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528Y1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 Google Patents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528Y1
KR200423528Y1 KR2020060012923U KR20060012923U KR200423528Y1 KR 200423528 Y1 KR200423528 Y1 KR 200423528Y1 KR 2020060012923 U KR2020060012923 U KR 2020060012923U KR 20060012923 U KR20060012923 U KR 20060012923U KR 200423528 Y1 KR200423528 Y1 KR 200423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housing
inlet
me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이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국 filed Critical 이종국
Priority to KR2020060012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에 결합된 단자대를 분리가능하도록 단자하우징을 형성하고, 계량기 교체시 전력량계와 단자하우징이 분리되더라도 슬라이징핀의 좌, 우 이동으로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무정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활선과 접촉되지 않아 감전위험을 줄일수 있으며, 슬라이징핀을 포함하는 부가단자하우징 또한 이동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하우징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단자하우징의 제 1유입부와 제 2유출부 및 부가단자하우징의 슬라이징핀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단상뿐만 아닌 삼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단자대, 무정전, 전력량계, 계량기, 슬라이징핀

Description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TERMINAL BOARD AND MEASURING INSTRUMENT FOR UN-STOPPAGE POWER SUPPLY}
도 1은 종래의 단자대가 일체로 형성된 전력량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단상에 적용한 결합전의 일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후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삼상에 적용한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단상에 적용하고 단자하우징과 부가단자하우징이 분리가능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삼상에 적용하고 단자하우징과 부가단자하우징이 분리가능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분리가능한 상단하우징과 하단하우징 및 부가단자하우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자하우징 11: 단자부
12: 제 1유입부 13: 제 2유입부
14: 제 1유출부 15: 제 2유출부
16: 고정볼트 17: 상단하우징
18: 하단하우징 20: 부가단자하우징
21: 연결볼트 22: 착탈편
30: 공통선 40: 슬라이징핀
50: 유입연결부 51: 유출연결부
본 고안은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에 결합된 단자대를 분리가능하도록 단자하우징을 형성하고, 계량기 교체시 전력량계와 단자하우징이 분리되더라도 슬라이징핀의 좌, 우 이동으로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무정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활선과 접촉되지 않아 감전위험 및 접촉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으며, 슬라이징핀을 포함하는 부가단자 하우징 또한 이동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하우징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단자하우징의 제 1유입부와 제 2유출부 및 부가단자하우징의 슬라이징핀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단상 뿐만 아닌 삼상 에도 적용할 수 있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방식이나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전력량계는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갖는 두께 3mm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외관이 제작되고 있으며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고,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하, 공급측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갖추고 있다.
이에 전력사용개소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력량계를 고정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전선과 공급측전선의 노출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보울트를 체결하면, 전력사용개소에서 사용되어진 전력이 하우징의 계측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량계의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대의 구조에서 일부 해지, 증설 및 계기고장으로 인한 전력량계 교체시 단자대의 단자홈에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들이 상호 접촉되어 계량기 폭발로 인한 얼굴 안면 화상이나 전면 노출부위에 화상을 입어 대형 인적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력량계 단자대의 경우, 단자대에 형성한 단자홈의 내의 단자도체가 단자홈의 입구부측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서, 전력량계 교체시 인접한 전선 간의 에 혼촉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촉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전력량계의 컷오프스위치를 "오프"하여 정전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으로 전선의 노출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공동인입선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장시간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전력량계 교체작업에 있어서 정전을 시킨 다음 전선의 노출부위를 인출하고 전력량계 교체작업을 시행한다.
상기 작업을 시행함에 있어 현장여건상 장소가 협소한 집합계량기함이나 단독계기함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장시간의 정전과 대형 인력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전력계기함 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계기함의 취부판(150)에는 조영재에 고정하기 위한 취부용 구멍(142)과, 상기 취부판(150)에서 전력량계(140) 철거 없이는 조영재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중앙에 형성된 도전방지용 나사홈(143)과, 상기 전력량계(140)에 연결되는 전선(141)이 통과하는 배선 케이블 인입구(144)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계기함 취부판(150)의 구조는 일체형으로 계기함의 교체시 전선(141)이 상기 취부판(150)의 인입구(144)를 통과하기 위해 전력량계(140)과 전선(141)이 분리됨으로써 정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는 충전부 노출에 따른 위험성이 있고, 전력량계 탈착에 따른 비용과 시간소비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량계에 결합된 단자대가 분리되며, 슬라이징핀의 좌, 우 이동으로 인하여 부가단자하우징내에서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계량기 교체시 무정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활선에 접촉되지 않아 정전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교체시간을 단축시켜 수용가 측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가단자하우징을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가단자하우징을 들고다니며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 1유입부와 제 2유출부 및 슬라이징핀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단상뿐만 아니라 삼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옥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에 형성된 삽입편과 대응결합되며,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와 제 2유입부 및 수용가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유출부와 제 2유출부로 구성되는 단자대와, 상기 제 2유입부와 제 1유출부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하우징과; 상기 단자하우징의 상면에서 좌, 우로 이동되되, 일측이 상기 제 2유출부에 항상 연결되는 슬라이징핀을 형성하는 부가단자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옥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에 형성된 삽입편과 대응결합되며,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와 제 2유입부 및 수용가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유출부와 제 2유출부로 구성되는 단자부와, 상기 제 2유입부와 제 1유출부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하우징과; 상기 단자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 1유입부와 제 2유출부에 대응되며 결합하는 유입연결부 및 유출연결부와, 상기 유입연결부와 유출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좌, 우로 이동되는 슬라이징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하우징과 분리되어 이동가능한 부가단자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자대가 일체로 형성된 전력량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단상에 적용한 결합전의 일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결합후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삼상에 적용한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단상에 적용하고 단자하우징과 부가단자하우징이 분리가능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를 삼상에 적용하고 단자하우징과 부가단자하우징이 분리가능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분리가능한 상단하우징과 하단하우징 및 부가단자하우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는 전력량계에 결합된 단자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계량기 교체시 무정전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단자대 내부에서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손쉽게 이동가능한 분리형 단자대로 구성됨으로써 계량기 교체 원가절감 및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일실시예(100)는 단자하우징(10), 부가단자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사각 및 여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면에 전력공급원(4)(한전)으로부터 전선(3)으로 전력이 유입되고, 수용가(5)로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유입부와 유출부로 구성된 단자부(11)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부(11)는 전력이 유입되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입부(13) 및 유입된 전력을 수용가(5)로 유출하는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는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이 돼있으며, 이는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의 사이에 형성된 전도성을 가지는 공통선(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부(11)는 전력량계(1)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편(2)에 핀결합되되, 상기 단자부(11)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16)로 인해 고정결합이 되는 것이다.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단자부(11)의 상면에서 상기 단자부(11)와 교차되도록 단자하우징(10)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 상면의 양단부에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와 연결되는 연결볼트(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이동되는 슬라이징핀(40)을 형성하는데, 이는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징핀(40)의 일측에 형성된 착탈편(22)에 상기 연결볼트(21)가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징핀(40)의 타측은 항시 제 2유출부(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110)는 상기 실시예(10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징핀(40)의 크기가 축소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 슬라이징핀(40)은 일측이 착탈편(22)에 의해 연결볼트(21)와 결합되어 제 1유입부(12)와 연결되는 형태이지만, 타측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2유출부(15)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전도성을 갖는 도선에 의해 내부에서 항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120)는 상기 실시예(100)를 삼상에 적용한 예로써, 단자하우징(10), 부가단자하우징(20)을 포함한다. 단상 2선식을 나타낸 실시예(100)와는 달리 다수개의 유, 입출부로 구성되는 단자부(11)를 단자하우징(10)에 형성한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를 다수개 형성하여 삼상 4선식 및 여러 형태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로써, 상기 단자하우징(10)은 다수개의 제 1유입부(12), 제 2유입부(13), 제 1유출부(14), 다수개의 제 2유출부(15)로 구성이 된다.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일측 상면에 연결볼트(21)를 형성하고, 타측이 제 2유출부(15)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슬라이징핀(40)으로 구성이 된다. 이는 다수개의 제 1유입부(12)와 다수개의 제 2유출부(15)를 각각 연결시키도록 상기 다수개의 슬라이징핀(40)이 좌, 우로 이동되고,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는 공통선(30)에 의해 항상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130) 는 상기 실시예(120)의 부가단자하우징(20)의 폭을 줄여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슬라이징핀(40)을 형성한 구성이다.
이로 인해, 부피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이동이 더욱 간편해진 구성이 된다. 더불어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연결볼트(21), 슬라이징핀(40) 순서에 의해 연속적으로 상면에 형성하여 상기 연결볼트(21)와 슬라이징핀(40)이 한쌍을 이루도록 하며, 이 역시 상기 실시예(120)과 동일하게 다수개의 제 1유입부(12) 및 제 2유출부(15)가 각각 상호 연결되게 하고,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가 공통선(30)에 의해 항상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200)는 단자하우징(10), 부가단자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사각 및 여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면에 전력공급원(4)(한전)으로부터 전력이 유입되고, 수용가(5)로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유입부와 유출부로 구성된 단자부(11)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부(11)는 전력이 유입되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입부(13) 및 유입된 전력을 수용가(5)로 유출하는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는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이 돼있으며, 이는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의 사이에 형성된 전도성을 가지는 공통선(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부(11)는 전력량계(1)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편(2)에 핀결합되되, 상기 단자부(11)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16)로 인해 고정결합이 되는 것이다.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단자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부(11)에 연결되는 것으로, 자세히는 공통선(30)을 형성하는 단자하우징(10)에 결합되되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 형태로, 제 1유입부(12) 및 제 2유출부(15)와 연결되는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양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유입연결부(50)와 도선으로 내부가 연결된 연결볼트(2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볼트(21)와 결합되는 착탈편(22)을 일측에 형성하되 타측이 상기 유출연결부(51)와 연결되는 슬라이징핀(40)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징핀(40)은 부가단자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이동하며 연결볼트(21)에 착탈편(22)을 끼움 결합하는 구성을 가진다.
더불어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단자하우징(10)과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는 방식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210)는 단자대와 연결되는 전력량계(1)의 삽입편(2)을 고정볼트(16)로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단자하우징(10)을 연결하는 구성이며, 상기 실시예(200)과 구성은 동일하되, 상기 단자하우징(10)의 크기를 축소하고, 일측에 전력량계(1)의 삽입편(2)과 결합되는 단자삽입편(6)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220) 는 상기 실시예(200)를 삼상에 적용한 구성으로, 다수개의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를 형성하는 단자부(11)로 이루어지는 단자하우징(10)과, 상기 다수개의 제 1유입부(12) 및 제 2유출부(15)와 대응되며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형성하는 부가단자하우징(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상기 다수개의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와 더불어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볼트(21)와 슬라이징핀(40)이 한 쌍을 이루며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 연결볼트(21)는 다수개의 유입연결부(50)와 각각 대응되며 결합되고, 상기 다수 개 슬라이징핀(40)은 다수개의 유출연결부(51)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볼트(21)에 결합되도록 착탈편(22)을 형성한 상기 각각의 슬라이징핀(40)은 좌, 우로 이동되어 상기 다수개의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각각 연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230)는 상기 실시예(2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중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층을 상부에 형성하여 슬라이징핀(40)이 개별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300)는 단자하우징(10), 부가단자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은 단자대와 연결되는 전력량계(1)의 삽입편(2)을 고정 볼트(16)로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단자하우징(10)을 연결하는 구성이며,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삽입편(2)에 결합 될 경우 상기 삽입편(2)과 대응되는 삽입핀(7)을 일측에 형성하며 결합한다.
또한, 상기 단자하우징(10)은 공통선(30)으로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를(14) 항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력량계(1)에 결합이 되며 제 1유입부(13)와 제 2유출부(14)의 연결은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일측과 연결되는 부가단자하우징(20)으로 연결된다.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양단부에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에 대응하는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형성하여 결합되며, 상기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는 연결볼트(21)와 결합된 슬라이징핀(40)의 양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구(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징핀(40)은 초기부터 연결볼트(2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력량계(1)에 단자하우징(10)을 연결 후, 다시 단자하우징(10)에 부가단자하우징(20)을 연결하면 자동적으로 폐회로가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의 다른 실시예(400)는 단자하우징(10), 부가단자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은 단자대와 연결되는 전력량계(1)의 삽입편(2)을 고정볼트(16)로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단자하우징(10)을 연결하는 구성이며,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상단하우징(17)과 하단하우징(18)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상단하우징(17)과 하단하우징(18)은 결합되었을 경우 실시예(200)의 단자하우징(1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상단하우징(17)과 결합되는 하단하우징(18)의 일측에 단자삽입편(6)이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부가단자하우징(20)은 양단부에 상기 하단하우징(18)의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에 대응하는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형성하여 결합되고, 상기 유입연결부(50)는 연결볼트(21)와, 상기 슬라이징핀(40)은 유출연결부(51)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징핀(40)의 좌, 우 이동으로 인해 상기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는 전력량계(1)에 결합되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제 1유입부(12), 제 2유입부(13), 제 1유출부(14), 제 2유출부(15)로 구성되는 단자부(11)를 형성하는 단자하우징(10)을 상기 전력량계(1)에 핀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력량계(1)는 일측에 삽입편(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자부(11)에 각각 끼워져 고정볼트(16)로 고정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전력량계(1)의 삽입편(2)의 형성은 여러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입부(13)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이는 전력량계(1)를 거쳐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5)를 통해 수용가(5)로 전력을 유출하게 된다.
계량기를 교체할 경우 기존에는 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1)를 교체하거나, 단자대를 포함한 전력량계(1) 전체를 교체했지만, 본 고안은 전력량계(1)와 단자대인 단자하우징(10)을 분리하여 전력량계(1)만을 교체하는 것이다.
이는 단자하우징(10) 내에서 자체적으로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가능한 것인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가 공통선(30)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고, 나머지 제 1유입구와 제 2유출구는 슬라이징핀(40)의 좌, 우 이동으로 폐회로를 구성하기에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징핀(40)의 일측은 제 2유출부(15)와 항상 연결 유지된 상태에서 착탈편(22)이 상기 제 1유입부(12)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볼트(21)에 결합되어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 또한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징핀(40)은 자체가 제 2유출부(15)에 고정되어 있거나, 부가단자하우징(20) 내부에서 제 2유출부(15)와 도선에 의해 연결되어 크기를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 및 슬라이징핀(40)을 다수 개 형성하는 부가단자하우징(20)을 형성하여 단상뿐만이 아닌 삼상에도 적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슬라이징핀(40)을 포함하는 부가단자하우징(20)을 상부에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형성하여 부가단자하우징(20)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설명하면, 유입연결부(50)와 연결볼트(21)가 연결되고, 유출연결부(51)와 슬라이징핀(40)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의 부가단자하우징(20)을 단자부(11)가 형성된 단자하우징(10)에 결합한 후, 상기 슬라이징핀(40)의 좌, 우 이동으로 연결볼트(21)와 슬라이징핀(40)의 착탈편(22)이 결합되어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가 대응 연결되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또한, 상기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구 및 슬라이징핀(40)을 다수 개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는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다수 개 형성함으로 인해 단상뿐만이 아닌 삼상에도 적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징핀(40)은 크기를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을 향해 연결볼트(21)와 슬라이징핀(40)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자하우징(10)은 상단하우징(17)과 하단하우징(18)으로도 분리가 가능하며, 슬라이징핀(40)의 구성에 있어서도 좌, 우로 이동시키지 않고 결합만 했을 경우에도 폐회를 구성하도록 부가단자하우징(20)에 형성된 연결볼트(21)와 슬라이징핀(40)을 결합한 상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력량계에 결합된 단자대를 분리되 도록 구성하고, 분리되더라도 슬라이징핀의 좌, 우 이동으로 인하여 부가단자하우징내에서 폐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계량기 교체시 무정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활선에 접촉되지 않아 정전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교체시간을 단축시켜 수용가측에 불편함을 주지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형계기함이나 중형계기함을 교체하지 않아도 시공이 가능하며 부가단자하우징을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가단자하우징을 들고다니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1유입부와 제 2유출부 및 슬라이징핀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단상뿐만 아니라 삼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옥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에 형성된 삽입편(2)과 대응결합되며, 전력공급원(4)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입부(13) 및 수용가(5)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5)로 구성되는 단자부(11)와,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30)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하우징(10)과;
    상기 단자하우징(10)의 상면에서 좌, 우로 이동되되, 일측이 상기 제 2유출부(15)에 항상 연결되는 슬라이징핀(40)을 형성하는 부가단자하우징(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2. 옥외에 부설되는 전력량계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에 형성된 삽입편(2)과 대응결합되며, 전력공급원(4)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입부(13) 및 수용가(5)로 전력을 출력하는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5)로 구성되는 단자부(11)와, 상기 제 2유입부(13)와 제 1유출부(14)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통선(30)으로 이루어지는 단자하우징(10)과;
    상기 단자하우징(1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 부(15)에 대응되며 결합하는 유입연결부(50) 및 유출연결부(51)와, 상기 유입연결부(50)와 유출연결부(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좌, 우로 이동되는 슬라이징핀(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하우징(10)과 분리되어 이동가능한 부가단자하우징(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10)과 부가단자하우징(20)은 전력공급원(4)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유입부(12)와, 수용가(5)로 전력을 출력하는 제 2유출부(15) 및 좌, 우로 이동되는 슬라이징핀(40)을 각각 다수개 형성하여 3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징핀(40)은 계량기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삽입편(2)과 단자하우징(10)을 분리했을 경우, 상기 제 1유입부(12)와 제 2유출부(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슬라이징핀(40)을 제 1유입부(12)측으로 밀어 상기 제 1유입부(12)와 연결된 연결볼트(21)에 슬라이징핀(40)의 착탈편(22)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10)은 공통선(30)을 기준으로 상단하우징(17)과 하단하우징(18)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2020060012923U 2006-05-15 2006-05-15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200423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923U KR200423528Y1 (ko) 2006-05-15 2006-05-15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923U KR200423528Y1 (ko) 2006-05-15 2006-05-15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493A Division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6-05-15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528Y1 true KR200423528Y1 (ko) 2006-08-10

Family

ID=4177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923U KR200423528Y1 (ko) 2006-05-15 2006-05-15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52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79B1 (ko) 2008-05-16 2010-07-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1027927B1 (ko) 2009-08-21 2011-04-12 이종국 무정전 단자대
KR101138287B1 (ko) 2012-03-12 2012-04-24 박명애 전자식 전력량계
KR101239876B1 (ko) *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102100321B1 (ko) 2020-02-27 2020-05-15 주식회사 비파워 무정전 전력량계
KR102124202B1 (ko) 2020-05-20 2020-06-23 주식회사 비파워 보안 전자식 전력량계
KR20230082305A (ko) * 2021-12-01 2023-06-08 한국전력공사 상하 분리형 단독계기함 구조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79B1 (ko) 2008-05-16 2010-07-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1027927B1 (ko) 2009-08-21 2011-04-12 이종국 무정전 단자대
KR101138287B1 (ko) 2012-03-12 2012-04-24 박명애 전자식 전력량계
KR101239876B1 (ko) *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102100321B1 (ko) 2020-02-27 2020-05-15 주식회사 비파워 무정전 전력량계
KR102124202B1 (ko) 2020-05-20 2020-06-23 주식회사 비파워 보안 전자식 전력량계
KR20230082305A (ko) * 2021-12-01 2023-06-08 한국전력공사 상하 분리형 단독계기함 구조체
KR102627605B1 (ko) 2021-12-01 2024-01-24 한국전력공사 상하 분리형 단독계기함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200423528Y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JP4766884B2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102100321B1 (ko) 무정전 전력량계
US9425603B2 (en) Bus plug apparatus using multiple interconnected enclosures
KR101239876B1 (ko)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EP1340986A2 (en) Electricity meter housing
KR101027927B1 (ko) 무정전 단자대
CN105914588A (zh) 一种多断路器配电柜或配电箱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KR100863593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1941518B1 (ko)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0973179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KR100904562B1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JP2010048800A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の表示器交換システム
CN105932550A (zh) 一种配电柜或配电箱的多断路器排布方法
JP5224766B2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KR100879430B1 (ko)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JP2016163363A (ja) 分電盤
JP2016163362A (ja) 分電盤
JP2018153096A (ja) 計測ユニットおよび分電盤
CN101366156B (zh) 具有单独可隔离的功能区的配电系统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