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737B1 -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37B1
KR100862737B1 KR1020080037487A KR20080037487A KR100862737B1 KR 100862737 B1 KR100862737 B1 KR 100862737B1 KR 1020080037487 A KR1020080037487 A KR 1020080037487A KR 20080037487 A KR20080037487 A KR 20080037487A KR 100862737 B1 KR100862737 B1 KR 10086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bars
gangform
pair
c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학
Original Assignee
이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1531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627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학 filed Critical 이정학
Priority to KR102008003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현장 상황에 대응되게 케이지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지장치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외벽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종바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외측에 구비되는 종바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면에 작업용발판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의 타단과 각각 연결됨에 따른 상기 종바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되게 일정 간격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 내측면에 상,하단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횡방향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와,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작업중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짐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 보드를 포함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각각 분리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갱폼시스템, 케이지장치, 지지대, 작업용발판, 볼트 및 너트

Description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Cage Apparatus of Gang Form System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를 분리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지의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케이지를 보다 신속하게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용 갬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층 아파트나 다층 건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물의 골격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종래 대부분의 방법으로는 소정 형상으로 졸곡 형성시키는 철근구조물을 설치한 후 상기 철근 구조물의 외측에 다수개의 나무패널을 조립하여 형성한 거푸집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외측으로 비계를 설한 다음,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 방식은 다수개의 나무패널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상기 목재패널을 콘크리트로부터 이형 시킬 때,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층의 건물을 건축할 경우 거푸집에 소요되는 단가가 매우 높고,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여 건물의 외장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나무로 제작된 패널이 아닌 금속재의 갱폼(gang form;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대형 거푸집)시스템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갱폼시스템(10)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A)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유로폼(B)과, 상기 유로폼(B)에 미도시된 다수개의 고정용 연결체 및 웨지핀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외벽(A)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갱폼(20)과, 상기 갱폼(20)의 외측면에는 작업자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지(30)를 설치하기 위해 고정 연결되는 수평(21) 및 수직바(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케이지(30)는, 작업자가 상기 갱폼(20)의 외측에서 작업용 발판대를 설치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지(30)는 상부 작업을 위한 상부케이지(40)와 하부 작업을 위한 하부케이지(50)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상,하부케이지(40,50)는 세로지지대(41,51)와, 상기 세로지지대(41,51)에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용접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바(22)에 볼트 및 너트(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되는 지지대(42,52)와, 상기 지지대(42,52)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작업용발판과, 상기 세로지지대(41,51)에 상,하단 수평방향으로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세로지지대(41,51)에 각각 용접 고정 구비되는 클램프(60,61)를 매개로 하여 고정 설치되는 핸드레일(43,53)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지(50)의 최하단에는 지지대(52)에 설치된 작업용 발판에서 작업자가 작업중에 실수로 인하여 떨어지는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짐을 방지가능하도록 상기 세로지지대(51)의 하부와 지지대(52)에 각각 일단이 용접되는 토 보드(toe board)(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지(30)의 세로지지대(41,51)의 상부와 하단부의 외측면에는 작업시 발생되는 부속물이 외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80)의 설치를 위한 고정바(90,91)가 상기 세로지지대(41,51)에 용접된 고정바용 클램프(95,96)에 의해 고정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갱폼시스템의 케이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지(40,50)의 세로지지대(41,51)의 내측면으로 복수개의 핸드레일(43,53)을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클램프(60,61)와, 상기 낙하물 방지망(80)의 설치를 위한 고정바(90,91)를 고정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세로지지대(41,51)의 상,하부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바용 클램프(95,96)와, 작업용발판을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대(42,52)와, 상기 세로지지대(51)의 하부 내측면에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짐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 보드(toe board)(70) 가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되므로 인하여, 설치되어 사용한 케이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어 상기 케이지 설치의 다른 조건 즉, 케이지의 설치 높이와 폭의 길이가 변경되면 상기 케이지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갱폼시스템의 케이지는 건축 현장에서 제작되어 설치되는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와, 고정바용 클램프 및 지지대 그리고 토 보드가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므로, 케이지의 제작에 따른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를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 연결시키는 구조를 배제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축현장 상황에 대응되게 케이지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를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 연결시키는 구조를 배제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지의 설치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고정구비된 복수개의 종바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외측에 구비되는 종바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면에 작업용발판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의 타단과 각각 연결됨에 따른 상기 종바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되게 일정 간격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 내측면에 상,하단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횡방향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와,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작업중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짐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각각 분리 결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용 세로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용 세로지지대의 하부 외측면에는 작업시 발생되는 부속물이 외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를 안내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를 통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로 형성되되, 상기 갱폼의 종바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가능하도록 일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됨과 아울러 케이지장치의 분해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에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됨에 따른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된 연결홀과 회동용홀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의 타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키도록 양면에는 상기 고정홀과 회동용홀에 대응되는 한 쌍의 홀이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과, 상기 수용편의 각 일단으로부터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개의 핸드레일고정홀이 형성된 연장편과, 상기 수용편의 막힘된 면에 일체로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를 각각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면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된 홀이 형성된 연결돌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는,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의 연장편에 각각 형성된 핸드레일고정홀과 일치시켜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도록 관통된 타원형상의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 보드는,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의 연장편 하단부에 일면이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도록 일정간격의 토보드용장홀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 수평편을 갖는 "ㄴ"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따르면,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를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 연결시키는 구조를 배제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축현장 상황에 대응되게 케이지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따르면,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를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 연결시키는 구조를 배제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지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400)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200)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고정구비된 복수개의 종바(300)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100)는, 상기 갱폼(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종바(300)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면에 작업용발판(도면부호 생략)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과 각각 연결됨에 따른 상기 종바(30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되게 일정 간격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와,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 내측면에 상,하단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횡방향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작업중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짐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 보드(toe board)(170)로 구성된 케이지장치를 볼트 및 너트(도면부호는 생략)를 매개로 하여 각각 분리 결합가능하게 구비되어 분리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용 세로지지대(130)의 상부와,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하부 외측면에는 작업시 발생되는 부속물이 외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미도시)를 안내하여 고정 설치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통하여 볼트 및 너트(도면부호 생략)를 매개로 분리 결합가능한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케이지장치(100)의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로 형성되되, 상기 갱폼(200)의 종바(300)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가능하도록 일단에는 고정홀(110a,120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302,140)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되도록 연결홀(110b,12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홀(110b,120b)의 일측 즉, 상기 고정홀(110a,120a)이 형성된 반대측으로는 케이지장치(100)의 분해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10,120)에 힌지핀(도면부호 생략)을 축으로 회동됨에 따른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회동용홀(110c,120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일면에 상기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키며, 타면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를 각각 고정 연결가능하게 단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키도록 양면에는 상기 고정홀(110a,120a)과 회동용홀(110c,120c)에 대응되는 한 쌍의 홀(131a,141a)이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141)과, 상기 수용편(131,141)의 각 일단으로부터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개의 핸드레일고정홀(133a,143a)이 형성된 연장편(133,143)과, 상기 수용편(131,141)의 막힘된 면에 일체로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를 각각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면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된 홀(135a,145a)이 형성된 연결돌편(135,1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연장편(133,143)에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상,하단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설치되는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바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연장편(133,143)에 각각 형성된 핸드레일고정홀(133a,143a)과 일치시켜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도록 관통된 관통홀(150a,160a)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관통홀(150a,160a)은 상기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가 고정 연결시 그 결합위치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타원형상의 장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케이지장치의 설치 폭에 대응되게 설치됨에 따른 핸드레일바용 연결부재(1560)를 구비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복수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핸드레일바용 연결부재(1560)는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의 각 일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양면에는 타원형상의 연결홀(1560a)이 일정 간격 복수개 관통 형성된 "U"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토 보드(170)는, 작업시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내측면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토 보드(17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연장편(143) 하단부에 일면이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 도록 일정간격의 토보드용장홀(171a)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편(171)과, 상기 수직편(171)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 수평편(173)을 갖는 "ㄴ"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는, 낙하물 방지용 그물망을 설치할 경우 이를 안내함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용 세로지지대(130)의 상부와,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하부 외측면 즉, 상기 연결돌편(135,145)의 일면에 "ㅛ"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각각 구비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는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면에는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타원형의 장홀(180a,190a)이 길이방으로 일정간격 복수개 형상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는,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상,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한 쌍의 홀(1811a,1911a)이 형성된 고정판(1811,1911)과, 상기 고정판(1811,1911)의 배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각 연결돌편(135,145)을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 연결되도록 상,하로 한 쌍의 홀(1813a,1913a)이 형성된 한 쌍의 수용편(1813,19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간 연결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간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핸드레일바용 연결부재(1560)와 동일하게 형성된 안내용바 연결부재(1890)를 구비하여 고정 연결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141)과, 상기 수용편(131,141)의 각 일단으로부터 외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편(133,143)과, 상기 수용편(131,141)의 막힘된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돌편(135,145)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0,14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내,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 그리고 토 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0,1410)과, 상기 수용편(1310,1410)의 막힘된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돌편(1330,1430)으로 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0',1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내,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 그리고 토 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외측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0',1410')과, 상기 수용편(1310',1410')의 각 일단으로부터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하부용 핸드레일 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개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연장편(1330',1430')으로 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30",14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내,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 그리고 토 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벽(400)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200)의 종바(300)에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연결홀(110a,120a)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각각 고정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가 고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수용편(131,141)측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을 수용시킨 후 힌지핀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를 각각 고정 연결시킨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수용편(131,141)에 형성된 한 쌍의 홀(131a,141a)과 상기 수용편(131,141)으로 수용되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홀(110b,120b)와 회동용홀(110c.120c)을 일치시킨 후, 힌지핀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가 고정 연결되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연장편(133,143)에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연장편(133,143)에 형성된 핸드레일고정홀(133a,143a)과 상기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에 형성된 관통홀(150a,160a)을 일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에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가 고정 연결되면,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연장편(143) 하단부에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이 외측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 보드(170)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이후,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연결돌편(135,145)을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는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상기 상부용 세로지지대(130)의 연결돌(135)편 상부와,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연결돌편(145) 하부에 각각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즉, 상기 상부용 세로지지대(130)의 연결돌편(135) 상부와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연결돌편(145) 하부에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에 형성된 수용편(1813,1913)측으로 수용시켜 상기 수용편(1813,1913)에 형성된 홀(1813a,1913a)과 연결돌편(135,145)에 형성된 홀(135a,145a)을 일치신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가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 연결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의 고정판(1811,1911)에 형성된 홀(1811a,1911a)과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에 형성된 장홀(180a,190a)을 일치시킨 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갱폼(200)에 케이지장치(100)가 고정 연결되면, 건설용 타워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지장치(100)가 연결된 갱폼(200)을 들어 올린 후, 외벽(400)의 외측에 상기 갱폼(200)을 고정시킴으로 인하여 설치가 완료되어 진다.
한편, 작업완료됨에 따른 외벽(400)으로부터 갱폼(200)이 분리된 케이지장치(100)를 상기 갱폼(2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볼트 및 너트를 해체하므로 인하여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지장치(100)는 손상됨 없이 분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인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는 종래에서와 같이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연결시키게 되므로, 케이지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케이지장치의 분해로 인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용 갱폼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에 케이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의 하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의 상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지장치 110; 상부발판설치용 지지대
120;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 130 ; 상부용 세로지지대
140 ; 하부용 세로지지대 150 ; 상부용 핸드레일바
160 ; 하부용 핸드레일바 170 ; 토 보드
180 ; 상부안내용 횡바 190 ; 하부안내용 횡바

Claims (10)

  1. 외벽(400)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200)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고정구비된 복수개의 종바(300)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갱폼(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종바(300)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면에 작업용발판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과 각각 연결됨에 따른 상기 종바(30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되게 일정 간격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와;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 내측면에 상,하단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횡방향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작업중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짐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토 보드(toe board)(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각각 분리 결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용 세로지지대(130)의 상부와,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하부 외측면에는 작업시 발생되는 부속물이 외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를 안내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통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분리 결합가능하게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로 형성되되, 상기 갱폼(200)의 종바(300)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가능하도록 일단에는 고정홀(110a,120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302,140)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됨과 아울러 케이지장치(100)의 분해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10,120)에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됨에 따른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된 연결홀(110b,120b)과 회동용홀(110c,120c)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는, 상기 상부 및 하부발판설치용 지지대(110,120)의 타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키도록 양면에는 상기 고정홀(110a,120a)과 회동용홀(110c,120c)에 대응되는 한 쌍의 홀(131a,141a)이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141)과, 상기 수용편(131,141)의 각 일단으로부터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개의 핸드레일고정홀(133a,143a)이 형성된 연장편(133,143)과, 상기 수용편(131,141)의 막힘된 면에 일체로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를 각각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면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된 홀(135a,145a)이 형성된 연결돌편(135,1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는,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연장편(133,143)에 각각 형성된 핸드레일고정홀(133a,143a)과 일치시켜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도록 관통된 타원형상의 관통홀(150a,160a)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 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 보드(170)는, 상기 하부용 세로지지대(140)의 연장편(143) 하단부에 일면이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도록 일정간격의 토보드용장홀(171a)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편(171)과, 상기 수직편(171)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 절곡 연장 수평편(173)을 갖는 "ㄴ"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는,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면에는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타원형의 장홀(180a,190a)이 길이방으로 일정간격 복수개 형상되어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는,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상,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한 쌍의 홀(1811a,1911a)이 형성된 고정판(1811,1911)과, 상기 고정판(1811,1911)의 배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하부용 세로지지대(130,140)의 각 연결돌편(135,145)을 일면 내측으로 수용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 연결되도록 상,하로 한 쌍의 홀(1813a,1913a)이 형성된 한 쌍의 수용편(1813,19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0,14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내,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 그리고 토 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0,1410)과, 상기 수용편(1310,1410)의 막힘된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에 홀이 형성된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돌편(1330,1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00',14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내,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 그리고 토 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외측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수용편(1310',1410')과, 상기 수용편(1310',1410')의 각 일단으로부터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를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 연결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연장편(1330',1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용 세로지지대(1330",143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안내용 연결부재(181,191)를 내,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상부 및 하부용 핸드레일바(150,160)와, 상부 및 하부안내용 횡바(180,190) 그리고 토 보드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20080037487A 2008-04-23 2008-04-23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086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87A KR100862737B1 (ko) 2008-04-23 2008-04-23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87A KR100862737B1 (ko) 2008-04-23 2008-04-23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737B1 true KR100862737B1 (ko) 2008-10-10

Family

ID=4015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487A KR100862737B1 (ko) 2008-04-23 2008-04-23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7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13B1 (ko) 2010-10-29 2012-12-03 (주)에이원알폼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CN103321405A (zh) * 2013-06-24 2013-09-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剪力墙、筒体混凝土结构大模板提升式施工方法
KR20150051961A (ko) * 2015-04-20 2015-05-13 이옥순 핸드레일 안전 커플러
KR200479596Y1 (ko)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7086Y1 (ko) 2017-12-29 2018-08-01 손준호 갱폼용 보양천막장치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9-05-17 (주)동은에프앤씨 토보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03B1 (ko) * 2007-02-14 2007-05-28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0824751B1 (ko) * 2008-01-14 2008-04-23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03B1 (ko) * 2007-02-14 2007-05-28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0824751B1 (ko) * 2008-01-14 2008-04-23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13B1 (ko) 2010-10-29 2012-12-03 (주)에이원알폼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CN103321405A (zh) * 2013-06-24 2013-09-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剪力墙、筒体混凝土结构大模板提升式施工方法
CN103321405B (zh) * 2013-06-24 2015-11-0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剪力墙、筒体混凝土结构大模板提升式施工方法
KR20150051961A (ko) * 2015-04-20 2015-05-13 이옥순 핸드레일 안전 커플러
KR101642875B1 (ko) * 2015-04-20 2016-08-01 이옥순 핸드레일 안전 커플러
KR200479596Y1 (ko) 2015-11-19 2016-02-16 김두진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7086Y1 (ko) 2017-12-29 2018-08-01 손준호 갱폼용 보양천막장치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9-05-17 (주)동은에프앤씨 토보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737B1 (ko)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0809886B1 (ko)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US9051746B2 (en) Integrated plank and toeboard system
KR101641335B1 (ko)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US20210123249A1 (en) Individual scaffolding post
KR100824062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JP4704766B2 (ja) 先行手摺枠及び枠組足場を形成する方法
RU2310033C1 (ru) Консольные подмости и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консольных плит или карнизных блоков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JP2017040113A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EP1691007B1 (en) Detachable cross-piece for supporting platforms in scaffolds
JP3839921B2 (ja) 足場板支持フレーム及びその取付・撤去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KR101103293B1 (ko) 갱폼의 낙하물 방지장치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100824751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2217613B1 (ko) 데크 난간대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20000003913U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416

Effective date: 200911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519

Effective date: 201109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