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995B1 -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995B1
KR101657995B1 KR1020140077845A KR20140077845A KR101657995B1 KR 101657995 B1 KR101657995 B1 KR 101657995B1 KR 1020140077845 A KR1020140077845 A KR 1020140077845A KR 20140077845 A KR20140077845 A KR 20140077845A KR 101657995 B1 KR101657995 B1 KR 10165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support
sla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05A (ko
Inventor
김남열
Original Assignee
김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열 filed Critical 김남열
Priority to KR102014007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슬래브; 상기 하부슬래브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다수의 복부재와, 상기 각 복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트러스 거더에 상부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현재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현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부레일; 상기 상현재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상부레일을 받치는 다수의 서포트유닛;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유닛; 상기 거더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유닛의 양단부에 결합된 측부거푸집유닛; 및 상기 측부거푸집유닛을 상기 상현재에 고정하는 홀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의하면, 동바리 및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없이 상부슬래브의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CONSTRUCTION APPARATUS FOR UPPER SLAB OF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본 발명은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시공시 교각 위에 기(旣)시공된 복합트러스 거더에 상부슬래브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트러스 거더에 상부슬래브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4444호(2008.01.16.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복합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슬래브교의 시공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복합트러스 거더의 하현재를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인접되도록 거치하여 교량 가설중에 교량 하부와 완전히 밀폐된 작업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복합트러스 거더의 하현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바닥판의 시공시 동바리 설치에 따른 시공성 문제, 하부통과차량 및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확보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복합트러스 거더가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하는바, 일렬로 설치된 복합트러스 거더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기술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바닥판 시공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을 대신하여 경량의 스티로폼 또는 발포우레탄을 적용함으로써 공기(工期)를 단축하고 공비(工費)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어차피 스티로폼 또는 발포우레탄을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함으로써 동바리 및 거푸집에 비해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더욱이 스티로폼이나 발포우레탄은 견고하지 못하여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변형되거나 붕괴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 시공시 교각 위에 기(旣)시공된 복합트러스 거더에 상부슬래브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는,
하부슬래브; 상기 하부슬래브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다수의 복부재와, 상기 각 복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체;를 포함하는 복합트러스 거더에 상부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현재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현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부레일;
상기 상현재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상부레일을 받치는 다수의 서포트유닛;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유닛;
상기 거더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유닛의 양단부에 결합된 측부거푸집유닛; 및
상기 측부거푸집유닛을 상기 상현재에 고정하는 홀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의하면,
동바리 및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없이 상부슬래브의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복합트러스교 거더교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을 발췌한 확대도.
도 4는 도 2에서 측부거푸집유닛 및 내부거푸집유닛이 거더의 상현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에서 프레임유닛 및 측부거푸집유닛의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에서 서포트프레임 및 내부거푸집유닛의 정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에서 서포트프레임 및 내부거푸집유닛의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이하, '시공장치'라고 함)는, 크게 상부레일(100), 서포트유닛(200), 프레임유닛(300), 측부거푸집유닛(400), 홀딩유닛(500), 하부레일(600), 서포트프레임(700) 및 내부거푸집유닛(8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시공장치는 교량 시공시 교각(30) 위에 기(旣)시공된 복합트러스 거더(10)에 상부슬래브(20)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슬래브(11); 하부슬래브(11)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다수의 복부재(12a)와, 각 복부재(12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현재(12b)를 갖는 트러스구조체(12);를 포함하는 복합트러스 거더(10)에 설치되어, 거더(10)의 상부에 상부슬래브(20)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공장치는 다양한 구조의 복합트러스 거더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지의 PCT거더(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에 설치된 상태가 개시된다.
이하 시공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부레일(100)은 거더(10)의 각 상현재(12b) 상측에 이격 배치된다.
상부레일(100)은 프레임유닛(300)이 상현재(12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현재(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서포트유닛(200)은 다수가 구비되어 상현재(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12b)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되, 상호 사각을 이루며 배열된 넷 이상의 하부지지대(210);
각 하부지지대(2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지지대(220); 그리고
각 상부지지대(220)의 상면에 결합된 받침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호 결합된 하부지지대(210) 및 상부지지대(220)는 시공될 상부슬래브(20)의 높이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받침플레이트(230)는 상부레일(100)이 상현재(12b)에서 상방 이격될 수 있도록 상부레일(100)을 받치게 된다.
하부지지대(210)는 공지의 스터드 볼트(stud bolt) 또는 상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환봉(丸棒) 등으로 이루어져 상현재(12b)에 결합된다.
상부지지대(220)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지지대(2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부슬래브(20)의 시공 후 상부슬래브(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지지대(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지지대(220)를 상부슬래브(20)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프레임유닛(300)은 상부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부레일(100)에 얹히어 기립 설치되고, 상부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수직프레임(310);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거더(10)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도록 수직프레임(310)의 상부에 결합된 가로프레임(320); 그리고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수직프레임(310)의 상부에 결합된 측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수직프레임(310)의 하단부에는 상부레일(100)에 얹히게 되는 바퀴(311)가 구비되며, 이 바퀴(311)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상부레일(100)을 따라 프레임유닛(300)을 이송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310)과 받침플레이트(230)의 사이에는 수직프레임(310)의 바퀴(311) 및 상부레일(100)의 측방에 배치되는 유압잭(hydraulic jack, 900)이 구비될 수 있다.
유압잭(900)은 상부슬래브(20)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부레일(100)에 얹힌 프레임유닛(300)을 살짝 들어올려 프레임유닛(30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유압잭(9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12b)와 상부레일(100)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유닛(300)의 이동시 상부레일(100)을 받치게 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측부거푸집유닛(400)은 거더(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프레임유닛(300)의 양단부에 결합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300)의 양단부에 하측으로 드리워지도록 결합된 중계프레임(410);
중계프레임(410)의 하단부에 상현재(12b)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부거푸집프레임(420); 그리고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상부에 설치된 측부거푸집널(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계프레임(410)은 프레임유닛(300)의 가로프레임(320)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각 중계프레임(410)의 하단부에는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회전 작업 등을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상부작업대(440)가 설치된다.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은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중계프레임(41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일단부에는 상부작업대(440)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450)가 설치되며, 이 유압실린더(450)의 진퇴 동작에 의해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12b)에 근접하도록 회전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12b)에서 이탈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측부거푸집널(430)은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회전시 상현재(12b)의 단부에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슬래브(20)에서 거더(10)의 양측으로 돌출될 부분을 형성시키게 된다.
홀딩유닛(500)은 측부거푸집유닛(400)을 상현재(12b)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상현재(12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현재(12b)의 상면에 결합된 장착플레이트(510);
상현재(12b)와 접한 측부거푸집널(430)의 단부와 상현재(12b)의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플레이트(510)의 단부를 상하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20); 그리고
측부거푸집널(430)과 장착플레이트(510)의 사이로 노출된 볼트(5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sleeve, 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착플레이트(510)는 용접, 볼트결합 등의 방식에 의해 상현재(12b)에 결합되며, 상현재(12b)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볼트(520)의 진입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볼트(520)는 그 헤드(head)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장착플레이트(510)의 상측으로 노출된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장착플레이트(510)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직접 체결하는 방식에 의해 장착플레이트(510)에 고정된다.
결국, 홀딩유닛(500)은 상현재(12b)와 접한 측부거푸집널(430)의 단부를 상현재(12b)에 고정함으로써 상부슬래브(20)가 시공될 동안 측부거푸집유닛(4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홀딩유닛(500)의 볼트(520)는 헤드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슬리브(530)에 의해 상부슬래브(20)의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비(非)접촉하게 됨으로써, 상부슬래브(20)의 시공 후 상부슬래브(20)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유닛(500)을 이용한 측부거푸집유닛(400)의 고정작업 및 분리작업 시 작업자가 홀딩유닛(500)의 하측에서 볼트(520)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하측에는 하부작업대(460)가 설치된다.
하부레일(600)은 거더(10)의 하부슬래브(11) 상부 중앙에 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레일(600)은 하부슬래브(11)의 폭 방향을 따라 두 곳 이상에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프레임(700)은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tabl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프레임(700)의 하단부에는 하부레일(100)에 얹히게 되는 바퀴(710)가 구비되며, 이에 의해 서포트프레임(700)은 하부레일(6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포트프레임(700)은 교량의 점검 등을 목적으로 교각(30)의 상측에 형성된 통로(31, '도 1' 및 '도 2' 참조)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교각(30)의 통로(31)보다 다소 낮은 높이와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이에 따라 서포트프레임(700)은 두 교각(30) 사이에 배치된 거더(10)에 상부슬래브(20)의 시공이 완료되면, 교각(30)의 통로(31)를 통과하여 인접한 거더(10), 즉 다음 시공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교각(30)의 통로(31)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상부 측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서포트프레임(700)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내부거푸집유닛(800)은 서포트프레임(7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프레임(700)의 상부에 결합된 장착프레임(810);
장착프레임(810)의 상측 중앙에 기립 설치된 메인지지대(820);
거더(10)의 두 상현재(12b) 사이에 배치되도록 메인지지대(82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호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다수로 분할된 내부거푸집프레임(830);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거푸집프레임(830)과 상응하게 분할된 내부거푸집널(840);
펼쳐진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을 지지하도록 내부거푸집프레임(830)과 장착프레임(8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지지대(850); 그리고
장착프레임(81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8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착프레임(810)은 펼쳐진 서포트프레임(700)의 폭과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서포트프레임(70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메인지지대(820)는 장착프레임(810)의 상측 중앙에 대략 시옷(∧) 형상으로 배치되어 분할된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의 중앙 부분을 받치게 된다.
메인지지대(820)는 내부거푸집유닛(800)이 교각(30)의 통로(31)보다 다소 낮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서포트프레임(700)에서 분리된 내부거푸집유닛(800)은 교각(30)의 통로(31)를 통과하여 서포트프레임(700)과 함께 인접한 거더(1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은 다섯 토막으로 나뉘어져 상호 힌지 연결되며,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0)의 두 상현재(12b)를 연결하는 구조로 펼쳐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토막을 기준으로 양측 두 토막이 각각 포개어진 상태에서 메인지지대(820)에 접하도록 접히게 된다.
내부거푸집널(840)은 분할된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거푸집프레임(830)과 함께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거더(10)의 두 상현재(12b) 사이를 가로막아 측부거푸집널(430)과 함께 상부슬래브(20)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을 제공하게 된다.
서브지지대(850)는 장착프레임(8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턴버클(turn buckle)로 이루어져, 분할된 내부거푸집프레임(830) 중 양단부와 중앙부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토막을 각각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내부거푸집프레임(830) 중 양단부에 배치된 두 개의 토막은 상기 홀딩유닛(500)의 구성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거더(10)의 각 상현재(12b)에 고정할 수 있다.
내부거푸집유닛(800)의 바퀴(860)는 서포트프레임(700)의 바퀴(710)와 동일한 구조로 배열되며, 이에 따라 내부거푸집유닛(800)의 바퀴(860)는 내부거푸집유닛(800)이 서포트프레임(700)과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레일(600)에 얹힐 수 있도록 배치된다.
서포트프레임(700)과 내부거푸집유닛(800), 그리고 상술한 프레임유닛(300)과 측부거푸집유닛(400)은 상호 인접한 두 교각(30) 사이의 거리와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하거나, 또는 두 교각(30) 사이의 거리를 일정 비율로 분할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한 후 이를 두 교각(30) 사이를 채우도록 둘 이상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두 교각(30) 사이에 배치된 거더(10)에 한 번의 시공으로 상부슬래브(2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서포트프레임(700)과 내부거푸집유닛(800)의 사이에는 받침대(1000)가 개재된다.
받침대(1000)는 서포트프레임(70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높이를 갖도록 기립 설치되어 내부거푸집유닛(800)의 장착프레임(810)을 받치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1000)는 펼쳐진 내부거푸집널(840)이 거더(10)의 상현재(12b) 높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서포트프레임(700)과 내부거푸집유닛(800) 사이를 이격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공장치에 의하면, 측부거푸집유닛(400) 및 내부거푸집유닛(800)을 거더(10)의 상현재(12b)에 고정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서 상부슬래브(2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상부슬래브(20)의 시공이 완료되면 측부거푸집유닛(400) 및 내부거푸집유닛(800)을 상현재(12b)분리하여 인접한 거더(10), 즉 다음 시공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상부슬래브(20)의 시공을 용이하게 반복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동바리 및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없이 상부슬래브(20)의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공기(工期)가 단축되고 공비(工費)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거더
11 ; 하부슬래브
12 ; 트러스구조체
12a ; 복부재 12b ; 상현재
20 ; 상부슬래브
30 ; 교각
31 ; 통로
100 ; 상부레일
200 ; 서포트유닛
210 ; 하부지지대 220 ; 상부지지대
230 ; 받침플레이트
300 ; 프레임유닛
310 ; 수직프레임 320 ; 가로프레임
330 ; 측부프레임
400 ; 측부거푸집유닛
410 ; 중계프레임 420 ; 측부거푸집프레임
430 ; 측부거푸집널 440 ; 상부작업대
450 ; 유압실린더 460 ; 하부작업대
500 ; 홀딩유닛
510 ; 장착플레이트 520 ; 볼트
530 ; 슬리브
600 ; 하부레일
700 ; 서포트프레임
800 ; 내부거푸집유닛
810 ; 장착프레임 820 ; 메인지지대
830 ; 내부거푸집프레임 840 ; 내부거푸집널
850 ; 서브지지대 860 ; 바퀴
900 ; 유압잭
1000 ; 받침대

Claims (7)

  1. 하부슬래브(11); 상기 하부슬래브(11)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다수의 복부재(12a)와, 상기 각 복부재(12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현재(12b)를 갖는 트러스구조체(12);를 포함하는 복합트러스 거더(10)에 상부슬래브(20)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현재(12b)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현재(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부레일(100);
    상기 상현재(12b)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상부레일(100)을 받치는 다수의 서포트유닛(200);
    상기 상부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유닛(300);
    상기 거더(1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유닛(300)의 양단부에 결합된 측부거푸집유닛(400); 및
    상기 측부거푸집유닛(400)을 상기 상현재(12b)에 고정하는 홀딩유닛(500);을 포함하되,

    상기 측부거푸집유닛(400)은
    상기 프레임유닛(300)의 양단부에 하측으로 드리워지도록 결합된 중계프레임(410);
    상기 중계프레임(410)의 하단부에 상기 상현재(12b)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측부거푸집프레임(420); 그리고
    상기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측부거푸집프레임(420)의 회전시 상기 상현재(12b)의 단부에 접하게 되는 측부거푸집널(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유닛(500)은
    일측 단부가 상기 상현재(12b)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현재(12b)의 상면에 결합된 장착플레이트(510); 그리고
    상기 상현재(12b)와 접한 상기 측부거푸집널(430)의 단부와 상기 상현재(12b)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장착플레이트(510)의 단부를 상하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200)은
    상기 상현재(12b)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되, 상호 사각을 이루며 배열된 넷 이상의 하부지지대(210);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하부지지대(2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지지대(220); 그리고
    상기 각 상부지지대(220)의 상면에 결합된 받침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500)은
    상기 측부거푸집널(430)과 상기 장착플레이트(510)의 사이로 노출된 상기 볼트(5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슬리브(5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슬래브(1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하부레일(600);
    상기 하부레일(6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트프레임(700); 그리고
    상기 서포트프레임(7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거푸집유닛(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거푸집유닛(800)은
    상기 서포트프레임(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장착프레임(810);
    상기 장착프레임(810)의 상측에 기립 설치된 메인지지대(820);
    상기 메인지지대(82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호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다수로 분할된 내부거푸집프레임(830);
    상기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거푸집프레임(830)과 상응하게 분할된 내부거푸집널(840); 그리고
    펼쳐진 상기 내부거푸집프레임(830)을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거푸집프레임(830)과 상기 장착프레임(8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지지대(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유닛(800)은
    상기 장착프레임(81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8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퀴(860)는 상기 내부거푸집유닛(800)이 상기 서포트프레임(7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레일(600)에 얹힐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077845A 2014-06-25 2014-06-25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KR10165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45A KR101657995B1 (ko) 2014-06-25 2014-06-25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45A KR101657995B1 (ko) 2014-06-25 2014-06-25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05A KR20160000605A (ko) 2016-01-05
KR101657995B1 true KR101657995B1 (ko) 2016-09-20

Family

ID=5516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45A KR101657995B1 (ko) 2014-06-25 2014-06-25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44A (ko) 2021-09-28 2023-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가구조물 급속시공을 위한 이동형 연속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9674A (zh) * 2019-06-30 2019-12-31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公路施工过程中现浇箱梁贝雷支架体系整体落架拆除方法
CN111576221B (zh) * 2020-04-29 2021-09-14 广州文冲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自行式移动模架主梁结构的制作工艺及主梁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203A (ja) 2003-12-26 2005-07-14 Kajima Corp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KR200443605Y1 (ko) * 2008-09-04 2009-03-02 황하수 교량상판 타설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066424B1 (ko) 2011-03-18 2011-09-23 주식회사 스페이스테크놀로지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18B1 (ko) * 2009-03-20 2011-11-10 계문교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203A (ja) 2003-12-26 2005-07-14 Kajima Corp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KR200443605Y1 (ko) * 2008-09-04 2009-03-02 황하수 교량상판 타설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1066424B1 (ko) 2011-03-18 2011-09-23 주식회사 스페이스테크놀로지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44A (ko) 2021-09-28 2023-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가구조물 급속시공을 위한 이동형 연속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05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335B1 (ko)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59031B1 (ko)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 방법
CN102239302B (zh) 从混凝土表面剥离混凝土模板的方法
KR101657995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부슬래브 시공장치
KR101434837B1 (ko)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KR20070107250A (ko)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JP2008303666A (ja) 移動吊支保工及び移動吊支保工の組立て方法
CN105803946A (zh) 一种盖梁可快速调节支架及其施工方法
KR20060118066A (ko) 이동식비계의 비계보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101104297B1 (ko) 프리플렉스 거더 제작방법 및 단경간과 다경간 프리플렉스 거더 시공방법
KR101095449B1 (ko)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및 교량 해체 공법
CN202430994U (zh) 模板限位卡
KR101908811B1 (ko) 교량용 거푸집
JP4980257B2 (ja) 柱頭部施工用架設装置およびその一部を利用した移動作業車の構築方法ならびに橋梁の張出し施工方法
KR101798539B1 (ko) 고 교각 시공장치
KR101647783B1 (ko) 고 교각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20090128115A (ko) 교각용 지그 시스템
KR101542045B1 (ko) 교각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531329B1 (ko) 신축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20150068786A (ko) 프리캐스트 모듈 연결부용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114293769B (zh) 跨越式排架及其安装方法
KR20150134029A (ko) 트러스 거더의 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