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31Y1 -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0131Y1 KR200360131Y1 KR20-2004-0014562U KR20040014562U KR200360131Y1 KR 200360131 Y1 KR200360131 Y1 KR 200360131Y1 KR 20040014562 U KR20040014562 U KR 20040014562U KR 200360131 Y1 KR200360131 Y1 KR 2003601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onnector
- detachable
- modem
- c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각 기능별로 복수의 모듈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모듈은 필요에 따라 서로 합체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하며 교체가 불필요한 모듈 특히, 전력선과 직접 접속되는 파트를 갖춘 모듈은 붙받이로 두고 교체가 필요한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면, 교체 작업 시에, 작업자가 전력량계와 연결된 전력선을 건드릴 필요가 없게 되어, 감전이나 단락 등의 안전사고가 완벽히 방지되고 교체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용가 측에서 정전으로 인한 불편을 겪지 않게 된다. 또한, 전력량계를 통체로 교체하지 않고, 꼭 교체할 필요가 있는 파트에 해당하는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기능별 모듈로 구분하여 분리 및 합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수용가(일반 주택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계식 전력량계는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어 출력부를 통해 흘러나가는 전기의 공급경로에 P코일과 C코일을 연결하여 P코일과 C코일에서 유기된 자속에 의해 회전원판의 회전력이 발생되게 하고 이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아날로그식 카운터기와 같은 계수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근래, 상기한 기계식 전력량계는, 보다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고 오차가 적고신뢰성이 높으며 불량률이 낮고 다양한 기능부여 및 제어와 원격검침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 사용전력량을 센서(계기용 변압기, 변류기 등)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 처리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적산하여 기억하며, 또 각 사용전력량을 계산하여 표시하며, 별도로 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전력량의 데이터를 원격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전력량계는, 정기적인 검교정을 위해 교체를 하고, 교체된 전력량계는 다른 수용가에 설치된 후 다음번 교체시에 폐기 처리한다.
이러한 전력량계의 교체작업 시에, 주상변압기로부터 해당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만 선택적으로 컷오프(Cut-Off)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활선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므로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재결선 작업시에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화재 및 단락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용가 측에서는 전력량계의 교체 작업 시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정전을 감수해야하고 정전 후에는 각종 가전기기의 설정값을 재셋팅하고 퍼스널 컴퓨터를 재부팅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자식 전력량계의 경우, 기계식 전력량계보다 사용수명이 짧아서, 교체작업이 더욱 빈번하게 수행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각 기능 별로 서로 분리 및 합체가 가능한 복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교체작업 시 감전사고와 각종의 안전사고 및 수용가측의 정전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이 간편하며 교체가 필요한 부품만 선택적으로 교체하므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베이스 모듈과 연산 모듈과 모뎀 모듈을 각각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모듈과 연산 모듈과 모뎀 모듈에 대한 각각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뎀 모듈의 내부 구성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뎀 모듈의 내부 구성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1에서 모뎀 모듈을 제거하고 베이스 모듈에 연산 모듈만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모듈 10a: 베이스 모듈 케이스
11a, 11b: 베이스 모듈의 착탈홈 12: 베이스 모듈의 암 커넥터
13a, 13b: 전원 접속 단자 14: 계기용 변압기
15: 변류기 20: 모뎀 모듈
20a: 모뎀 모듈의 케이스 21a, 21b: 모뎀 모듈의 착탈돌기
22: 모뎀 모듈의 수 커넥터 23a, 23b: 모뎀 모듈의 착탈홈
24: 모뎀 모듈의 암 커넥터 25: 모뎀부
30: 연산 모듈 30a: 연산 모듈의 케이스
31a, 31b: 연산 모듈의 착탈돌기 32: 연산 모듈의 수 커넥터
33: 표시부 34: 연산 제어부
35: 메모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는, 착탈부를 갖춘 케이스와 수용가측 전력선에 연결되는 전원접속 단자와 이 전원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선의 전류량과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수단 및 이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모듈과, 상기 베이스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갖춘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를 통해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전류량과 전압을 판단하여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고 이를 출력하는 연산 제어부 및 이 연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비 전력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제1 착탈부 및 상기 연산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제2 착탈부를 각각 갖춘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2 커넥터와, 이 제2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전력 데이터를 신호 변조하여 원격 전송하는 모뎀부를 구비하는 모뎀 모듈을 추가로 더 포함하고,상기 연산 모듈의 연산 제어부가 계산된 소비 전력량을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로 출력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베이스 모듈과 연산 모듈과 모뎀 모듈을 각각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로서, 동도면들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는, 베이스 모듈(10)과 모뎀 모듈(20)과 연산 모듈(30)로 구성된다.
각 모듈(10, 20, 30)은 사각 함체 형상의 케이스(10a, 20a, 30a)를 갖는데, 베이스 모듈(10)은, 그 케이스(10a)가 전체적으로 사각 함체 형상을 갖으면서도 계단형태로 이루어져 우측이 좌측보다 낮게되어 있다.
상기한 베이스 모듈 케이스(10a)는, 그 우측 상부에 다른 모듈(20, 30)들과의 합체 및 분리를 위한 한쌍의 착탈홈(11a, 11b)이 형성되어 있고 신호 전달용 암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좌측에 외부의 전원(예컨대, 주상변압기 등)과 연결되는 옥외 전력선(Po) 및 수용가 측의 부하로 연결되는 옥내 전력선(Pi)에 각각 접속하는 전원접속 단자(13a, 13b)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 모듈 케이스(10a)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접속 단자(13a, 13b)와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에 상응하는 검출신호를 암 커넥터(12)로 출력하는 계기용 변압기(14)와, 전원접속단자(13a, 13b)와 접속하여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치에 상응하는 검출신호를 암 커넥터(12)로 출력하는 변류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뎀 모듈(20)은, 케이스(20a)의 하부에 베이스 모듈(10)의 착탈홈(11a, 11b)에 대응하며 상기 착탈홈(11a, 11b)에 억지끼움식으로 착탈되는 한쌍의 착탈돌기(21a, 21b)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모듈(10)의 암 커넥터(12)에 대응하는 신호 전달용 수 커넥터(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뎀 모듈(20)은, 케이스(20a)의 상부에 연산 모듈(10)과의 합체 및 분리를 위한 한쌍의 착탈홈(23a, 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 커넥터(22)와 신호 연결되는 신호 전달용 암 커넥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모뎀 모듈 케이스(20a)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24)와 연결되는 모뎀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모뎀부(25)는 연산 모듈(30)의 후술된 연산 제어부(34)로부터 암 커넥터(24)로 전송되어오는 소비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신호 변조하여 이를 미리 기억된 원격지의 원격검침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원격 검침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모뎀부(25)는,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라면 어떤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장치라도 그 적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모뎀, RS 232C 등의 시리얼통신을 하는 통신장치,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화 모뎀, 데이터통신용 전용선을 통해 통신을 하는 전용선 모뎀, 무선망을 이용해 데이터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모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뎀 모듈(20)의 변형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a)의 내부에 수용가 댁 내의 데이터통신장치(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홈오토메이션장비 등)와 케이블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통신포트(40)와, 이 통신 포트(40)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데이터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송신 데이터를 모뎀부(25)로 전달하고 모뎀부(25)로부터 전달받은 수신 데이터를 통신 포트(40)를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장치로 전송함과 더불어 데이터통신을 위해 모뎀부(25)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부(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도 5와 같이, 모뎀 모듈(20)을 구성할 경우, 모뎀 모듈(20)의 모뎀부(25)를,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홈 네트워크를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해주기 위한 게이트웨이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모뎀 모듈(20)의 다른 변형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a)의 내부에 모뎀부를 설치하지 않고, 수 커넥터(22)와 암 커넥터(24) 만을 설치함으로써, 더미 모듈(Dummy Module)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더미 모듈은 원격 검침 기능이 필요하지 않거나, 원격 검침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의 수용가에 설치되는 전력량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모뎀부를 제거하여 제조단가는 낮추면서, 전력량계의 외형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전력량계는 보호 케이스에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모뎀 모듈(20)을 제거하면, 베이스 모듈(10)로부터 연산 모듈(30)까지의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검침원이나 이용자측에서 보호 케이스를 통해 연산 모듈(30)의 후술될 표시부(33)를 바라보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10)과 연산 모듈(30)의 사이에 상기한 더미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베이스 모듈(10)로부터 연산 모듈(30)까지의 높이를 모뎀 모듈(20)이 있을 때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산 모듈(30)은, 케이스(30a)의 하부에 베이스 모듈(10)의 착탈홈(11a, 11b) 및 모뎀 모듈(20)의 착탈홈(23a, 23b)에 공통적으로 대응하며 착탈홈(11a, 11b) 이나 착탈홈(23a, 23b)에 억지끼움식으로 착탈되는 한쌍의 착탈돌기(31a, 31b)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모듈(10)의 암 커넥터(12) 및 모뎀 모듈(20)의 암 커넥터(24)에 공통적으로 대응하는 신호 전달용 수 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 모듈(30)은, 케이스(30a)의 상부에 소비전력량 등을 전자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3)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모뎀 모듈 케이스(20a)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32)를 통해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전류량과 전압을 판단하여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고 이를 표시부(33)로 출력하여 표시부(33)를 통해 상기 계산된 소비 전력량을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계산된 소비전력량을 수 커넥터(32)를 통해 모뎀 모듈(20)의 모뎀부(25)로 출력하는 연산 제어부(34)가 설치된다. 또, 연산 모듈 케이스(30a)에는 연산 제어부(34)에 의해 출력되거나 연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35)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연산 제어부(34)는, 항상 계산된 소비전력량을 수 커넥터(32)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설정주기마다 수 커넥터(32)를 통한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모뎀 모듈(20)의 모뎀부(25)에 대한 존재를 확인하고 모뎀부(25)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계산된 소비 전력량을 수 커넥터(32)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모듈(10)의 착탈홈(11a, 11b)과 연산 모듈(30) 착탈돌기(31a, 31b)가 서로 대응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베이스 모듈(10)의 암 커넥터(12)와 연산 모듈(30)의 수 커넥터(32)가 대응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원격 검침 기능이 불필요하거나 원격 검침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전력량계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뎀 모듈(20)을 제거하고 베이스 모듈(10)에 연산 모듈(30)만을 합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모듈(10)과 모뎀 모듈(20)와 연산 모듈(30)이 합체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모듈(10)의 계기용 변압기(14)와 변류기(15)의 검출신호가 베이스 모듈 암 커넥터(12)와 이에 접속된 모뎀 모듈(20)의 수 커넥터(22)로 전송된 다음 다시 이 수 커넥터(22)로부터 암 커넥터(24)를 통해 이에 접속된 연산 모듈(30)의 수 커넥터(32)로 전송되어 연산 제어부(34)로 입력된다.
이에 연산 제어부(34)로부터 소비전력량이 계산되어 표시부(33)를 통해 소비전력량이 표시됨과 더불어, 연산 제어부(34)로부터 소비전력량에 대한 데이터가 연산 모듈 수 커넥터(32) 및 모뎀 모듈 암 커넥터(24)를 통해 모뎀부(25)로 전달된다.
상기 연산 제어부(34)로부터 모뎀부(25)로 전달된 소비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는 모뎀부(25)에서 소비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로 신호 변조되어 원격지의 원격검침센터로 전송된다.
만약, 베이스 모듈(10)과 연산 모듈(30) 만이 합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베이스 모듈(10)의 계기용 변압기(14)와 변류기(15)의 검출신호가 베이스 모듈 암 커넥터(12)와 이에 접속된 연산 모듈(30)의 수 커넥터(32)를 통해 연산 제어부(34)로 입력된다.
이에 연산 제어부(34)로부터 소비전력량이 계산되어 표시부(33)를 통해 소비전력량이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교체 작업 시에,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계기용 변압기(14)와 변류기(15)를 내장한 베이스 모듈(10)은 붙박이로 설치해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모뎀 모듈(20)과 연산 모듈(30) 만을 분리하여 교체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의 교체 작업 시에, 작업자가 전원(주상 변압기 등)으로부터 수용가의 부하로 연결되는 전력선(Po, Pi)를 건드릴 필요가 없으므로, 감전이나 단락 등의 안전사고가 철저히 방지되며, 수용가측에서도 정전이 발생되지 않아 불편이 없게 된다.
또, 전력량계를 통체로 교체하지 않고, 베이스 모듈(10)을 제외한 연산 모듈(30)이나 모뎀 모듈(20) 만을 교체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각 모듈을 합체 또는 분리하는 착탈수단으로서 억지끼움식으로 착탈하는 착탈돌기와 착탈홈 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몸체를 착탈할 수 있는 장치라면 현재까지 개발된 어떤 종류의 착탈장치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각 모듈 간의 신호 전달용 커넥터 역시,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기능별로 복수의 모듈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모듈은 필요에 따라 서로 합체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하며 교체가 불필요한 모듈 특히, 전력선과 직접 접속되는 파트를 갖춘 모듈은 붙받이로 두고 교체가 필요한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이용하면, 교체 작업 시에, 작업자가 전력량계와 연결된 전력선을 건드릴 필요가 없게 되어, 감전이나 단락 등의 안전사고가 완벽히 방지되고 교체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용가 측에서 정전으로 인한 불편을 겪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량계를 통체로 교체하지 않고, 꼭 교체할 필요가 있는 파트에 해당하는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교체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전력량계의 모뎀에 홈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서, 홈 네트워크를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전자식 전력량계에 있어서,착탈부를 갖춘 케이스와, 수용가측 전력선에 연결되는 전원접속 단자와, 이 전원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선의 전류량과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수단 및, 이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베이스 모듈과,상기 베이스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착탈부를 갖춘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를 통해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전류량과 전압을 판단하여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고 이를 출력하는 연산 제어부 및, 이 연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비 전력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제1 착탈부 및 상기 연산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제2 착탈부를 각각 갖춘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2 커넥터와, 이 제2 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전력 데이터를 신호 변조하여 원격 전송하는 모뎀부를 구비하는 모뎀 모듈을 추가로 더 포함하고,상기 연산 모듈의 연산 제어부는 계산된 소비 전력량을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로 출력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모듈의 연산 제어부는,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통신에 의해 상기 모뎀 모듈의 모뎀부에 대한 존재를 확인하여 상기 모뎀부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계산된 소비 전력량을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로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은, 수용가 댁 내의 데이터통신장치와 케이블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통신포트와, 이 통신 포트를 통해 접속되는 데이터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모뎀부로 전달하고 상기 모뎀부로부터 전달받은 수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장치로 전송함과 더불어 데이터통신을 위해 상기 모뎀부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제1 착탈부 및 상기 연산 모듈 케이스의 착탈부와 착탈 가능한 제2 착탈부를 각각 갖춘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연산 모듈의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더미 모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4562U KR200360131Y1 (ko) | 2004-05-25 | 2004-05-25 |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4562U KR200360131Y1 (ko) | 2004-05-25 | 2004-05-25 |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0131Y1 true KR200360131Y1 (ko) | 2004-08-31 |
Family
ID=4943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4562U KR200360131Y1 (ko) | 2004-05-25 | 2004-05-25 |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0131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480B1 (ko) | 2008-04-23 | 2010-12-01 |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 전력량계용 어댑터 |
KR101052205B1 (ko) * | 2009-10-23 | 2011-07-27 | 주식회사 유틸링크 | 전력량계를 위한 전력선 통신용 장치 |
KR20160134232A (ko) * | 2015-05-15 | 2016-11-23 | 피에스텍주식회사 | 전자식 전력량계 |
KR20170002476U (ko) * | 2015-12-30 | 2017-07-10 | 울랄라랩 주식회사 | 분리형 센서 구조 |
CN106959387A (zh) * | 2017-05-18 | 2017-07-18 | 珠海市科荟电器有限公司 | 一种可配置式新型高压电能表 |
KR101994136B1 (ko) * | 2018-04-27 | 2019-07-01 | 한국전력공사 | 기능 확장형 전력량계 |
KR102169763B1 (ko) * | 2019-04-18 | 2020-10-26 | 한국전력공사 | 전자식 전력량계 |
KR20230011043A (ko) * | 2021-07-13 | 2023-01-20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
2004
- 2004-05-25 KR KR20-2004-0014562U patent/KR20036013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480B1 (ko) | 2008-04-23 | 2010-12-01 |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 전력량계용 어댑터 |
KR101052205B1 (ko) * | 2009-10-23 | 2011-07-27 | 주식회사 유틸링크 | 전력량계를 위한 전력선 통신용 장치 |
KR20160134232A (ko) * | 2015-05-15 | 2016-11-23 | 피에스텍주식회사 | 전자식 전력량계 |
KR101683024B1 (ko) | 2015-05-15 | 2016-12-07 | 피에스텍주식회사 | 전자식 전력량계 |
KR20170002476U (ko) * | 2015-12-30 | 2017-07-10 | 울랄라랩 주식회사 | 분리형 센서 구조 |
KR200485171Y1 (ko) * | 2015-12-30 | 2017-12-06 | 울랄라랩 주식회사 | 분리형 센서 구조 |
CN106959387A (zh) * | 2017-05-18 | 2017-07-18 | 珠海市科荟电器有限公司 | 一种可配置式新型高压电能表 |
WO2018209804A1 (zh) * | 2017-05-18 | 2018-11-22 | 珠海市科荟电器有限公司 | 一种可配置式新型高压电能表 |
KR101994136B1 (ko) * | 2018-04-27 | 2019-07-01 | 한국전력공사 | 기능 확장형 전력량계 |
KR102169763B1 (ko) * | 2019-04-18 | 2020-10-26 | 한국전력공사 | 전자식 전력량계 |
KR20230011043A (ko) * | 2021-07-13 | 2023-01-20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KR20230146502A (ko) * | 2021-07-13 | 2023-10-19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KR102590665B1 (ko) * | 2021-07-13 | 2023-10-19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KR20230147027A (ko) * | 2021-07-13 | 2023-10-20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KR102678488B1 (ko) * | 2021-07-13 | 2024-06-26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KR102678489B1 (ko) * | 2021-07-13 | 2024-06-26 | 한국전력공사 |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87949B2 (en) | Electronic meter having user-interface and central processing functionality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 |
US11215650B2 (en) | Phase aligned branch energy meter | |
JP6557344B2 (ja) | 電気的負荷の可視化システム | |
US7265532B2 (en) |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and method of assembly | |
US20200220365A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ircuit breaker | |
US20130197835A1 (en) | Circuit breaker metering system | |
EP2864736B1 (en) | Circuit branch measuring system | |
KR200360131Y1 (ko) |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 |
US8744788B2 (en) | Micro-meter for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 |
WO2013030655A1 (ja) | 電力計測器 | |
JP2007282452A (ja) | 配電線の断線検出システム | |
JP7110340B2 (ja) | 無線かつ高機能計量装置 | |
US9128131B2 (en) | Device for measuring two phase power with single voltage input | |
AU2009100471A4 (en) | Meter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 |
KR101120953B1 (ko) | 자동 아이디 설정기능이 구비된 분기 전력관리시스템 | |
KR20030075263A (ko) | 수도 가스의 검침, 방재와 보안정보를 처리하는 에스아이유를 내장한 전력량계 | |
KR100850421B1 (ko) | 전력계량설비 | |
WO2002049195A2 (en) | Auxiliary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 |
KR100879430B1 (ko) |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
JP6252946B2 (ja) | 計測システム、分電盤用キャビネット、分電盤 | |
JP2003279597A (ja) | 電子式電力量計 | |
JP2005253130A (ja) | ロードサーベイメータを内蔵した分電盤及びそのロードサーベイメータ | |
KR100541357B1 (ko) | 원격검침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 |
KR102363253B1 (ko) | 휴대용 계량자료 설정장치 그 설정방법 | |
JP2015031631A (ja) | 電力量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