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489B1 -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 Google Patents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489B1
KR102360489B1 KR1020200137897A KR20200137897A KR102360489B1 KR 102360489 B1 KR102360489 B1 KR 102360489B1 KR 1020200137897 A KR1020200137897 A KR 1020200137897A KR 20200137897 A KR20200137897 A KR 20200137897A KR 102360489 B1 KR102360489 B1 KR 10236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file
aluminum foam
protrus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20013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폼은,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하는 제1 판부와, 제1 판부의 상측, 하측 및 좌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1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패널;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하는 제2 판부와, 제2 판부의 상측, 하측 및 우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2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 제1 프로파일부와 제2 프로파일부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로보강대; 및 복수의 가로보강대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보강대를 포함하고, 제1 판부의 우측 둘레와 제2 판부의 좌측 둘레는 서로 용접되고, 제1 프로파일부의 우측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의 좌측 단부는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ALUMIUM FORM AND ALUMIUM FORM ASSEMBLY}
본 발명은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벽체, 슬라브, 계단실, 코어 부분에 대해 고강도 알루미늄패널 소재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form)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기둥, 바닥, 벽 등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데 이것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일반층에서는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4주, 지붕이나 옥상 등은 2주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는데 떼어낸 거푸집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으로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판넬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 갱폼, 유로폼, 알루미늄폼 및 시스템폼으로 구분된다. 이 중 알루미늄폼은 벽체, 슬라브, 계단실, 코어부분에 대해 고강도 알루미늄패널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밀도가 높은 시스템 거푸집이다.
알루미늄폼은 기존 거푸집 조공의 기능도에 의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현장 가공을 최소화하여 설계품질이 높은 거푸집이며 안정성이 뛰어나고 목재 등 산업폐기물의 감소 효과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라 현재 국내 공동주택 현장의 기준층 작업에 알루미늄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08479호(이하 '선행문헌1')는 알루미늄폼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은 평판의 패널과,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곽을 둘러싸는 프레임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패널은 직방형으로 규격화되어 있으며, 프레임에는 치수에 따라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가 중간 중간에 더 마련된다.
거푸집은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므로, 거푸집용 판넬은 다양한 가로세로 사이즈로 제작되고 있다. 거푸집용 판넬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다수의 보강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17441호(이하 '선행문헌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에는 합벽지지대가 사용되고 있다. 합벽지지대는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로 거푸집의 측압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판 패널을 기준으로 보강재는 프레임보다 돌출되지 않아야한다. 보강재가 프레임보다 돌출되면, 합벽지지대가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로 거푸집의 측압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알루미늄은 철(steel)에 비해 절삭가공이 어려운 금속 재료이다. 알루미늄폼 생산시 평판 패널을 기준으로 보강재가 프레임보다 돌출되더라도 알루미늄 재질의 보강재를 절삭하여 보강재와 프레임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962호(이하 '선행문헌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에는 안전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안전작업대의 제2 프레임은 수직강관의 배면 하단부에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와, 접촉지지부를 수직강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접촉지지부는 'ㄷ'자형 브래킷으로 마련되어 수직강관의 좌우측면 및 배면을 'ㄷ'자 형태로 감싸는 구성이며, 고정수단은 접촉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장홀을 따라 삽입 고정되어 접촉지지부가 수직강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문헌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거푸집용 안전작업대는 먼저 수직강관을 거푸집에 고정하고 나서, 안전작업대를 수직강관에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문헌3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판널은 가로방향보다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그러나 거푸집 패널이 90도 회전되어 거푸집을 형성한 경우, 수직강관이 고정되는 프레임이 가로방향으로 멀리 이격되어 안전작업대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거푸집은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므로, 알루미늄폼은 다양한 가로세로 사이즈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폼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제작설비가 커져야 한다. 따라서, 알루미늄폼의 사이즈 증가는 생산성 감소 및 생산단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알루미늄폼의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기존 제작설비를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08479호 (등록일: 2006.02.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17441호 (등록일: 2016.04.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962호 (등록일: 2018.01.08)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폼의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기존 제작설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알루미늄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알루미늄폼 생산시 패널부를 기준으로 가로보강대가 프로파일부보다 돌출되더라도 가로보강대와 프로파일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안전작업대를 알루미늄폼에 바로 고정할 수 있고, 알루미늄폼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안전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상측, 하측 및 좌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1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패널;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하는 제2 판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상측, 하측 및 우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2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 상기 제1 프로파일부와 상기 제2 프로파일부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로보강대; 및 상기 복수의 가로보강대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부의 우측 둘레와 상기 제2 판부의 좌측 둘레는 서로 용접되고, 상기 제1 프로파일부의 우측 단부와 상기 제2 프로파일부의 좌측 단부는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에 용접되고,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에 밀착되는 중공관부; 상기 중공관부로부터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와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로보강대를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에 연결한 비드(bead)를 둘러싸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서로 나란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공관부, 상기 제1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공관부, 상기 제2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오목부의 개구와 상기 제2 오목부의 개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보다 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로보강대에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제2 판부를 연결한 비드(bead)와 이격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로보강대에 안전작업대가 제1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세로보강대에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1 핀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알루미늄폼; 및 상기 알루미늄폼이 90도 회전되더라도 상기 세로보강대에 상기 안전작업대가 상기 제1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세로보강대와 상기 안전작업대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안전작업대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에 제2핀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결합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 핀홀이 형성되는 개재부; 및 상기 개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3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부와 상기 결합판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판부의 우측 둘레와 제2 판부의 좌측 둘레는 서로 용접되고, 제1 프로파일부의 우측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의 좌측 단부는 서로 용접됨으로써, 알루미늄폼의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기존 제작설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알루미늄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공관부는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제1 프로파일부 및 제2 프로파일부보다 덜 돌출되고, 연장부는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제1 프로파일부 및 제2 프로파일부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폼 생산시 패널부를 기준으로 가로보강대가 프로파일부보다 돌출되더라도 알루미늄 재질의 가로보강대를 절삭하여 가로보강대와 프로파일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알루미늄폼이 90도 회전되더라도 세로보강대에 안전작업대가 제1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연결소켓이 세로보강대와 안전작업대를 연결함으로써, 안전작업대를 알루미늄폼에 바로 고정할 수 있고, 알루미늄폼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안전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로보강재 및 세로보강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이다.
도 4는 거푸집에 설치되는 안전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기준으로 90도 회전된 거푸집에 설치되는 안전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폼은, 알루미늄폼 생산시 패널부를 기준으로 가로보강대가 프로파일부보다 돌출되더라도 가로보강대와 프로파일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폼은, 알루미늄폼의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기존 제작설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알루미늄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알루미늄폼 조립체는, 안전작업대를 알루미늄폼에 바로 고정할 수 있고, 알루미늄폼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안전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폼(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로보강재 및 세로보강대(400)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이다. 도 4는 거푸집(1000)에 설치되는 안전작업대(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기준으로 90도 회전된 거푸집(1000)에 설치되는 안전작업대(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10)은 벽체, 슬라브, 계단실, 코어부분에 대해 고강도 알루미늄패널 소재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거푸집(form)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기둥, 바닥, 벽 등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데 이것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10)은 거푸집(1000)에서 외부 벽체 부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폼 제조공정은 원자재 준비, 원자재 절단, 펀칭, 용접이음, 도장, 포장 순서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폼 제조설비는 일방향으로 긴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이송장치의 상부에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다.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기, 펀칭기, 용접장치, 도장장치가 설치된다. 알루미늄폼의 원자재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장치의 상부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3차원 직각 좌표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좌측은 X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우측은 X방향과 반대쪽(이하 '역X방향')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10)은 제1 패널(110), 제2 패널(120), 가로보강대(300) 및 세로보강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패널(110)은 제1 판부(111) 및 제1 프로파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판부(111)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받는 부분으로,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한다. 원자재 절단 공정에서 제1 판부(111)는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로 절단된다. 제1 판부(111)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로파일부(112)는 제1 판부(111)의 상측, 하측 및 좌측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용접이음 공정에서 제1 프로파일부(112)는 제1 판부(111)의 둘레에 용접된다.
제1 프로파일부(112)는 제1 판부(111)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펀칭 공정에서 제1 프로파일부(112)에 원형핀 및 삼각핀(Pt)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핀홀(Ph)이 형성된다.
제2 패널(120)은 제2 판부(121) 및 제2 프로파일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판부(121)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받는 부분으로,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한다. 원자재 절단 공정에서 제2 판부(121)는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로 절단된다. 제2 판부(121)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프로파일부(122)는 제2 판부(121)의 상측, 하측 및 우측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용접이음 공정에서 제2 프로파일부(122)는 제2 판부(121)의 둘레에 용접된다.
제2 프로파일부(122)는 제2 판부(121)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펀칭 공정에서 제2 프로파일부(122)에 원형핀 및 삼각핀(Pt)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핀홀(Ph)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판부는 제1 판부(111) 및 제2 판부(121)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프로파일부는 제1 프로파일부(112) 및 제2 프로파일부(122)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강대(300)는 제1 프로파일부(112)와 제2 프로파일부(122)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가로보강대(3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로 배열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강대(300)는 중공관부(310), 돌출부(320) 및 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중공관부(310)는 가로방향으로 긴 중공관 형태를 형성한다. 중공관부(310)는 판부 쪽 면이 더 넓은 형태를 형성한다. 중공관부(310)의 역Y방향 면은 판부에 밀착된다. 중공관부(310)의 테두리부는 판부에 용접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20)는 중공관부(310)로부터 판부와 반대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돌출부(320)는 서로 나란한 제1 돌출부(321)와 제2 돌출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돌출부(321)와 제2 돌출부(322)는 Z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연장부(330)는 돌출부(320)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330)는 제1 연장부(331) 및 제2 연장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연장부(331)는 제1 돌출부(321)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세로방향은 역Z축방향을 의미한다. 제1 연장부(331)는 제2 연장부(332) 쪽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부(331)는 중공관부(310) 및 제1 돌출부(321)와 함께 제1 오목부(A1)를 형성한다. 제1 오목부(A1)는 제1 연장부(331), 중공관부(310) 및 제1 돌출부(321)가 'ㄷ'자 형태로 둘러싼 부분(면, 공간)을 의미한다.
제2 연장부(332)는 제2 돌출부(322)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세로방향은 Z축방향을 의미한다. 제2 연장부(332)는 제1 연장부(331) 쪽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332)는 중공관부(310) 및 제2 돌출부(322)와 함께 제2 오목부(A2)를 형성한다. 제2 오목부(A2)는 제2 연장부(332), 중공관부(310) 및 제2 돌출부(322)가 'ㄷ'자 형태로 둘러싼 부분(면, 공간)을 의미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A1)의 개구와 제2 오목부(A2)의 개구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형성한다.
제1 판부(111)의 우측 둘레와 제2 판부(121)의 좌측 둘레, 그리고 제1 프로파일부(112)의 우측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122)의 좌측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로보강대(300)의 X축방향 단부는 제1 오목부(A1)에서 제1 프로파일부(112)에 용접된다. 작업자는 텅스텐 전극과 용접봉을 제1 오목부(A1)에 삽입하여 가로보강대(300)의 X축방향 단부를 제1 프로파일부(112)에 용접할 수 있다.
제1 오목부(A1)는 가로보강대(300)를 제1 프로파일부(112)에 연결한 비드(B;bead)를 둘러싸게 된다.
제1 프로파일부(112)는 제1 오목부(A1)에서 중공관부(310), 제1 돌출부(321) 및 제1 연장부(331)에 동시에 용접된다. 따라서, 용접이음에 의한 가로보강대(300)의 X축방향 단부와 제1 프로파일부(112)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제2 판부(121)의 좌측 둘레와 제1 판부(111)의 우측 둘레, 그리고 제2 프로파일부(122)의 좌측 단부와 제1 프로파일부(112)의 우측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로보강대(300)의 역X축방향 단부는 제2 오목부(A2)에서 제2 프로파일부(122)에 용접된다. 작업자는 텅스텐 전극과 용접봉을 제2 오목부(A2)에 삽입하여 가로보강대(300)의 역X축방향 단부를 제2 프로파일부(122)에 용접한다.
제2 오목부(A2)는 가로보강대(300)를 제2 프로파일부(122)에 연결한 비드(bead)를 둘러싸게 된다. 제2 프로파일부(122)는 제2 오목부(A2)에서 중공관부(310), 제2 돌출부(322) 및 제2 연장부(332)에 동시에 용접된다.
따라서, 용접이음에 의한 가로보강대(300)의 역X축방향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122)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강대(300)가 제1 프로파일부(112) 및 제2 프로파일부(122)에 용접된 상태에서, 중공관부(310)는 제1 판부(111) 및 제2 판부(121)를 기준으로 제1 프로파일부(112) 및 제2 프로파일부(122)보다 덜 돌출된다.
그리고 연장부(330)는 제1 판부(111) 및 제2 판부(121)를 기준으로 제1 프로파일부(112) 및 제2 프로파일부(122)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한다.
연장부(330)는 Z축방향으로 중공관보다 짧은 길이를 형성한다. 따라서, 치수 오차, 치수공차(dimensional tolerance) 등의 요인에 의해 연장부(330)가 판부를 기준으로 프로파일부보다 Y축방향으로 더 돌출되더라도, 연장부(330)의 Y축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을 쉽게 절삭하여 제거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가로보강대(300)를 제1 프로파일부(112) 및 제2 프로파일부(122)에 용접한 다음,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을 용접한다.
도 1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부(111)의 우측 둘레와 제2 판부(121)의 좌측 둘레, 그리고 제1 프로파일부(112)의 우측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122)의 좌측 단부가 서로 용접되어, 단일 패널(100) 형태를 형성한다.
알루미늄폼(10)은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가로방향 길이가 긴 알루미늄폼(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송장치의 대형화가 요구된다. 이송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제조공장의 경우에는 생산부지의 확대가 요구된다.
이송장치의 대형화는 알루미늄폼(10)의 생산시간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알루미늄폼(10)의 생산단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송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거나, 생산부지를 증설하지 않더라도, 기존 설비나 부지 환경에서 대형 알루미늄폼(10)의 생산시간을 유지 내지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은 각각 이송장치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원자재 절단, 펀칭, 용접이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1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부(111)의 우측 둘레와 제2 판부(121)의 좌측 둘레, 그리고 제1 프로파일부(112)의 우측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122)의 좌측 단부가 서로 용접되어, 단일 패널(100) 형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이 용접이음되면, 대형 패널(100)도 기존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도장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보강대(400)는 복수의 가로보강대(300)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세로보강대(40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가로보강대(300) 사이마다 배치된다. 또한, 세로보강대(400)는 프로파일부와 가로보강대(300) 사이에 배치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보강대(400)는 세로방향으로 긴 중공관 형태를 형성한다. 세로보강대(4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은 가로보강대(300)에 밀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세로보강대(400)의 상단면은 프로파일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최하단 세로보강대(400)의 하단면은 프로파일부에 밀착된다. 세로보강대(400)의 상단 및 하단은 가로보강대(300) 및 프로파일부에 용접된다.
세로보강대(400)의 역Y축방향 면에 오목홈(401)이 형성된다. 오목홈(401)의 내면은 제1 판부(111)와 제2 판부(121)의 경계선 부분에서 판부와 가장 이격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오목홈(401)의 내면은 제1 판부(111)와 제2 판부(121)를 연결한 비드(B)와 이격된다. 세로보강대(400)의 역Y축방향 면은 오목홈(401) 양쪽에서 판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 판부(111)와 제2 판부(121)를 연결한 비드(B)에 의한 세로보강대(400)의 조립성 하락이 방지됨과 아울러, 곡면 형성에 의해 세로보강대(400)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보강대(400)에 제1 핀홀(400H)이 형성된다. 제1 핀홀(400H)에 제1핀(P1)이 삽입될 수 있다. 제1핀(P1)은 원형핀 또는 롱핀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0) 작업시 거푸집(1000)에는 안전작업대(3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작업대(30)는 프레임(31), 발판(32) 및 결합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작업대(30)는 거푸집(1000) 작업시 널리 사용되는 작업용 부자재이므로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프레임(31)은 제1 프레임(31A) 및 제2 프레임(31B)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31A) 및 제2 프레임(31B)은 각각 제1 가로프레임(31C1), 제2 가로프레임(31C2) 및 세로프레임(31C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가로프레임(31C1)과 제2 가로프레임(31C2)은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가로프레임(31C1)과 제2 가로프레임(31C2)의 일단부는 세로프레임(31C3)에 결합된다.
제1 프레임(31A)의 세로프레임(31C3)과 제2 프레임(31B)의 세로프레임(31C3)은 연결프레임(CF)에 의해 연결된다. 세로프레임(31C3)과 연결프레임(CF)은 클램프(CP)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발판(32)은 제2 가로프레임(31C2)에 안착된다. 발판(32)은 작업자가 밟고 이동하는 면을 형성한다.
결합판(33)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결합판(33)은 제1 가로프레임(31C1) 및 제2 가로프레임(31C2)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결합판(33)에 결합홀(33H)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홀(33H)에 제1핀(P1)이 삽입될 수 있다. 제1핀(P1)은 원형핀 또는 롱핀을 의미할 수 있다.
작업자는 거푸집(1000)의 세로보강대(400)를 한 쌍의 결합판(33) 사이에 삽입하고, 결합홀(33H)과 제1 핀홀(400H)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고 나서, 제1핀(P1)을 결합홀(33H) 및 제1 핀홀(400H)에 삽입한 뒤, 제1핀(P1)의 홀에 삼각핀(Pt) 또는 롱핀을 삽입함으로써, 세로보강대(400)에 안전작업대(30)를 결합할 수 있다.
종래 거푸집용 안전작업대는 별도의 수직강관을 거푸집에 고정하고 나서, 안전작업대를 수직강관에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10)은 별도의 수직강관 없이 안전작업대(30)를 세로보강대(400)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1000)과 안전작업대(30)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1000)에 안전작업대(30)를 설치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 조립체(1)는 알루미늄폼(10) 및 연결소켓(20)을 포함한다.
연결소켓(20)은 세로보강대(400)와 안전작업대(3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소켓(20)은 개재부(21) 및 결합판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재부(21)는 결합판(33)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다. 개재부(21)는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개재부(21)에 제2 핀홀(21H)이 형성된다. 제2 핀홀(21H)에 제2핀(P2)이 삽입될 수 있다. 제2핀(P2)은 원형핀 또는 롱핀을 의미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개재부(21)를 한 쌍의 결합판(33) 사이에 삽입하고, 결합홀(33H)과 제2 핀홀(21H)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고 나서, 제2핀(P2)을 결합홀(33H) 및 제2 핀홀(21H)에 삽입한 뒤, 제2핀(P2)의 홀에 삼각핀(Pt)을 삽입함으로써, 개재부(21)를 결합판(33)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핀홀(21H)은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의 4개 면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개재부(21)가 90도 회전되더라도 결합홀(33H)과 제2 핀홀(21H)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재부(21)가 90도 회전되더라도 개재부(21)를 결합판(33)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판부(22)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결합판부(22)는 개재부(21)의 길이방향 끝단에 결합된다.
결합판부(22)에 제3 핀홀(22H)이 각각 형성된다. 제3 핀홀(22H)에 제1핀(P1)이 삽입될 수 있다. 제1핀(P1)은 원형핀 또는 롱핀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10)은 세로보강대(400)의 길이방향이 세로방향인 상태에서 거푸집(10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10)은 세로보강대(400)의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인 상태에서 거푸집(10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거푸집용 안전작업대는 별도의 수직강관을 거푸집에 고정하고 나서, 안전작업대를 수직강관에 고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알푸미늄폼이 90도 회전되어 거푸집을 형성한 경우, 수직강관이 고정되는 프레임이 가로방향으로 멀리 이격되어 안전작업대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폼 조립체(1)는, 결합판부(22)와 결합판(33)이 서로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개재부(21)를 결합판(33) 사이에 결합하면,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인 세로보강대(400)를 한 쌍의 결합판부(22)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핀홀(400H)과 제3 핀홀(22H)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고, 제1핀(P1)을 제1 핀홀(400H)과 제3 핀홀(22H)에 삽입한 뒤, 제1핀(P1)의 홀에 삼각핀(Pt)을 삽입함으로써, 세로보강대(400)에 안전작업대(3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관부는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제1 프로파일부 및 제2 프로파일부보다 덜 돌출되고, 연장부는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제1 프로파일부 및 제2 프로파일부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폼 생산시 패널부를 기준으로 가로보강대가 프로파일부보다 돌출되더라도 알루미늄 재질의 가로보강대를 절삭하여 가로보강대와 프로파일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판부의 우측 둘레와 제2 판부의 좌측 둘레는 서로 용접되고, 제1 프로파일부의 우측 단부와 제2 프로파일부의 좌측 단부는 서로 용접됨으로써, 알루미늄폼의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기존 제작설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알루미늄폼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알루미늄폼이 90도 회전되더라도 세로보강대에 안전작업대가 제1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연결소켓이 세로보강대와 안전작업대를 연결함으로써, 안전작업대를 알루미늄폼에 바로 고정할 수 있고, 알루미늄폼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안전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알루미늄폼 조립체
10 : 알루미늄폼
100 : 패널 300 : 가로보강대
110 : 제1 패널 310 : 중공관부
111 : 제1 판부 320 : 돌출부
112 : 제1 프로파일부 321 : 제1 돌출부
120 : 제2 패널 322 : 제2 돌출부
121 : 제2 판부 330 : 연장부
122 : 제2 프로파일부 331 : 제1 연장부
P1 : 제1핀 332 : 제2 연장부
Ph : 핀홀 A : 오목부
Pt : 삼각핀 A1 : 제1 오목부
400 : 세로보강대 A2 : 제2 오목부
401 : 오목홈
400H : 제1 핀홀
20 : 연결소켓
21 : 개재부 22 : 결합판부
21H : 제2 핀홀 22H : 제3 핀홀
30 : 안전작업대
31 : 프레임 32 : 발판
31A : 제1 프레임 33 : 결합판
31B : 제2 프레임 33H : 결합홀
31C1 : 제1 가로프레임 P2 : 제2핀
31C2 : 제2 가로프레임
31C3 : 세로프레임
CP : 클램프
CF : 연결프레임

Claims (8)

  1.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상측, 하측 및 좌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1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패널; 세로방향으로 긴 사각형 판 형태를 형성하는 제2 판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상측, 하측 및 우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2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 상기 제1 프로파일부와 상기 제2 프로파일부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고,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로보강대; 및 상기 복수의 가로보강대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부의 우측 둘레와 상기 제2 판부의 좌측 둘레는 서로 용접되고, 상기 제1 프로파일부의 우측 단부와 상기 제2 프로파일부의 좌측 단부는 서로 용접되며,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에 용접되고, 상기 가로보강대는,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에 밀착되는 중공관부; 상기 중공관부로부터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와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로보강대를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에 연결한 비드(bead)를 둘러싸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나란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돌출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공관부, 상기 제1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공관부, 상기 제2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오목부의 개구와 상기 제2 오목부의 개구는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보다 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2 프로파일부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보강대에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제2 판부를 연결한 비드(bead)와 이격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보강대에 안전작업대가 제1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세로보강대에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1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7. 제6항의 알루미늄폼; 및
    상기 알루미늄폼이 90도 회전되더라도 상기 세로보강대에 상기 안전작업대가 상기 제1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세로보강대와 상기 안전작업대를 연결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업대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에 제2핀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결합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 핀홀이 형성되는 개재부; 및
    상기 개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3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부와 상기 결합판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폼 조립체.
KR1020200137897A 2020-10-22 2020-10-22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KR10236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97A KR102360489B1 (ko) 2020-10-22 2020-10-22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97A KR102360489B1 (ko) 2020-10-22 2020-10-22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489B1 true KR102360489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97A KR102360489B1 (ko) 2020-10-22 2020-10-22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4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79B1 (ko) 1994-12-07 2004-03-26 카글라스 록셈브르그 사르-주그 브렌치 윈드스크린의분리장치및그방법
KR20060100294A (ko) * 2006-04-04 2006-09-20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거푸집
CN105350767A (zh) * 2015-11-02 2016-02-2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凸出截面型材及其单元模板结构
KR101617441B1 (ko) 2015-03-23 2016-05-10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고정장치
KR101641335B1 (ko) * 2015-04-30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817962B1 (ko) 2016-04-19 2018-01-16 주식회사블루폼 안전작업대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79B1 (ko) 1994-12-07 2004-03-26 카글라스 록셈브르그 사르-주그 브렌치 윈드스크린의분리장치및그방법
KR20060100294A (ko) * 2006-04-04 2006-09-20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거푸집
KR101617441B1 (ko) 2015-03-23 2016-05-10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고정장치
KR101641335B1 (ko) * 2015-04-30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CN105350767A (zh) * 2015-11-02 2016-02-2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凸出截面型材及其单元模板结构
KR101817962B1 (ko) 2016-04-19 2018-01-16 주식회사블루폼 안전작업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9799B (zh) 一种风洞清水混凝土施工工艺
CN110104548B (zh) 一种龙门吊主梁结构建造方法
JP6731465B2 (ja) 外壁テンプレート
KR101723334B1 (ko) 절곡을 이용한 금속제 거푸집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거푸집
KR102360489B1 (ko) 알루미늄폼 및 알루미늄폼 조립체
CN101906873A (zh) 梁模框单元、横紧固框架和就地浇注钢筋混凝土梁的方法
CN110700490B (zh) 转换层大跨度型钢混凝土梁及施工方法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CN115365764B (zh) 一种四角圆弧断面变截面附筋钢壳塔节段制造方法
CN108747068B (zh) 一种铁路车辆的组装方法
CN114319721B (zh) 大截面劲性混凝土柱及其施工方法
CN114473283B (zh) 一种吊机基座装焊方法及吊机基座装焊工装
CN110861201B (zh) 用于制造预铸梁柱结构的定位模具及使用所述定位模具制造预铸梁柱结构的方法
CN218476873U (zh) 一种预制牛腿模具及预制立柱模具
CN217420480U (zh) 一种可重复使用的钢框木模
CN219100707U (zh) 带肋加强型免焊接楼承板边模组合
CN217680538U (zh) 快速紧固夹具及具有该快速夹具的榀对撑支架
TWI776740B (zh) 箍筋製作設備
CN219753979U (zh) 梁柱节点模板总成
CN213979326U (zh) 一种新型箱体房屋框架底角件结构
KR102658814B1 (ko) 모서리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타설용 데크 거푸집 및 이의 제작 방법
JP3810007B2 (ja) 住宅の鉄骨構造及び施工方法
CN211817985U (zh) 一种宽度方向通用固定结构
CN218758728U (zh) 一种梁、柱交接用加固装置
CN219241317U (zh) 一种混凝土高低跨楼板的预制支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