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297A -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 Google Patents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38297A KR20030038297A KR1020020010531A KR20020010531A KR20030038297A KR 20030038297 A KR20030038297 A KR 20030038297A KR 1020020010531 A KR1020020010531 A KR 1020020010531A KR 20020010531 A KR20020010531 A KR 20020010531A KR 20030038297 A KR20030038297 A KR 20030038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 terminal block
- power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 전력량계(10)를 교체 작업할 때 1차전원이 세대 2차전원인 수용전원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전함의 좁은 공간과 전력량계(10)의 단자규격에 제한 없이 새 전력량계로 편리하게 교체 설치 및 전원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4)이 각각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단자접속(30)의 도선접속구(35)에 나사체결로 연결되면서 전력량계 방향의 도선접속구(35)에는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가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블럭(20)과, 전력량계(10)의 교체시에 1차전원이 직접 2차전원으로 전원인가될 수 있게 해당 플러그내선(42)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플러그단자(41)가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의 해당 플러그접속구(31)에 접속 연결되는 전원인가플러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량계 교체시에 세대전원을 차단시키지 않고도 전력량계를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를 교체 작업할 때 1차전원이 세대 2차전원인 수용전원으로의 인가를 차단시킬 필요 없이 휴대한 전원인가플러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배전함의 좁은 공간과 전력량계의 단자규격에 제한 없이 새 전력량계로 편리하게 교체 설치 및 전원 연결할 수 있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용가의 전기는 전력회사의 배전선 전주에서 인입선을 통해 전력량계(Watt-Hour Meter)를 거쳐 옥내의 분전반으로 인도되는데, 배전선 전주에서 수용가로 끌어들여진 최초의 설치용 배전함의 전력량계까지의 인입선은 통상 전력회사가 시공하게 되며, 전력량계 이후의 배선은 일반 전기공사업체에 의하여 배선공사를 시공하게 된다.
아울러 전기의 양을 계측하는 전력량계는 전력회사에서 장치하게 되며, 통상 7년의 사용기간이 경과되면 전력회사에서는 배전함에 설치된 전력량계를 새 전력량계로 교체하게 되는데, 이때 전력량계를 교체하면서 할 수없이 수용가의 전원을 차단(중단)시킬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전력량계의 교체작업시 1차전원인 인입선과 2차전원인 수용가의 전원선을 전력량계에 분리 및 연결하고자 할 때, 배전함의 좁은 공간에서 전원선의 피복을 제거 접속전선을 노출시켜 전력량계의 전원접점인 단자블럭에 분리 및 연결작업을 하였는데, 이에 따르는 안전사고와 수용가의 전원을 차단함에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01-0009077호의 기술에서는 수용가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플러그 접속방식의 배전함에 있는 전원단자와의 접속이 불안정하여 저항으로 인한 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전력량계를 교체 작업할 때 1차전원이 세대 2차전원인 수용전원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전함의 좁은 공간과 전력량계의 단자규격에 제한 없이 새 전력량계로 편리하게 교체 설치 및 전원 연결할 수 있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량계 교체시에 전원인가플러그를 콘센트단자블럭에 연결시킨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전함에 채용되는 콘센트단자블럭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선의 유동을 억제시키기 위해 도선지지구가 적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량계의 전원단자에 맞게 간격 조절되어 콘센트단자블럭에 연결되는 도선간격조절구 분리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력량계 11 : 계량전원단자
12 : 인입선(1차전원) 13 : 전원선(2차전원)
14 : 도선 15 : 피복
16 : 계량배선판 20 : 콘센트단자블럭
21 : 플러그삽입공 22 : 나사체결공
23 : 도선접속공 24 : 블록고정구
25 : 단자블럭덮개 30 : 콘센트접속단자
31 : 플러그접속구 32 : 플러그접속공
33 : 플러그위치홈 34 : 도선접속공
35 : 도선접속구 36 : 나사체결공
40 : 전원인가플러그 41 : 플러그단자
42 : 플러그내선 43 : 도선지지구
50 : 도선간격조절구 51 : 나사체결공
52 : 플러그하우징 53 : 플러그단자
54 : 인가구안착단 55 : 단자안착홈
56 : 전원인가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은, 1차전원인 인입선과 2차전원인 전원선이 각각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접속단자의 도선접속구에 나사체결로 연결되면서 전력량계 방향의 도선접속구에는 상기 전력량계의 계량전원단자가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블럭과, 전력량계의 교체시에 1차전원이 직접 2차전원으로 전원인가될 수 있게 해당 플러그내선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플러그단자가 돌출되어 콘센트단자블럭의 해당 플러그접속구에 접속 연결되는 전원인가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콘센트단자블럭은 절연체로서 수직방향으로 중간에는 전원인가플러그의 플러그단자가 끼움되는 플러그삽입공이 형성되면서 그 양쪽으로는 각각 나사체결홈이 형성되고, 수평방향 양쪽에는 도선체결공이 형성되면서 양측으로는 블럭고정구가 돌출되는 한편,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전원인가플러그의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플러그접속구가 형성되면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피복을 제거시킨 1차전원및 2차전원의 해당 도선이 연결 고정되는 도선접속구가 형성된 도전체인 콘센트접속단자가 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콘센트접속단자는 양쪽 수평방향의 도선접속구에 각각 나사가 체결되어 도선을 고정시킬 수 있게 나사체결공이 형성되면서 이들 도선접속구의 중간에는 플러그위치홈이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안착되는 플러그접속구가 나사체결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센트단자블럭과 전력량계의 계량전원단자에 연결되는 1차전원인 인입선과 2차전원인 전원선이 유동되지 않게 도선이 노출되지 않은 피복 부위에 체결되는 별도의 도선지지구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전력량계의 계량전원단자와 콘센트단자블럭간 각각의 도선간격이 차이날 때 조절할 수 있게 한쪽방향의 단자안착홈에는 간격 고정된 플러그단자가 안착되면서 반대편 한쪽방향의 단자안착홈에 플러그단자가 간격 조절되어 안착되는 플러그하우징이 위쪽과 아래쪽에 구성되고, 이들 양쪽 플러그단자의 단턱 돌출된 인가구안착단 위로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전원인가구가 안착되어 상하 양쪽의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해당 나사체결공을 통해 나사체결로 고정 결합되는 도선간격조절구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의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배전함에 설치된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에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20)이 연결 설치된 것과 2차전원인 전원선(13)으로 전원인가를 중단시키지 않고도 전력량계(10)를 교체할 수 있게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에 별도의 전원인가플러그(40)를 연결시킨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3은 전력량계(10) 교체시에 중간에 형성된 플러그삽입공(21)으로 전원인가플러그(40)가 연결될 수 있게 본 발명의 배전함에 채용되는 콘센트단자블럭(20)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에 연결되는 도선(14)의 유동을 억제시키기 위해 별도로 적용된 도선지지구(43)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력량계(10)를 교체할 때 2차전원인 세대 전원선(13)을 차단시키지 않고도 전력량계(10)를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4)이 각각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단자접속(30)의 도선접속구(35)에 나사체결로 연결되면서 전력량계 방향의 도선접속구(35)에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가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블럭(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전력량계(10)의 교체시에 1차전원이 직접 2차전원으로 전원인가될 수 있게 콘센트단자블럭(20)의 해당 플러그접속구(31)에 접속 연결되는 전원인가플러그(40)가 구성되며, 내부에 설치된 해당 플러그내선(42)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의 해당 플러그접속구(31)에 접속 연결되는 플러그단자(41)가 돌출된다.
특히, 콘센트단자블럭(20)은 절연체로서 수직방향으로 중간에는 전원인가플러그(40)의 플러그단자(41)가 끼움되는 플러그삽입공(21)이 형성되면서 그 양쪽으로는 각각 나사체결홈(22)이 형성되고, 수평방향 양쪽에는 도선체결공공(23)이 형성되면서 양측으로는 블럭고정구(24)가 돌출된다.
또한 콘센트단자블럭(20)은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전원인가플러그(40)의 플러그단자(41)가 접속되는 플러그접속구(31)가 형성되면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피복(15)을 제거시킨 1차전원 및 2차전원의 해당 도선(14)이 연결 고정되는 도선접속구(35)가 형성된 도전체인 콘센트접속단자(30)가 그 내부에 설치된다.
아울러 콘센트접속단자(20)는 양쪽 수평방향의 도선접속구(35)에 각각 나사가 체결되어 도선(14)을 고정시킬 수 있게 나사체결공(36)이 형성되고, 이들 도선접속구(35)의 중간에는 플러그위치홈(33)이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안착되는 플러그접속구(31)가 나사체결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콘센트단자블럭(20)과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에 연결되는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3)이 유동되지 않게 도선(14)이 노출되지 않은 피복(15) 부위에 별도의 도선지지구(43)가 부가 구성되어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전함은 계량배선판(16)에 부착된 전력량계(10)의 아래쪽에 상기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로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3)이 기본적으로 콘센트단자블럭(20)을 통해 전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은 배전함의 좁은 공간과 전력량계(10)의 단자규격에 제한 없이 새 전력량계로 편리하게 교체 설치 및 전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전력량계(10) 아래쪽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계량배선판(16) 바깥쪽에 별도로 설치 구성되어 전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전함에 채용되는 콘센트단자블럭(20)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와 1차전원 및 2차전원의 해당 도선(14)이 유동 없이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도선지지구(43)를 부가 구성시켜, 도선(14)이 노출되지 않은 피복(15) 부위에 상기 도선지지구(43)를 체결하여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과 상기 계량전원단자(11) 사이의 도선(14)을 안정되게 정렬 배선시킬 수 있다.
한편,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와 콘센트단자블럭(20)간 각각의 도선간격이 차이날 때 조절할 수 있게 도선지지구(43) 대신에 보다 발전된 형태의 도선간격조절구(50)을 부가 구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선간격조절구(50)는 한쪽방향의 단자안착홈(55)에 콘센트단자블럭(20)과 연결되는 간격 고정된 플러그단자(53)가 안착되고, 반대편 한쪽방향의 단자안착홈(55)에는 상기 전력량계(14)의 계량전원단자(11)에 맞게 플러그단자(53)가 간격 조절되어 안착되는 플러그하우징(52)이 위쪽과 아래쪽에 구성된다.
즉, 도선간격조절구(50)는 상하 양쪽에 구성된 플러그하우징(52)의 양쪽 각각의 단자안착홈(55)에 콘센트단자블럭(20)과 전력량계(10)로 연결되는 플러그단자(53)들이 안착된 상태에서 해당 방향으로 전원 인가될 수 있도록, 이들 양쪽의 플러그단자(53)에 인가구안착단(54)이 형성되어 그 위로 나사체결공(51)이 형성된 전원인가구(56)가 안착되어 상하 양쪽의 플러그하우징(52)과 함께 나사체결로 결합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센트단자블럭(20)을 매개로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로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3)이 정렬 배선되어 사용되는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에 내설된 콘센트접속단자(30)의 양쪽 도선접속구(35)로 인입선(12)과 전원선(13)의 도선(14)이 끼움되어 이들 도선접속구(35)의 도선접속공(34)으로 나사체결을 통해 간단하고 안정되게 전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과 상기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 사이로 연결되는 도선(14)의 접속도 동일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력량계(10)를 새 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센트단자블럭(20)의 플러그삽입공(21)으로 전원인가플러그(40)의 플러그단자(41)를 끼움 연결시켜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의 한쪽 도선접속구(35)를 통해 인가되는 1차전원이 반대편 다른 한쪽의 도선접속구(35)를 통해 상기 전력량계(10)의 해당 계량전원단자(11)로 통전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전원인가플러그(40)의 플러그단자(41)를 통해서도 상기 전력량계(35)로 통전되는 것과 상관없이 수용가의 2차전원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콘센트단자블럭(20)에 별도의 전원인가플러그(40)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전원의 차단 없이도 전력량계(10)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원연결플러그(40)는 콘센트단자블럭(20)의 규격에 맞는 형태로 준비됨이 물론이다.
그리고 교체할 전력량계(10)의 단자규격이 콘센트단자블럭(20)과 다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도선간격조절구(50)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정되게 이들 전력량계(10)와 콘센트단자블럭(20)간의 도선(14) 연결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도선간격조절구(50)의 한쪽 플러그단자(53)의 간격 조절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잇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에 대한 작동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설명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서 여러 형태로 다양하게 구조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작동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 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에 의하면, 전력량계를 교체 작업할 때에 인입전원인 1차전원이 수용전원인 2차전원으로 인가되는 것을 중단시키는 불편함 없이 전력량계를 간단하게 교체하여 결합 연결시킬 수 있어, 배전함 내의 연구과제였던 계량기 교체작업시의 전원차단으로 인한 불편함과 수용가측과의 고질적인 마찰은 물론, 교체할 전력량계의 단자규격이 달라 여러번의 반문작업으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상승 및 그에 상승하는 직,간접적인 손실의 폐단을 구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4)이 각각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단자접속(30)의 도선접속구(35)에 나사체결로 연결되면서 전력량계 방향의 도선접속구(35)에는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가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블럭(20)과,
전력량계(10)의 교체시에 1차전원이 직접 2차전원으로 전원인가될 수 있게 해당 플러그내선(42)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플러그단자(41)가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의 해당 플러그접속구(31)에 접속 연결되는 전원인가플러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은 절연체로서 수직방향으로 중간에는 전원인가플러그(40)의 플러그단자(41)가 끼움되는 플러그삽입공(21)이 형성되면서 그 양쪽으로는 각각 나사체결홈(22)이 형성되고, 수평방향 양쪽에는 도선체결공공(23)이 형성되면서 양측으로는 블럭고정구(24)가 돌출되는 한편,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전원인가플러그(40)의 플러그단자(41)가 접속되는 플러그접속구(31)가 형성되면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피복(15)을 제거시킨 1차전원 및 2차전원의 해당 도선(14)이 연결 고정되는 도선접속구(35)가 형성된 도전체인 콘센트접속단자(30)가 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접속단자(20)는 양쪽 수평방향의 도선접속구(35)에 각각 나사가 체결되어 도선(14)을 고정시킬 수 있게 나사체결공(36)이 형성되면서 이들 도선접속구(35)의 중간에는 플러그위치홈(33)이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안착되는 플러그접속구(31)가 나사체결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과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에 연결되는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3)이 유동되지 않게 도선(14)이 노출되지 않은 피복(15) 부위에 체결되는 별도의 도선지지구(43)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와 콘센트단자블럭(20)간 각각의 도선간격이 차이날 때 조절할 수 있게 한쪽방향의 단자안착홈(55)에는 간격 고정된 플러그단자(53)가 안착되면서 반대편 한쪽방향의 단자안착홈(55)에 플러그단자(53)가 간격 조절되어 안착되는 플러그하우징(52)이 위쪽과 아래쪽에 구성되고, 이들 양쪽 플러그단자(53)의 단턱 돌출된 인기구안착단(54) 위로 나사체결공(51)이 형성된 전원인가구(56)가 안착되어 상하 양쪽의 상기 플러그하우징(52)의 해당 나사체결공(51)을 통해 나사체결로 고정 결합되는 도선간격조절구(50)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364,366 US6747864B2 (en) | 2002-02-27 | 2003-02-12 |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
EP03003411A EP1340986A3 (en) | 2002-02-27 | 2003-02-14 | Electricity meter housing |
JP2003046448A JP2004003974A (ja) | 2002-02-27 | 2003-02-24 | 無停電ソケット端子ブロックを備える配電盤 |
CN03106606A CN1441523A (zh) | 2002-02-27 | 2003-02-26 | 配置无断电的插口接线板的配电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10068313 | 2001-11-02 | ||
KR1020010068313 | 2001-11-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8297A true KR20030038297A (ko) | 2003-05-16 |
Family
ID=2956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0531A KR20030038297A (ko) | 2001-11-02 | 2002-02-27 |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38297A (ko) |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119B1 (ko) * | 2004-08-11 | 2006-09-21 | 양희성 | 저압선로 분기함 |
KR100674146B1 (ko) * | 2006-05-15 | 2007-01-30 | 이종국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
KR100715987B1 (ko) * | 2006-11-09 | 2007-05-09 |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
KR100727521B1 (ko) * | 2005-08-30 | 2007-06-14 | 한국전력공사 | 무협정 ttb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고압계량기의 시공방법 |
KR100772207B1 (ko) * | 2007-01-26 | 2007-11-01 | 박대우 |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
KR100804080B1 (ko) * | 2007-02-28 | 2008-02-18 | 박대우 |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
KR100829157B1 (ko) * | 2007-03-09 | 2008-05-14 | 이관우 | 독립형 접지저항 취득 장치와 접지저항 측정 시스템 |
KR100863593B1 (ko) * | 2007-03-09 | 2008-10-15 | 이종국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
WO2008153324A2 (en) * | 2007-06-15 | 2008-12-18 | Young Chan Kim | Power distributing unit |
KR100901119B1 (ko) * | 2009-01-07 | 2009-06-08 | (주)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연결 박스의 전선단말 고정장치 |
KR100914554B1 (ko) * | 2007-06-21 | 2009-09-02 | 김영찬 |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
KR100973179B1 (ko) * | 2008-05-16 | 2010-07-30 | 이종국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
KR101030727B1 (ko) * | 2009-10-28 | 2011-04-26 | 조규행 |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
CN103018508A (zh) * | 2012-12-06 | 2013-04-03 | 辽宁省电力有限公司抚顺供电公司 | 电能表计量箱 |
CN103116051A (zh) * | 2013-03-07 | 2013-05-22 | 华威博奥电力设备有限公司 | 插拔式电表箱 |
CN103149396A (zh) * | 2013-03-07 | 2013-06-12 | 华威博奥电力设备有限公司 | 电能表箱 |
KR101941518B1 (ko) | 2017-08-01 | 2019-01-23 | (주)에스지이엠 |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
KR102013189B1 (ko) * | 2018-05-09 | 2019-10-21 | 한국전력공사 |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
KR102063647B1 (ko) | 2018-10-15 | 2020-01-08 | 주식회사 남전사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IoT 전력량계 |
KR102112526B1 (ko) * | 2018-12-14 | 2020-05-28 | 한국전력공사 | 전자식 전력량계 |
CN113607998A (zh) * | 2021-09-06 | 2021-11-05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能表安装底座及电表箱 |
KR102598610B1 (ko) * | 2023-07-18 | 2023-11-07 | 제이앤디전자(주) | 전력량계 케이스 |
KR102692734B1 (ko) * | 2024-03-19 | 2024-08-07 | 주식회사 태경이엔씨 |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 작업용 착탈형 연결단자함 |
-
2002
- 2002-02-27 KR KR1020020010531A patent/KR200300382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119B1 (ko) * | 2004-08-11 | 2006-09-21 | 양희성 | 저압선로 분기함 |
KR100727521B1 (ko) * | 2005-08-30 | 2007-06-14 | 한국전력공사 | 무협정 ttb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고압계량기의 시공방법 |
KR100674146B1 (ko) * | 2006-05-15 | 2007-01-30 | 이종국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
KR100715987B1 (ko) * | 2006-11-09 | 2007-05-09 |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
KR100772207B1 (ko) * | 2007-01-26 | 2007-11-01 | 박대우 |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
KR100804080B1 (ko) * | 2007-02-28 | 2008-02-18 | 박대우 |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
KR100829157B1 (ko) * | 2007-03-09 | 2008-05-14 | 이관우 | 독립형 접지저항 취득 장치와 접지저항 측정 시스템 |
KR100863593B1 (ko) * | 2007-03-09 | 2008-10-15 | 이종국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
WO2008153324A2 (en) * | 2007-06-15 | 2008-12-18 | Young Chan Kim | Power distributing unit |
WO2008153324A3 (en) * | 2007-06-15 | 2009-02-26 | Young Chan Kim | Power distributing unit |
KR100914554B1 (ko) * | 2007-06-21 | 2009-09-02 | 김영찬 |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
KR100973179B1 (ko) * | 2008-05-16 | 2010-07-30 | 이종국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
KR100901119B1 (ko) * | 2009-01-07 | 2009-06-08 | (주)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연결 박스의 전선단말 고정장치 |
KR101030727B1 (ko) * | 2009-10-28 | 2011-04-26 | 조규행 |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
CN103018508A (zh) * | 2012-12-06 | 2013-04-03 | 辽宁省电力有限公司抚顺供电公司 | 电能表计量箱 |
CN103116051A (zh) * | 2013-03-07 | 2013-05-22 | 华威博奥电力设备有限公司 | 插拔式电表箱 |
CN103149396A (zh) * | 2013-03-07 | 2013-06-12 | 华威博奥电力设备有限公司 | 电能表箱 |
CN103116051B (zh) * | 2013-03-07 | 2015-07-15 | 华威博奥电力设备有限公司 | 插拔式电表箱 |
KR101941518B1 (ko) | 2017-08-01 | 2019-01-23 | (주)에스지이엠 |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
KR102013189B1 (ko) * | 2018-05-09 | 2019-10-21 | 한국전력공사 |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
KR102063647B1 (ko) | 2018-10-15 | 2020-01-08 | 주식회사 남전사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IoT 전력량계 |
KR102112526B1 (ko) * | 2018-12-14 | 2020-05-28 | 한국전력공사 | 전자식 전력량계 |
CN113607998A (zh) * | 2021-09-06 | 2021-11-05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能表安装底座及电表箱 |
CN113607998B (zh) * | 2021-09-06 | 2023-11-03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能表安装底座及电表箱 |
KR102598610B1 (ko) * | 2023-07-18 | 2023-11-07 | 제이앤디전자(주) | 전력량계 케이스 |
KR102692734B1 (ko) * | 2024-03-19 | 2024-08-07 | 주식회사 태경이엔씨 |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 작업용 착탈형 연결단자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38297A (ko) |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 |
JP4766884B2 (ja) |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 |
US6747864B2 (en) |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 |
CA2791108C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necting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fixture to a mains power conductor | |
US7648389B1 (en) | Supply side backfeed meter socket adapter | |
US6784385B2 (en) | Electrical transfer switch | |
US9466961B2 (en) | Generator connection box for photovoltaic installations | |
KR101941518B1 (ko) |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 |
JP5224766B2 (ja) |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 |
KR200378510Y1 (ko) | 전력량계의 단자블록 | |
CN106058510B (zh) | 验电接地接口通用装置 | |
JP2016163363A (ja) | 分電盤 | |
CN209748146U (zh) | 一种轨道式小母线配电设备 | |
US12099080B2 (en) | Ingress protection assembly for a utility meter and meter arrangement comprising same | |
KR200462112Y1 (ko) |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 |
KR20190013059A (ko) | 무정전 단자대 | |
CN217214605U (zh) | 一种用于5g的断路器外壳 | |
JP2011169868A (ja) | 電力量計の接続配線およびその接続用アダプタ | |
JP4703285B2 (ja) | 無停電工具 | |
AU2011201640B2 (en) | S to A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 |
KR200300687Y1 (ko) | 전력계량기의 시험용 단자대 구조 | |
CN205910518U (zh) | 一种多用途大功率时间控制装置 | |
CN205752574U (zh) | 一种自升式接线模块 | |
KR20230061454A (ko) | 전력 차단 시스템 및 방법 | |
JP2022189042A (ja) | 電力量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