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179B1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 Google Patents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179B1
KR100973179B1 KR1020080045448A KR20080045448A KR100973179B1 KR 100973179 B1 KR100973179 B1 KR 100973179B1 KR 1020080045448 A KR1020080045448 A KR 1020080045448A KR 20080045448 A KR20080045448 A KR 20080045448A KR 100973179 B1 KR100973179 B1 KR 10097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uninterruptible
group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15A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이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국 filed Critical 이종국
Priority to KR102008004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1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의 파손 및 고장시 이를 무정전상태에서 교체가능토록 하기 위해 상기 전력량계의 결합부재에 대응결합되는 연결 단자대와, 상기 연결 단자대에 대응결합되는 고정식 단자대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식 단자대에 전력량계로 유입되는 전력을 전력량계를 거치지 않고 수용가로 돌려보내는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고정식 단자대 상면에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를 대응시켜 결합함으로써, 무정전으로도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력량계와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단자대를 전력량계 규격에 맞추어 대응결합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맞춰 교체하지않고도 단상 및 삼상 전력량계 교체에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단자대, 무정전, 전력량계, 계량기

Description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TERMINAL BOARD FOR UN-STOPPAG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무정전으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방식이나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전력량계는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갖는 두께 3mm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외관이 제작되고 있으며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고,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하, 공급측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갖추고 있다.
이에 전력사용개소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력량계를 고정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전선과 공급측전선의 노출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보울트를 체결하면, 전력사용개소에서 사용되어진 전력이 하우징의 계측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량계의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대의 구조에서 일부 해지, 증설 및 계기고장으로 인한 전력량계 교체시 단자대의 단자홈에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들이 상호 접촉되어 계량기 폭발로 인한 얼굴 안면 화상이나 전면 노출부위에 화상을 입어 대형 인적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력량계 단자대의 경우, 단자대에 형성한 단자홈의 내의 단자도체가 단자홈의 입구부측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서, 전력량계 교체시 인접한 전선 간의 에 혼촉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촉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전력량계의 컷오프스위치를 "오프"하여 정전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으로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공동인입선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장시간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전력량계 교체작업에 있어서 정전을 시킨 다음 전선의 노출부위를 인출하고 전력량계 교체작업을 시행한다.
상기 작업을 시행함에 있어 현장여건상 장소가 협소한 집합계량기함이나 단독계기함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장시간의 정전과 대형 인력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기존에 "10-2006-0043493(2006.05.15),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와, "10-2007-0023451(2007.03.09),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를 출원하였지만, 상기의 구성들은 슬라이징 핀의 고장이 발생하게 될 경우, 무정전 상태의 전력량계 교체가 힘들다는 점과, 상기 전력량계의 교체시, 전력량계의 규격에 따라 수용가 및 전력공급원의 배선과 직접연결되는 단자대 자체 또한 그게 맞춰 교체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계의 결합부재에 대응결합되는 연결 단자대와, 상기 연결 단자대에 대응결합되는 고정식 단자대 및 상기 고정식 단자대의 상면에 대응결합되는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로 이루어지는 단자대로 구성함으로써, 전력량계의 교체 발생시 무정전으로도 상기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전력량계로 유입되는 전력을 전력량계를 거치지 않고 수용가로 직접 유입시키는 고정식 단자대 및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를 단상 및 삼상에 맞춰 교체하지 않고도, 상기 전력량계의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대 만을 그에 맞춰 교체함으로써 해결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식 단자대가 단상 및 삼상 전력량계 교체에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옥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전력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이 이송되는 유입라인이 결합되는 제 1유입구 군과 제 2유입구 및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출라인이 결합되는 제 1유출구 군과 제 2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유입구와 제 2유출구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이 형성된 고정식 단자대와; 일단은 상기 전력량계의 결합부재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편을 돌출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식 단자대와 대응결합되되, 상기 제 1유입구 군, 제 2유입구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3유입구 군과 제 4유입구 및 상기 제 1유출구 군, 제 2유출구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3유출구 군과 제 4유출구가 형성되는 연결 단자대와; 상기 고정식 단자대의 상면에 대응결합되되, 상기 제 1유입구 군 및 제 2유입구 군과 각각 대응되는 제 1단자부 군 및 제 2단자부 군이 형성되는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량계의 교체 발생시 수용가로 유동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정전 후 작업을 시행하는 기존과 달리, 무정전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력량계로 유입되는 전력을 전력량계를 거치지 않고 수용가로 직접 이송시키는 고정식 단자대를 전력량계의 단상 및 삼상방식에 맞춰 매번 교체하지 않고도 단상 및 삼상 전력량계 교체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제 3(third)", "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는 무정전으로 전력량계(10)의 교체가 가능하며, 전력량계(10)로 유입되는 전력을 수용가로 돌려보내는 고정식 단자대(30)를 전력량계(10)에 단상 및 삼상 형태에 맞춰 교체하지 않아도 단상 및 삼상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토록 한 단자대이며, 전력량계(10), 연결 단자대(20), 고정식 단자대(30),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를 두가지의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첫 번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에 잘 나타나 있으며, 상기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첫 번째 실시예로는 전력량계(10), 연결 단자대(20), 고정식 단자대(30),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전력량계(10)는 일단에 결합부재(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력량계의 결합부재(11)는 하기에서 설명될 연결 단자대(2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편(21)이 대응되며 삽입될 수 있는 연결부(1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12)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볼트공(60)이 천공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식 단자대(30)는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유동시키는 유입라인(50)이 연결되는 제 1유입구 군(群)(31)과 제 2유입구(32) 및 상기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용가로 전달시키는 유출라인(51)이 연결되는 제 1유출구 군(33)과 제 2유출구(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유입구 군(31)은 다수개의 제 1유입구(a)로 이루어지고, 제 1유출구 군(33)은 다수개의 제 1유출구(b)로 이루어진다.)더불어, 상기 제 2유입구(32)과 제 2유출구(34)는 공통선(35)으로 상호간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가진다. (더불어, 상기 제 1유입구 군(31), 제 2유입구(32), 제 1유출구 군(33), 제 2유출구(34) 내부는 전력이 유동 될 수 있는 동(銅)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력이 이송가능하도록 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식 단자대(30)는 하기에서 설명될 연결 단자대(20)와 연결될 전단부(36)와, 상기 유입라인(50) 및 유출라인(51)이 연결되는 후단부(3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부(36)는 후단부(37)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측면에서 바라봤을 시, 단차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 단자대(20)는 전력량계(10)의 결합부재(11)에 일단이 대응되며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전력량계의 결합부재(11)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12)에 대응되며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편(21)을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결합편(21)이 형성된 반대부위인 타단을 지면에서 소정간격 상부로 이격시켜 빈공간의 체결부(2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측면에서 바라봤을 시, 계단과 같은 단(段)이 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대(20)는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입구 군(31)과 제 2유입구(32)와 각각 대응되며 결합되는 제 3유입구 군(23)과 제 4유입구(24)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출구 군(33)과 제 2유출구(34)와 각각 대응되며 결합되는 제 3유출구 군(25)과 제 4유출구(26)를 형성하되, 상기 제 3유입구 군(23)은 다수개의 제 3유입구(c)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유출구 군(25)은 다수개의 제 3유출구(d)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수개의 결합편(21)은 연결 단자대(20)의 본체에 형성된 제 3유입구 군(23), 제 4유입구(24), 제 3유출구 군(25), 제 4유출구(26)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결 단자대(20)의 일단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결합편(21) 및 상기 제 3유입구 군(23), 제 4유입구(24), 제 3유출구 군(25), 제 4유출구(26) 내부는 전력이 유동 될 수 있는 동(銅)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력이 이송가능하도록 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는 고정식 단자대(3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대응되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는 제 1단자부 군(41)과 제 2단자부 군(42)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 1단자부 군(41)은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입구 군(31)과 대응되며, 상기 제 2단자부 군(42)은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출구 군(33)과 대응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단자부 군(41)은 다수개의 제 1단자부(43)로 이루어져 있 고, 제 2단자부 군(42)은 다수개의 제 2단자부(44)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는 길이방향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제 1단자부(43)와 다수개의 제 2단자부(44)가 상호간 대칭되는 위치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전력량계(10)에 연결 단자대(20)의 일단을 결합시키되, 상기 전력량계(10)의 결합부재(11)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12)에 상기 연결 단자대(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편(21)을 대응삽입하여 상기 전력량계(10)와 연결 단자대(20)가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연결 단자대(20)의 타단에 고정식 단자대(30)를 대응시켜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 단자대(20)의 체결부(27)에 고정식 단자대(30)의 전단부(36)가 삽입되어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전력량계(10)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상기 고정식 단자대(30) 상면에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입구 군(31)과 제 2유출구 군(33)이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의 제 1단자부 군(41)과 제 2단자부 군(42)과 대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가 결합되지 않았을 시는 유입라인(50)으로부터 유입된 전력이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입구 군(31)과 제 2유입구(32)를 통하여 상기 연결 단자대(20)의 제 3유입구 군(23)과 제 4유입구(24)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전력량계(10)로 전달되게 되고, 전력량계(10)를 거친 전력은 연결 단자대(20)의 제 3유출구 군(25)과 제 4유출구(26)를 통하여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출구 군(33)과 제 2유출구(34)를 통해 유출라인(51)을 타고 수용가로 흘러들어가게 되지만,
상기 전력량계(10)를 교체하기 위해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고정식 단자대(30)와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유입라인(50)으로 유입되는 전력이 제 1유입구 군(31)으로 들어와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의 제 1단자부 군(41)을 통해 제 2단자부 군(42)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2단자부 군(42)으로 이동한 전력은 고정식 단자대(30)의 제 1유출구 군(33)으로 빠져나와 유출라인(51)을 통해 수용가로 이동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 2유입구(32)와 제 2유출구(34)는 항시 공통선(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설명에서 제외하였다.)
이후, 상기 연결 단자대(20)를 고정식 단자대(30)에서 분리하여도, 전력은 수용가로 계속 전달되고 있는 상태가 되기에 무정전 상태가 되고, 이때 전력량계(10)를 교체한 후, 상기 연결 단자대(20)를 중간 연결매체로 하여 다시 연결 단자대(20)와 고정식 단자대(30)를 대응시켜 결합시킨 후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제거하면 전력은 다시 전력량계(10)를 거쳐 수용가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실시예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10)의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전력량계(10)에 규격(단상, 삼상)에 맞춰 유입라인(50) 및 유출라인(51)이 연결되는 고정식 단자대(30) 마져도 그에 맞춰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유입라인(50) 및 유출라인(51)과 직접 연결되는 고정식 단자대(30)는 교체하지 않고, 상기 전력량계(10)와 고정식 단 자대(30) 상호간을 연결해주는 연결 단자대(2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연결 단자대(20) 자체를 규격이 다른 전력량계(10)와 동일하게 다수개 제작하여 고정식 단자대(30)를 바꾸지 않고 단상, 및 삼상 전력량계(1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두 번째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6에 잘 나타나 있으며, 상기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연결 단자대(20)를 생략하여, 상기 전력량계(10)에 고정식 단자대(30)를 직접 대응시켜 결합한 구성이다.
단,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에 연결되는 전력량계(10)의 결합부재(11)는 지면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시켜 삽입부(13)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서 고정식 단자대(30)의 전단부(36)가 연결 단자대(20)의 체결부(27)에 대응되도록 끼워진 후 결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전단부(36)가 상기 전력량계(10) 결합부재(11)의 삽입부(13)에 대응되며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전력량계(10)의 교체 발생시, 전단에서 설명된 첫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상면에 대응시켜 결합하여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 모두 삼상 및 단상 전력량계(10)의 교체에 가능해 지도록 상기 본 발명에서는 연결 단자대(20)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제 3유입구(c) 또는 제 3유출구(d)로 이루어지는 제 3유입구 군(23) 및 제 3유출구 군(25)을 구성하고, 그에 대응되어 고정식 단자대(30)에서는 다수개의 제 1유입구(a) 또는 제 1유출구(b)로 이루어지는 제 1유입구 군(31) 및 제 1유출구 군(33)을 구성한 것이며, 더불어,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에 맞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 또한 다수개의 제 1단자부(43)로 이루어지는 제 1단자부 군(41)과 다수개의 제 2단자부(44)로 이루어지는 제 2단자부 군(42)을 구비한 것이다. 즉, 상기 구성들은 모두 다수개로 이루어지기에 단상 또는 삼상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10)의 결합부재(11)와 연결 단자대(20) 상호간, 상기 연결 단자대(20)와 고정식 단자대(30) 상호간,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와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 상호간은 모두 고정수단(6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61)이라 함은 나사체결에 사용되는 볼트, 너트 등이겠지만, 상호간 연결되는 부위 즉, 상기 볼트공(60) 내부에 너트가 내재되어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 볼트로 조임으로써 결합되는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음이며, 이는 구성요소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적용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의 결합을 나타낸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결합한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대와 무정전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고정식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일측면도.
도 11은 도 9의 고정식 단자대에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일측면도.
도 13은 전력량계에 도 11에 따른 구성의 단자대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평 면도.
도 14는 도 13의 일측면도.
도 15는 도 9의 고정식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구성에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전력량계 11: 결합부재
12: 연결부 13: 삽입부
20: 연결 단자대 21: 결합편
23: 제 3유입구 군 24: 제 4유입구
25: 제 3유출구 군 26: 제 4유출구
27: 체결부 30: 고정식 단자대
31: 제 1유입구 군 32: 제 2유입구
33: 제 1유출구 군 34: 제 2유출구
35: 공통선 36: 전단부
37: 후단부 40: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
41: 제 1단자부 군 42: 제 2단자부 군
50: 유입라인 51: 유출라인

Claims (7)

  1. 옥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10)의 단자대에 있어서,
    전력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이 이송되는 유입라인(50)이 결합되는 제 1유입구 군(31)과 제 2유입구(32) 및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출라인(51)이 결합되는 제 1유출구 군(33)과 제 2유출구(34)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유입구(32)와 제 2유출구(34)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35)이 형성된 고정식 단자대(30)와;
    일단은 상기 전력량계(10)의 결합부재(1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편(21)을 돌출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와 대응결합되되, 상기 제 1유입구 군(31), 제 2유입구(32)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3유입구 군(23)과 제 4유입구(24) 및 상기 제 1유출구 군(33), 제 2유출구(34)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3유출구 군(25)과 제 4유출구(26)가 형성되는 연결 단자대(20)와;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의 상면에 대응결합되되, 상기 제 1유입구 군(31) 및 제 2유입구(32) 군과 각각 대응되는 제 1단자부 군(41) 및 제 2단자부 군(42)이 형성되는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대(20)는 타측 저면을 지면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시켜 체결부(27)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단자대(30)는 유입라인(50) 및 유출라인(51)이 결합되는 후단부(37)와, 상기 후단부(37)의 일단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후단부(37)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단차지는 형상을 가지는 전단부(36)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단자대(30)는 전단부(36)를 체결부(27)에 삽입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식 단자대(30)가 연결 단자대(20)와 연결되어, 전력이 상기 전력량계(10)로 공급되어 전력량이 체크된 후 수용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는 제 1단자부 군(41)을 이루는 다수개의 제 1단자부(43)와 제 2단자부 군(42)을 이루는 다수개의 제 2단자부(44)가,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단자부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를 고정식 단자 대(30)에 결합 후, 전력량계(10)를 교체하기 위해 전력량계(10)를 연결 단자대(20)와 분리시켜도 정전이 되지 않아 무정전으로 전력량계(10)의 교체작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10)는 연결 단자대(20)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고정식 단자대(30)와 상호간 대응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력량계(10)의 결합부재(11)를 지면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시켜 삽입부(13)를 형성하도록 한 후, 상기 삽입부(13)에 고정식 단자대(30)의 전단부(36)를 대응되도록 내삽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는 상기 연결 단자대(20)를 전력량계(10)에 대응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교체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무정전 단자대(40)가 결합되는 고정식 단자대(30)를 교체없이 단일개만을 사용하여, 단상 및 삼상 전력량계(10) 교체에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20080045448A 2008-05-16 2008-05-16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0973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48A KR100973179B1 (ko) 2008-05-16 2008-05-16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48A KR100973179B1 (ko) 2008-05-16 2008-05-16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15A KR20090119415A (ko) 2009-11-19
KR100973179B1 true KR100973179B1 (ko) 2010-07-30

Family

ID=4160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448A KR100973179B1 (ko) 2008-05-16 2008-05-16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00B1 (ko) 2013-05-20 2014-08-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26B1 (ko) * 2018-12-14 2020-05-28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
KR102137078B1 (ko) * 2019-10-10 2020-07-23 한국전력공사 고압전자식전력량계 및 고압전자식전력량계에 설치된 브라켓
KR102207183B1 (ko) * 2019-10-11 2021-01-2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 단자대
KR102100321B1 (ko) * 2020-02-27 2020-05-15 주식회사 비파워 무정전 전력량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824B2 (ja) 2000-11-06 2003-03-31 関西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無停電交換器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40023528A (ko) * 2002-09-1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고유전막 형성 방법
KR200423528Y1 (ko) 2006-05-15 2006-08-1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824B2 (ja) 2000-11-06 2003-03-31 関西電力株式会社 電力量計無停電交換器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40023528A (ko) * 2002-09-1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고유전막 형성 방법
KR200423528Y1 (ko) 2006-05-15 2006-08-1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00B1 (ko) 2013-05-20 2014-08-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15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321B1 (ko) 무정전 전력량계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US8368386B2 (en) Meter socket connectio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l generators or monitoring connections
CN201145702Y (zh) 电能计量联合接线盒
KR100973179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JP4766884B2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CN207650253U (zh) 一种多功能计量专用接线盒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101027927B1 (ko) 무정전 단자대
KR100863593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200423528Y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EP1340986A2 (en) Electricity meter housing
CN108333410A (zh) 用于电能存储器的联接模块以及能量供给系统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CN201293801Y (zh) 电能计量关口柜
JP5489326B2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の表示器交換システム
KR100904562B1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20160134232A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50499B1 (ko) 전력량계 및 이의 교체 방법
CN106233148A (zh) 电量计用端子装置及电量计
JP5224766B2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KR200360131Y1 (ko)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CN201993388U (zh) 模块式电能计量装置
KR100879430B1 (ko)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