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070B1 - 통합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통합형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070B1
KR100699070B1 KR1020060105751A KR20060105751A KR100699070B1 KR 100699070 B1 KR100699070 B1 KR 100699070B1 KR 1020060105751 A KR1020060105751 A KR 1020060105751A KR 20060105751 A KR20060105751 A KR 20060105751A KR 100699070 B1 KR100699070 B1 KR 10069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nsformer
door
switchgea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알에스티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알에스티
Priority to KR102006010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수배전반내에서 단일의 하우징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 피뢰기, 파워휴즈, 계기용변성기, 변압기를 설치하므로써 1면으로 구성하고, 수배전반내에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의 혼촉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지보수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2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으로 열리는 전면 도어(22) 및 후면 도어(24)를 갖고, 내부에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되는 챔버(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챔버(40)는 하우징(20)내에서 전면 도어(22)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는 내측 도어(42)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합형 수배전반에 따르면, 하우징(20)내에서 챔버(40)에 의해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의 저압부분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및 변압기(5)의 특고압부분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된다.

Description

통합형 수배전반{INTEGRATED POWER ELECTRIC SWITCHG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기술적 사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전면 도어 및 측면 도어를 개방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단선결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내부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 내의 챔버와 변압기 및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사이에 배치되는 덕트를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타공안전판을 도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양측면 미닫이 도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양측면 미닫이 도어의 상부측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양측면 미닫이 도어의 하부측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장구간자동개폐기 2 : 피뢰기
3 ; 파워휴즈 4 : 계기용변성기
5 : 변압기 6 : 저압주 차단기
7 : 배선용 차단기 10 : 통합형 수배전반
20 : 하우징 22 : 전면 도어
24 : 후면 도어 26 : 지지대
40 : 챔버 42 : 내측 도어
50 : 덕트 52 : 수직 덕트
54 : 수평 덕트 60 : 미닫이 도어
62 : 도어 프레임 64 : 하측 채널
66 : 상측 채널 70 : 롤러
72 : 환형 홈 74 : 핀
80 : 상부 레일부 82, 92 : 레일
90 : 하부 레일부 100 : 타공 안전판
본 발명은 통합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단일의 하우징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 피뢰기, 파워휴즈, 계기용변성기, 변압기를 설치하므로써 1면으로 구성하고, 수배전반내에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의 혼촉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지보수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통합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APT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 전기사업자(한전)로부터 공급된 특별고압(특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 용량으로 변환(고압 또는 저압, 이하 '저압'으로 지칭한다)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자동구간고장개폐기(Auto Section Switch)와 피뢰기(Lightening Arrest)로 이루어지는 1면과, 파워휴즈(Power Fuse)와 전력량 계량기(Metering Out Fit)로 이루어지는 1면과, 변압기(Power Potential Transformer)로 이루어지는 1면 및, 저압주차단기(Main Circuit Breaker)와 분기차단기(Distribution Breaker)로 이루어지는 1면으로 구성되므로써, 전체적으로 각각 별도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4면으로 구성되어 크기와 중량이 크게 되므로 넓은 면적의 변전실이 필요하고, 설치시간이 길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0279548호 "수배전장치"는 1면에 수배전반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므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배전반은 내부 공간이 받침용 브라켓트에 의해 상하부로 나뉘어지는 동시에 받침용 브라켓트와 수직 브라켓트에 의해 상하부 공간이 전방과 후방으로 나뉘어지며, 전후방에는 투시창이 구비되어 배전용 저압측 스위치 및 브레커 노브 및 계기함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고, 양 측면에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설치되며, 하부패널에는 상기 받침용 브라켓트의 하부 전방 공간과 연결되는 냉각공기통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받침용 브라켓트와 수직 브라켓트에 의해 나뉘어진 하부의 전방 공간의 레일 위에 얹혀지게 배치된 변압기; 변압기 상부 밀폐용판 및 가스켓트에 의해 상면이 밀폐되고, 레일에 의해 이격된 공간이 냉각공기통로가 되며, 하부에는 상기 냉각공기통로를 거쳐 유입된 냉각공기가 방열구조체로 분사되는 냉각공기노즐이 다수 형성되어있고, 방열구조체 위로는 공기가 측벽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변압기가 넣어진 변압기용 케이스; 상기 받침용 브라켓트와 수직 브라켓트에 의해 나뉘어진 하부의 후방 공간에 배치된 전력량 계량기 및 계기함; 상기 받침용 브라켓트와 수직 브라켓트에 의해 나뉘어진 상부의 전방 공간에 설치된 회로보호용 선로구간 자동개폐기; 상기 받침용 브라켓트와 수직 브라켓트의 후방 공간에 배치된 피뢰기 및 파워휴즈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유사하게 1면으로 구성하는 수배전반을 제안하고 있는 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03180호 "콤팩트형 수배전반", 등록번호 제20-0422711호 "절전형 폐쇄 수배전반" 및,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28892호 "패키지 수배전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별개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4면으로 구성하여 수전 및 배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배전반에 비하여, 설치면적을 감소되고, 설치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요소를 집적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써 특고압과 저압 사이의 혼촉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배전반은 별개의 하우징을 통해 4면으로 이루어지는 수배전반의 구성 요소를 하나의 하우징내에 집적하여 배치하므로써 1면으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으나, 이 때문에 특고압과 저압 사이의 거리가 4면으로 구성하는 수배전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접되므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의 혼촉 문제가 발생될 문제점이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배전반은 하나의 하우징내에 집적되 어 배치되므로 항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과 유지보수의 문제점이 대두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배전반내에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의 혼촉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지보수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통합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일의 하우징(20)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변압기(5),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합형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으로 열리는 전면 도어(22) 및 후면 도어(24)를 갖고,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전면 도어(22)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는 내측 도어(42)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되는 챔버(40)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챔버(40)에 의해 상기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의 저압부분이 상기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및 변압기(5)의 특고압부분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서,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및 파워휴즈(3)는 지지대(26)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40)의 뒤측에서 후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6)의 하측에는 변압기(5)가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변압기(5)의 후면방향으로 계기용변성기(4)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챔버(40)와 상기 변압기(5) 및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상기 고장구간자동개폐기(1)로 연장되도록 하는 덕트(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덕트(50)는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둘레가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덕트(52) 및, 상기 지지대(26)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52)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 덕트(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서, 상기 하우징(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써 열리고 닫히는 미닫이 도어(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서, 상기 미닫이 도어(60)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꺾이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하측 채널(64)과, 상기 하측 채널(64)과 평행한 위치를 갖도록 상단에서 내측으로 꺾이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상측 채널(66)을 갖는 도어 프레임(62)과, 중간에 환형 홈(7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62)의 하측 채널(64)과 상측 채널(66)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핀(74)에 의해 결합되는 롤러(70)와, 상기 도어 프레임(62)의 상측 채널(66)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70)를 하측에서 상기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62)을 지지하는 레일(82)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 레일부(80) 및, 상기 도어 프레임(62)의 하측 채널(64)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70)를 상측에서 상기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롤러(70)을 가이드하는 레일(92)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부 레일부(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서, 상기 후면 도어(24)의 내측과 미닫이 도어(60)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타공 안전판(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기술적 사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단일의 하우징(20)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변압기(5),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합형 수배전반(10)에 있어서, 하우징(2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으로 열리는 전면 도어(22) 및 후면 도어(24)를 갖고, 하우징(20)내에서 전면 도어(22)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는 내측 도어(42)를 가지며, 내부에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되는 챔버(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하우징(20)내에서 챔버(40)에 의해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의 저압부분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및 변압기(5)의 특고압부분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므로 수배전반(10) 내에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의 혼촉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지보수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내에서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및 파워휴즈(3)는 지지대(26)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어 챔버(40)의 뒤측에서 후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대(26)의 하측에는 변압기(5)가 배치되어 설치되며, 변압기(5)의 후면방향으로 계기용변성기(4)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챔버(40)와 변압기(5) 및 고장구간자동개폐 기(1)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로 연장되도록 하는 덕트(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이때 덕트(50)는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둘레가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덕트(52) 및, 지지대(26)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덕트(52)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 덕트(54)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덕트를 통해 설치되므로, 특고압과 저압 사이가 완전히 격리되어 혼촉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고장구간자동개폐기, 피뢰기, 파워휴즈, 계기용변성기, 변압기, 저압주차단기 및 배선용 차단기의 기술적 구성 및 기능, 그리고 전기사업자로부터 공급되는 특고압이 수배전반을 통해 저압으로 강하되는 기술적 구성 및 방법 등은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전면 도어 및 측면 도어를 개방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단선결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내부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 내의 챔버와 변압기 및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사이에 배치되는 덕트를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타공안전판을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단일의 하우징(20)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변압기(5),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된다.
이때 하우징(2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으로 열리는 전면 도어(22) 및 후면 도어(24)를 갖는다. 그리고 하우징(20)내에는 내부에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되는 챔버(40)가 설치된다. 이 챔버(40)는 하우징(20)의 전면 도어(22)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는 내측 도어(42)를 갖는다. 이와 같은 챔버(40)는 하우징(20)내에서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의 저압부분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및 변압기(5)의 특고압부분과 분리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하우징(20)내에서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및 파워휴즈(3)가 지지대(26)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어 챔버(40)의 뒤측에서 후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대(26)의 하측에는 변압기(5)가 배치되어 설치되며, 변압기(5)의 후면방향으로 계기용변성기(4)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챔버(40)와 변압기(5) 및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사이에 덕트(5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및 덕트(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로 연장되도록 한다. 덕트(50)는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둘레가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덕트(52) 및, 지지대(26)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덕트(52)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 덕트(54)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의 구성에 의해 하우징(20)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고압과 저압의 격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덕트(50)를 통해 저압 부분과 차단되면서 내부로 연장되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변압기(5),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로 접속되므로써, 배선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 효과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 합형 수배전반(10)은 하우징(20)의 지붕(28)이 단열재로 형성되도록 한다. 통상 수배전반은 실내의 특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공간 문제로 인해 옥상 등 햇볕에 노출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하우징(20)의 지붕(28)을 단열재로 제작하므로써 태양열에 의한 통합형 수배전반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전후면 도어(22,24)는 상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서 전면 도어(22)를 통해 챔버(40)내에 설치되는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 등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전면 도어(22)에는 투시창(34)이 구비되어, 이 투시창(34)을 통해 전면 도어(22)를 개폐하지 않고 챔버(40)의 내측 도어(42)에 설치되는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의 디지털 계기 및 표시기 등을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20)의 측면에는 미닫이 도어(60)가 설치된다. 이 미닫이 도어(60)는 하우징(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써 열리고 닫힌다. 이와 같은 미닫이 도어(60)는 전후면 도어(22,24)와 달리 측방향 설치 공간이 줄어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미닫이 도어(60)가 안정적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하우징(20)의 상부에 투시창(32)을 설치하고, 좌측면에는 한전 계량기함(8)과 한전 계량기함(8) 하단에 접지단자함(9)를 설치한다. 이 투시창(32)을 통해 변압기(5) 및 저압주차단 기(6)의 상태를 확인하므로써, 배전 선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챔버(40)를 갖는다. 이 챔버(40)는 하우징(20)내에서 전면 도어(22)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는 내측 도어(42)를 갖는다. 이때 챔버(40)내에는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된다. 이 챔버(40)는 특고압측과 저압측 사이를 완전히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특고압 측과 저압측을 완전히 분리하여 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고장구간자동개폐기(1)로 연장되도록 하는 덕트(50)를 갖는다. 이 덕트(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40)와 변압기(5) 및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 덕트(50)는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둘레가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덕트(52) 및, 지지대(26)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 덕트(52)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 덕트(54)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덕트(50)를 사용하므로써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를 완전히 격리시키며,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즉, 종별이 다른 두 케이블의 혼촉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통상적으로 전력 인입부분부터 전력 배분까지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변압기(5), 저압주차단기(6), 배선용 차단기(7)로 구성되어 있다. 고압선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3상 22,900V의 특고압은 고장구간자동개폐기(1)를 거친 다음 고압선로를 통하여 피뢰기(2)와 파워휴즈(3)에 인입되게 연결한다. 이때, 파워휴즈(3)는 3개가 한조를 이루어 3상 입력의 RST라인마다 설치한다. 파워휴즈(3)를 통한 특고압의 3상 라인에는 계기용변성기(4)를 설치하여 사용 전력량 측정을 위한 전압 및 전류를 검침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계기용변성기(4)에서 검출된 전압 및 전류값은 한전 계량기함(8)에 설치된 전압계 및 전류계에 인가되도록 연결한다. 한편, 계기용변성기(4)를 통한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통해 변압기(5)의 △결선방식의 특고압의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Y결선 방식의 저전압으로 2차측 저전압단자에서 변환 출력되게 연결하고, 변압기(5)의 2차측 저압단자에 나타난 저전압은 저압주차단기(6)를 거쳐 부하측에 인가되도록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통합형 수배전반(10)은 변전소로부터 22,900V의 3상 특고압이 수배전장치에 공급되면, 이 특고압은 고압선로를 따라 고장구간자동개폐기(1)의 고압 인입 단자에 인가된다.
한편, 특고압 라인은 고장구간자동개폐기(1)의 고압 인출 단자에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특고압은 고압 선로를 따라 피뢰기(2)와 파워휴즈(3)에 인가된다.
파워휴즈(3)는 밀폐된 퓨즈통 내에 엘리먼트와 규소등 소호제를 충진시킨 규소퓨즈로서 매우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 전류를 단시간내에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변압기(5)와 저압주차단기(6)를 배선할 때 변압기(5)의 2차측 저압 부분에 후렉시블(11)을 설치한다. 후렉시블(11)은 금속 가요 전선관이라고 하며, 노출 배관 공사시에 쓰이며, 노출된 전선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쓰인다. 즉, 천장 스라브배관의 박스와 전등 간의 전선보호, 노출배관 공사시 말단 부분 전선 연결부분을 보호하고, 관 자체가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굴곡이 많은 장소나 전동기와 조작 개폐기간, 계장용 배관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렉시블을 사용하므로써 변압기의 진동에 대비하여 전력용변압기 붓싱의 파손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10)은 하우징(20)의 후면 도어(24)의 내측과 측면의 미닫이 도어(60)의 내측에서 설치되는 타공 안전판(100)을 갖는다. 후면 도어(24) 내측에 설치되는 타공 안전판(100)은 상부측과 중간측 및 하부측으로 3부분으로 나누어 설치된다. 상부 및 하부측의 타공 안전판(100)은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된 앵글(21)에 의해 고 정된다. 중간측의 타공 안전판(100)은 상부 및 하부측의 타공 안전판(100) 사이에 설치되며 앵글(21)과 직각으로 수평 격판(23)을 설치하여 수평 격판(23)에 경첩에 의해 고정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양측면 미닫이 도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양측면 미닫이 도어의 상부측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의 양측면 미닫이 도어의 하부측의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양측면의 미닫이 도어(60)는 도어 프레임(62)과 롤러(70)와 상부 레일부(80) 및 하부 레일부(90)를 구비한다.
도어 프레임(62)은 하단에서 내측으로 꺾이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하측 채널(64)과, 하측 채널(64)과 평행한 위치를 갖도록 상단에서 내측으로 꺾이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상측 채널(66)을 갖는다. 롤러(70)는 중간에 환형 홈(72)이 형성되고, 도어 프레임(62)의 하측 채널(64)과 상측 채널(66)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핀(74)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 레일부(80)는 도어 프레임(62)의 상측 채널(66)에 결합되는 롤러(70)를 하측에서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므로써 도어 프레임(62)을 지지하는 레일(82)이 형성되어 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된다. 하부 레일부(90)는 도어 프레임(62)의 하측 채널(64)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70)를 상측에서 상기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롤러(70)을 가이드하는 레일(92)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된다.
상부 레일부(80)는 레일부(84)와 레일 지지부(86)로 이루어진다. 레일부(84)는 상측이 하우징(20)에 결합되고, 일측면이 레일 지지부(86)에 결합되어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는 레일(82)을 갖는다. 레일 지지부(86)는 평행 방향으로 레일부(80)에 결합되어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하부 레일부(90)는 레일부(94)와 레일 지지부(96)로 이루어진다. 레일부(94)는 일측이 레일 지지부(96) 결합되고,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는 레일(92)을 갖는다. 레일 지지부(96)는 일측이 레일부(94)와 결합되고 하측이 하우징(20)에 결합되어 결합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미닫이 도어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여분의 공간이 필요없고, 도어가 열리면 도어가 하우징 내로 들어가 외관이 깔끔해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닫이 도어를 이용하므로써 종래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배전반보다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수배전반에 의하면, 단일의 하우징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 피뢰기, 파워휴즈, 계기용변성기, 변압기를 설치하므로써 1면으로 구성하고, 수배전반내에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 사이의 혼촉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지보수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단일의 하우징(20)내에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변압기(5),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합형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으로 열리는 전면 도어(22) 및 후면 도어(24)를 갖고,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전면 도어(22)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열리는 내측 도어(42)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가 설치되는 챔버(40)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챔버(40)에 의해 상기 저압주차단기(6) 및 배선용 차단기(7)의 저압부분이 상기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파워휴즈(3), 계기용변성기(4) 및 변압기(5)의 특고압부분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피뢰기(2) 및 파워휴즈(3)는 지지대(26)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40)의 뒤측에서 후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26)의 하측에는 변압기(5)가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변압기(5)의 후면방향으로 계기용변성기(4)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챔버(40)와 상기 변압기(5) 및 고장구간자동개폐기(1)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특고압 케이블이 상기 고장구간자동개폐기(1)로 연장되도록 하는 덕트(50)를 포함하되;
    상기 덕트(50)는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둘레가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수직 덕트(52) 및,
    상기 지지대(26)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52)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 덕트(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써 열리고 닫히는 미닫이 도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도어(60)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꺾이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하측 채널(64)과, 상기 하측 채널(64)과 평행한 위치를 갖도록 상단에서 내측으로 꺾이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상측 채널(66)을 갖는 도어 프레임(62)과,
    중간에 환형 홈(7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62)의 하측 채널(64)과 상측 채널(66)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핀(74)에 의해 결합되는 롤러(70)와,
    상기 도어 프레임(62)의 상측 채널(66)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70)를 하측에서 상기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62)을 지지하는 레일(82)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 레일부(80) 및,
    상기 도어 프레임(62)의 하측 채널(64)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70)를 상측에서 상기 롤러(70)의 환형 홈(72)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롤러(70)을 가이드하는 레일(92)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부 레일부(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배전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도어(24)의 내측과 미닫이 도어(60)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타공 안전판(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수배전반.
  5. 삭제
KR1020060105751A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배전반 KR10069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51A KR100699070B1 (ko)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51A KR100699070B1 (ko)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070B1 true KR100699070B1 (ko) 2007-03-23

Family

ID=4156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51A KR100699070B1 (ko) 2006-10-30 2006-10-30 통합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0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20B1 (ko) * 2008-07-25 2009-03-06 가아전기(주) 양문형 수배전반
CN108831672A (zh) * 2018-06-01 2018-11-16 江苏盖之宝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箱
KR101933104B1 (ko) * 2016-12-09 2018-12-27 주식회사 럭스코 방압을 위한 컨테이너형 배전반
CN110070982A (zh) * 2019-06-03 2019-07-30 杭州初始服饰有限公司 一种变压器
KR102103952B1 (ko) * 2019-10-07 2020-04-23 양명주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531Y1 (ko) 2002-12-11 2003-03-2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531Y1 (ko) 2002-12-11 2003-03-2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20B1 (ko) * 2008-07-25 2009-03-06 가아전기(주) 양문형 수배전반
KR101933104B1 (ko) * 2016-12-09 2018-12-27 주식회사 럭스코 방압을 위한 컨테이너형 배전반
CN108831672A (zh) * 2018-06-01 2018-11-16 江苏盖之宝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箱
CN110070982A (zh) * 2019-06-03 2019-07-30 杭州初始服饰有限公司 一种变压器
KR102103952B1 (ko) * 2019-10-07 2020-04-23 양명주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070B1 (ko) 통합형 수배전반
KR100984509B1 (ko) 고압 배전반
KR100876586B1 (ko) 공기절연 고·저압 격실금속피복 절연축소형 폐쇄배전반
KR100897615B1 (ko) 감전방지형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0714799B1 (ko) 복합형 수배전반
KR19990073574A (ko) 다기능복합수,배전반
JP2008043181A (ja) 配電用開閉装置
KR100960365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CN102801110A (zh) 用于配电的设备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KR101207896B1 (ko)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0842413B1 (ko)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WO2023281363A1 (en) Electrical transformation substation
KR200462882Y1 (ko) 전주에 설치되는 스위치
KR200307531Y1 (ko) 수배전반
KR200183804Y1 (ko)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KR100617481B1 (ko) 전력 배전 시의 전력 케이블 탭핑 방법
CN210838592U (zh) 一种带集线功能的配电箱
KR100573023B1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CN111162466A (zh) 一种组合式便捷检修配电箱
CN110911998B (zh) 一种自动集线的配电箱
CA2986409C (en) Electrical equipment with additional compartment and wiring to account for temperature limitations of connected conductors
KR100570447B1 (ko) 작업, 점검실과 전선 인출관로가 형성되는 수배전반
KR200398644Y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CN216016145U (zh) 一种高压电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