화콘크리트의 하중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즉, 각목으로 된 사각형재를 거푸집판넬의 외측면에 대고 못 등으로 사각형재에 박아 거푸집판넬에 고정시킨 후 그 외측에 버팀목을 대고 최종적으로 받침기둥으로 바닥에 지지시켰다.
이와같이 종래의 것은 단순한 각목의 사각형재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미경화콘크리트의 하중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가로재들을 비교적 촘촘하게 설치해야하므로 자재, 운반, 인력 등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둘째, 가로재가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인 강도를 높게하여 작업성을 증대하여 주면서도 휘어지거나 뒤틀림을 방지하여 주는 거푸집용 지지대를 제공하여 주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거푸집용지지대(1)는 제1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거푸집의 일측면에 받쳐지며,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재(10)와, 상기 사각형재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쌍의 보강대(20)들과, 상기 한쌍의 보강대들과 사각형재를 관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결착시키는 결착수단(30)들고 구성하되, 상기 한쌍의 보강대(20)들은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22)이 뚫려지는 외측날개(2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사각형재(10)의 양측면상에 한쌍의 보강대(20)들의 외측날개(2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결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2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각형재(10)의 양측면에 보강대(10)들을 각 연결구멍(23)을 통하여 결착수단(30)으로 결착시켜서 거푸집의 외측에 대어 거푸집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할대 거푸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주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대(20)는 구조적강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재로 재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22)이 뚫려지는 외측날개(2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사각형재(10)의 양측면상에 한쌍의 보강대(20)들의 외측날개(2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결착되어 거푸집판넬(2)과 버팀목(3)에 각각 못 등으로 고정시켜주므로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는 거푸집판넬(2)과 사각형재(10)를 고정시키기 위해 거푸집판넬(2)위에서 못을 박아 고정시키므로 작업상 어려움이 따랐다. 왜냐하면 거푸집판넬(2)위에서는 사각형재(10)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외측날개(21)에 못을 박아주므로 못박기작업이 수월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는 거푸집판넬(2) 혹은 버팀목(3)에 사각형재(10)를 고정하기 위해 사각형재(10)에 직접적으로 못등을 박아서 사각형재(10)의 훼손율이 높았으나, 본 고안은 외측날개(21)에 형성된 구멍(22)을 통하여 거푸집판넬(2)과 버팀목(3)에 못박기를 하기 때문에 사각형재(10)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보강대(20)는 제3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외측날개(21)가 형성된 타측단에 외측날개(21)의 반대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내측날개(24)가 형성되어 상기 사각형재(10)의 대각선 방향에 단턱이 형성된 모서리에 결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측날개(24)가 사각형재(10)를 감싸주기 때문에 구조적강도가 증대되면서도 휘어짐, 뒤틀림, 훼손 등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결착수단(30)은 가로재의 양측면에 한쌍의 보강대(20)를 결착시켜주는 구조부로서 여러가지로 결착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서는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연결구멍(11)에 끼워져서 나사돌림으로 고정되는 볼트(31)와 너트(32)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단지 사각형으로 된 각목만을 사용하여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며, 휘어지거나 뒤틀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거푸집의 일측면에 받쳐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재와, 가로재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결착되는 한쌍의 보강대와, 보강대와 가로재를 관통하여 결착시키는 결착수단으로 구성되 거푸집을 지지하여주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도가 증대되면서도 휘어지거나 뒤틀림을 방지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공사시 거푸집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여 주는 것으로 가로재의 양측면에 보강대가 결착되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가 증대되고 휘어지거나 뒤틀림을 방지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거푸집의 일측면에 받쳐지며,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재(10)와, 상기 사각형재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쌍의 보강대(20)들과, 상기 한쌍의 보강대들과 사각형재를 관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결착시키는 결착수단(30)들로 구성하되, 상기 한쌍의 보강대(20)들은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22)이 뚫려지는 외측날개(2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사각형재(10)의 양측면상에 한쌍의 보강대(20)들의 외측날개(2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결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20)는 외측날개(21)가 형성된 타측단에 외측날개(21)의 반대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내측날개(24)가 형성되어 상기 사각형재(10)의 대각선 방향에 단턱이 형성된 모서리에 결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지지대.
KR2019940021829U 1994-08-27 1994-08-27 거푸집용 지지대 KR970005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829U KR970005543Y1 (ko) 1994-08-27 1994-08-27 거푸집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829U KR970005543Y1 (ko) 1994-08-27 1994-08-27 거푸집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76U KR960008276U (ko) 1996-03-15
KR970005543Y1 true KR970005543Y1 (ko) 1997-06-05

Family

ID=1939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829U KR970005543Y1 (ko) 1994-08-27 1994-08-27 거푸집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5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37B1 (ko) * 1999-10-08 2001-11-07 박상목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 보강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37B1 (ko) * 1999-10-08 2001-11-07 박상목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 보강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76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5843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window buck frame
US6865859B2 (en) Conversion corner chamfer for form work
US6665992B2 (en) Concrete construction block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3251162A (en) Laminated prestressed beam construction
US6167675B1 (en) Steel-wood system
US5809735A (en) Steel-wood system
KR970005543Y1 (ko) 거푸집용 지지대
US3371904A (en) Form for concrete columns
KR970004945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JPH066605U (ja) 型枠固定具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200251518Y1 (ko) 거푸집의 고정장치_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JP3015244U (ja) 筋かい金具
KR200271517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보강장치 및 그 서포트
KR860002661Y1 (ko) 거푸집 체결용 조립식 지지봉
JP2614425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結合金具
JP2576733Y2 (ja) 開口パネルの補強構造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930005582Y1 (ko) 가설지주용 브래키트
KR200362854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JPH0617482A (ja) 建築用鋼板製永久型枠
EP0095480A1 (en) A method of erecting a building construction and a reinforcing element for use in the method
JPS62295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