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132B1 -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132B1
KR100655132B1 KR1020060068189A KR20060068189A KR100655132B1 KR 100655132 B1 KR100655132 B1 KR 100655132B1 KR 1020060068189 A KR1020060068189 A KR 1020060068189A KR 20060068189 A KR20060068189 A KR 20060068189A KR 100655132 B1 KR100655132 B1 KR 10065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electrical outlet
outlet box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6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도 불구하고 소망하는 설계위치에 전기콘센트박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전기콘센트박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공방법은 전기콘센트박스(100)에 걸림돌기(117a)(117b)를 형성하고, 와이어훅크(510)(520)를 이용하여 전기콘센트박스를 설계위치로 정확하게 조정하고 고정하여 시공하게 하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전기콘센트박스(100)가 설계위치로부터 위치이동되지 않을 뿐더러, 덮개박스(200)에 전기콘센트박스(100)가 결합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설계위치를 유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전기콘센트박스를 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덮개박스(200)에 전기콘센트박스(100)를 결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체결공(14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므로, 추후 콘센트커버등을 조립시 체결공(143)을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전기콘센트박스, 거푸집, 덮개박스, 와이어훅크, 걸림돌기

Description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A construction method for laying wall of buiding a Concent box}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시공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전기콘센트박스의 사시도,
도 5는 전기콘센트박스의 매입상태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거푸집에의 전기콘센트박스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a 내자 도 8c는 본 발명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도 불구하고 소망하는 설계위치에 전기콘센트박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전기콘센트박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접속용 콘센트류나 기타 전기접속용 컨넥터 등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에서 전기공사용 전기콘센트박스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벽체에 매입되도록 시공하여 콘크리트 벽체 양생후에 전기콘센트박스를 통해 콘센트를 설치하고 있다.
즉,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전기콘센트박스는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벽체의 시공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설치되어 외부 접속용 전기 콘센트를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전기콘센트박스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면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상하면, 양측면 및 후면부에 케이블이 통과되기 의한 구멍(14)(44)이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14)(44)에는 차단판(15)이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콘크리트 양생후 제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한국특허등록 제0594189호에 개시된 전기콘센트박스의 시공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배근(50)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에 구멍(14)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개방부(13)가 형성되며, 후방부 양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체결관(11)이 형성되고, 체결관(11)의 측면에는 승강장공(12)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고무재 외부케이스(10)와;
일단은 상기 고무재 외부케이스(10) 후방부의 체결관(11) 상하단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돌부(22)에 의해 승강장공(12)에 걸림고정되고, 타단은 배근(50)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21)가 형성된 탄성고리(20)와;
상기 체결관(11) 내측에서 상하측 탄성고리(20)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고리(20)의 양단을 잡아당기는 탄성스프링(30)과;
상기 고무재 외부케이스(10)의 구멍(14) 연장선상에 구멍(44)이 형성되고, 선단에서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체결바(42)에 체결공(43)이 형성되며, 고무재 외부케이스(10)의 개방부(13)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볼트(41)로 체결고정되는 금속재 내부케이스(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기콘센트박스는 고무재 외부케이스(10)의 후방에 탄성고리(20)가 장착되어 시공작업시, 탄성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으로 배근(50)과의 연결 고정작업이 보다 신속하고도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절연성이 향상되며, 설치가 용이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콘센트박스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고무재 외부케이스(10)는 탄성스프링(30)에 의해서 상하의 배근(50)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고무재 외부케이스(10)를 설계위치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배근(50)의 위치를 고무재 외부케이스(10)의 설계위치로 시공하여야 되며, 이 경우 콘크리트 벽체의 강도등의 안전성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고무재 외부케이스(1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배근(50)이 요구된다.
둘째, 탄성스프링(30)에 의해 연결된 상하의 탄성고리(20)에 의해서 고무재 외부케이스(10)가 배근(50)에 지지되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서 탄성스프링(30)이 늘어나게 되므로 고무재 외부케이스(10)의 시공위치가 변경된다.
세째,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40)를 배근(50)에 지지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케이스(10)(40) 내부로 유입되어 체결공(43)을 막히게 하므로, 추후 콘센트커버등을 조립하기 위하여는 막힌 체결공(43)을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전기콘센트박스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전기콘센트박스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며, 전기콘센트박스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여 추후 콘센트를 조립하기 위한 전기콘센트박스 체결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배근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에 구멍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가장자리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바가 형성되며, 후방부 양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체결관이 형성되고, 체결관의 측면에는 승강장공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전기콘센트박스와; 일단은 상기 전기콘센트박스 후방부의 체결관 상하단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돌부에 의해 승강장공에 걸림고정되고, 타단은 배근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된 탄성고리와; 상기 체결관 내측에서 상하측 탄성고리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고리의 양단을 잡아당기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하기 위한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의 바닥면에 상기 체결공과 대향되도록 장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면의 외측면에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서로 반대방향의 걸림돌기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탄성고리의 상하 고리부를 상하 배근에 걸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를 배근에 걸어 지지시키고,
제1거푸집에 상기 전기콘센트박스의 개방부가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덮개박스를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박스는 그 전면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체결공 및 덮개박스의 못구멍에 못을 관통하여서 상기 덮개박스를 상기 전기콘센트박스의 설계위치에 대응하여 제1거푸집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의 상하부에서 각각 와이어훅크(510)(520)의 일단을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중 어느 하나에 걸림시키고 각 타단을 상기 배관에 걸어 고정시켜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가 배근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계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하고,
상기 배관에 걸어 지지된 전기콘센트박스의 개방부를 상기 덮개박스에 결합시키고, 제1거푸집의 반대측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상기 제1,2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덮개박스의 절취홈을 따라 절취하여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의 개방부가 개방되도록 한 후, 상기 못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전기콘센트박스는 상기 종래 전기콘센트박스의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 전기콘센트박스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배근(150)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에 구멍(114)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개 방부(113)가 형성되고 개방부(113) 가장자리에 체결공(143)이 형성된 체결바(142)가 형성되며, 후방부 양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체결관(111)이 형성되고, 체결관(111)의 측면에는 승강장공(112)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전기콘센트박스(100)와; 일단은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 후방부의 체결관(111) 상하단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돌부(122)에 의해 승강장공(112)에 걸림고정되고, 타단은 배근(150)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121)가 형성된 탄성고리(120)와; 상기 체결관(111) 내측에서 상하측 탄성고리(120)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고리(120)의 양단을 잡아당기는 탄성스프링(130);을 구비한다.
참조번호 115는 추후 케이블등이 통과되는 구멍(114)을 막는 덮개로서, 전기콘센트박스 시공후 제거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의 전기콘센트박스(100)를 이용하여 전기콘센트박스의 설계위치에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고, 전기콘센트박스의 체결공(143)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바닥면(116)에 상기 체결공(143)과 대향되도록 장공(145)을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면(116)의 외측면에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서로 반대방향의 걸림돌기(117a)(117b)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탄성고리(120)의 상하 고리부(121)를 상하 배근(150)에 걸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를 배근(150)에 걸어 지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탄성스프링(130)(도 8a 참조)에 의해서 전기콘센트박 스(100)가 상하 배근(150)사이의 중앙부분에 항상 위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기콘센트박스(100)를 설계위치대로 위치고정하기 위하여는 배근(150)을 전기콘센트박스(100)의 설계위치에 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서 배근(150)에 걸어진 전기콘센트박스(100)가 하향이동되어 설계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시공방법에서는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전기콘센트박스(100)를 배근(150)에 걸어 지지시킨 후, 도 6 내지 도 8a를 참조하면, 제1거푸집(300)에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개방부(113)가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덮개박스(200)를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박스(200)는 그 전면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절취홈(20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45)을 통하여 상기 체결공(143) 및 덮개박스(200)의 못구멍(201)에 못(400)을 관통하여서 상기 덮개박스(200)를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설계위치에 대응하여 제1거푸집(300)에 고정시킨다.
상기 덮개박스(200)의 전면부에는 상기 절취홈(202)을 따라 절취가 용이하도록 그 중앙부에 파지공(203c)이 형성된 절취파지부(203)를 더 형성시킨다.
이어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50)의 상하부에서 각각 와이어훅크(510)(520)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17a)(117b)중 어느 하나에 걸림시키고 각 타단을 상기 배관(150)에 걸어 고정시켜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가 배근(1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계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와이어훅크(510)(520)에 의해서 배관(150) 에 콘크리트박스(100)가 지지되므로 설계위치로부터 위치이동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배관(150)에 걸어 지지된 전기콘센트박스(100)의 개방부(113)를 상기 덮개박스(200)에 결합시키고, 제1거푸집(300)의 반대측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도 8a 참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제1,2거푸집을 제거하고(도 8b 참조) 상기 덮개박스(200)의 절취홈(202)을 따라 절취한다.(도 8c 참조)
이때, 절취파지부(203)의 파지공(203a)에 송곳과 같은 도구를 넣어서 절취하게 되면 덮개박스(200)의 전면부 절취가 용이해진다.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개방부(113)가 개방되도록 한 후, 상기 못(400)을 제거한다. 이때 못(400)이 체결공(143)에 결합되어 있게 되므로, 설사 콘크리트가 유입되더라도 못(400)의 제거에 의해서 체결공(143)의 막힘이 방지되므로, 추후 콘센트커버(미도시)등을 체결공(143)에 조립시 이물질의 청소를 요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전기콘센트박스(100)에 걸림돌기(117a)(117b)를 형성하고, 와이어훅크(510)(520)를 이용하여 전기콘센트박스의 설계위치를 조정하여 시공하게 하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전기콘센트박스(100)가 설계위치로부터 위치이동되지 않을 뿐더러, 덮개박스(200)에 전기콘센트박스(100)가 결합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설계위치를 유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전기콘센트박스를 시공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덮개박스(200)에 전기콘센트박스(100)를 결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 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체결공(14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므로, 추후 콘센트커버등을 조립시 체결공(143)을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세째, 덮개박스(20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절취홈(202)을 형성함으로써 덮개박스(200)의 전면부 개방이 수월하다.

Claims (1)

  1.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배근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에 구멍이 형성되고, 전방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가장자리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바가 형성되며, 후방부 양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체결관이 형성되고, 체결관의 측면에는 승강장공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전기콘센트박스와; 일단은 상기 전기콘센트박스 후방부의 체결관 상하단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돌부에 의해 승강장공에 걸림고정되고, 타단은 배근에 걸림고정되는 고리부가 형성된 탄성고리와; 상기 체결관 내측에서 상하측 탄성고리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고리의 양단을 잡아당기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하기 위한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바닥면(116)에 상기 체결공(143)과 대향되도록 장공(145)을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면(116)의 외측면에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서로 반대방향의 걸림돌기(117a)(117b)를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탄성고리(120)의 상하 고리부(121)를 상하 배근(150)에 걸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를 배근(150)에 걸어 지지시키고,
    제1거푸집(300)에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개방부(113)가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덮개박스(200)를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박스(200)는 그 전면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절취홈(202)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145)을 통하여 상기 체결공(143) 및 덮개박스(200)의 못구멍(201)에 못(400)을 관통하여서 상기 덮개박스(200)를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설계위치에 대응하여 제1거푸집(300)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50)의 상하부에서 각각 와이어훅크(510)(520)의 일단을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17a)(117b)중 어느 하나에 걸림시키고 각 타단을 상기 배관(150)에 걸어 고정시켜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가 배근(1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계위치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배관(150)에 걸어 지지된 전기콘센트박스(100)의 개방부(113)를 상기 덮개박스(200)에 결합시키고, 제1거푸집(300)의 반대측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상기 제1,2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덮개박스(200)의 절취홈(202)을 따라 절취하여서 상기 전기콘센트박스(100)의 개방부(113)가 개방되도록 한 후, 상기 못(400)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KR1020060068189A 2006-07-20 2006-07-20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KR10065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89A KR100655132B1 (ko) 2006-07-20 2006-07-20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89A KR100655132B1 (ko) 2006-07-20 2006-07-20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132B1 true KR100655132B1 (ko) 2006-12-08

Family

ID=3773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189A KR100655132B1 (ko) 2006-07-20 2006-07-20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1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5533A (zh) * 2013-09-30 2014-01-01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线盒安装模具及利用该模具在砌体墙上安装线盒的方法
KR101472037B1 (ko) * 2014-10-21 2014-12-1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전관절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CN109768513A (zh) * 2019-01-30 2019-05-17 广东腾安机电安装工程有限公司 可伸缩接线盒
CN109812011A (zh) * 2019-03-08 2019-05-28 清华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混凝土楼板免拆除模板与模板内一体化布线系统及施工方法
KR102124132B1 (ko) 2019-03-21 2020-06-17 유원철 콘센트 일체형 박스커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5533A (zh) * 2013-09-30 2014-01-01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线盒安装模具及利用该模具在砌体墙上安装线盒的方法
CN103485533B (zh) * 2013-09-30 2015-10-21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线盒安装模具及利用该模具在砌体墙上安装线盒的方法
KR101472037B1 (ko) * 2014-10-21 2014-12-1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전관절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CN109768513A (zh) * 2019-01-30 2019-05-17 广东腾安机电安装工程有限公司 可伸缩接线盒
CN109812011A (zh) * 2019-03-08 2019-05-28 清华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混凝土楼板免拆除模板与模板内一体化布线系统及施工方法
KR102124132B1 (ko) 2019-03-21 2020-06-17 유원철 콘센트 일체형 박스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132B1 (ko)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US6688049B2 (en) Hook facility for concrete structure
KR101984860B1 (ko)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94189B1 (ko) 건축물 벽면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0655141B1 (ko) 전기설비용 콘센트박스 시공방법
KR200494198Y1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KR100827604B1 (ko) 건축물용 전기단자함 구조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101648698B1 (ko) 배관 서포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092161A (ko) 배수관용 슬리브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0443574Y1 (ko) 길이 가변형 덕트 슬리이브
KR100765384B1 (ko) 거푸집 인서트 조립체
KR20080074500A (ko) 로프 고정장치
KR200401184Y1 (ko) 단자함
KR200423745Y1 (ko) 단자함
KR102035996B1 (ko)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101398158B1 (ko) 도난방지 스틸 그레이팅
KR101130112B1 (ko) 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KR100971469B1 (ko) 벽면 매설용 단자함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101650476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