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335B1 -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335B1
KR101641335B1 KR1020150062000A KR20150062000A KR101641335B1 KR 101641335 B1 KR101641335 B1 KR 101641335B1 KR 1020150062000 A KR1020150062000 A KR 1020150062000A KR 20150062000 A KR20150062000 A KR 20150062000A KR 101641335 B1 KR101641335 B1 KR 10164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rame
hole
fixed
br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335B1/ko
Priority to US15/138,223 priority patent/US98611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Abstract

본 발명은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각종 장비(인양고리, 긴결재, 브레이싱, 작업대 등)를 우드 갱폼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은, 목재의 타설판(10)과;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기 타설판과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보강하는 장선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장선재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설판에 지지되는 장선재 몸체(31), 상기 장선재 몸체에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비가 연결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장선재 몸체의 전면부에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32), 상기 장선재 몸체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 이상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33) 중 하나 이상이다.

Description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우드 갱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각종 장비(인양고리, 긴결재, 브레이싱, 작업대 등)를 우드 갱폼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동안 양생시킴으로서 건물의 골조를 시공한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다수개의 목재 판넬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철근의 배근공사 및 건물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고, 이는 한번 사용하고 난 후에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였다.
최근들어 고층 및 대형 건축물의 시공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고층 건축물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대형 거푸집(소위 "갱폼"이라 불림)이 사용되고 있다.
갱폼은 타설판,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 둘레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안쪽의 타설판에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타설판을 보강하는 장선재와 멍에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설판은 우드(wood), 철판 등의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우드 갱폼에 따르면, 단지 대형의 거푸집일 뿐이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비(인양고리, 거푸집간의 간격 유지를 위한 긴결재, 우드 갱폼을 지지하는 브레이싱,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등)를 설치하기 위한 적절한 구성이 부가되지 못하여 우드 갱폼의 설치와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대형 건축물의 품질과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 또한, 각각 한 쌍의 장선재와 멍에재를 함께 사용하여 이들을 통해 상기 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무리하게 많은 수량의 장선재와 멍에재를 사용하는 단점도 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1207013호)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사각 평판과, 이 평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갖는 알루미늄패널들을 결합부재로써 다수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들의 외측으로 수평지지대가 상기 패널들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갱폼에 있어서, 상기 사각평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봉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평판의 후방에 상기 관통공들의 좌우에서 상기 연결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보강프레임이 형성되고, 내측 패널과 갱폼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타이볼트를 조립식 갱폼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타이볼트의 일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해 멍에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갱폼의 외측에는 상호 연결된 수평틀과 수직틀로 구성된 작업대가 더 설치되어 있되, 상기 수평틀 끝단을 그 상태대로 상기 두 보강프레임의 간격 사이에 위치시켜 체결수단을 각 보강프레임 및 수평틀의 체결공에 끼워 고정되고, 상기 알루미늄 패널의 보강프레임에는 하부 연결재가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공에 맞게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을 통하여 관통 체결 또는 해체되는 것조립식 갱폼으로서, 조립식일 뿐 장비(인양고리, 거푸집간의 간격 유지를 위한 긴결재, 우드 갱폼을 지지하는 브레이싱,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등)의 적용을 위한 구성이 없다.
등록특허 제10-12070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각종 장비(인양고리, 긴결재, 브레이싱, 작업대 등)를 우드 갱폼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은, 목재의 타설판과;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 둘레부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기 타설판과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보강하는 장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선재는 입체 형상의 장선재 몸체, 상기 장선재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타설판에 접합되는 지지부, 상기 장선재 몸체에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비가 연결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장선재 몸체의 전면부에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 상기 장선재 몸체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 이상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하면, 장선재의 구조(관통홀)를 통해
구조를 단순화하고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각종 장비(인양고리, 긴결재, 브레이싱, 작업대 등)를 우드 갱폼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의 측면도로서 한 쌍의 우드 갱폼이 긴결재를 통해 설치되는 예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에 멍에재가 적용된 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에 적용된 핸드레일을 보인 측면도.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에 인양고리가 적용된 예를 보인 측면도와 인양고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에 브레이싱 헤드를 통해 브레이싱을 연결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에 작업대가 설치된 예를 보인 측면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에 적용된 고정 키커를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100)은, 목재이며 예를 들어 사각형의 타설판(10), 타설판(10)의 일측면(타설면의 반대쪽 면)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0), 타설판(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타설판(10)을 보강하는 다수의 장선재(30)로 이루어진다.
타설판(10)은 합판 등 다양한 목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프레임(20)은 각관, 앵글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타설판(10)의 상하좌우 테두리부에 각각 결합(못 등)되는 상하좌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타설판(10)의 형상 유지와 보강을 담당한다.
프레임(20)은 도 2의 원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강도 보강을 위한 포밍 각관이 바람직하다.
장선재(30)는 콘크리트 타설압력 등에 의한 타설판(10)의 변형 방지를 위한 보강재로서, 보강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비(인양고리, 거푸집간의 간격 유지를 위한 긴결재, 우드 갱폼을 지지하는 브레이싱,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등)를 적용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장선재(30)는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설판(10)에 지지되는 장선재 몸체(31), 장선재 몸체(31)에 형성되며 상기 장비가 연결되는 관통홀(32,33)로 구성된다. 장선재(30)는 모든 것이 동일 방향으로만 설치될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횡방향과 종방향 모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2에는 종방향의 장선재(30-1)가 상하부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장선재 몸체(31)는 전면부(34), 전면부(34)의 상하 양측에서 각각 동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하 수평부(35,36), 상하 수평부(35,36)에서 각각 상부와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타설판(10)에 지지되는 상하 지지부(37,38)로 구성되며, 타설판(10)에 못 등으로 고정, 또는 프레임(20)에 용접으로 고정, 또는 타설판(10)과 프레임(20)에 함께 고정된다.
전면부(34)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동일한 평평한 구조도 가능하지만 휨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예를 들어 중앙부에 오목한 형태의 보강부(34a)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34a)는 볼록한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 수평부(35,36)도 전면부와 마찬가지로 보강부가 구성 가능하다.
지지부(37,38)는 타설판(10)에 각각 면접촉되어 장선재(30)와 타설판(10)간의 접합 강도를 증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장선재(30)가 단일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보강이 약할 수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강판(34)이 적용될 수 있다.
보강판(39)은 장선재(30)와 프레임(20) 사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장선재(30)와 프레임(20)이 보강하지 못하는 곳을 보강하고,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장선재(30)와 프레임(20)에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보강한다.
보강판(39)은 프레임(20) 및 장선재(30)와 함께 삼각형의 공간을 제공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긴결재(200)(도 3참고)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즉 이 공간에 천공을 통해 긴결재를 설치하는 홀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때, 보강판(39)은 프레임(20) 및 장선재(30)는 긴결재의 와셔판을 지지하여 긴결재의 설치 강도를 증대한다. 이와 같이 보강판(39)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긴결재(200)를 설치하는 경우 타설판(10)에 구멍을 천공할 때 타설판(10)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장선재(30)에는 보호부(30a)가 형성된다. 보호부(30a)는 보강판(39)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점유하는 구조이며 홀(30b)이 형성되어 타설판(10)의 홀 자리를 만들어주며, 타설판(10)에 홀을 천공할 때 타설판(10)이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고 타설판(10)이 파손된다 하여도 긴결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보강한다.
보강판(39)은 판재, L 형 앵글, 각관, 원형관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관통홀(32,33)은 전면부(34) 바람직하게 보강부(34a)에 전후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1관통홀(32)과 상하 수평부(35,36)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33)로 구분된다. 제1,2관통홀(32,33)은 원형, 장공형, 타원형 모두가 가능하다.
제1관통홀(32)은 우드 갱폼(100)들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한 긴결재(200)(도 3 참고)가 설치되는 공간, 멍에재(각관, 앵글 등)(40)(도 4참고)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벽체나 기둥의 시공시 한 쌍의 우드 갱폼(100)이 일정 간격(벽체의 두께)을 두고 세워지며, 한 쌍의 우드 갱폼(100)들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긴결재(200)를 사용하고, 타설판(10)에 제1관통홀(32)과 연통하는 홀을 천공(시공 현장에서 천공, 또는 공장 제작시 천공)하며, 긴결재(200)의 장볼트(210)를 일측 우드 갱폼(100)의 제1관통홀(32)에서부터 천공된 홀을 통해 삽입 및 반대쪽 우드 갱폼(100)의 천공된 홀과 제1관통홀(32)을 통해 인출한 후 양쪽에서 와셔판과 너트(220)를 체결함으로써 긴결재(200)를 설치한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우드 갱폼(100)은 장선재(30)만으로도 충분한 보강이 나오지만 필요에 따라 멍에재(40)가 함께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멍에재(40)는 제1관통홀(32)을 통해 설치된다. 장선재(30)의 제1관통홀(32)(장공형)에 티볼트(41)의 헤드[제1관통홀(32)의 좌우 폭보다는 작지만 상하 높이보다는 큰 크기]를 삽입한 후 돌려 상기 헤드가 제1관통홀(32)의 후방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고 티볼트(41)의 나사부를 멍에재(40)의 홀에 관통시킨 후 너트(42)를 체결함으로써 멍에재(40)를 고정한다.
제2관통홀(33)은 장선재(30)의 상하 수평부(334,35)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핸드레일, 인양고리, 브레이싱, 작업대 등의 고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도 5에서처럼, 핸드레일(50)은 작업자가 고소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막기 위하여 작업자와 연결되는 안전걸이가 연결되도록 하고 작업자가 높은 곳으로 올라갈 때 손잡이를 제공하며 장선재(30)들 사이[또는 장선재(30)와 프레임(20)들 사이]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하부가 이웃하는 장선재(30)의 제2관통홀(33)에 관통된 후 용접 고정 또는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에서 핸드레일(50)은 상부가 상부측 장선재(30)의 하부 수평부(35)만을 관통하고 하부가 하부측 장선재(30)의 상부 수평부(34)만을 관통한 상태에서 용접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하부 수평부(34,35) 모두를 관통한 후 용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핸드레일(50)은 제2관통홀(33)에 고정되지 않고 상하 수평부(34,35)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드레일(50)은 작업자를 보호하면서도 작업자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원형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인양고리(60)는 우드 갱폼(100)의 인양시에만 우드 갱폼(100)에 설치되어 인양기와 연결되는 것이며, 인양기의 후크나 와이어가 연결되는 고리부(61)(구멍형, 후크형 등)가 구비되고, 장선재(30)를 감싸는 소켓부(62), 소켓부(62)와 장선재(30)의 제2관통홀(33)에 상하로 관통 체결되는 연결핀(63), 연결핀(63)에 체결되어 연결핀(63)이 소켓부(62)와 장선재(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핀(64)으로 구성된다.
소켓부(62)는 고리부(61)에 일체 내지 용접 고정으로 구성되며, 장선재(30)의 상하 수평부(34,35)를 상하 양측에서 각각 감싸며 각각 핀홀이 구비된 상하 덮음부, 상기 덮음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연결 형성되는 측벽부로 구성 가능하다.
연결핀(63)과 록킹핀(64)은 용이한 취급과 분실 방지를 위하여 예를 들어 소켓부(62)에 연결와이어(체인 등)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되고, 록킹핀(64)은 연결핀(63)에 형성된 록킹홀(63a)에 끼워짐으로써 연결핀(63)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브레이싱은 브레이싱 헤드(70)를 통해 장선재(30)에 연결된다.
브레이싱 헤드(70)는 장선재 고정부(71) 및 브레이싱 연결부(72)로 구성된다.
장선재 고정부(71)는 장선재(30)의 상하부를 감싸면서 핀홀이 각각 구비되는 상하 수평부 및 상하 수평부를 연결하는 수직부의 구조이며, 인양고리(60)와 마찬가지로 연결핀(73)과 록킹핀(74)을 통해 장선재(30)의 제2관통홀(33)을 이용하여 장선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브레이싱 연결부(72)는 장선재 고정부(71)와 체결구(75)를 통해 연결되고, 이때, 장선재 고정부(71)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브레이싱 연결부(72)는 브레이싱(1)을 감싸도록 좌우 벽체부 및 상기 벽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한 구조가 가능하고, 상기 벽체부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브레이싱(1)을 관통하는 연결핀(76)과 연결핀(76)을 록킹하는 록킹핀(77)으로 구성 가능하다.
브레이싱 헤드(70)에 적용되는 연결핀(73,76)과 록킹핀(74,77)도 각각 연결와이어(체인 등)를 통해 장선재 고정부(71)와 브레이싱 연결부(72)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업대(80)도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즉 제2관통홀(33)을 통해 장선재(30)에 고정되며, 작업대(80)는 수평부와 경사부를 포함하는 작업대 프레임(81), 작업대 프레임(81)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발판(82)(목재 등), 작업대 프레임(8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난간(83)으로 구성되며, 작업대 프레임(81)의 수평부와 경사부의 단부에는 각각 장선재(30)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전술한 인용고리(60) 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장선재(30)의 상하 수평부(34,35)를 감싸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 안의 장선재(30)의 제2관통홀에 관통 체결되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에 결합되는 록킹핀으로 구성된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드 갱폼(100)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고정 키커(90)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 키커(90)는 프레임(20)에 형성되는 걸림턱(21)에 걸려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고정부(91), 프레임 고정부(91)에서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며면서 지중에 고정되는 앵커(93)를 통해 고정[앵커(93)가 관통 지지되는 앵커홀을 통해 고정]되는 안착부(92)로 구성된다.
프레임 고정부(91)는 판재의 형태이며 선단부의 저부에 걸림턱(21)에 걸려 지지되는 턱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고정 키커(90)는 하나의 프레임 고정부(91)만을 이용하여도 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우드 갱폼(100)을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프레임 고정부(91)를 사용하는 경우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웃하는 2개의 우드 갱폼(100)의 프레임(20)에 각각 지지됨으로써 이웃하는 우드 갱폼(100)들을 결속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100은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종횡방향으로 배열 및 클램프를 통해 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클램프는 공지의 모든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우드 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우드 갱폼 조립체 조립.
건축물의 크기에 맞춰 우드 갱폼(100)의 수량을 선택하고, 선택된 수량의 우드 갱폼(100)을 클램프로 조립한다. 물론 하나의 우드 갱폼(100)만을 사용하는 건축물의 시공도 가능하며 다수의 우드 갱폼(100)을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우드 갱폼 조립체의 인양을 위한 인양고리(60), 브레이싱(1)의 연결을 위한 브레이싱 헤드(70),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80)를 우드 갱폼 조립체에 조립하며, 이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실시가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긴결재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 경우 우드 갱폼(100)의 타설판(10)에 긴결재의 설치를 위한 홀을 천공하며, 이 홀은 제1관통홀(32)과 통하도록 천공된다.
인양고리(60), 브레이싱 헤드(70), 작업대(80)는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조립된다. 또한, 브레이싱 헤드(70)는 우드 갱폼 조립체를 설치한 후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2. 우드 갱폼 조립체 인양.
우드 갱폼 조립체에 조립된 인양고리(60)의 고리부(61)에 인양기를 연결한 후 우드 갱폼 조립체를 인양하여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다.
3. 우드 갱폼 조립체 설치.
우드 갱폼 조립체를 건축물의 구조(벽체, 기둥 등)에 맞도록 세워 설치한다.
우드 갱폼 조립체를 세워 설치한 후 브레이싱(1)의 상부를 우드 갱폼 조립체에 조립된 브레이싱 헤드(70)에 조립하고 하부를 지면에 고정한다.
우드 갱폼 조립체의 위치가 결정되면 고정 키커(90)를 우드 갱폼 조립체의 저부에 결합 및 앵커링하여 우드 갱폼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한다.
인양고리(60), 브레이싱 헤드(70)는 록킹핀과 연결핀의 분리만을 통해 우드 갱폼(100)에서 쉽게 분리되며, 따라서, 우드 갱폼 조립체의 설치시 다른 작업과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 또는 설계 변형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인양고리(60), 브레이싱 헤드(70)를 분리한 후 다른 위치에 설치한다.
한편 벽체, 기둥의 시공시 긴결재(200)를 사용하여 마주하는 우드 갱폼 조립체를 긴결하고, 먼저, 긴결재(200)의 설치 위치에 맞춰 타설판(10)에 홀을 천공하되, 장선재(30)의 제1관통홀(32)과 연통하도록 홀을 천공하고, 긴결재(200)의 장볼트(210)를 천공된 홀과 제1관통홀(32)에 삽입한 후 양쪽에서 와셔판과 너트(220)를 체결함으로써 긴결재(200)를 설치 및 우드 갱폼 조립체를 긴결한다.
4. 콘크리트 타설.
우드 갱폼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통해 건축물을 시공한다.
5. 탈형.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우드 갱폼 조립체를 탈형하며, 브레이싱(1)이 사용된 경우 브레이싱 헤드(70)에서 브레이싱(1)을 분리 또는 브레이싱 헤드(70)를 우드 갱폼 조립체에서 분리하고, 긴결재(200)를 설치한 경우 긴결재(200)를 해체한다.
모든 자재의 해체를 완료한 후 인양고리(60)에 인양기를 연결하여 우드 갱폼 조립체를 탈형 및 다른 곳으로 운반한다.
이와 같은 모든 작업 중에 작업자의 수작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 있으며, 작업자는 핸드레일(50)에 안전후크고리를 걸고 안전하게 작업대(8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하거나 핸드레일(50)을 잡고 올라가면서 작업[장선재(30)를 계단으로 이용하여 올라갈 수 있음]하고,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한 고소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추락 사고 등을 막고 작업시간을 단축한다.
10 : 타설판, 20 : 프레임
21 : 걸림턱, 30 : 장선재
31 : 장선재 몸체, 32,33 : 제1,2관통홀
34 : 전면부, 35,36 : 상하 수평부
37,38 : 상하 지지부, 39 : 보강판
40 : 멍에재, 50 : 핸드레일
60 : 인양고리, 61 : 고리부
63,73,76 : 연결핀, 64,74,77 : 록킹핀
70 : 브레이싱 헤드, 80 : 작업대
90 : 고정 키커,

Claims (13)

  1. 목재의 타설판(10)과;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타설판의 일측면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기 타설판과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보강하는 장선재(30)와;
    상기 장선재들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근접되는 장선재에 고정되며 작업자의 안전후크 고리를 연결하거나 손잡이로 사용되는 핸드레일(50)을 포함하고,
    상기 장선재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설판에 지지되는 장선재 몸체(31), 상기 장선재 몸체에 원형 또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비가 연결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장선재 몸체의 전면부에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32), 상기 장선재 몸체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 이상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33)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핸드레일은 이웃하는 장선재의 제2관통홀에 관통된 후 용접 또는 너트로 고정되거나 상기 장선재의 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와 상기 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보강판(39)을 포함하고, 보강판은 상기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장선재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부에 긴결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는 상기 보강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점유하여 타설판을 보호 보강하며 홀(30b)이 구비된 보호부(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의 외측에 상기 장선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관통홀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구를 통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멍에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 몸체는 상기 제1관통홀이 구비되는 전면부(34)와 상기 전면부의 상하부에서 상기 타설판을 향해 절곡 성형되며 상기 제2관통홀이 구비되는 상하 수평부(35,36) 및 상기 상하 수평부의 단부에서 각각 상부와 하부로 절곡 성형되어 상기 타설판에 지지되는 지지부(37,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지면에 지지되면서 앵커링되는 고정 키커(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키커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고정부(91), 상기 프레임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면서 지중에 고정되는 앵커를 통해 고정되는 안착부(9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양기에 연결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고리는 인양기의 후크나 와이어가 연결되는 고리부(61), 상기 장선재(30)를 감싸는 소켓부(62), 상기 소켓부와 상기 장선재의 관통홀에 관통 체결되는 연결핀(63), 상기 연결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소켓부와 상기 장선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핀(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레이싱이 연결되는 브레이싱 헤드(70)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싱 헤드(70)는 상기 장선재를 감싸는 장선재 고정부(71), 상기 장선재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싱이 고정되는 브레이싱 연결부(72), 상기 장선재 고정부와 상기 장선재의 관통홀에 관통 체결되는 연결핀(73), 상기 연결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핀이 상기 장선재 고정부와 상기 장선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핀(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부와 경사부를 포함하는 작업대 프레임(81), 상기 작업대 프레임(81)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발판(82)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난간(83)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대 프레임(81)의 수평부와 경사부가 상기 장선재의 관통홀에 결합되는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장선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
  12. 청구항 1에 의한 우드 갱폼의 관통홀을 통해 인양고리, 긴결재, 브레이싱 헤드, 작업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장비를 조립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조립된 우드 갱폼을 콘크리트 타설 위치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설치된 우드 갱폼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우드 갱폼을 탈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우드 갱폼을 지면에 세우고 고정 키커를 상기 우드 갱폼에 연결함과 아울러 앵커를 상기 고정 키커와 지중에 앵커링하여 상기 우드 갱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50062000A 2015-04-30 2015-04-30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4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00A KR101641335B1 (ko) 2015-04-30 2015-04-30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US15/138,223 US9861190B2 (en) 2015-04-30 2016-04-26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00A KR101641335B1 (ko) 2015-04-30 2015-04-30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335B1 true KR101641335B1 (ko) 2016-07-20

Family

ID=5668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000A KR101641335B1 (ko) 2015-04-30 2015-04-30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61190B2 (ko)
KR (1) KR1016413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8105A (zh) * 2021-09-27 2021-12-03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清水混凝土对拉螺栓孔的成型方法
KR102360489B1 (ko) * 2020-10-22 2022-02-08 김재원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KR20220040606A (ko) * 2020-09-24 2022-03-31 리움건설 주식회사 웰라가 구비되는 유로폼용 결속장치
US20220195741A1 (en) * 2019-02-20 2022-06-23 Pascal-Werk G. Maier Formwork element and formwork construction k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1528A1 (en) * 2018-06-13 2019-12-19 Wilan Holding Company Heavy duty spanning form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10289114U (zh) * 2019-02-15 2020-04-10 浙江中益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拆装夹具
DE102019104316A1 (de) * 2019-02-20 2020-08-20 Paschal-Werk G. Maier Gmbh Schalungselement und Schalungsbaukasten
CN109868923B (zh) * 2019-03-11 2021-01-05 深圳市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散拼木模板清水混凝土施工方法
DE102019107433A1 (de) * 2019-03-22 2020-09-24 Peri Gmbh Tragstruktur für ein Schalungspaneel
DE102019107436A1 (de) * 2019-03-22 2020-09-24 Peri Gmbh Tragstruktur für ein Rahmenschalungspaneel
IT201900005148A1 (it) * 2019-04-05 2020-10-05 Faresin Formwork S P A Pannello perfezionato per casserature per getti verticali
CN114096723A (zh) * 2019-05-07 2022-02-25 Peri股份公司 用于模板面板的对准夹和系杆连接器组件
KR20230044916A (ko) * 2021-09-27 2023-04-04 안경호 거푸집 체결 클램프
CN116357075B (zh) * 2023-05-31 2023-09-19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基于木模板的清水造型楼梯多曲面楼梯扶手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920A (ko) * 2001-08-25 2003-03-04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콘크리트 거푸집널
KR20050021416A (ko) * 2005-02-03 2005-03-07 김길평 건축용 끼움식 강재 거푸집
KR101008411B1 (ko) * 2010-01-26 2011-01-14 유한회사 네모프리시스템 조립식 거푸집패널
KR101207013B1 (ko) 2010-10-29 2012-12-03 (주)에이원알폼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KR101489385B1 (ko) * 2014-02-28 2015-02-03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용 견인 브래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354A (en) * 1970-07-13 1972-05-09 Symons Corp Reinforced concrete wall form panel
US3899155A (en) * 1973-10-23 1975-08-12 Edward B Ward Concrete form panels with hollow reinforcing ribs
US4228986A (en) * 1979-03-12 1980-10-21 Symons Corporation Attachment for anchoring a safety belt
KR870000792Y1 (ko) 1984-11-01 1987-03-05 김기태 필터프레스
US5537797A (en) * 1993-11-22 1996-07-23 The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Modular concrete form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s
AUPR984902A0 (en) * 2002-01-08 2002-01-31 Nicolo, Assunta A device and system
US6935607B2 (en) * 2002-10-23 2005-08-30 Western Forms, Inc. Forming panel with extruded elongated threaded slot for receiving threaded attachment members
US7182308B2 (en) * 2003-08-29 2007-02-27 Precise Forms, Inc.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DE102004001091A1 (de) * 2004-01-05 2005-08-04 Peri Gmbh Schalungssystem
US20080017783A1 (en) * 2006-07-20 2008-01-24 Hy-Rise Scoffolding Ltd. Formwork panel assemblies and clamp
US8011637B2 (en) * 2007-06-15 2011-09-06 Precise Forms, Inc. Concrete form system for low-clearance applications
CA2597832A1 (en) * 2007-08-28 2009-02-28 Green Built Manufacturing Inc. Building elements formed using straps
KR200459960Y1 (ko) 2009-10-24 2012-04-25 (주)블루폼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시스템 판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920A (ko) * 2001-08-25 2003-03-04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콘크리트 거푸집널
KR20050021416A (ko) * 2005-02-03 2005-03-07 김길평 건축용 끼움식 강재 거푸집
KR101008411B1 (ko) * 2010-01-26 2011-01-14 유한회사 네모프리시스템 조립식 거푸집패널
KR101207013B1 (ko) 2010-10-29 2012-12-03 (주)에이원알폼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KR101489385B1 (ko) * 2014-02-28 2015-02-03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용 견인 브래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5741A1 (en) * 2019-02-20 2022-06-23 Pascal-Werk G. Maier Formwork element and formwork construction kit
KR20220040606A (ko) * 2020-09-24 2022-03-31 리움건설 주식회사 웰라가 구비되는 유로폼용 결속장치
KR102506679B1 (ko) * 2020-09-24 2023-03-03 리움건설 주식회사 웰라가 구비되는 유로폼용 결속장치
KR102360489B1 (ko) * 2020-10-22 2022-02-08 김재원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CN113738105A (zh) * 2021-09-27 2021-12-03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清水混凝土对拉螺栓孔的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61190B2 (en) 2018-01-09
US20160319558A1 (en)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335B1 (ko)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809886B1 (ko)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US10655346B2 (en) Method for erecting a shuttering framework
US5730245A (en) Safety cable deck anchor
US20140175259A1 (en) Modular Panel Concrete Form For Self-Lifting Concrete Form System
KR101817962B1 (ko) 안전작업대 모듈
CN104005556B (zh) 用于伸缩缝处剪力墙的定型组合模板施工工艺
KR101764395B1 (ko) 커플러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759710B1 (ko) 건축물의 보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 받침방법
KR100862737B1 (ko)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20130049041A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657995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CN208267342U (zh) 高空悬挑混凝土结构支模脚手架
CN204370797U (zh) 一种混凝土楼板施工用模板装置及其支撑组件
JP2008121335A (ja) 塔状pc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緊張システム装置
CN209799386U (zh) 一种施工现场辅助预制大型钢筋骨架用的装配式型钢挂架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JPS58185856A (ja) Src構造梁構築用の作業用足場兼支保工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CN218522267U (zh) 一种井道模板及混凝土布料机多功能支架装置
KR20170039553A (ko) 건축물 슬래브의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CN202788016U (zh) 施工现场作业防护棚
KR200378383Y1 (ko) 보거푸집 및 슬라브테이블 서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