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024B1 - 전자식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024B1
KR101683024B1 KR1020150067949A KR20150067949A KR101683024B1 KR 101683024 B1 KR101683024 B1 KR 101683024B1 KR 1020150067949 A KR1020150067949 A KR 1020150067949A KR 20150067949 A KR20150067949 A KR 20150067949A KR 101683024 B1 KR101683024 B1 KR 10168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eter
pow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232A (ko
Inventor
유광택
이진용
전홍락
송장건
박홍성
박병석
최문석
Original Assignee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0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모듈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파워 모듈;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동시에 전력선의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메터 모듈; 및,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동시에 메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소비 전력 정보를 전력 공급 회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전력량계{Electronic watt-hour 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식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수용가(예를 들면, 일반 주택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계식 전력량계는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어 출력부를 통해 흘러나가는 전기의 공급 경로에 코일을 연결하고, 그 코일에서 유도된 자속에 의해 회전원판의 회전력이 발생되게 하며, 이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아날로그식 카운터기와 같은 계수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근래, 기계식 전력량계는, 보다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고 오차가 적으며 신뢰성이 높고 불량률이 낮으며 다양한 기능 부여 및 제어와 원격 검침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 사용 전력량을 센서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전력량을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적산하여 기억하며, 또 각 사용 전력량을 계산하여 표시하고, 별도로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 전력량의 데이터를 원격지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국가, 지역, 용도 또는 모델마다 인쇄회로기판 및 이것에 조립되는 각 모듈의 규격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수출품의 경우 각 국가마다 인쇄회로기판 및 이것에 실장되는 모듈의 규격을 상이하게 디자인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조립될 때 오조립 가능성이 크고, 또한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오조립이 확인된 상태에서 이를 복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모듈의 오조립이 발견된 경우 인쇄회로기판 및/또는 모듈 전체를 교체하거나, 또는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모듈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의 정확한 영역에 조립되도록 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조립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정전 상태에서 교체 작업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파워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동시에 전력선의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메터 모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동시에 상기 메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소비 전력 정보를 전력 공급 회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1메인 커넥터, 제2메인 커넥터 및 제3메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은 상기 제1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제1서브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제2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제2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3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제3서브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파워 모듈, 메터 모듈 및 통신 모듈 사이에 설치된 세이프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 커버는 상기 파워 모듈, 메터 모듈 및 통신 모듈이 안착되는 평판; 및, 상기 평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워 모듈, 메터 모듈 및 통신 모듈의 측면을 감싸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평판은 상기 제1메인 커넥터, 제2메인 커넥터 및 제3메인 커넥터가 각각 관통하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력선과 상기 파워 모듈, 상기 전력선과 상기 메터 모듈 사이에 각각 개재된 터미널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전력선의 전원 출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릴레이 모듈이 착탈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전력선과 상기 메터 모듈 사이에 개재된 터미널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은 제1,2,3,4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제1전력선이 결합된 제1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2전력선이 결합되는 제2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2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력선이 결합되는 제3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4전력선이 결합되는 제4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1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4,5도전성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영역에 설치된 제6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4전력선을 통해 제1전류가 흐르고, 상기 제2,3전력선을 통해 제2전류가 흐른다. 상기 메터 모듈에 의해 상기 제5,6도전성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릴레이 모듈에 의해 상기 제4,5도전성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의 교체 시 상기 제4,5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4,5도전성 플레이트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쇼트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파워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동시에 전력선의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메터 모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동시에 상기 메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소비 전력 정보를 전력 공급 회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과 제1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메터 모듈,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터 모듈이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의 ID(identification)를 상기 제1통신선을 이용하여 파악한다.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의 ID가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의 ID가 상기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오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상기 전력선과 상기 파워 모듈, 상기 전력선과 상기 메터 모듈 사이에 개재된 터미널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전력선의 전원 출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릴레이 모듈이 접속되며,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릴레이 모듈과 제1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릴레이 모듈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터 모듈이 상기 릴레이 모듈의 ID(identification)를 상기 릴레이 모듈과 메터 모듈을 연결하는 제1통신선을 이용하여 파악한다.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릴레이 모듈의 ID가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모듈의 ID가 상기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오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과 제2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상 조립 신호 또는 오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모듈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메인 커넥터(예를 들면,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각 모듈(예를 들면, 파워 모듈, 메터 모듈, 통신 모듈)에 서브 커넥터(예를 들면, 암커넥터)를 구비하여, 상호간 기계적/전기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착탈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다르게 설명하면, 기존과 같이 납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모듈이 접속되는 것이 아니고, 착탈 또는 탈착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모듈이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듈의 조립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듈의 교체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의 정확한 영역에 조립되도록 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위에 세이프티 커버를 구비하고, 세이프티 커버에 각 모듈과 대응하는 격실(격벽에 의해 형성됨)을 형성함으로써, 격실의 모양과 일치하는 모듈만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세이프티 커버의 격실 모양과 대응하지 않는 모듈은 원천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이프티 커버에 의해, 모듈과 인쇄회로기판의 부적절한 전기적 접속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또한 세이프티 커버의 격벽 또는 격실에 의해 모듈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조립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은 세이프티 커버에 형성된 격실의 모양과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된다고 해도, 별도의 테스트 디바이스에 조립 완료된 전력량계를 장착하여 정상 조립 또는 오조립 여부를 특정 알고리즘(통신 신호를 이용한 ID 파악)에 의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인쇄회로기판에 모듈이 오조립된다고 해도,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정전 상태에서 교체 작업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교체 시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쇼트 플러그를 터미널 블록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무정전 상태에서 전자식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 중 세이프티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베이스에 인쇄회로기판, 터미널 블록 및 세이프티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 중 E-메터 및 IP-메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는 파워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 도 5b는 E-메터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 도 5c는 IP-메터 모듈을 도시한 저면도, 도 5d는 릴레이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오조립 판단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쇼트 플러그의 설치 위치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쇼트 플러그의 온 및 오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터미널 블록의 동전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E-메터 모듈의 동작 시 쇼트 플러그의 위치 및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E-메터 모듈의 교체 시 쇼트 플러그의 위치 및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메인 커버에 형성된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모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모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모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모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모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전력량계가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베이스(110), 터미널 블록(120), 인쇄회로기판(130), 세이프티 커버(140),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예를 들면, E-메터 모듈(161) 또는 IP-메터 모듈(162)), 통신 모듈(170), 릴레이 모듈(180), 메인 커버(191) 및 셋팅 커버(195)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대략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며, 이는 대략 평평한 바닥면(111)과, 바닥면(111)의 측부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측면(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면(112)은 바닥면(111)의 상호간 연결된 3개의 측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므로, 예를 들면 베이스(110)의 전방은 개방된 형태를 한다. 또한, 베이스(110)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보스(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스(113)에는 메인 커버(191) 및 셋팅 커버(195)가 결합된다.
더욱이, 베이스(110)의 대략 전방에는 터미널 블록(120)이 결합되며, 터미널 블록(120)의 후방에 인쇄회로기판(130)이 위치된다. 여기서, 전방의 보스(113)에 터미널 블록(120)이 관통 결합됨으로써, 터미널 블록(120)과 베이스(11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터미널 블록(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대략 전방에 설치되며, 이러한 터미널 블록(120)에는 전력선이 연결된다. 터미널 블록(120)은 전력선이 결합되는 절연 몸체(121)와, 절연 몸체(1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동시에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다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선에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인쇄회로기판(130)을 통하여 파워 모듈(150) 및 메터 모듈(160)이 연결되고, 또한 릴레이 모듈(180)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터미널 블록(120)은 파워 모듈(150)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메터 모듈(160)이 전력선의 전압 및 전력을 감지하도록 한다.
인쇄회로기판(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록(120)의 후방으로서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30)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메인 커넥터(131), 제2메인 커넥터(132a,132b) 및 제3메인 커넥터(133)를 포함한다. 더욱이, 파워 모듈(150)은 제1메인 커넥터(131)에 착탈 가능한 제1서브 커넥터(151)를, 메터 모듈(160)은 제2메인 커넥터(132a,132b)에 착탈 가능한 제2서브 커넥터(161a,162a)를 포함하며, 통신 모듈(170)은 제3메인 커넥터(133)에 착탈 가능한 제3서브 커넥터(17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3메인 커넥터(131,132,133)는 돌출된 형태로, 이와 대응되는 제1,2,3서브 커넥터(151,161a,162a,171)[도 5a 내지도 5d 참조]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인쇄회로기판(130)에는 다수의 배선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전원 신호, 제어 신호 및/또는 통신 신호 등이 전달된다. 물론, 인쇄회로기판(130)에는, 필요에 따라, 수동 소자 및/또는 능동소자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9, 210은 인쇄회로기판(130)과 릴레이 모듈(18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선 및/또는 전원선이다.
세이프티 커버(140)는 인쇄회로기판(130) 위에 설치되며, 이는 대략 평평한 바닥면(141)과 바닥면(141)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측면(142) 및 격벽(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세이프티 커버(140)는 기본적으로 절연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바닥면(141)에는 상술한 제1,2,3메인 커넥터(131,132a,132b,133)와 제1,2,3서브 커넥터(151,161a,162a,171)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제1,2,3관통홀(141a,141b,141c,141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43)(더욱 정확하게 설명하면 격벽(143)에 의해 형성되는 격실)에 의해 하기할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이 세이프티 커버(14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메터 모듈(160)(예를 들면, E-메터 모듈(161)) 및 릴레이 모듈(180)이 터미널 블록(120)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제1,2플러그 홀(141e,141f)이 세이프티 커버(140)의 바닥면(14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파워 모듈(150)은 인쇄회로기판(130)에 탈부착 가능하다. 파워 모듈(150)은, 예를 들면, 함몰된 형태의 제1서브 커넥터(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1관통홀(141a)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메인 커넥터(131)에 전기적으로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파워 모듈(150)의 제1서브 커넥터(151)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제1메인 커넥터(131)로부터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파워 모듈(150)은 터미널 블록(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적절한 레벨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또는 릴레이 모듈(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메터 모듈(160)은 자체적으로 전원부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파워 모듈(150)의 탈착이 용이하여 파워 모듈(15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또한 파워 모듈(150)의 고장이나 교체 시 파워 모듈(150)의 분리 작업이 쉽다. 다르게 설명하면, 기존에는 파워 모듈(15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납땜 방식으로 고정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파워 모듈(15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1메인 커넥터(131)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물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파워 모듈(15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1메인 커넥터(131)로부터 빼기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이때 제1메인 커넥터(131)는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이, 세이프티 커버(140)에 형성된 격벽(143)의 평면적인 형태와 어울리는(즉, 격실의 모양과 어울리는) 파워 모듈(150)만이 세이프티 커버(140)의 격실에 결합될 수 있어, 파워 모듈(150)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메터 모듈(160)은 실질적으로 E-메터 모듈(161) 또는 IP-메터 모듈(162)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2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만이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순 소비 전력만을 계량 및 표시하는 E-메터 모듈(161)이 인쇄회로기판(130)에 탈부착 가능 방식으로 결합되었을 경우 IP-메터 모듈(162)은 인쇄회로기판(130)에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전력 공급 회사와 전력 수용가가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시간대별 소비 전력, 원격 검침 정보 등)를 주고 받을 수 있는 IP-메터 모듈(162)이 인쇄회로기판(130)에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되었을 경우 E-메터 모듈(161)은 인쇄회로기판(130)에 결합되지 않는다. 즉, 비록 도면에서는 E-메터 모듈(161) 및 IP-메터 모듈(162)이 동시에 도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어느 하나만이 인쇄회로기판(130)에 탈부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불어, E-메터 모듈(161) 또는 IP-메터 모듈(162)은 전력선으로부터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해야 하므로, 상술한 터미널 블록(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인쇄회로기판(130)을 통하여 접속된다. 더욱이, E-메터 모듈(161)의 경우 제2서브 커넥터(161a) 외에 제1플러그(161b)를 추가적으로 갖고 있으며, 이는 세이프티 커버(140)에 형성된 제1플러그 홀(141e)을 통해 터미널 블록(120)에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IP-메터 모듈(162)의 경우 제2서브 커넥터(162a) 외에 별도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신 포트(162b)가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면에는 각종 설정 사항을 셋팅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162c)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 포트(162b)는 평상 시 셋팅 커버(195)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으며, IP-메터 모듈(162)의 상태 확인이나 상태 점검 시, 셋팅 커버(195)의 분리 후, 점검 장치가 통신 포트(162b)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터 모듈(160)은, 예를 들면, 함몰된 형태의 제2서브 커넥터(161a,162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2관통홀(141b,141c)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메인 커넥터(132a,132b)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물론, 이러한 메터 모듈(160)의 제2서브 커넥터(161a,162a)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제2메인 커넥터(132a,132b)로부터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터 모듈(160)의 탈착이 용이하여 메터 모듈(16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또한 메터 모듈(160)의 고장이나 교체 시 메터 모듈(160)의 분리 작업이 쉽다. 다르게 설명하면, 기존에는 메터 모듈(16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납땜 방식으로 고정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메터 모듈(16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2메인 커넥터(132a,132b)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물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메터 모듈(16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2메인 커넥터(132a,132b)로부터 빼기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이때 제2메인 커넥터(132a,132b)는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이, 세이프티 커버(140)에 형성된 격벽(143)의 평면적인 형태와 어울리는(격실의 형태와 어울리는) 메터 모듈(160)만이 세이프티 커버(140)의 격실에 결합될 수 있어, 메터 모듈(160)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통신 모듈(170) 역시 인쇄회로기판(130)에 탈부착 가능하다. 통신 모듈(170)은, 예를 들면, 함몰된 형태의 제3서브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3관통홀(141d)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3메인 커넥터(133)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물론, 이러한 통신 모듈(170)의 제3서브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제3메인 커넥터(133)로부터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모듈(170)은 통신선을 통하여 메터 모듈(160), 예를 들면, IP-메터 모듈(162)에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력 공급 회사와 IP-메터 모듈(162)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통신 모듈(170)의 탈착이 용이하여 통신 모듈(17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또한 통신 모듈(170)의 고장이나 교체 시 통신 모듈(170)의 분리 작업이 쉽다.
다르게 설명하면, 기존에는 통신 모듈(17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납땜 방식으로 고정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통신 모듈(17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3메인 커넥터(133)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물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 통신 모듈(17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3메인 커넥터(133)로부터 빼기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이때 제3메인 커넥터(133)는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더욱이, 세이프티 커버(140)에 형성된 격벽(143)의 평면적인 형태와 어울리는(즉, 격실의 형태와 어울리는) 통신 모듈(170)만이 세이프티 커버(140)의 격실에 결합될 수 있어, 통신 모듈(170)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여기서, 통신 모듈(170)은, 예를 들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지그비 장치, 와이파이 장치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릴레이 모듈(180)은 터미널 블록(120)에 탈부착 가능하다. 릴레이 모듈(180)은 제2플러그(181)를 포함하며, 이는 세이프티 커버(140)에 형성된 제2플러그 홀(141f)을 통해 터미널 블록(120)에 직접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릴레이 모듈(180)의 탈착이 용이하여 릴레이 모듈(18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또한 릴레이 모듈(180)의 고장이나 교체 시 릴레이 모듈(180)의 분리 작업이 쉽다. 더욱이, 세이프티 커버(140)에 형성된 격벽(143)의 평면적인 형태와 어울리는(즉, 격실이 형태와 어울리는) 릴레이 모듈(180)만이 세이프티 커버(140)의 격실에 결합될 수 있어, 릴레이 모듈(180)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여기서, 릴레이 모듈(180)은 터미널 블록(120)에 제2플러그(181)를 통해 직접 접속되는데, 이러한 릴레이 모듈(180)은 실질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력선 사이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전력은 전력 공급 회사로부터 수용가에 릴레이 모듈(180)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회사가 통신 모듈(170)을 통해 IP-메터 모듈(162)에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IP-메터 모듈(162)이 릴레이 모듈(180)을 제어하여 전력선의 전원 출력을 차단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에서 전력선의 전원 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 수용가의 각종 위험 상황을 원격지에서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커버(191)는 상술한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을 덮으며, 이는 베이스(1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보스(113)에 결합된다. 이러한 메인 커버(191)는 통상의 절연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더불어, 이러한 메인 커버(191)에는 메터 모듈(160)과 대응되는 영역에 투명 윈도우(192)가 형성됨으로써, 메터 모듈(160)로부터 표시되는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있다.
셋팅 커버(195)는 메인 커버(191)의 대략 전방을 덮으며, 이는 메터 모듈(160) 중 IP-메터 모듈(162)을 추가적으로 덮는다. 이러한 셋팅 커버(195) 역시 통상의 절연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셋팅 커버(195)를 통해서는 IP-메터 모듈(162)의 각종 설정 사항을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도록 버튼(196)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메인 커넥터(예를 들면,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각 모듈(예를 들면, 파워 모듈, 메터 모듈, 통신 모듈)에 서브 커넥터(예를 들면, 암커넥터)를 구비하여, 상호간 기계적/전기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착탈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다르게 설명하면, 기존과 같이 납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모듈이 접속되는 것이 아니고, 착탈 또는 탈착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모듈이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듈의 조립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듈의 교체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세이프티 커버를 구비하고, 세이프티 커버에 각 모듈과 대응하는 격실(격벽에 의해 형성됨)을 형성함으로써, 격실의 모양과 일치하는 모듈만이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세이프티 커버의 격실 모양과 대응하지 않는 모듈은 원천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이프티 커버에 의해, 모듈과 인쇄회로기판의 부적절한 전기적 접속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또한 세이프티 커버의 격벽 또는 격실에 의해 모듈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 중 세이프티 커버(14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에 인쇄회로기판(130), 터미널 블록(120) 및 세이프티 커버(140)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이프티 커버(140)는 대략 평평한 바닥면(141)과, 바닥면(141)의 3방향을 에워싸는 측면(142)을 포함하며, 바닥면(141)에는 다수의 격벽(143)에 의해 다수의 격실이 형성된다. 또한, 격실은 각각의 형태가 모두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각 격실의 모양에 적합한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또는 릴레이 모듈(1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격실의 모양과 다른 모양의 모듈은 격실에 결합될 수 없다. 또한, 각 격실의 바닥면(141)에는 제1,2,3관통홀(141a,141b,141c,141d) 및 제1,2플러그 홀(141e,141f)이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 파워 모듈(150)은 4개의 격벽(143)(측면 포함)이 이루는 격실에 결합되고, 메터 모듈(160)은 3개 또는 4개의 격벽(143)(측면 포함)이 이루는 격실에 결합되며, 통신 모듈(170)은 4개의 격벽(143)(측면 포함)이 이루는 격실에 결합되고, 마지막으로 릴레이 모듈(180)은 4개의 격벽(143)(측면 포함)이 이루는 격실에 결합된다. 여기서, 격벽(측면 포함)에 의한 각 격실의 크기는 모두 상이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이프티 커버(140)는 베이스(110) 위에 위치되며, 세이프티 커버(140)와 베이스(110)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130)이 위치된다. 더욱이,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 제1,2,3메인 커넥터(131,132a,132b,133)는 세이프티 커버(140)에 구비된 제1,2,3관통홀(141a,141b,141c,141d)을 통해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더불어, 터미널 블록(120)의 도전성 플레이트(122)는 제1,2플러그 홀(141e,141f)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격실에 어울리는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예를 들면, E-메터 모듈(161) 또는 IP-메터 모듈(162)), 통신 모듈(170) 및/또는 릴레이 모듈(180)이 세이프티 커버(140) 위에 위치되어 인쇄회로기판(130) 및/또는 터미널 블록(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모듈 오조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은 납땜 방식이 아닌 착탈식으로 인쇄회로기판(130) 및/또는 터미널 블록(120)에 결합됨으로써, 모듈의 조립, 분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 중 E-메터 모듈(161) 및 IP-메터 모듈(162)이 인쇄회로기판(130) 및 세이프티 커버(140)에 결합된 상태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100)는 E-메터 모듈(16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E-메터 모듈(161)을 포함할 경우 IP-메터 모듈(162)은 인쇄회로기판(130) 및 세이프티 커버(140)에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100)는 IP-메터 모듈(16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IP-메터 모듈(162)을 포함할 경우 E-메터 모듈(161)은 인쇄회로기판(130) 및 세이프티 커버(140)에 결합되지 않는다.
도 5a를 참조하면 파워 모듈(150)의 저면도, 도 5b를 참조하면 E-메터 모듈(161)의 저면도, 도 5c를 참조하면 IP-메터 모듈(162)의 저면도, 도 5d를 참조하면 릴레이 모듈(18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모듈(150)의 경우 저면에 제1서브 커넥터(151)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서브 커넥터(151)는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되어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1관통홀(141a)을 통해 돌출된 제1메인 커넥터(131)에 착탈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메터 모듈(161)의 경우 저면에 제2서브 커넥터(161a)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2서브 커넥터(161a)는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되어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2관통홀(141b)을 통해 돌출된 제2메인 커넥터(132a)에 착탈될 수 있다. 더불어, E-메터 모듈(161)의 경우 터미널 블록(120)에 착탈 가능한 돌출 형태의 제1플러그(161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메터 모듈(162)의 경우 저면에 제2서브 커넥터(162a)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2서브 커넥터(162a)는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되어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3관통홀(141c)을 통해 돌출된 제2메인 커넥터(132b)에 착탈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모듈(180)의 경우 저면에 서브 커넥터(181)가 형성되며, 이러한 서브 커넥터(181)는 인쇄회로기판(130)에 연결된 별도의 메인 커넥터(183)에 착탈될 수 있다. 더불어, 릴레이 모듈(180)의 경우 터미널 블록(120)에 착탈 가능한 돌출 형태의 제2플러그(18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신 모듈(170) 역시 저면에 제3서브 커넥터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3서브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되어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3관통홀(141d)을 통해 돌출된 제3메인 커넥터(133)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모듈(150)에 형성된 제1서브 커넥터(151)의 위치, E-메터 모듈(161)에 형성된 제2서브 커넥터(161a)의 위치, IP-메터 모듈(162)에 형성된 제2서브 커넥터(161b)의 위치, 통신 모듈(170)에 형성된 제3서브 커넥터의 위치, 그리고 릴레이 모듈(180)에 형성된 서브 커넥터(181)의 위치는 모두 상이하다. 따라서, 서브 커넥터의 위치가 메인 커넥터의 위치와 대응하지 않는다면, 상호간 결합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모듈이 인쇄회로기판(130)에 납땜 방식이 아니라 착탈 또는 탈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음으로써,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도 용이하다. 더욱이, 모듈의 형태가 세이프티 커버의 격실의 형태와 일치해야 하고, 더욱이 모듈의 서브 커넥터의 위치가 회로기판에 형성된 메인 커넥터의 위치와 일치해야만, 모듈이 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은 오조립 가능성을 크게 낮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전기적 구성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전기적 구성은 터미널 블록(120), 인쇄회로기판(130),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을 포함한다.
터미널 블록(120)은 전력선(101)을 인쇄회로기판(130) 및 파워 모듈(15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터미널 블록(120)은 전력선(101)이 전압 센싱 와이어(121) 및 전류 센싱 와이어(122)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하여 센싱된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는 인쇄회로기판(130)을 경유하여 메터 모듈(160)에 전달된다. 물론, 터미널 블록(120)은 전력선(101)이 전압 센싱 와이어(121) 및 전류 센싱 와이어(122)를 통해 메터 모듈(160)에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 블록(120)은 파워 모듈(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파워 모듈(150)이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물론, 터미널 블록(120)은 파워 모듈(150)이 인쇄회로기판(130)을 경유하여 전력선(101)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선(101)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인쇄회로기판(130)은 전력선(101)으로부터 센싱된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를 메터 모듈(16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파워 모듈(150)에 의한 전원이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에 공급되도록 한다.
메터 모듈(160)은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특히 전원선(205), 제어 신호선(206), 제1통신선(201)(예를 들면, 접점 신호선 또는 통신선) 및 제2통신선(203)(예를 들면, RS-485 통신선)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메터 모듈(160)은 제1통신선(201)을 통해 통신 모듈(17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파워 모듈(150)은 전력선(101)과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전원선(207) 및 제1통신선(202)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30)에 연결된다. 이러한 파워 모듈(150)은 제1통신선(202)을 통해 릴레이 모듈(18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70)은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특히, 전원선(208), 제1통신선(201) 및 제2통신선(204)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30)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170)은 제1통신선(201)을 통해 메터 모듈(16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릴레이 모듈(180)은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특히, 전원선(209), 제어선(210) 및 제1통신선(202)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30)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 모듈(180)은 제1통신선(202)을 통해 파워 모듈(15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상술한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이 인쇄회로기판(130)에 납땜 방식이 아닌 탈착 가능하게 접속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각 모듈의 조립, 분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인쇄회로기판(130)에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이 탈착 방식으로 접속되었을 때, 통신 모듈(170)이 제1통신선(201)을 통해 자신의 ID를 메터 모듈(160)에 전송하고, 또한, 파워 모듈(150) 및 릴레이 모듈(180) 역시 제1통신선(202)을 통해 자신의 ID를 메터 모듈(160)에 전송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제1통신선(201,202)을 통한 통신 신호는 통상의 접점 신호(예를 들면, 다수의 스위치 중 몇개의 스위치가 턴온되고 몇개의 스위치는 턴오프되었는지에 관련된 전기적 신호)이거나 또는 암호화된 통신 신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메터 모듈(160)은 미리 저장된 ID 정보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선(201,202)을 통해 입력된 ID 정보를 상호간 비교함으로써, 각 모듈이 적절하게 조립되었는지 오조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오조립 판단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조립이 완료된 전력량계(100)를 테스트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장착하는 단계(S1), 전력량계(100)의 메터 모듈(160)이 파워 모듈(15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로부터 ID를 수신받는 단계(S2), 전력량계(100)의 메터 모듈(160)이 수신된 ID와 미리 저장된 ID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S3), 비교 결과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테스트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S4),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오조립 신호를 테스트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S5) 및 테스트 완료된 전력량계(100)를 테스트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조립이 완료된 전력량계(100)를 테스트 디바이스에 장착하는 단계(S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착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130)에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이 조립 완료된 전력량계(100)를 테스트 디바이스에 장착한다. 그러면, 테스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전력량계(100)에 전력선이 연결되며(즉, 테스트용 전력선이 터미널 블록(120)에 결합됨), 테스트 준비가 완료된다.
전력량계(100)의 메터 모듈(160)이 파워 모듈(15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로부터 ID를 수신받는 단계(S2)에서는, 메터 모듈(160)이 제1통신선(201,202)을 통하여 파워 모듈(15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로부터 각각 ID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제1통신선(201,202)을 통해서는 파워 모듈(15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로부터 예를 들면 접점 또는 스위치 방식의 통신 신호가 메터 모듈(160)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제1통신선(201,202)을 통해서 파워 모듈(150), 통신 모듈(170) 및 릴레이 모듈(180)이 자신에게 할당된 고유한 ID 신호를 메터 모듈(160)에 전송한다.
전력량계(100)의 메터 모듈(160)이 수신된 ID와 미리 저장된 ID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S3)에서는, 메터 모듈(160)이 상술한 방식으로 수신된 각 모듈의 ID를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이를 위해, 메터 모듈(160)에는 미리 다양한 ID들이 저장되어 있고, 또한 각 ID들 조합에 대응하는 다양한 모델 또는 규격 정보도 미리 저장되어 있다.
비교 결과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테스트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S4)에서는, 메터 모듈(160)이 상술한 비교 결과 수신 ID와 미리 저장된 ID가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통신 모듈(170)을 통해 테스트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그러면, 일례로 테스트 디바이스는 작업자에게 정상 조립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조립된 모델 또는 규격 정보를 알려준다. 여기서, 조립된 모델 또는 규격 정보란, 예를 들면, A국가에 수출할 B 모델, C 국가에 수출한 D 모델 등으로 알려준다는 의미이다.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오조립 신호를 테스트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S5)에서는, 메터 모듈(160)이 상술한 비교 결과 수신 ID와 미리 저장된 ID가 일치하지 않으면 알람 신호를 통신 모듈(170)을 통해 테스트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그러면, 일례로 테스트 디바이스는 작업자에게 오조립 상태를 표시 및 알려준다.
테스트 완료된 전력량계(100)를 테스트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가 완료된 전력량계(100)를 테스트 디바이스로로부터 분리하며, 이후 정상 조립된 전력량계(100)는 판매를 위한 공정으로 이송되고, 오조립된 전력량계(100)는 조립 공정으로 이송하여 재조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공통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규격의 모듈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조립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은 세이프티 커버에 형성된 격실의 모양과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된다고 해도, 별도의 테스트 디바이스에 조립 완료된 전력량계를 장착하여 정상 조립 또는 오조립 여부를 특정 알고리즘(통신 신호를 이용한 ID 파악)에 의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인쇄회로기판에 모듈이 오조립된다고 해도,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서 쇼트 플러그(210)의 설치 위치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정전 상태로 전자식 전력량계(100)를 교체하기 위해, 쇼트 플러그(21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쇼트 플러그(210)는 터미널 블록(120)의 후방인 세이프티 커버(1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세이프티 커버(140)에는 제1오프닝(144a) 및 제2오프닝(1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쇼트 플러그(210)가 제1오프닝(144a)에 결합될 경우에는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를 바이패스시켜 무정전 상태에서 파워 모듈(150), 메터 모듈(160)(즉, E-메터 모듈(161) 또는 IP-메터 모듈(162)), 통신 모듈(170) 및/또는 릴레이 모듈(18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쇼트 플러그(210)가 제2오프닝(144b)에 결합될 경우에는 이러한 전류 경로의 바이패스 기능이 사라짐으로써, 전자식 전력량계(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여기서, 쇼트 플러그(210)는 상부의 절연체(211)와, 절연체(211)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된 도전체(212)를 포함하며, 도전체(212)가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1오프닝(144a) 또는 제2오프닝(144b)에 결합됨으로써,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를 바이패스시키거나 그렇치 않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서 쇼트 플러그(210)의 온(on) 및 오프(off)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플러그(210)가 제1오프닝(144a)에 결합된 경우에는 쇼트 플러그 온(short plug on)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때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는 바이패스되고, 이에 따라 무정전 상태에서 각종 모듈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플러그(210)가 제2오프닝(144b)에 결합된 경우에는 쇼트 플러그 오프(short plug off)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때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는 바이패스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각종 모듈을 향해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됨으로써, 전자식 전력량계(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서 터미널 블록(120)의 동전위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서 E-메터 모듈(161)의 동작 시 쇼트 플러그(210)의 위치 및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전력선(도시되지 않음)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2,3,4전력선(도시되지 않음)으로 정의하며, 제1,4전력선을 통해 제1전류(311)가 흐르고, 제2,3전력선을 통해 제2전류(312)가 흐르는 것으로 정의한다.
터미널 블록(120)은 이러한 제1,2,3,4전력선과 메터 모듈(160) 및 릴레이 모듈(180) 사이에 위치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몸체(121)와, 도전성 플레이트(122)를 포함한다. 도전성 플레이트(122)는 다시 제1,2,3,4,5,6 도전성 플레이트(122a,122b,122c,122d,122e,122f)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3,4도전성 플레이트(122a,122b,122c,122d)는 그 전방 영역이 절연 몸체(121)에 결합되어 있고, 제5,6도전성 플레이트(122e,122f)는 절연 몸체(121)의 측부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전성 플레이트(122a)는 절연 몸체(121)를 관통하고 있으며, 이것에는 제1전력선이 결합된다.
제2도전성 플레이트(122b)는 제1도전성 플레이트(122a)의 일측에 위치된 동시에 절연 몸체(121)를 관통하고 있으며, 이것에는 제2전력선이 연결된다.
제3도전성 플레이트(122c)는 제2도전성 플레이트(122b)의 일측에 위치된 동시에 절연 몸체(121)를 관통하고 있으며, 이것에는 제3전력선이 연결된다.
제4도전성 플레이트(122d)는 제3도전성 플레이트(122c)의 일측에 위치된 동시에 절연 몸체(121)를 관통하고 있으며, 이것에는 제4전력선이 연결된다.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는 제4도전성 플레이트(122d)의 일측에 위치된 동시에, 이것은 절연 몸체(121)의 측부에 위치된다.
제6도전성 플레이트(122f)는 제3도전성 플레이트(122c)의 후방에 위치된 동시에, 제4,5도전성 플레이트(122d,122e)의 일측에 위치되며, 또한 절연 몸체(121)의 후방에 위치된다.
한편, 제1도전성 플레이트(122a)와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는 제1연결 플레이트(123a)로 연결되고, 제2도전성 플레이트(122b)와 제3도전성 플레이트(122c)는 제2연결 플레이트(123b)로 연결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의 후방 끝단과, 제6도전성 플레이트(122f)의 후방 끝단은 메터 모듈(160), 즉, E-메터 모듈(161)에 의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E-메터 모듈(161)에 구비된 제1플러그(161b)가 세이프티 커버(140)에 구비된 제1플러그 홀(141e)에 결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의 후방 끝단과 제6도전성 플레이트(122f)의 후방 끝단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E-메터 모듈(161)에 의해 전류량이 센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의 후방 끝단과, 제6도전성 플레이트(122f)의 전방 끝단은 릴레이 모듈(180)에 의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릴레이 모듈(180)에 구비된 제2플러그(182)가 세이프티 커버(140)에 구비된 제2플러그 홀(141f)에 결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의 후방 끝단과 제6도전성 플레이트(122f)의 전방 끝단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릴레이 모듈(180)에 의해 전류가 완전히 차단되거나, 또는 전류량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의 쇼트 플러그(210)는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의 측부에 위치되어,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에 어떠한 변화도 주지 못하게 된다. 즉, 정상 상태에서 쇼트 플러그(210)는 세이프티 커버(140)에 구비된 제2오프닝(144b)에 결합되어 터미널 블록(12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류(311)는 제1도전성 플레이트(122a), 제1연결 플레이트(123a),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 E-메터 모듈(161), 제6도전성 플레이트(122f), 릴레이 모듈(180) 및 제4도전성 플레이트(122d)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E-메터 모듈(161)은 제1전류 경로를 따라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릴레이 모듈(180)을 통해 제1전류(311)가 차단되거나 제1전류량이 제한될 수 있다. 물론, 제2전류 경로(312)는 제2도전성 플레이트(122b), 제2연결 플레이트(123b), 제3도전성 플레이트(122c)를 따라 흐르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서 E-메터 모듈(161)의 교체 시 쇼트 플러그(210)의 위치 및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교체 시에는 쇼트 플러그(210)가 제4도전성 플레이트(122d)와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 사이에 삽입되어,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를 변경시킨다. 즉,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교체 시 쇼트 플러그(210)는 세이프티 커버(140)에 구비된 제1오프닝(144a)에 결합되어 터미널 블록(120)의 전류 경로를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전류(311)는 제1도전성 플레이트(122a), 제1연결 플레이트(123a), 제5도전성 플레이트(122e), 쇼트 플러그(210) 및 제4도전성 플레이트(122d)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 블록(120)으로부터 E-메터 모듈(161) 또는 릴레이 모듈(180)과 같은 각종 모듈이 분리 및/또는 교체된다고 해도, 수용가는 정전되지(즉, 무정전 상태 유지) 않고 전기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교체 시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쇼트 플러그(210)를 터미널 블록(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무정전 상태에서 전자식 전력량계(1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서 메인 커버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메인 커버(191)의 저면에 일정 두께로 돌출된 돌기(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93)는 쇼트 플러그(210)가 온(on) 위치에 있을 때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메인 커버(191)의 돌기(193)는 세이프티 커버(140)의 제1오프닝(14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쇼트 플러그(210)를 온 위치에 놓아둔 채로 메인 커버(191)를 베이스(110)에 결합하려고 하면, 상술한 돌기(193)에 의해 메인 커버(191)가 베이스(110)에 결합되지 않는다. 즉, 메인 커버(191)의 돌기(193)와 쇼트 플러그(210)가 상호간 중첩됨으로써, 메인 커버(191)가 베이스(110)에 결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쇼트 플러그(210)를 원래의 위치인 오프(off) 위치로 옮겨 놓지 않고 전력량계(100)의 교체 작업을 마무리할 수 없게 함으로써, 전력량계(100)의 교체 작업이 항상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전자식 전력량계
110; 베이스 111; 바닥면
112; 측면 113; 보스
120; 터미널 블록 121; 절연 몸체
122; 도전성 플레이트 130; 인쇄회로기판
131,132a,132b,133; 제1,2,3메인 커넥터
140; 세이프티 커버 141; 바닥면
141a, 141b, 141c,141d; 제1,2,3관통홀
141e, 141f; 제1,2플러그 홀 142; 측면
143; 격벽 150; 파워 모듈
151; 제1서브 커넥터 160; 메터 모듈
161; E-메터 모듈 161a; 제2서브 커넥터
161b; 제1플러그 162; IP-메터 모듈
162a; 제2서브 커넥터 162b; 통신 포트
162c; 버튼 170; 통신 모듈
180; 릴레이 모듈 181; 제2플러그
191; 메인 커버 192; 윈도우
195; 셋팅 커버 196; 버튼
201,202; 제1통신선 203,204; 제2통신선
210; 쇼트 플러그 211; 절연체
212; 도전체 311; 제1전류
312; 제2전류

Claims (13)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파워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동시에 전력선의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메터 모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착탈 가능한 동시에 상기 메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소비 전력 정보를 전력 공급 회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과 상기 메터 모듈 사이에 개재된 터미널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은 제1,2,3,4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제1전력선이 결합된 제1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2전력선이 결합되는 제2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2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력선이 결합되는 제3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4전력선이 결합되는 제4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제1도전성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4,5도전성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영역에 설치된 제6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4전력선을 통해 제1전류가 흐르고, 상기 제2,3전력선을 통해 제2전류가 흐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1메인 커넥터, 제2메인 커넥터 및 제3메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은 상기 제1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제1서브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제2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제2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3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제3서브 커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파워 모듈, 메터 모듈 및 통신 모듈 사이에 설치된 세이프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 커버는 상기 파워 모듈, 메터 모듈 및 통신 모듈이 안착되는 평판; 및,
    상기 평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워 모듈, 메터 모듈 및 통신 모듈의 측면을 감싸는 격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제1메인 커넥터, 제2메인 커넥터 및 제3메인 커넥터가 각각 관통하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터 모듈에 의해 상기 제5,6도전성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릴레이 모듈에 의해 상기 제4,5도전성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의 교체 시 상기 제4,5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4,5도전성 플레이트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쇼트 플러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9.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파워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동시에 전력선의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고 표시하는 메터 모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동시에 상기 메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소비 전력 정보를 전력 공급 회사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과 제1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메터 모듈,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터 모듈이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의 ID(identification)를 상기 제1통신선을 이용하여 파악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의 ID가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파워 모듈 및 통신 모듈의 ID가 상기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오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과 상기 파워 모듈, 상기 전력선과 상기 메터 모듈 사이에 개재된 터미널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기 전력선의 전원 출력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릴레이 모듈이 접속되며,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릴레이 모듈과 제1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릴레이 모듈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메터 모듈이 상기 릴레이 모듈의 ID(identification)를 상기 릴레이 모듈과 메터 모듈을 연결하는 제1통신선을 이용하여 파악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릴레이 모듈의 ID가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면 정상 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모듈의 ID가 상기 미리 저장된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오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디바이스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터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과 제2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상 조립 신호 또는 오조립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KR1020150067949A 2015-05-15 2015-05-15 전자식 전력량계 KR10168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49A KR101683024B1 (ko) 2015-05-15 2015-05-15 전자식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949A KR101683024B1 (ko) 2015-05-15 2015-05-15 전자식 전력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32A KR20160134232A (ko) 2016-11-23
KR101683024B1 true KR101683024B1 (ko) 2016-12-07

Family

ID=5754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49A KR101683024B1 (ko) 2015-05-15 2015-05-15 전자식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811B1 (ko)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40B1 (ko) * 2018-09-20 2020-02-17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계기의 종류에 따라 단자대 블록을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CN114152805B (zh) * 2020-09-08 2024-04-26 武汉国测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自家校验误差的电能表结构和校验误差方法
KR102547360B1 (ko) * 2022-09-29 2023-06-23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센서 외부 분리형 전력량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04Y1 (ko) 2003-03-03 2003-06-12 정경근 전력선통신모듈의 착탈이 가능한 전자식전력량계
JP2004077157A (ja) * 2002-08-12 2004-03-11 Osaki Electric Co Ltd 配電機器の端子カバー
KR200360131Y1 (ko) 2004-05-25 2004-08-31 주식회사 젤파워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JP2005274203A (ja) * 2004-03-23 2005-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量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157A (ja) * 2002-08-12 2004-03-11 Osaki Electric Co Ltd 配電機器の端子カバー
KR200316104Y1 (ko) 2003-03-03 2003-06-12 정경근 전력선통신모듈의 착탈이 가능한 전자식전력량계
JP2005274203A (ja) * 2004-03-23 2005-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量計
KR200360131Y1 (ko) 2004-05-25 2004-08-31 주식회사 젤파워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811B1 (ko)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32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024B1 (ko) 전자식 전력량계
CN107026443B (zh) 浪涌保护设备和浪涌保护系统
JP6875071B2 (ja) 危険領域において単極セットを使用してフィールドバス通信と電力を携帯メンテナンスツールから送信する方法、電気コネクタ組立体、可搬装置組立体、二極プラグ
JP5834229B2 (ja) 給電制御装置
US7855630B2 (en) Fuse state indicator systems
US11173796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ircuit breaker
JP5513875B2 (ja) 給電制御装置
KR101384411B1 (ko) 통합된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는 mv, 또는 hv 배전 큐비클 및 이러한 큐비클을 위한 다기능 모듈
CN204165564U (zh) 带有可移除接线盒的过程变量变送器
ES2755154T3 (es) Contador de energía eléctrica que puede monitorizar un estado de contacto de un relé de enclavamiento
JP6921637B2 (ja) 電気アセンブリの回路遮断器と接触器との相互接続モジュール
EA020980B1 (ru) Модульный измеритель величины потребляемого потока
US20150135016A1 (en) Modular Overload Relay Assembly With A Modular Communication And Human Interface Module
CA2636675C (en) Polarity tester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port
EP2850704B1 (en) A keystone jack for use in a computing network
KR200396053Y1 (ko) 휴대용 전기 테스터
KR100973179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200360131Y1 (ko) 복수 모듈형 전자식 전력량계
CN107797053B (zh) 监测电路断路器的监测单元及包括该监测单元的断路器
JP5834186B2 (ja) 給電制御装置
US11879944B2 (en) Wireless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removable power module
JP5834187B2 (ja) 給電制御装置
JP5707559B2 (ja) 給電制御装置
JP2014153296A (ja) 遠隔検針装置
JP5980557B2 (ja) 電力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