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593B1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 Google Patents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593B1
KR100863593B1 KR1020070023451A KR20070023451A KR100863593B1 KR 100863593 B1 KR100863593 B1 KR 100863593B1 KR 1020070023451 A KR1020070023451 A KR 1020070023451A KR 20070023451 A KR20070023451 A KR 20070023451A KR 100863593 B1 KR100863593 B1 KR 10086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fixed terminal
inlet
me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764A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이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국 filed Critical 이종국
Priority to KR102007002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5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전력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제 1유입부와 전력량계를 거쳐 수용가로 전력을 유출하는 제 1유출부로 구성하는 고정식 단자대와, 상기 제 1유입부 및 제 1유출부에 각각 대응되며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유입부 및 제 2유출부를 형성하는 무정전 바이패스로 구성되어,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전력량계와 고정식 단자대를 분리해야 할 경우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를 고정식 단자대의 상부에 결합하여 무정전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식 단자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안전커버 및 무정전 바이패스 미사용시 고정식 단자대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고무커버를 더 구비하여 빗물이 유입되거나 먼지 및 이물질이 소착되지 않도록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계량기, 단자대, 무정전, 전력량계, 안전커버, 바이패스

Description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TERMINAL BOARD FOR UN-STOPPAGE POWER SUPPLY}
도 1은 종래의 단자대가 일체로 형성된 전력량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단자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커버가 구비된 고정식 단자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취부전 이동식 단자대 설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취부후 이동식 단자대 설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설치 준비단계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의 설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가 제거된 무정전 바이패스의 설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전력량계가 취부된 단자대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가 제거된 단자대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시공이 끝난 후의 단자대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제 1유입부 11: 제 1유출부
12: 홈 13: 안착홈
15: 고정수단공 20: 고정식 단자대
30: 삽입핀 40: 무정전 바이패스
41: 제 2유입부 42: 제 2유출부
50: 안전커버 60: 고무커버
70: 공통선 80: 전력공급원
81: 수용가
본 발명은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전력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제 1유입부와 전력량계를 거쳐 수용가로 전력을 유출하는 제 1유출부로 구성하는 고정식 단자대와, 상기 제 1유입부 및 제 1유출부에 각각 대응되며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유입부 및 제 2유출부를 형성하는 무정전 바이패스로 구성되어,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전력량계와 고정식 단자대를 분리해야 할 경우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를 고정식 단자대의 상부에 결합하여 무정전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식 단자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안전커버 및 무정전 바이패스 미사용시 고정식 단자대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고무커버를 더 구비하여 빗물이 유입되거나 먼지 및 이물질이 소착되지 않도록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방식이나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전력량계는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갖는 두께 3mm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외관이 제작되고 있으며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고,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하, 공급측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갖추고 있다.
이에 전력사용개소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력량계를 고정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전선과 공급측전선의 노출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보울트를 체결하면, 전력사용개소에서 사용되어진 전력이 하우징의 계측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량계의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대의 구조에서 일부 해지, 증설 및 계기고장으로 인한 전력량계 교체시 단자대의 단자홈에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들이 상호 접촉되어 계량기 폭발로 인한 얼굴 안면 화상이나 전면 노출부위에 화상을 입어 대형 인적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력량계 단자대의 경우, 단자대에 형성한 단자홈의 내의 단자도 체가 단자홈의 입구부측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서, 전력량계 교체시 인접한 전선 간의 에 혼촉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촉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전력량계의 컷오프스위치를 "오프"하여 정전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으로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공동인입선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장시간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전력량계 교체작업에 있어서 정전을 시킨 다음 전선의 노출부위를 인출하고 전력량계 교체작업을 시행한다.
상기 작업을 시행함에 있어 현장여건상 장소가 협소한 집합계량기함이나 단독계기함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장시간의 정전과 대형 인력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대가 일체로 형성된 전력량계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계기함의 취부판(150)에는 조영재에 고정하기 위한 취부용 구멍(142)과, 상기 취부판(150)에서 전력량계(140) 철거 없이는 조영재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중앙에 형성된 도전방지용 나사홈(143)과, 상기 전력량계(140)에 연결되는 전선(141)이 통과하는 배선 케이블 인입구(144)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계기함 취부판(150)의 구조는 일체형으로 계기함의 교체시 전선(141)이 상기 취부판(150)의 인입구(144)를 통과하기 위해 전력량계(140)과 전선(141)이 분리됨으로써 정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는 충전부 노출에 따른 위험성이 있고, 전력량계 탈착에 따른 비용과 시간소비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전력량계와 단자대를 서로 분리할 경우, 상기 전력량계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식 단자대 상부에 제 2유입부와 제 2유출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무정전 바이패스를 결합시킴으로써, 무정전으로도 계량기 교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전커버를 고정식 단자대에 결합시켜 이물질의 유입방지 및 빗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되, 상기 고정식 단자대는 무정전 바이패스와 결합하여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가 결합되는 안착홈에 먼지나 이물질의 소착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커버가 더 구비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의 삽입부에 대응결합되는 삽입핀을 상측면에 돌출형성하고,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동된 전력이 상기 전력량계를 통과 후 수용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1유출부를 형성하는 고정식 단자대와; 상기 제 1유입부와 제 1유출부에 각각 대응결합하며 전기적으로 상호 연 결되는 제 2유입부와 제 2유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식 단자대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 1유입부로 유입된 전력이 제 2유입부와 제 2유출부를 차례로 유동 후 제 1유출부를 거치도록 구성함으로써,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전력량계와 고정식 단자대가 분리되어도 정전없이 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무정전 바이패스와; 상기 고정식 단자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식 단자대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유입부와 제 2유입부 및 제 1유출부와 제 1유출부는 각각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어 3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유입부 중 하나와 제 1유출부 중 하나는 공통선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유입부 및 제 1유출부는 중단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에 제 2유입부 및 제 2유출부가 각각 위치되도록 하고, 대응되는 상기 제 1유입부와 제 2유입부 및 제 1유출부와 제 2유출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 내부에 고정수단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홈은 이동식 단자대가 결합되어 있지 않을 경우, 먼지와 이물질이 소착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식 단자대의 길이방향으로 안착홈에 끼워지는 고무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안착홈을 동시에 밀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력량계는 단자대의 상측에서 탈착될 수 있도록 고정핀에 의해 상부 가 계량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는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90)의 단자대에 있어서, 계량기를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 전력량계(90)와 단자대를 분리해야 할 경우, 무정전으로도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빗물 또는 먼지로부터 보호되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고정식 단자대(20), 무정전 바이패스(40), 안전커버(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단자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에 따른 고무커버가 구비된 고정식 단자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2는 후술 될 전력량계(90)에 결합되는 고정식 단자대(20)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 2와 도 3 및 하기에서 설명될 도 4의 A와 B는 각각 삼상용과 단상용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의 A는 삼상용으로 사용되는 고정식 단자대(20)의 일실시예이고, B는 단상용으로 사용되는 고정식 단자대(20)의 일실시예이다.
상기 전력량계(9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부(91)에 대응되며 결합되는 다수개의 삽입핀(30)을 상측에 돌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고정수단이 끼워지는 연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식 단자대(20)는 중단에 형성된 공통선(70)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유입부(10)가 형성이 되고, 타측에는 제 1유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유입부(10) 및 제 1유출부(11)의 형성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삼상으로 사용될 것인지, 단상으로 사용될 것인지가 구분되어, 삼상일 경우에는 상기 도 1의 A와 같이 형성되고, 단상일 경우에는 상기 도 1의 B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유입부(10) 중 한 개와 제 1유출부(11)의 한 개는 전도성을 지닌 공통선(70)에 의해 항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통선(70)의 중심에는 계량기와 결합되기 위해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1유입부(10) 및 제 1유출부(11)는 각각 중단에 내측으로 일정길이 파여지는 안착홈(13)을 형성하는데, 상기 안착홈(13)은 각각의 제 1유입 부(10) 사이 및 각각의 제 1유출부(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홈(12)과 교번으로 연통되어 고정식 단자대(20) 중단에 길이방향으로 장홈이 파여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다수개의 안착홈(13)에는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식 단자대(20)를 개별로 휴대하여 이동시킬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안착홈(13)에 소착되어 계량기 교체시 후술될 무정전 바이패스(40)와의 결합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안착홈(13)을 한번에 밀폐하는 고무커버(60)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제 1유입부(10) 및 제 1유출부(11)는 상기 안착홈(13) 중앙에 고정수단공(15)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될 무정전 바이패스(40)가 고정식 단자대(20)와 결합되기 위해 고정수단을 이용할 시 상기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구멍으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고정식 단자대(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무정전 바이패스(4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40)는 고정식 단자대(20)의 제 1유입부(10)와 제 1유출부(11)에 각각 대응되는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의 제 1유입부(10)에는 무정전 바이패스(40)의 제 2유입부(41)가 대응결합되고,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의 제 1유출부(11)에는 무정전 바이패스(40)의 제 2유출부(42)가 각각 대응결합되는 것이다.
결합될 시,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40)의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를 고정수단이 관통하여 상기에서 설명되었던 제 1유입부(10) 및 제 1유출부(11)가 형성하고 있는 고정수단공(15)에 대응되며 각각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고정식 단자대(20) 상면에 무정전 바이패스(40)가 결합된다.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40)는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식 단자대(20) 상면에 결합됨으로서, 유동되는 전력의 흐름이 전력공급원(80)으로부터 전선(92)을 통해 제 1유입부(10), 제 2유입부(41), 제 2유출부(42), 제 1유출부(11), 수용가(81) 순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와 무정전 바이패스(40)의 결합으로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정전을 시켜 시공을 하거나 고정식 단자대(20)와 전력량계(90)를 분리시킴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식 단자대(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공(21)에 대응되는 연결공(21')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21, 21')을 연속으로 결합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식 단자대(20) 상면에 안전커버(5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안전커버(50)는 고정식 단자대(20)를 휴대용으로 이동시, 고정식 단자대(20)에 빗물 또는 먼지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취부전 이동식 단자대 설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취부후 이동식 단자대 설치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설치 준비단계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가 제거된 무정전 바이패스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전력량계가 취부된 단자대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가 제거된 단자대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시공이 끝난 후의 단자대 예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 6에서부터 도 13까지는 전력량계의 교체준비에서부터 교체 후까지의 순서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도 6은 전력량계가 취부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 7은 도 6의 고정식 단자대(20)에 전력량계(90)가 결합된 것으로 전력공급원(80)으로부터 유입된 전력이 고정식 단자대(20)의 제 1유입부(10)로 유입되어 전력량계(90)를 통과 후, 다시 고정식 단자대(20)의 제 1유출부(11)를 통해 유출되어 수용가(81)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방식이다.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의 경우, 도 7에서 같이 전력량계(9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등의 시공이 없을 경우,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의 다수개의 안착홈(13)에 고무커버(60)를 대응되도록 끼워 먼지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전력량계(90)를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전원을 OFF시켜 수용가(81)로 유입되는 전력을 끊는 정전 상태를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도 8에서 같이 전력량계(90)를 교체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무정전 바이패스(40)를 준비하고, 상기 도 9에서와 같이 고정식 단자대(20)의 상면에 무정전 바이패스(40)를 결합시켜 무정전으로도 계량기 수리 및 교체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설명하면,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40)는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정식 단자대(20)는 전력을 유입하는 제 1유입부(10)와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유출부(11)로 구성이 되는데, 상기 제 1유입부(10)로 유입된 전력은 제 1유입부(10)와 대응결합되는 무정전 바이패스(40)의 제 2유입부(41)로 흐르게 되고, 상기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전력은 제 2유입부(41), 제 2유출부(42)를 차례로 거쳐, 상기 제 2유출부(42)와 대응결합되어 있는 제 1유출부(11)로 이동하여 수용가(81)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식 단자대(20)에 무정전 바이패스(40)를 결합시키고, 전력량계(90)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도 10에서 같이 기존의 전력량계(90)를 제거한다. 이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전력량계(90)를 제거해도 통전이 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도 11에서와 같이 새로운 전력량계(90)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하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상기 도 12에서 같이 고정식 단자대(20)에서 무정전 바이패스(40)를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정전 바이패스(40)가 제거된 자리에 고무커버(60)를 부착함으로써 전력량계의 교환 작업을 마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전력량계(90)는 고정식 단자대(20)의 상측에서 삽입핀(30)과 탈착되어 교체됨을 감안하여 계량기에 결합되는 전력량계(90)는 기존의 경우와 같이 전력량계(90)의 저면에서 계량기와 결합되는 것이 아닌, 전력량계(90)의 상측에서 계량기와 고정핀(93)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핀(93)을 제거 후 전력량계(90)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식 단자대(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올바를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진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전력량계와 단자대를 서로 분리할 경우, 상기 전력량계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식 단자대 상부에 제 2유입부와 제 2유출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무정전 바이패스를 결합시킴으로써, 무정전으로도 계량기 교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를 고정식 단자대에 결합시켜 이물질의 유입방지 및 빗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되, 상기 고정식 단자대는 무정전 바이패스와 결합하여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무정전 바이패스가 결합되는 안착홈에 고무커버를 결합하여 먼지나 이물질의 소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옥내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90)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90)의 삽입부(91)에 대응결합되는 삽입핀(30)을 상측면에 돌출형성하고, 전력공급원(8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10)와, 상기 유입부로 유동된 전력이 상기 전력량계(90)를 통과 후 수용가(81)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1유출부(11)를 형성하는 고정식 단자대(20)와;
    상기 제 1유입부(10)와 제 1유출부(11)에 각각 대응결합하며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식 단자대(20)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 1유입부(10)로 유입된 전력이 제 2유입부(41)와 제 2유출부(42)를 차례로 유동 후 제 1유출부(11)를 거치도록 구성함으로써,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전력량계(90)와 고정식 단자대(20)가 분리되어도 정전없이 수용가(8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무정전 바이패스(40)와;
    상기 고정식 단자대(20)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유입부(10) 중 하나와 제 1유출부(11) 중 하나는 공통선(70)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유입부(10) 및 제 1유출부(11)는 중단에 안착홈(13)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13)에 제 2유입부(41) 및 제 2유출부(42)가 각각 위치되도록 하고, 대응되는 상기 제 1유입부(10)와 제 2유입부(41) 및 제 1유출부(11)와 제 2유출부(42)가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3) 내부에 고정수단공(15)이 천공되되, 상기 안착홈(13)은 무정전 바이패스(40)가 결합되어 있지 않을 경우, 먼지와 이물질이 소착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식 단자대(20)의 길이방향으로 안착홈(13)에 끼워지는 고무커버(60)를 더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안착홈(13)을 동시에 밀폐하도록 하며, 상기 전력량계(90)는 고정식 단자대(20)의 상측에서 탈착될 수 있도록 고정핀(93)에 의해 상부가 계량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입부(10)와 제 2유입부(41) 및 제 1유출부(11)와 제 2유출부(42)는 각각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어 3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 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23451A 2007-03-09 2007-03-09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086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51A KR100863593B1 (ko) 2007-03-09 2007-03-09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51A KR100863593B1 (ko) 2007-03-09 2007-03-09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64A KR20080082764A (ko) 2008-09-12
KR100863593B1 true KR100863593B1 (ko) 2008-10-15

Family

ID=4002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451A KR100863593B1 (ko) 2007-03-09 2007-03-09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29B1 (ko) 2023-07-14 2023-12-07 권태관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117B1 (ko) 2008-08-25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피드포워드 방식의 위상 잡음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7927B1 (ko) * 2009-08-21 2011-04-12 이종국 무정전 단자대
KR101030727B1 (ko) *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CN103454467B (zh) * 2013-09-04 2017-01-18 嘉兴市永信电子有限公司 计量表箱插拔式电能表安装座
KR102100321B1 (ko) * 2020-02-27 2020-05-15 주식회사 비파워 무정전 전력량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7032A (ja) * 1994-11-25 1995-10-31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電力量計用の無停電取替バイパス工具
KR960003217U (ko) * 1994-09-07 1996-01-22 김선경 무정전 무전압 전력량계 교체 장치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50111220A (ko) * 2004-05-21 2005-11-24 남양비젼 주식회사 단속이 용이하고 전원의 분기가 가능한 전력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217U (ko) * 1994-09-07 1996-01-22 김선경 무정전 무전압 전력량계 교체 장치
JPH07287032A (ja) * 1994-11-25 1995-10-31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電力量計用の無停電取替バイパス工具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50111220A (ko) * 2004-05-21 2005-11-24 남양비젼 주식회사 단속이 용이하고 전원의 분기가 가능한 전력단자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29B1 (ko) 2023-07-14 2023-12-07 권태관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64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593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US7611366B2 (en) Meter socket bypass disconnect device
US9995768B2 (en) Interconnection meter socket adapters
KR102100321B1 (ko) 무정전 전력량계
US8784130B2 (en) Supply side backfeed meter socket adapter
JP2006226915A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KR101027927B1 (ko) 무정전 단자대
KR200423528Y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CN102197543A (zh) 用于电子装置的多能力电源
WO2016210005A1 (en) Utility meter bypass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1239876B1 (ko)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100973179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WO2021071717A1 (en) Meter for use with a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vice
KR100904562B1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JP5489326B2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の表示器交換システム
KR100879430B1 (ko)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1207896B1 (ko)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1124457B1 (ko) 전기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어댑터용 전력량계
KR101150499B1 (ko) 전력량계 및 이의 교체 방법
KR101095141B1 (ko) 도로시설물용 방수형 전선 접속함
KR100914554B1 (ko)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KR20190007935A (ko) 특고압 상계거래용 무정전교체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전력량 검침 시스템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102621829B1 (ko) 저압전력량계 교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