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896B1 -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896B1
KR101207896B1 KR1020120107306A KR20120107306A KR101207896B1 KR 101207896 B1 KR101207896 B1 KR 101207896B1 KR 1020120107306 A KR1020120107306 A KR 1020120107306A KR 20120107306 A KR20120107306 A KR 20120107306A KR 101207896 B1 KR101207896 B1 KR 10120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electricity meter
input terminal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동
장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10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파손으로 인한 기존 전력량계 또는 전기계량기함을 무정전 상태에서 새로운 전력량계 또는 전기계량기함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벽면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장착대(100): 외면에 인?입출되는 전선을 감싸 가이드하는 다수의 전선가이드(210)를 갖추고서, 장착대(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를 덮어 보호하는 장착대커버(200): 전원연결대(320)가 내측에서 배선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고, 둘레에는 각각의 전선이 인입되어 전원연결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전선삽입부(312)를 구비하며 장착대(10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자대본체(310)와; 한전측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와, 전력량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와, 전력량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계(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로 공급하는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커넥터(329)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전기연결되어 수용가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를 선택적으로 전기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329)를 갖추고서, 단자대본체(310)에 설치되는 전원연결대(320)와; 단자대본체(3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커버(330)를 갖춘 단자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장착대와 장착대커버가 노후 또는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원공급은 유지한 상태에서 전력량계와 단자대 및 기타장치만 장착대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장착대와 장착대커버로 교체하면 되므로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으로의 전원공급은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전기계량기함{Uninterruptible Electric Watt Hour Meter Box}
본 발명은 노후/파손으로 인한 기존 전력량계 또는 전기계량기함을 무정전 상태에서 새로운 전력량계 또는 전기계량기함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통상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되며,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과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경우 통상 전력선이 배면을 통해 전면으로 노출되어 전력량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전기계량기함을 노후 도는 파손으로 교체작업을 해야할 경우 일정시간 동안 전기를 단전시켜야 했기 때문에 전기사용이 불가피한 공장 또는 가정의 경우 그 시간 동안 전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큰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전력량계는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갖는 두께 3㎜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합성수지로 외관이 제작되고 있으며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고,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하, 공급측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갖추고 있다.
이에 전력사용개소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력량계를 고정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전선과 공급측 전선의 노출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볼트를 체결하면, 전력사용개소에서 사용되어진 전력이 하우징의 계측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전력량계 교체 작업을 시행함에 있어 현장여건상 장소가 협소한 집합계기함이나 단독계기함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장시간의 정전과 대형 인력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는 등록특허 제10-0904560호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110),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120),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130),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140), 전력량계측 스위칭 수단(150), 수용가측 스위칭 수단(160), 분기용 접점단자(111,141), 바이패스 스위칭 수단(170)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제어용 스위치단을 이용하여 전력량계로 향하는 전원을 완전하게 차단한 다음 전력량계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감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비용이 근본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으며, 파손시에도 일부분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교체해야함으로 교체비용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후/파손으로 인한 기존 전력량계 또는 전기계량기함을 무정전 상태에서 새로운 전력량계 또는 전기계량기함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전력량계와 단자대 및 기타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벽면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장착대:
외면에 인?입출되는 전선을 감싸 가이드하는 다수의 전선가이드를 갖추고서, 장착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력량계와 단자대 및 기타장치를 덮어 보호하는 장착대커버:
전원연결대가 내측에서 배선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고, 둘레에는 각각의 전선이 인입되어 전원연결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전선삽입부를 구비하며 장착대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자대본체와; 한전측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와, 전력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와, 전력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로 공급하는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와 커넥터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전기연결되어 수용가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를 선택적으로 전기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갖추고서, 단자대본체에 설치되는 전원연결대와; 단자대본체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커버를 갖춘 단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전측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의 반대편에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직렬연결되는 분전용 전원입력단자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대커버 및 본체커버는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장착대와 장착대커버가 노후 또는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원공급은 유지한 상태에서 전력량계와 단자대 및 기타장치만 장착대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장착대와 장착대커버로 교체하면 되므로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으로의 전원공급은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전측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를 매개로 한전측 전원입력단자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를 선택적으로 전기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으로의 전원공급은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즉, 볼트의 머리 부분에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한전측의 전기가 통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커넥터에 드라이버를 접촉하더라도 전기 감전 및 스파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의 개략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의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에서 전원연결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의 A - 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의 교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기계량기함은,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 및 단자대(300)로 구성되며, 벽면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다수의 전선(한전?수용가?전력량계?다른 가정의 라인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대(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며 합성수지로 제조된 공지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한전측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벽체(미도시)에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설치고정된다.
상기 장착대(10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예를 들면, PLC(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가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장착대커버(200)는 장착대(100)에 힌지(H)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예를 들면, PLC(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를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장착대커버(200)의 외면에는 인?입출되는 전선(예를 들면, 한측측, 수용가측, 분전측 라인)을 감싸 가이드하는 다수의 전선가이드(2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착대커버(2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힌지(H)가 설치된 반대편에는 공지의 잠금수단(L)이 구비된다.
참고로, 통상 한전에서는 장착대(100)에 장착대커버(200)를 덮은 이후에는 인가받지 않은 자가 임의로 개폐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봉인을 하고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봉인에 대한 부분은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기재는 생략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전선이 장착대커버(200)에 형성된 전선가이드(210)을 통해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 사이로 인?입출되기 때문에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가 노후 또는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만 장착대(100)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로 교체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원공급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를 교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대(300)는 단자대본체(310)와 전원연결대(320) 및 본체커버(330)로 구성되어 전력량계(1)가 설치된 장착대(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단자대본체(310)는 단자대본체(310)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육면체형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량계(1)가 설치된 전기계량기함(1)에 체결수단(미도시)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단자대본체(310)는 전원연결대(320)가 내측에 안치되어 배선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전원연결대(320)를 구성하는 제1?2?3연결대(321,322,323) 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면서 구분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 바닥에는 다수의 연결대안착부(311)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단자대본체(310)의 둘레에는 외부로부터 각각의 전선이 인입되어 전원연결대(320)의 각 단자(324,325,326,327,3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전선삽입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외관을 육면체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연결대안착부(311)를 형성한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외관을 5각, 6각과 같은 공지의 형태로 하고, 내부에는 전원연결대(320)의 제1?2?3연결대(321,322,323) 간에 접촉만 되지 않도록 나사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연결대(320)는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를 교체하거나 또는 장착대(100)에 설치된 전력량계(1)를 새로운 전력량계(1)로 교체할 때에 한전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끊지 않고도 수용가 및 다른 세대(가정)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원연결대(320)는 제1?2?3연결대(321,322,323)와 제1?2?3연결대(321,322,323)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각각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단자(324,325,326,327,328) 및 커넥터(329)로 구성된다.
상기 제1?2?3연결대(321,322,323) 간에는 전기적인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제2연결대(322)의 경우에는 제1연결대(321)를 지나는 금속편 부분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제3연결대(323)의 경우에는 제1?2연결대(321,322)를 지나는 중간부분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제1?2?3연결대(321,322,323)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단자(324,325,326,327,328)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상기 제1?2?3연결대(321,322,323) 중 제1?3연결대(321,323)에는 한전측 라인의 활성선(活性線)이 제2연결대(322)에는 한전측 라인의 중성선(中性線)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먼저,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는 제1?2연결대(321,322)의 좌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한전측의 라인이 전선삽입부(312;도 5 참조)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에 형성된 고정수단(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참고로, 한전측 라인은 활성선과 중성선이 인입되는데, 여기서 활성선(活性線)은 제1연결대(321)의 단자에, 중성선(中性線)은 제2연결대(322)의 단자에 각각 설치된다.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는 제1?2연결대(321,322)의 상부 좌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량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량계(1)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부(312;도 5 참조)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에 형성된 고정수단(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는 제2?3연결대(322,323)의 상부 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량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계(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량계(1)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부(312;도 5 참조)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에 형성된 고정수단(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는 제2?3연결대(322,323)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커넥터(329)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전기연결되어 수용가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정으로부터 인출된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부(312;도 5 참조)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에 형성된 고정수단(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분전용 전원입력단자(328)는 제1?2연결대(321,322)의 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와 전기적으로 직렬연결되어 다른 가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다른 가정으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부(312;도 5 참조)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분전용 전원입력단자(328)에 형성된 고정수단(나사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전측의 라인을 별도로 인출하여 각 가정에 연결할 필요 없이 하나의 가정을 통해 다수의 가정에 한전측의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100)의 내측으로 인입된 각 전선들은 공지의 새들(S)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대(321)와 제3연결대(323)는 제1연결대(321)에 설치된 커넥터(329)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전기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329)는 볼트이며, 특히 커넥터(329) 즉, 볼트의 머리 부분에는 전기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가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329) 즉, 볼트의 머리 부분에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한전측의 전기가 통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커넥터(329)에 드라이버를 접촉하더라도 전기 감전 및 스파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존에는 전기계량기함에 설치된 노후된 전력량계(1)를 새로운 전력량계(1)로 교체하기 위해 한전측 전원을 단전시킨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실시했기 때문에 수용가로는 일정시간 동안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해당 가정의 민원 및 큰 불편함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한전측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329)를 매개로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으로의 전원공급은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전원연결대(320)를 공지의 부스바(bus bar) 타입으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2?3연결대(321,322,323)의 말단부에 단자(324,325,326,327,328)를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형성한 다음 상호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본체커버(330)는 외부인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단자대본체(3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단자대본체(310)에 안착되어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장착대커버(200) 및 본체커버(330)는 외부에서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를 투명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단자대본체(310)와 본체커버(330)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와 같이 단자대본체(310)와 본체커버(330)를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장착대(100)의 전면으로 전력량계(1)를 설치하고 전력량계(1)의 하부에는 단자대(300)를 설치한다.
참고로, 상기 전력량계(1)의 상부에는 유무선으로 실시간 전기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공지의 PLC(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가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단자대(300)를 구성하는 본체커버(330)를 단자대본체(310)로부터 이탈시켜 준 상태에서 전력량계(1)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각각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에 연결시켜 주고,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에는 해당 가정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연결시켜 준다.
그리고, 한전측 라인을 전선삽입부(312)로 삽입하여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에 연결시켜 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가정으로 배선연결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가정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분전용 전원입력단자(328)에 연결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배선연결한 이후에는 분리시켰던 본체커버(330)를 이용하여 단자본체(100)의 개구부를 폐쇄시켜 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커버(330)를 매개로 단자대본체(310)를 폐쇄시켜 준 이후에는 개방되어 있던 장착대커버(200)를 힌지(H)을 매개로 회동시켜 폐쇄시켜 준 다음 일측에 형성된 잠금수단(L)을 매개로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를 고정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선연결되면 한전측 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력량계(1)를 지나 해당 가정으로 전원이 공급되며, 해당 가정에서 전자렌지, 전등과 같이 전기를 필요로 하는 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전력량계(1)는 해당 가정의 전력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가 노후 또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었거나 또는 전력량계(1)의 노후로 인해 새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의 교체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장착대커버(200)를 개방시켜 준 상태에서 장착대(100)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수단(나사볼트)를 풀어 벽체(미도시)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그리고, 각 라인(한전측, 수용가측, 다른 가정측)의 전원공급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장착대(100)의 전면에 설치된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공지의 PLC(2;전력선통신)를 분리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공지의 PLC(2;전력선통신)가 분리되면 작업자는 새로운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를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벽체(미도시)에 재설치해 준다.
그리고, 분리시켰던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공지의 PLC(2;전력선통신)를 새로운 장착대(100)에 설치한 다음 장착대커버(200)로 감싸도록 덮어 주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가 노후 또는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원공급은 유지한 상태에서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만 장착대(100)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장착대(100)와 장착대커버(200)로 교체하면 되므로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으로의 전원공급은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장착대(100)에 설치된 전력량계(1)가 노후로 인해 새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본체커버(330)를 단자대본체(310)로부터 이탈시켜 준 상태에서 작업자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1연결대(321)에 체결된 커넥터(329)를 돌려주게 되면, 나사결합되어 있던 커넥터(329)가 하강하게 되면서 제3연결대(3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작업자는 기존의 전력량계(1)로부터 인출되어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에 연결된 전선을 분리시켜 준 다음 새로운 전력량계(1)를 전기계량기함(1)에 설치해 주며, 이를 도 10a및 10b와 같이 도시하였다.
그 다음 새로운 전력량계(1)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각각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에 연결해 주면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단상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3상으로도 구성하여 실시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통상의 봉인구조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전측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329)를 매개로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가정으로의 전원공급은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장착대 200: 장착대커버 210: 전선가이드
300: 단자대 310: 단자대본체 311: 연결대삽입부
312: 전선삽입부 220: 전원연결대 321: 제1연결대
322: 제2연결대 323: 제3연결대
324: 한전측 전원입력단자 325: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
326: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 327: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
328: 분전용 전원입력단자 329: 커넥터
330: 본체커버 1: 전력량계 H: 힌지
L: 잠금수단 2: PLC(전력선통신)

Claims (3)

  1. 전면에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벽면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장착대(100):
    외면에 인?입출되는 전선을 감싸 가이드하는 다수의 전선가이드(210)를 갖추고서, 장착대(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력량계(1)와 단자대(300) 및 기타장치를 덮어 보호하는 장착대커버(200):
    전원연결대(320)가 내측에서 배선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고, 둘레에는 각각의 전선이 인입되어 전원연결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전선삽입부(312)를 구비하며 장착대(10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자대본체(310)와; 한전측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와, 전력량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325)와, 전력량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계(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로 공급하는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커넥터(329)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전기연결되어 수용가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326)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327)를 선택적으로 전기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329)를 갖추고서, 단자대본체(310)에 설치되는 전원연결대(320)와; 단자대본체(3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커버(330)를 갖춘 단자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전측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의 반대편에는 한전측 전원입력단자(324)와 전기적으로 직렬연결되는 분전용 전원입력단자(328)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커버(200) 및 본체커버(330)는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20120107306A 2012-09-26 2012-09-26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1207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06A KR101207896B1 (ko) 2012-09-26 2012-09-26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06A KR101207896B1 (ko) 2012-09-26 2012-09-26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896B1 true KR101207896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306A KR101207896B1 (ko) 2012-09-26 2012-09-26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8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00B1 (ko) 2013-05-20 2014-08-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20190019423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7-01-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0804084B1 (ko) 2007-06-21 2008-02-18 박대우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KR100879430B1 (ko) 2007-09-07 2009-01-20 태형산업주식회사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7-01-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0804084B1 (ko) 2007-06-21 2008-02-18 박대우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KR100879430B1 (ko) 2007-09-07 2009-01-20 태형산업주식회사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00B1 (ko) 2013-05-20 2014-08-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20190019423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344314B1 (ko) 2017-08-17 2021-12-29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876B1 (ko)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101030727B1 (ko)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JP4766884B2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US9627861B2 (en) Utility meter bypass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1207896B1 (ko)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0863593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20170136665A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CN105914588A (zh) 一种多断路器配电柜或配电箱
KR100699070B1 (ko) 통합형 수배전반
KR100904562B1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0960365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KR101124457B1 (ko) 전기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어댑터용 전력량계
KR101173034B1 (ko) 고압전력용 일체형 수배전반
KR101150499B1 (ko) 전력량계 및 이의 교체 방법
KR100879430B1 (ko)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2077940B1 (ko) 계기의 종류에 따라 단자대 블록을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JP4745318B2 (ja) 電力量計システム化用据置端子
KR200340170Y1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CN109714919B (zh) 一种用于油田生产的变频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